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배경
조나단 에를리히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 1세 때 이스라엘로 이주했으며, 그곳에서 테니스 선수로서의 기량을 닦았다.
1.1. 출생 및 유년 시절
조나단 다리오 에를리히는 1977년 4월 5일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유대인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세 때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 하이파로 이주했으며, 이후 이스라엘 국적을 취득했다. 현재는 텔아비브에 거주하며 이스라엘 대표로 활동했다. 그는 3세에 처음 테니스를 시작했고, 7세에 첫 토너먼트에 출전하며 일찍이 테니스에 대한 재능을 보였다.
1.2. 청소년기 경력 및 교육
에를리히는 어린 시절 축구도 병행했으나, 12세에 테니스를 직업으로 삼기로 결정했다. 이후 윙게이트 연구소에서 훈련을 받으며 기량을 향상시켰고, 이곳에서 미래의 복식 파트너인 앤디 람을 만났다. 주니어 시절에는 ITF 주니어 서킷에 많이 출전하지는 않았지만, 유일하게 참가한 199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주니어 복식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6년 19세의 나이로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2. 프로 테니스 경력
조나단 에를리히의 프로 테니스 경력은 특히 앤디 람과의 성공적인 복식 파트너십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그랜드 슬램 우승을 포함한 여러 주요 대회에서 빛나는 성과를 거두며 이스라엘 테니스의 위상을 높였다.
2.1. 초기 프로 활동 (1996-2005)
에를리히는 1996년에 프로로 전향한 후, 2000년부터 이스라엘 데이비스 컵 팀의 일원으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2001년 후반부터 앤디 람과 본격적으로 복식 파트너십을 맺었다. 2002년에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단식 경기에서 세계 랭킹 64위였던 아드리안 보이네아를 6-2, 6-3으로 꺾으며 주목할 만한 단식 승리를 기록하기도 했다.
2003년, 람과 에를리히는 복식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시작했다. 그들은 윔블던에서 마크 놀스와 다니엘 네스터 조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디펜딩 챔피언인 요나스 비요르크만과 토드 우드브리지 조에게 패배했다. 이는 이스라엘 선수로는 최초로 그랜드 슬램 대회 준결승에 진출한 기록이었다. 같은 해 9월에는 타이 오픈에서 우승했고, 10월에는 리옹 그랑프리에서 줄리앙 베네토와 니콜라 마위 조를 6-1, 6-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에는 리에젤 후버와 함께 호주 오픈 혼합 복식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리앤더 파에스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조에게 패했다. 10월에는 리옹 대회를 다시 우승하며 두 번째 리옹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5년 2월에는 로테르담 오픈에서 시릴 수크와 파벨 비즈너 조를 꺾고 우승했다. 람은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2005년 프랑스 오픈에 불참했으며, 에를리히도 이로 인해 대회에 나서지 못했다. 2005년 말, 람과 에를리히는 복식 랭킹 8위에 오르며 ATP 파이널스의 교체 선수로 참가하기도 했다.
2.2. 앤디 람과의 파트너십

에를리히는 앤디 람과 함께 '앤디오니'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이스라엘 테니스의 상징적인 복식 조를 이루었다. 이들은 ATP 투어에서 22번의 복식 우승 중 절반 이상을 함께 이뤄냈다.
2.2.1. 그랜드 슬램 우승 (2008년 호주 오픈)
2008년은 에를리히 경력의 정점이었다. 그는 앤디 람과 함께 2008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8번 시드를 배정받아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아르노 클레망과 미카엘 로드라 조를 7-5, 7-6으로 꺾고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우승으로 에를리히는 2008년 7월 복식 세계 랭킹 5위에 오르며 개인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2.2.2. 올림픽 및 데비스 컵 참가
에를리히는 람과 함께 여러 차례 이스라엘 대표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복식에 출전하여 8강에 올랐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는 3번 시드를 받고 참가했으나, 1회전에서 아르노 클레망과 미카엘 로드라 조에게 4-6, 4-6으로 패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번째 올림픽 출전으로 2회전에서 전 대회 금메달리스트인 스위스의 로저 페더러와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 조를 1-6, 7-6(5), 6-3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8강에 진출했으나, 준준결승에서 브라이언 형제에게 6-7(4), 6-7(10)로 패했다.

데비스 컵에서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2승 16패의 기록을 세웠다. 그의 승리에는 2006년 영국, 2007년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칠레전(칠레전에서는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페르난도 곤살레스와 니콜라스 마수 조를 꺾었다)에서의 승리가 포함된다. 특히 2007년 칠레전 승리로 이스라엘은 1994년 이후 처음으로 데비스 컵 월드 그룹에 승격했다.
