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리레자 헤이다리(علیرضا حیدری알리레자 헤이다리페르시아어, 1976년 3월 4일 ~ )는 이란의 은퇴한 자유형 레슬링 선수이다. 그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자유형 96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시상대에 올랐다. 또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도 참가하여 6위를 기록했다. 헤이다리는 선수 경력 동안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포함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 3회 우승,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4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다수의 아시아 타이틀을 보유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보냈다. 이란 레슬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그는 1999년 이란 올해의 스포츠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 생애 및 배경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1976년 3월 4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태어났다. 그는 형제 3명과 누이 1명을 둔 가정에서 성장했다. 그의 신장은 186 cm이다.
3. 레슬링 경력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이란의 대표적인 자유형 레슬링 선수로,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국제 무대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 아시아 선수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메달을 획득하며 이란 레슬링의 위상을 높였다.
3.1. 주요 업적
알리레자 헤이다리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올림픽**: 동메달 1개 (2004년 아테네)
-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금메달 1개 (1998년 테헤란), 은메달 3개 (1999년 앙카라, 2002년 테헤란, 2003년 뉴욕), 동메달 1개 (1997년 크라스노야르스크)
- 아시안 게임**: 금메달 3개 (1998년 방콕, 2002년 부산, 2006년 도하)
-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금메달 4개 (1997년 테헤란, 1999년 타슈켄트, 2001년 울란바토르, 2003년 뉴델리), 동메달 1개 (1996년 샤오산)
3.1.1. 올림픽
헤이다리는 두 차례의 올림픽에 참가하여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자유형 97kg급에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예선 라운드에서 스위스의 롤프 셰러를 7대1, 튀르키예의 아흐메트 도우를 6대1로 꺾었으나, 8강전에서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에게 0대1로 패했다. 이후 5위 결정전에서 그리스의 아프탄틸 잔토풀로스에게 기권패했다.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자유형 96kg급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예선 라운드에서 강력한 상대인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를 3대2로 꺾고, 브라질의 앙투안 자우데를 10대0으로 완승했다. 8강전에서는 아제르바이잔의 루스탐 아가예프를 5대0으로 물리쳤으나, 준결승에서 우즈베키스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에게 4대6으로 패배했다. 이어진 동메달 결정전에서 미국의 대니얼 코미어를 3대2로 제압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3.1.2.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는 알리레자 헤이다리의 경력에서 가장 빛나는 무대 중 하나였다. 그는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1997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세계 선수권 (85kg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98년 테헤란 세계 선수권 (85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결승전에서 북마케도니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를 4대0으로 꺾었다.
- 1999년 앙카라 세계 선수권 (97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러시아의 사기드 무르타잘리에프에게 3대4로 아쉽게 패했다.
- 2002년 테헤란 세계 선수권 (96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에게 1대2로 패배했다.
- 2003년 뉴욕 세계 선수권 (96kg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다시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에게 0대4로 패하며 두 대회 연속 은메달에 머물렀다.
- 2006년 광저우 세계 선수권 (96kg급)**: 5위를 기록했다.
3.1.3. 아시안 게임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아시안 게임에서 3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레슬링의 강자로 군림했다.
-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85kg급)**: 금메달.
-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96kg급)**: 금메달.
-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96kg급)**: 금메달.
3.1.4.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도 헤이다리의 활약은 두드러졌다. 그는 4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 1996년 샤오산 아시아 선수권 (82kg급)**: 동메달.
- 1997년 테헤란 아시아 선수권 (85kg급)**: 금메달.
- 1999년 타슈켄트 아시아 선수권 (97kg급)**: 금메달.
- 2001년 울란바토르 아시아 선수권 (97kg급)**: 금메달.
- 2003년 뉴델리 아시아 선수권 (96kg급)**: 금메달.
