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장밍황(張銘煌Zhāng Mínghuáng중국어) 선수는 1982년 8월 7일 대만 타이중에서 태어난 중화 타이베이의 육상 선수로, 주로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 종목에서 활약했습니다. 2006년부터 포환던지기에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2011년 8월 미국 조지아주 애선스에서 포환던지기 개인 최고 기록인 20.58 m를 달성하며 대만 국가 기록을 수립했습니다. 이 기록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습니다. 런던 올림픽에서는 예선에서 20.25 m를 던져 이 종목 역사상 두 번째로 올림픽 결선에 진출한 아시아 선수가 되었고, 결선에서는 19.99 m를 던져 12위를 기록했습니다. 그는 또한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와 아시안 게임 등 여러 주요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최고 수준의 선수로 인정받았습니다.
2. 선수 경력의 시작과 초기 활동
장밍황은 1982년 8월 7일 대만 타이중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키는 1.93 m이며, 체중은 140 kg이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운동에 재능을 보인 그는 대만의 국립체육대학에서 수학하며 선수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원반던지기에 주력했으나, 2006년부터는 점차 포환던지기로 종목을 전환하여 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이 전환은 그의 선수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3. 주요 선수 경력
장밍황은 포환던지기 선수로서 전문적인 훈련을 거치며 꾸준히 기량을 발전시켰고,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선수 경력은 체계적인 훈련과 여러 국제 대회를 통해 성장하는 과정이었습니다.
3.1. 훈련 및 성장
장밍황은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양한 코치들과 훈련하며 기량을 향상시켰습니다. 2007년 6월부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전까지는 베르너 골드만 코치와 독일 베를린에서 훈련했습니다. 이후 2010년 2월부터는 미국 조지아주 애선스에서 도널드 배빗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했습니다. 또한, 한동안 중국에서도 훈련을 하는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훈련 환경을 경험하며 기량을 다졌습니다.
3.2. 주요 대회 성적 및 기록
장밍황은 포환던지기 종목에서 다수의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냈습니다. 그는 2011년 8월 미국 조지아주 애선스에서 개인 최고 기록인 20.58 m를 달성하며 대만 국가 기록을 수립했습니다. 이 기록은 그가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포환던지기 A 기준을 통과하여 출전권을 획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2012년 8월 3일 런던 올림픽 남자 포환던지기 예선에서 그는 20.25 m를 던져 올림픽 포환던지기 역사상 두 번째로 결선에 진출한 아시아 선수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같은 날 저녁에 열린 결선에서는 19.99 m를 기록하며 최종 1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는 또한 여러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와 아시안 게임에서 메달을 획득했습니다. 주요 메달 성과로는 2007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7년 방콕 유니버시아드 동메달, 2009년 아시아 실내 육상 경기 대회 은메달, 2009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은메달(포환던지기) 및 동메달(원반던지기),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11년 고베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2013년 푸네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13년 톈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메달,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은메달 등이 있습니다.
3.3. 상세 대회 결과
장밍황 선수의 주요 대회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1999 | 1999년 세계 유스 육상 선수권 대회 | 폴란드 비드고슈치 | 1위 | 원반던지기 (1.5 kg) | 64.14 m |
1999년 아시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 싱가포르 | 11위 | 포환던지기 | 13.83 m | |
5위 | 원반던지기 | 49.7 m | |||
2000 | 2000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 칠레 산티아고 | 23위 (예선) | 원반던지기 | 48.07 m |
2001 | 2001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일본 오사카 | 2위 | 원반던지기 | 55.88 m |
2001년 아시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3위 | 포환던지기 | 17.2 m | |
4위 | 원반던지기 | 49.46 m | |||
200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중국 베이징 | 기록 없음 (NM) | 포환던지기 | 기록 없음 (NM) | |
17위 (예선) | 원반던지기 | 51.14 m | |||
2002 | 2002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스리랑카 콜롬보 | 11위 | 포환던지기 | 15.7 m |
6위 | 원반던지기 | 52.94 m | |||
2004 | 2004년 아시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이란 테헤란 | 6위 | 포환던지기 | 17.49 m |
2005 | 200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한민국 인천 | 10위 | 원반던지기 | 52.75 m |
2006 | 2006년 아시안 게임 | 카타르 도하 | 3위 | 포환던지기 | 19.45 m |
2007 | 2007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요르단 암만 | 2위 | 포환던지기 | 19.66 m |
200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태국 방콕 | 3위 | 포환던지기 | 19.36 m |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일본 오사카 | 30위 (예선) | 포환던지기 | 18.53 m | |
2007년 아시아 실내 경기 대회 | 마카오 | 4위 | 포환던지기 | 17.93 m | |
2008 | 2008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페인 발렌시아 | 20위 (예선) | 포환던지기 | 17.73 m |
2008년 하계 올림픽 | 중국 베이징 | 40위 (예선) | 포환던지기 | 17.43 m | |
2009 | 200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8위 | 포환던지기 | 18.42 m |
2009년 아시아 실내 경기 대회 | 베트남 하노이 | 2위 | 포환던지기 | 19.55 m | |
2009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중국 광저우 | 2위 | 포환던지기 | 19.34 m | |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홍콩 | 2위 | 포환던지기 | 18.33 m | |
3위 | 원반던지기 | 54.92 m | |||
2010 | 2010년 아시안 게임 | 중국 광저우 | 3위 | 포환던지기 | 19.48 m |
2011 | 2011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일본 고베 | 1위 | 포환던지기 | 20.14 m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대한민국 대구 | 18위 (예선) | 포환던지기 | 19.6 m | |
2012 | 2012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튀르키예 이스탄불 | 21위 (예선) | 포환던지기 | 18.75 m |
2012년 하계 올림픽 | 영국 런던 | 12위 | 포환던지기 | 19.99 m | |
2013 | 2013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인도 푸네 | 2위 | 포환던지기 | 19.61 m |
2013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중국 톈진 | 3위 | 포환던지기 | 19.19 m | |
2014 | 2014년 아시안 게임 | 대한민국 인천 | 2위 | 포환던지기 | 19.97 m |
2018 | 2018년 아시안 게임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5위 | 포환던지기 | 18.98 m |
4. 코치 활동 및 후원
장밍황은 국립대만체육운동대학에서 던지기 종목 코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중화 타이베이 육상 협회(CTAA), 대만 교육부 산하 체육서, 그리고 아디다스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중화 타이베이 육상 협회는 장밍황 선수의 모든 해외 활동을 대리하고 있습니다.
5. 영향과 유산
장밍황은 대만 육상, 특히 포환던지기 종목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운 선수로 평가됩니다. 그는 2011년 20.58 m라는 대만 국가 기록을 수립하며 국내 포환던지기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또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포환던지기 결선에 진출한 두 번째 아시아 선수라는 기록은 그가 아시아 육상계에 남긴 큰 발자취입니다. 그의 성과는 대만 젊은 육상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현재 코치로서 후학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6. 같이 보기
- 포환던지기
- 원반던지기
- 육상
- 올림픽
- 아시안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