2009년 7월 텔아비브 노키아 아레나에서 열린 데이비스 컵 8강전에서, 이스라엘(세계 8위)은 강력한 우승 후보인 러시아(세계 1위, 2002년과 2006년 우승팀)를 상대했다. 경기에 앞서 러시아의 마라트 사핀은 "모든 존경을 담아 말하지만, 이스라엘이 8강에 오른 것은 행운이었다"고 도발적인 발언을 했다. 이에 이스라엘 팀은 첫 세 경기에서 러시아 팀을 모두 꺾으며 승리했다. 세계 랭킹 210위의 하렐 레비는 러시아의 최고 선수인 세계 24위 이고르 안드레예프를 6-4, 6-2, 4-6, 6-2로 꺾었다. 이어서 세계 33위 두디 셀라가 미하일 유즈니를 3-6, 6-1, 6-0, 7-5로 물리쳤다. 이스라엘 주장 에얄 란은 선수들을 "두 대의 F-16 전투기 같았다. 그들은 놀랍도록 잘했다"고 비유했다. 이 경기는 이스라엘에서 열린 테니스 경기 중 가장 많은 10,500명의 관중이 지켜봤다. 다음 날 에를리히와 람은 10,000명이 넘는 열광적인 관중 앞에서 사핀과 이고르 쿠니친 조를 6-3, 6-4, 6-7, 4-6, 6-4로 꺾었다. 에를리히는 "이것은 내 평생 간직할 순간이다. 모두가 꿈을 꾸지만, 러시아를 3-0으로 이기는 것 같은 꿈은 감히 꿀 수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해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최종적으로 러시아에 4-1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2012년 9월 데이비스 컵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에서는 일본과 맞붙어 3승 2패로 승리하며 3년 만에 월드 그룹으로 복귀했다.
2.3. 후기 경력 및 기록 (2006-2021)
2006년 1월, 에를리히와 람은 애들레이드에서 드미트리 투르수노프와 이고르 쿠니친 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2006년 한 해 동안 4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연말에는 ATP 투어 8강에게 주어지는 테니스 마스터스 컵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2007년 8월 신시내티 마스터스 결승에서는 세계 랭킹 1위였던 브라이언 형제를 4-6, 6-3, 13-11로 꺾고 우승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같은 해 11월 중국에서 열린 테니스 마스터스 컵에서도 브라이언 형제를 7-6, 2-6, 6-1로 다시 한번 물리쳤다. 2007년 US 오픈에서는 람과 함께 출전했으나, 최종 우승팀인 시몬 아스펠린과 줄리안 놀 조에게 5-7, 6-7로 패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에를리히는 오른쪽 팔꿈치 수술 후 재활에 전념하며 부상으로 인해 여러 차례 어려움을 겪었다. 이 기간 동안 람은 다른 파트너들과 경기를 치렀다. 2009년 5월 이스라엘 오픈 ATP 챌린저 대회에서 람과 다시 뭉쳤으나, 결승에서 조지 배스틀과 크리스 구치오네 조에게 패했다. 이 대회 후 람은 임시 파트너 막스 미르니와 시즌을 마무리한 후 에를리히와 영구적으로 다시 파트너를 맺겠다고 발표했다. 같은 달, 에를리히는 하렐 레비와 짝을 이루어 튀르크 텔레콤 이즈미르 컵 (ATP 챌린저 투어)에서 우승하며 부상 복귀 후 첫 ATP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 5월, 에를리히는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와 함께 벨그라드 오픈에서 우승하며 22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승리는 그의 통산 400승 달성까지 한 경기만을 남겨둔 기록이었다.
2.4. 다른 주요 파트너십
앤디 람 외에도 에를리히는 다른 유명 선수들과도 복식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퀸스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노바크 조코비치와 파트너를 이뤄 우승을 차지했다. 이 타이틀은 조코비치의 커리어에서 유일한 복식 우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한 2010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아르노 클레망과 짝을 이뤄 8강에 진출하기도 했다.
3. 은퇴 및 은퇴 후 활동
조나단 에를리히는 오랜 프로 테니스 선수 경력을 마무리하고, 은퇴 후에도 이스라엘 테니스 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1. 프로 테니스 은퇴
에를리히는 2022년 9월 텔아비브 오픈 참가를 마지막으로 프로 테니스 선수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노바크 조코비치와 파트너를 이룰 예정이었으나, 경기 직전 부상으로 인해 아쉽게 기권하며 프로 경력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3.2. 은퇴 후 역할
선수 은퇴 후인 2023년, 에를리히는 비영리 단체인 이스라엘 테니스 교육 센터 (ITEC)에 고성능 프로그램 디렉터로 합류했다. 이 새로운 직책에서 그는 이스라엘 전역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경쟁력 있는 테니스 선수들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소외되고 외곽 지역의 재능 있는 선수들을 찾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는 또한 마카비 하이파 축구팀의 팬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2007년 8월에는 앤디 람과 함께 "유대인 스포츠 재단"을 설립하며 유대인 스포츠 활동에도 기여했다.