3.2. 상세 경기 기록
알리레자 헤이다리의 주요 국제 대회 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7년 세계 선수권 /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 동메달 / 85kg급 |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라운드 1 | 그리스의 크리스토스 알렉산드리디스 | 6-0 |
패 | 라운드 2 | 미국의 레스 구치스 | 0-3 |
승 | 패자부활전 1 | 대한민국의 양형모 | 1-0 |
승 | 패자부활전 2 | 독일의 앙드레 바크하우스 | 8-2 |
승 | 패자부활전 3 | 루마니아의 니콜라에 기처 | 6-1, 폴승 |
승 | 패자부활전 4 | 쿠바의 요엘 로메로 | 3-1 |
승 | 동메달 결정전 | 러시아의 하치무라트 마고메도프 | 5-1 |
1998년 세계 선수권 / 이란 테헤란 / 금메달 / 85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라운드 1 | 캐나다의 게리 홈즈 | 9-0 |
승 | 라운드 2 | 일본의 가와이 타쓰오 | 4-2 |
승 | 라운드 3 | 대한민국의 양형모 | 1-0 |
승 | 준결승 | 쿠바의 요엘 로메로 | 2-1 |
승 | 결승 | 북마케도니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 | 4-0 |
1999년 세계 선수권 / 튀르키예 앙카라 / 은메달 / 97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체코의 단 카라빈 | 10-0 |
승 | 예선 라운드 | 대한민국의 김길수 | 7-0 |
승 | 16강전 | 우크라이나의 바딤 타소예프 | 2-0 |
승 | 8강전 | 아제르바이잔의 다부드 마고메도프 | 5-0 |
승 | 준결승 | 폴란드의 마렉 가르물레비치 | 3-0 |
패 | 결승 | 러시아의 사기드 무르타잘리에프 | 3-4 |
2000년 하계 올림픽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6위 / 97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스위스의 롤프 셰러 | 7-1 |
승 | 예선 라운드 | 튀르키예의 아흐메트 도우 | 6-1 |
패 | 8강전 |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 | 0-1 |
패 | 5위 결정전 | 그리스의 아프탄틸 잔토풀로스 | 기권패 |
2001년 세계 선수권 / 불가리아 소피아 / 16위 / 97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스위스의 롤프 셰러 | 6-1 |
패 | 예선 라운드 | 러시아의 기오르기 곡셀리제 | 1-4, 폴패 |
2002년 세계 선수권 / 이란 테헤란 / 은메달 / 96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이라크의 소피안 압둘-라티프 | 11-0 |
승 | 예선 라운드 | 중국의 천다콴 | 11-0 |
승 | 예선 라운드 | 스위스의 롤프 셰러 | 3-0 |
승 | 준결승 | 우크라이나의 바딤 타소예프 | 3-0 |
패 | 결승 |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 | 1-2 |
2003년 세계 선수권 / 미국 뉴욕 / 은메달 / 96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라트비아의 이고르스 사무쇼녹스 | 10-0 |
승 | 예선 라운드 | 네덜란드의 조지 토르치나바 | 10-0 |
승 | 16강전 |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셰마로프 | 6-6 |
승 | 8강전 | 미국의 대니얼 코미어 | 6-3 |
승 | 준결승 | 불가리아의 크라시미르 코체프 | 3-1 |
패 | 결승 |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 | 0-4 |
2004년 하계 올림픽 / 그리스 아테네 / 동메달 / 96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예선 라운드 | 조지아의 엘다르 쿠르타니제 | 3-2 |
승 | 예선 라운드 | 브라질의 앙투안 자우데 | 10-0 |
승 | 8강전 | 아제르바이잔의 루스탐 아가예프 | 5-0 |
패 | 준결승 | 우즈베키스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 | 4-6 |
승 | 동메달 결정전 | 미국의 대니얼 코미어 | 3-2 |
2006년 세계 선수권 / 중국 광저우 / 5위 / 96kg급 | |||
결과 | 라운드 | 상대 | 점수 |
승 | 32강전 | 미국의 대니얼 코미어 | 2-1 (2-0, 0-1, 7-0) |
패 | 16강전 | 조지아의 기오르기 곡셀리제 | 1-2 (0-2, 1-0, 0-1) |
승 | 패자부활전 1 | 슬로바키아의 노르베르트 뵈되르 | 기권승 |
승 | 패자부활전 2 | 키르기스스탄의 알렉세이 크룹냐코프 | 2-0 (1-1, 2-1) |
패 | 동메달 결정전 | 벨라루스의 루슬란 셰이하우 | 1-2 (1-0, 0-1, 1-1) |
4. 은퇴 후 생활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레슬링 선수 생활을 마친 후 사업가로 변신했다. 그는 거의 800명의 직원을 둔 광산을 매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5. 수상 및 영예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그의 뛰어난 레슬링 경력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다. 특히, 그는 1999년 이란에서 올해의 스포츠인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6. 유산
알리레자 헤이다리는 이란 자유형 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주역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꾸준한 성과와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의 다수 메달 획득은 이란 레슬링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이다. 특히 아시안 게임 3연패와 아시아 선수권 4회 우승은 그가 아시아 레슬링계에 미친 영향력을 보여준다. 헤이다리는 후대 이란 레슬링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는 인물로 남아 있으며, 그의 이름은 이란 스포츠 영웅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