1. Overview
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레브자크(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Лебзяк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레브자크러시아어, 1969년 4월 15일~)는 러시아의 전직 권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그는 올림픽에 세 차례 출전했으며,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남자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또한 세계 아마추어 권투 선수권 대회와 유럽 아마추어 권투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하며 당대 최고의 아마추어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선수 은퇴 후에는 권투 지도자로 변신하여 CSKA 모스크바와 러시아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
2. 생애 및 권투 입문
알렉산드르 레브자크는 어린 시절부터 권투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훈련에 매진하며 세계적인 선수가 되기 위한 기반을 다졌다.
2.1. 출생과 유년 시절
알렉산드르 보리소비치 레브자크는 1969년 4월 15일, 당시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도네츠크에서 태어났다. 그가 1세가 되던 해, 가족과 함께 마가단주의 부르칸디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의 키는 1.88 m이며, 현역 시절 체중은 81 kg이었다.
2.2. 초기 훈련
레브자크는 유년 시절부터 권투를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바실리 데니센코의 지도를 받았다. 1985년에는 마가단주 체육학교에 입학하여 겐나디 리지코프의 지도를 받으며 전문적인 훈련을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그는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차세대 권투 유망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3. 아마추어 경력
알렉산드르 레브자크는 광범위하고 성공적인 아마추어 권투 경력을 쌓으며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 금메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다.
3.1. 주니어 및 초기 시니어 시절 (1987년~1991년)
레브자크는 1987년 소련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며 국제 무대에 첫발을 내디뎠다. 같은 해 7월 쿠바의 아바나에서 열린 1987년 세계 주니어 복싱 선수권 대회 라이트미들급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재능을 입증했다.
1988년에는 소련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성인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그해 3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1988년 서울 올림픽 프레 올림픽 라이트미들급에 참가했으나, 첫 경기에서 개최국 대한민국의 유창현에게 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1990년 8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1990년 굿윌 게임 미들급 부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캐나다의 레이 다우니를 포인트 판정으로 꺾었으나, 독일의 토르스텐 슈미츠에게 포인트 판정으로 패했다.
1991년 5월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독일의 스벤 오트케에게 패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1991년 세계 아마추어 권투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은메달을 차지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폴란드의 로베르트 부다를 2라운드 TKO로, 독일의 스벤 오트케와 쿠바의 라몬 가르베이를 포인트 판정으로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으나, 이탈리아의 톰마소 루소에게 포인트 판정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3.2. 소련 해체 이후와 올림픽 데뷔 (1992년~1996년)
소련 해체 이후, 레브자크는 독립국가연합과 러시아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을 이어갔다. 1992년 7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바르셀로나 하계 올림픽 미들급에 출전하며 첫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그는 첫 상대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저스탠 크로퍼드를 3라운드 RSC로 꺾었으나, 다음 경기에서 이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미국의 크리스 버드에게 7-16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1993년 튀르키예의 부르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아르메니아의 므히타르 바네시안과 튀르키예의 아킨 쿨루올루를 포인트 판정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독일의 디르크 아이겐브로트에게 패했다. 같은 해 핀란드 탐페레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미들급으로 출전하여 스벤 오트케에게 패했다.
1994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1994년 굿윌 게임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우크라이나의 비탈리 코피트코를 포인트 판정으로 꺾었으나, 쿠바의 아리엘 에르난데스에게 포인트 판정으로 패했다.
1996년 7월 덴마크 바일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비탈리 코피트코, 이탈리아의 라파엘레 베르가마스코, 조지아의 아카키 카카우리제를 모두 포인트 판정으로 꺾었으나, 헝가리의 졸트 에르데이에게 패했다. 같은 해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미들급 경기에서 첫 상대인 자메이카의 로언 도널드슨을 20-4로 꺾고, 저스탠 크로퍼드를 3라운드 RSC로 꺾으며 8강에 진출했으나, 쿠바의 아리엘 에르난데스에게 8-15로 패하며 아쉽게 탈락했다.
3.3. 최전성기와 올림픽 금메달 (1997년~2000년)
1997년 레브자크는 미들급에서 라이트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렸다. 그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97년 세계 아마추어 권투 선수권 대회 라이트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는 조지아의 이고르 자구예프를 기권승으로, 폴란드의 토마시 보로프스키를 포인트 판정으로, 아일랜드의 스티븐 커크를 2라운드 KO로, 프랑스의 프레데리크 세라를 포인트 판정으로 차례로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1998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라이트헤비급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했다. 그는 헝가리의 죄르지 히드베기를 3라운드 TKO로, 독일의 토르스텐 벵트손과 폴란드의 토마시 아다멕을 포인트 판정으로, 잉글랜드의 코트니 프라이를 1라운드 TKO로 꺾고 우승했다.
2000년 5월 핀란드 탐페레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라이트헤비급에서 다시 금메달을 획득하며 유럽 챔피언 타이틀을 방어했다. 그는 튀르키예의 일디림 타르한, 유고슬라비아의 밀로라드 가요비치, 루마니아의 클라우디오 라슈코를 모두 포인트 판정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9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라이트헤비급에 러시아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마추어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그는 올림픽에서 세네갈의 엘 하지 지브릴을 3라운드 RSC로, 오스트레일리아의 대니 그린을 4라운드 RSC로, 프랑스의 존 도비를 13-11 포인트 판정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세르게이 미하일로프를 1라운드 RSC로 차례로 꺾으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에서는 체코의 루돌프 크라이와 대결하여 20-6이라는 압도적인 점수 차로 제압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4. 프로 경력
레브자크는 올림픽 금메달 획득 후인 2001년 프로 선수로 전향했으나, 매우 짧은 프로 경력을 가졌다. 그는 2001년 9월 21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스테이시 굿슨을 상대로 프로 데뷔전을 치러 승리했다. 이 경기가 그의 유일한 프로 전적이 되었고, 이 경기를 끝으로 프로 통산 1승 0패의 전적을 남긴 채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5.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알렉산드르 레브자크는 권투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러시아 CSKA 모스크바 권투팀의 코치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힘썼다. 이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러시아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아 국가대표 선수들의 기량 향상에 기여했다.
2008년부터 다시 CSKA 모스크바의 코치를 맡다가, 2013년부터는 러시아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승진하여 팀을 이끌었다. 그러나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에서 러시아 권투팀이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자, 그는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
6. 평가와 유산
알렉산드르 레브자크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과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의 수많은 메달 획득을 통해 러시아 권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아마추어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뛰어난 기술과 강한 정신력은 많은 후배 권투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라이트헤비급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기량은 오랫동안 회자될 만하다.
선수로서의 성공적인 경력 외에도 지도자로서 러시아 권투계에 기여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비록 2016년 올림픽 이후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지만, 그는 수십 년간 권투에 헌신하며 선수와 지도자로서 러시아 권투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7. 같이 보기
- 권투
- 올림픽 복싱 메달리스트 목록
-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복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