4. 경력 통계 및 기록
조나단 에를리히는 복식 전문 선수로서 탁월한 기록을 남겼으며, 그의 경력은 여러 주요 대회에서의 우승과 높은 랭킹으로 빛난다.
4.1. 단식 및 복식 성적 요약
에를리히는 단식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않았다. 그의 단식 통산 기록은 6승 6패이며, 그랜드 슬램 단식 본선에는 한 번도 출전한 적이 없다. 마지막 ATP 투어 단식 경기는 2007년 10월 리옹 그랑프리 예선 1회전이었다. 단식 최고 랭킹은 1999년 10월 4일 기록한 292위이다.
복식에서는 413승 346패의 인상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총 22개의 ATP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의 복식 최고 랭킹은 2008년 7월 7일 기록한 5위이다. 총 상금은 281.08 만 USD이다. 데비스 컵 복식에서는 22승 12패를 기록했다.
4.2. ATP 투어 결승전
조나단 에를리히는 ATP 투어에서 45번의 복식 결승전에 진출하여 22번 우승하고 23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범례 |
---|
그랜드 슬램 대회 (1-0) |
ATP 파이널스 (0-0) |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2-4) |
ATP 투어 500 시리즈 (1-3) |
ATP 투어 250 시리즈 (18-16) |
서피스별 우승 |
---|
하드 (11-20) |
클레이 (2-1) |
잔디 (7-2) |
카펫 (2-0) |
세팅별 우승 |
---|
야외 (17-15) |
실내 (5-8) |
결과 | W-L | 날짜 | 대회 | 등급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0 | 2000년 7월 | 테니스 명예의 전당 오픈, 미국 | 인터내셔널 | 잔디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영국 카일 스펜서 미국 미치 스프링글마이어 | 7-6(7-2), 7-5 |
우승 | 2-0 | 2003년 9월 | 타이 오픈, 태국 | 인터내셔널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앤드루 크라츠만 핀란드 야르코 니에미넨 | 6-3, 7-6(7-4) |
우승 | 3-0 | 2003년 10월 | 리옹 그랑프리, 프랑스 | 인터내셔널 | 카펫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프랑스 줄리앙 베네토 프랑스 니콜라 마위 | 6-1, 6-3 |
준우승 | 3-1 | 2004년 1월 | 첸나이 오픈, 인도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페인 라파엘 나달 스페인 토미 로브레도 | 6-7(3-7), 6-4, 3-6 |
준우승 | 3-2 | 2004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 인터내셔널 골드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폴 핸리 체코 라데크 슈테파네크 | 7-5, 6-7(5-7), 5-7 |
우승 | 4-2 | 2004년 10월 | 리옹 그랑프리, 프랑스 (2) | 인터내셔널 | 카펫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웨덴 요나스 비요르크만 체코 라데크 슈테파네크 | 7-6(7-2), 6-2 |
우승 | 5-2 | 2005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2) | 인터내셔널 골드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체코 시릴 수크 체코 파벨 비즈너 | 6-4, 4-6, 6-3 |
우승 | 6-2 | 2005년 6월 | 노팅엄 오픈, 영국 | 인터내셔널 | 잔디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웨덴 시몬 아스펠린 호주 토드 페리 | 4-6, 6-3, 7-5 |
준우승 | 6-3 | 2005년 7월 | 로스앤젤레스 오픈, 미국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릭 리치 미국 브라이언 맥피 | 3-6, 4-6 |
준우승 | 6-4 | 2005년 8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 마스터스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짐바브웨 웨인 블랙 짐바브웨 케빈 울리엣 | 7-6(7-5), 3-6, 0-6 |
준우승 | 6-5 | 2005년 10월 | 타이 오픈, 태국 (2) | 인터내셔널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폴 핸리 인도 리앤더 파에스 | 6-5(7-5), 1-6, 2-6 |
준우승 | 6-6 | 2005년 10월 | 빈 오픈, 오스트리아 | 인터내셔널 골드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바하마 마크 놀스 캐나다 다니엘 네스터 | 3-5, 4-5(4-7) |
우승 | 7-6 | 2006년 1월 | 브리즈번 국제, 호주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폴 핸리 짐바브웨 케빈 울리엣 | 7-6(7-4), 7-6(12-10) |
준우승 | 7-7 | 2006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3) | 인터내셔널 골드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폴 핸리 짐바브웨 케빈 울리엣 | 6-7(4-7), 6-7(2-7) |
준우승 | 7-8 | 2006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 마스터스 시리즈 | 클레이 | 이스라엘 앤디 람 | 바하마 마크 놀스 캐나다 다니엘 네스터 | 4-6, 7-5, [11-13] |
우승 | 8-8 | 2006년 6월 | 노팅엄 오픈, 영국 (2) | 인터내셔널 | 잔디 | 이스라엘 앤디 람 | 러시아 이고르 쿠니친 러시아 드미트리 투르수노프 | 6-3, 6-2 |
우승 | 9-8 | 2006년 8월 | 코네티컷 오픈, 미국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폴란드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 6-3, 6-3 |
우승 | 10-8 | 2006년 10월 | 타이 오픈, 태국 (3) | 인터내셔널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영국 앤디 머리 영국 제이미 머리 | 6-2, 2-6, [10-4] |
준우승 | 10-9 | 2007년 3월 | 라스베이거스 오픈, 미국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 6-7(6-8), 2-6 |
준우승 | 10-10 | 2007년 3월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체코 마르틴 담 인도 리앤더 파에스 | 4-6, 4-6 |
준우승 | 10-11 | 2007년 8월 | 워싱턴 오픈, 미국 | 인터내셔널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 6-7(5-7), 6-3, [7-10] |
우승 | 11-11 | 2007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 4-6, 6-3, [13-11] |
우승 | 12-11 | 2008년 1월 | 호주 오픈, 호주 | 그랜드 슬램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프랑스 아르노 클레망 프랑스 미카엘 로드라 | 7-5, 7-6(7-4) |
우승 | 13-11 | 2008년 3월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캐나다 다니엘 네스터 세르비아 네나드 지몬지치 | 6-4, 6-4 |
준우승 | 13-12 | 2008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 6-4, 6-7(2-7), [7-10] |
우승 | 14-12 | 2010년 6월 | 퀸스 클럽 챔피언십, 영국 | 250 시리즈 | 잔디 |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 슬로바키아 카롤 베크 체코 다비드 슈코흐 | 7-6(8-6), 2-6, [10-3] |
준우승 | 14-13 | 2010년 10월 | 타이 오픈, 태국 (4)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오스트리아 위르겐 멜처 | 독일 크리스토퍼 카스 세르비아 빅토르 트로이츠키 | 4-6, 4-6 |
우승 | 15-13 | 2011년 6월 | 이스트본 국제, 영국 | 250 시리즈 | 잔디 | 이스라엘 앤디 람 | 불가리아 그리고르 디미트로프 이탈리아 안드레아스 세피 | 6-3, 6-3 |
우승 | 16-13 | 2011년 8월 | 윈스턴-살렘 오픈, 미국 | 250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독일 크리스토퍼 카스 오스트리아 알렉산더 페야 | 7-6(7-2), 6-4 |
준우승 | 16-14 | 2012년 1월 | 첸나이 오픈, 인도 | 250 시리즈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인도 리앤더 파에스 세르비아 얀코 팁사레비치 | 4-6, 4-6 |
우승 | 17-14 | 2012년 5월 | 세르비아 오픈, 세르비아 | 250 시리즈 | 클레이 | 이스라엘 앤디 람 | 독일 마르틴 엠리히 스웨덴 안드레아스 실예스트룀 | 4-6, 6-2, [10-6] |
준우승 | 17-15 | 2013년 6월 | 할레 오픈, 독일 | 250 시리즈 | 잔디 | 이탈리아 다니엘레 브라치알리 | 멕시코 산티아고 곤살레스 미국 스코트 립스키 | 2-6, 6-7(3-7) |
준우승 | 17-16 | 2014년 7월 | 테니스 명예의 전당 오픈, 미국 (2) | 250 시리즈 | 잔디 | 미국 라지브 람 | 호주 크리스 구치오네 호주 레이튼 휴이트 | 5-7, 4-6 |
우승 | 18-16 | 2015년 10월 | 선전 오픈, 중국 | 250 시리즈 | 하드 | 영국 콜린 플레밍 | 호주 크리스 구치오네 브라질 앙드레 사 | 6-1, 6-7(3-7), [10-6] |
준우승 | 18-17 | 2016년 2월 | 오픈 13,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영국 콜린 플레밍 | 크로아티아 마테 파비치 뉴질랜드 마이클 비너스 | 2-6, 3-6 |
준우승 | 18-18 | 2016년 8월 | 로스카보스 오픈, 멕시코 | 250 시리즈 | 하드 | 영국 켄 스쿠프스키 | 인도 푸라브 라자 인도 디비지 샤란 | 6-7(4-7), 6-7(3-7) |
준우승 | 18-19 | 2017년 1월 | 오클랜드 오픈, 뉴질랜드 | 250 시리즈 | 하드 | 미국 스콧 립스키 |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파키스탄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 6-1, 2-6, [3-10] |
우승 | 19-19 | 2017년 10월 | 청두 오픈, 중국 | 250 시리즈 | 하드 | 파키스탄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 뉴질랜드 마르쿠스 다니엘 브라질 마르셀로 데몰리너 | 6-3, 7-6(7-3) |
우승 | 20-19 | 2018년 7월 | 테니스 명예의 전당 오픈, 미국 (3) | 250 시리즈 | 잔디 | 뉴질랜드 아르템 시탁 | 엘살바도르 마르셀로 아레발로 멕시코 미겔 앙헬 레예스-바렐라 | 6-1, 6-2 |
우승 | 21-19 | 2019년 6월 | 안탈리아 오픈, 튀르키예 | 250 시리즈 | 잔디 | 뉴질랜드 아르템 시탁 | 크로아티아 이반 도디그 슬로바키아 필립 폴라셰크 | 6-3, 6-4 |
준우승 | 21-20 | 2019년 10월 | 청두 오픈, 중국 | 250 시리즈 | 하드 | 프랑스 파브리스 마르탱 | 세르비아 니콜라 차치치 세르비아 두샨 라요비치 | 6-7(9-11), 6-3, [3-10] |
준우승 | 21-21 | 2020년 2월 | 마하라슈트라 오픈, 인도 | 250 시리즈 | 하드 | 벨라루스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 스웨덴 앙드레 예란손 인도네시아 크리스토퍼 룽카트 | 2-6, 6-3, [8-10] |
준우승 | 21-22 | 2021년 2월 | 오픈 쉬드 드 프랑스,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벨라루스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 핀란드 앙리 콘티넨 프랑스 에두아르 로제-바셀린 | 2-6, 5-7 |
우승 | 22-22 | 2021년 5월 | 벨그라드 오픈, 세르비아 | 250 시리즈 | 클레이 | 벨라루스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 스웨덴 앙드레 예란손 브라질 라파엘 마토스 | 6-4, 6-1 |
준우승 | 22-23 | 2021년 9월 | 아스타나 오픈, 카자흐스탄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벨라루스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 멕시코 산티아고 곤살레스 아르헨티나 안드레스 몰테니 | 1-6, 2-6 |
4.3. 챌린저 및 퓨처스 토너먼트
에를리히는 ATP 투어 외에 챌린저 및 퓨처스 투어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 단식: 1 (0승 1패)**
범례 (단식) |
---|
ATP 챌린저 투어 (0-0) |
ITF 퓨처스 투어 (0-1) |
서피스별 우승 |
---|
하드 (0-1) |
클레이 (0-0) |
잔디 (0-0) |
카펫 (0-0) |
결과 | W-L | 날짜 | 대회 | 등급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0-1 | 1999년 1월 | 인도 F1, 찬디가르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 3-6, 4-6 |
- 복식: 48 (32승 16패)**
범례 (복식) |
---|
ATP 챌린저 투어 (24-12) |
ITF 퓨처스 투어 (8-4) |
서피스별 우승 |
---|
하드 (32-12) |
클레이 (0-0) |
잔디 (0-0) |
카펫 (0-4) |
결과 | W-L | 날짜 | 대회 | 등급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0 | 1998년 1월 | 인도 F1, 뉴델리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노암 오쿤 | 영국 제이미 델가도 이스라엘 리오르 모어 | 6-7, 7-6, 7-6 |
준우승 | 1-1 | 1998년 1월 | 인도 F3, 인도르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노암 오쿤 | 레바논 알리 하마데흐 미국 앤드루 루브 | 6-7, 4-6 |
준우승 | 1-2 | 1998년 3월 | 이스라엘 F1, 야파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 핀란드 타피오 누르미넨 핀란드 얀네 오얄라 | 2-6, 5-7 |
우승 | 2-2 | 1999년 1월 | 인도 F1, 찬디가르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 프랑스 세드릭 코프만 인도 시예드 파잘루딘 | 5-7, 7-5, 6-4 |
우승 | 3-2 | 1999년 2월 | 크로아티아 F1, 자그레브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니어 웰그린 | 크로아티아 이반 친쿠슈 크로아티아 크레시미르 리츠 | 6-2, 6-1 |
우승 | 4-2 | 1999년 3월 | 이스라엘 F1, 아슈켈론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에얄 에를리히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이스라엘 하렐 레비 | 6-4, 6-2 |
준우승 | 4-3 | 1999년 6월 | 아일랜드 F1, 더블린 | 퓨처스 | 카펫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 이탈리아 다니엘레 브라치알리 이탈리아 이고르 가우디 | 4-6, 6-3, 3-6 |
우승 | 5-3 | 2000년 1월 | 미국 F2, 앨터몬테 스프링스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멕시코 오스카르 오르티스 베네수엘라 지미 시만스키 | 6-3, 6-4 |
우승 | 6-3 | 2000년 4월 | 우즈베키스탄 F1, 안디잔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리오르 모어 | 파키스탄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우즈베키스탄 드미트리 토마셰비치 | 7-6(7-4), 6-4 |
우승 | 7-3 | 2000년 5월 | 우즈베키스탄 F2, 나망간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리오르 모어 | 일본 이시이 나오키 일본 이와부치 사토시 | 6-2, 4-6, 6-4 |
우승 | 1-0 | 2000년 5월 | 페르가나 챌린저, 우즈베키스탄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리오르 모어 | 브라질 다니엘 멜로 브라질 알렉상드르 시모니 | 6-4, 6-0 |
우승 | 2-0 | 2000년 6월 | 덴버, 미국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리오르 모어 | 이스라엘 노암 베르 이스라엘 앤디 람 | 6-4, 5-7, 6-2 |
준우승 | 2-1 | 2000년 10월 | 슬로바크 오픈, 브라티슬라바 | 챌린저 | 하드 (실내) | 북마케도니아 알렉산다르 키티노프 | 호주 폴 핸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폴 로즈너 | 4-6, 4-6 |
준우승 | 2-2 | 2001년 3월 | 앙드레지외,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노암 베르 | 프랑스 줄리앙 베네토 프랑스 니콜라 마위 | 3-6, 3-6 |
준우승 | 2-3 | 2001년 3월 | 마그데부르크, 독일 | 챌린저 | 카펫 (실내) | 크로아티아 로브로 조브코 | 캐나다 프레데릭 니마이어 체코 라데크 슈테파네크 | 6-7(2-7), 6-7(3-7) |
우승 | 3-3 | 2001년 5월 | 예루살렘, 이스라엘 | 챌린저 | 하드 | 프랑스 미카엘 로드라 | 이스라엘 노암 베르 이스라엘 노암 오쿤 | 7-5, 4-6, 7-6(7-2) |
우승 | 4-3 | 2001년 9월 | 아멕스-이스탄불 챌린저, 튀르키예 | 챌린저 | 하드 | 프랑스 미카엘 로드라 | 네덜란드 산더르 흐로엔 독일 미하엘 콜만 | w/o |
우승 | 5-3 | 2001년 10월 | 그르노블 챌린저,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남아프리카 공화국 폴 로즈너 미국 글렌 와이너 | 6-4, 3-6, 7-6(7-4) |
우승 | 6-3 | 2001년 11월 | 푸에블라 오픈, 멕시코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위스 마르코 치우디넬리 핀란드 투오마스 케톨라 | 6-4, 6-7(5-7), 6-1 |
우승 | 7-3 | 2001년 12월 | 산호세, 코스타리카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브라질 다니엘 멜로 유고슬라비아 두샨 베미치 | 6-3, 6-3 |
준우승 | 7-4 | 2002년 2월 | 브레스트,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벤 엘우드 호주 스티븐 허스 | 1-6, 4-6 |
우승 | 8-4 | 2002년 3월 | 셰르부르 챌린저,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노암 베르 | 프랑스 줄리앙 베네토 프랑스 리오넬 루 | w/o |
우승 | 9-4 | 2002년 11월 | 레위니옹 섬, 레위니옹 | 챌린저 | 하드 | 아르헨티나 페데리코 브라운 | 스위스 마르코 치우디넬리 체코 야로슬라프 레빈스키 | 6-1, 4-6, 6-3 |
준우승 | 9-5 | 2002년 12월 | 밀라노, 이탈리아 | 챌린저 | 카펫 (실내) | 북마케도니아 알렉산다르 키티노프 | 이탈리아 마시모 베르톨리니 이탈리아 조르지오 갈림베르티 | 6-7(4-7), 6-2, 6-7(4-7) |
준우승 | 7-4 | 2003년 2월 | 영국 F2, 노팅엄 | 퓨처스 | 카펫 (실내)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영국 마크 힐튼 이스라엘 앤디 람 | 6-7(7-9), 2-6 |
우승 | 10-5 | 2003년 3월 | 브장송 오픈,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오스트리아 줄리안 놀 | 프랑스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니콜라 마위 | 6-3, 6-4 |
우승 | 8-4 | 2003년 4월 | 그리스 F1, 시로스 섬 | 퓨처스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위스 마르코 치우디넬리 이탈리아 우로스 비코 | 6-3, 3-6, 6-3 |
준우승 | 10-6 | 2003년 5월 | 뉴델리 챌린저, 인도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불가리아 라도슬라프 루카예프 러시아 드미트리 블라소프 | 6-7(6-8), 6-4, 2-6 |
우승 | 11-6 | 2003년 7월 | 렉싱턴 챌린저, 미국 | 챌린저 | 하드 | 일본 스즈키 타카오 | 미국 마티아스 보커 미국 트래비스 패럿 | 6-4, 6-1 |
우승 | 12-6 | 2003년 8월 | 빙엄턴 챌린저, 미국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스티븐 허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일스 웨이크필드 | 6-4, 6-3 |
우승 | 13-6 | 2003년 9월 | 아멕스-이스탄불 챌린저, 튀르키예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이스라엘 아미르 하다드 이스라엘 하렐 레비 | 7-6(7-5), 7-6(8-6) |
우승 | 14-6 | 2003년 11월 | 슬로바크 오픈, 슬로바키아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크로아티아 마리오 안치치 아르헨티나 마르틴 가르시아 | 7-6(9-7), 6-3 |
우승 | 15-6 | 2003년 11월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우크라이나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스웨덴 시몬 아스펠린 아르헨티나 요한 란츠베르크 | 6-4, 6-3 |
준우승 | 15-7 | 2004년 11월 | 슬로바크 오픈, 슬로바키아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이스라엘 노암 오쿤 | 스웨덴 시몬 아스펠린 미국 그레이던 올리버 | 6-7(5-7), 3-6 |
우승 | 16-7 | 2008년 7월 | 이스라엘 오픈, 이스라엘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우크라이나 세르게이 붑카 러시아 미하일 엘긴 | 6-3, 7-6(7-3) |
준우승 | 16-8 | 2009년 5월 | 이스라엘 오픈, 이스라엘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스위스 조지 배스틀 호주 크리스 구치오네 | 5-7, 6-7(6-8) |
우승 | 17-8 | 2009년 5월 | 이즈미르 컵, 튀르키예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하렐 레비 | 인도 프라카시 암리트라지 미국 라지브 람 | 6-3, 6-3 |
우승 | 18-8 | 2010년 5월 | 이스라엘 오픈, 이스라엘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오스트리아 알렉산더 페야 독일 시몬 슈타들러 | 6-4, 6-3 |
우승 | 19-8 | 2013년 8월 | 밴쿠버 오픈, 캐나다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미국 제임스 세레타니 캐나다 아딜 샤마스딘 | 6-1, 6-4 |
우승 | 20-8 | 2013년 8월 | 아프토스 챌린저, 미국 | 챌린저 | 하드 | 이스라엘 앤디 람 | 호주 크리스 구치오네 호주 맷 리드 | 6-3, 6-7(6-8), [10-2] |
준우승 | 20-9 | 2014년 10월 | 렌 오픈,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체코 프란티셰크 체르마크 | 독일 토비아스 캄케 독일 필립 마르크스 | 6-3, 2-6, [3-10] |
준우승 | 20-10 | 2016년 4월 | 이스라엘 오픈, 이스라엘 | 챌린저 | 하드 | 오스트리아 필립 오스발트 | 러시아 콘스탄틴 크라브추크 우크라이나 데니스 몰차노프 | 6-4, 6-7(1-7), [4-10] |
우승 | 21-10 | 2017년 8월 | 아프토스 챌린저, 미국 | 챌린저 | 하드 | 영국 닐 스쿠프스키 | 호주 알렉스 볼트 호주 조던 톰프슨 | 6-3, 2-6, [10-8] |
준우승 | 21-11 | 2017년 10월 | 가오슝 챌린저, 중화 타이베이 | 챌린저 | 하드 | 오스트리아 알렉산더 페야 | 태국 산차이 라티와타나 태국 손찻 라티와타나 | 4-6, 6-1, [6-10] |
우승 | 22-11 | 2018년 1월 | 캔버라 챌린저, 호주 | 챌린저 | 하드 | 인도 디비지 샤란 | 칠레 한스 포들립닉-카스티요 벨라루스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 7-6(7-1), 6-2 |
준우승 | 22-12 | 2019년 3월 | 릴 챌린저,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 프랑스 파브리스 마르탱 | 모나코 로맹 아르네오도 프랑스 위고 니스 | 5-7, 7-5, [8-10] |
우승 | 23-12 | 2019년 3월 | 생브리외 오픈,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프랑스 파브리스 마르탱 | 프랑스 조나단 에이세릭 크로아티아 안토니오 산치치 | 7-6(7-2), 7-6(7-2) |
우승 | 24-12 | 2019년 4월 | 타이베이 챌린저, 중화 타이베이 | 챌린저 | 하드 (실내) | 인도 스리람 발라지 | 네덜란드 산더르 아렌즈 오스트리아 트리스탄-사무엘 바이스본 | 6-3, 6-2 |
4.4. 그랜드 슬램 및 마스터스 성적 연도별표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SR | W-L |
---|---|---|---|---|---|---|---|---|---|---|---|---|---|---|---|---|---|---|---|---|---|---|---|---|---|
그랜드 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A | 1회전 | 1회전 | A | 2회전 | 3회전 | 2회전 | 3회전 | 우승 | A | 8강 | 2회전 | 1회전 | 3회전 | 1회전 | 3회전 | 1회전 | 1회전 | 1회전 | A | A | A | 1회전 | 1 / 17 | 20-16 |
프랑스 오픈 | A | A | 1회전 | A | 3회전 | A | 2회전 | 3회전 | 3회전 | 1회전 | 2회전 | 1회전 | 2회전 | 2회전 | 3회전 | A | 2회전 | 2회전 | A | A | A | 2회전 | 1회전 | 0 / 15 | 15-15 |
윔블던 | A | 2회전 | 1회전 | 준결승 | 1회전 | 3회전 | 3회전 | 2회전 | 8강 | 1회전 | 1회전 | 1회전 | 2회전 | 1회전 | 1회전 | 준결승 | 1회전 | 1회전 | 3회전 | 1회전 | NH | 1회전 | 0 / 20 | 20-20 | |
US 오픈 | 1회전 | A | A | 1회전 | 1회전 | 8강 | 3회전 | 3회전 | 2회전 | 1회전 | 2회전 | 2회전 | 2회전 | 2회전 | 1회전 | 1회전 | 2회전 | A | 1회전 | A | A | 2회전 | 0 / 16 | 14-16 | |
승-패 | 0-1 | 1-2 | 0-3 | 4-2 | 3-4 | 7-3 | 6-4 | 7-4 | 12-3 | 0-3 | 5-4 | 2-4 | 3-4 | 4-4 | 2-3 | 6-3 | 2-4 | 1-3 | 2-3 | 0-1 | 0-0 | 2-3 | 0-1 | 1 / 67 | 69-66 |
연말 챔피언십 | |||||||||||||||||||||||||
ATP 파이널스 | 출전 자격 없음 | 라운드 로빈 | 라운드 로빈 | 출전 자격 없음 | 0 / 2 | 2-4 | |||||||||||||||||||
ATP 마스터스 시리즈 |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 불참 | 2회전 | 2회전 | 1회전 | 준우승 | 우승 | A | A | 2회전 | A | 1회전 | 2회전 | 불참 | 1 / 8 | 13-7 | ||||||||||
마이애미 오픈 | 불참 | 2회전 | 8강 | 준결승 | 1회전 | 1회전 | A | A | 8강 | 불참 | 0 / 6 | 8-6 |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 불참 | 2회전 | A | 2회전 | 2회전 | 8강 | 불참 | 0 / 4 | 1-4 | ||||||||||||||||
이탈리아 오픈 | 불참 | 1회전 | 1회전 | 준우승 | 2회전 | 2회전 | 불참 | 1회전 | A | 0 / 6 | 3-6 | ||||||||||||||
마드리드 오픈 | 불참 | 1회전 | 1회전 | 8강 | 1회전 | 불참 | 1회전 | 불참 | 0 / 5 | 1-5 | |||||||||||||||
캐나다 오픈 | 불참 | 8강 | 준우승 | 2회전 | 준결승 | 2회전 | 불참 | 0 / 5 | 7-5 | ||||||||||||||||
신시내티 마스터스 | 불참 | 8강 | 1회전 | 준결승 | 우승 | 준우승 | 1회전 | 불참 | 1 / 6 | 11-5 | |||||||||||||||
상하이 마스터스 | 마스터스 시리즈 아님 | A | 2회전 | 불참 | 0 / 1 | 1-1 | |||||||||||||||||||
파리 마스터스 | 불참 | 8강 | 1회전 | 1회전 | A | 1회전 | 2회전 | 불참 | 0 / 5 | 2-5 | |||||||||||||||
함부르크 마스터스 | 불참 | 1회전 | 1회전 | 8강 | 준결승 | 2회전 | 마스터스 시리즈 아님 | 0 / 5 | 3-5 | ||||||||||||||||
승-패 | 0-0 | 0-0 | 0-0 | 0-0 | 6-8 | 8-8 | 10-9 | 11-8 | 9-6 | 0-2 | 2-2 | 3-2 | 0-0 | 0-1 | 1-2 | 0-0 | 0-0 | 0-0 | 0-0 | 0-0 | 0-1 | 0-0 | 0-0 | 2 / 51 | 50-49 |
연말 랭킹 | 110 | 107 | 119 | 33 | 28 | 15 | 13 | 18 | 11 | 191 | 45 | 50 | 49 | 62 | 87 | 49 | 51 | 78 | 101 | 73 | 70 | 63 |
5. 유산 및 평가
조나단 에를리히는 이스라엘 테니스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선수로 평가된다. 특히 앤디 람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스라엘 테니스를 세계 무대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5.1. 이스라엘 테니스에 대한 기여
에를리히는 그의 커리어 전반에 걸쳐 이스라엘 테니스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앤디 람과 함께 '앤디오니'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이스라엘 스포츠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고, 2008년 호주 오픈 우승은 이스라엘 테니스 역사상 가장 빛나는 성과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2007년 8월, 그는 앤디 람과 함께 "유대인 스포츠 재단"을 설립하여 유대인 커뮤니티 내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선수 은퇴 후에도 그는 이스라엘 테니스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2023년에는 비영리 단체인 이스라엘 테니스 교육 센터 (ITEC)의 고성능 프로그램 디렉터로 임명되어, 이스라엘 전역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재능 있는 테니스 선수들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특히 소외되고 외곽 지역의 유망주들을 찾아내어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며, 미래 이스라엘 테니스 인재 양성에 헌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