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약칭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동부에 위치한 국가이다. 북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과 남쪽으로는 남중국해(베트남에서는 동해로 칭함)에 면한다. 국토 면적은 약 33.12 만 km2이며, 인구는 2023년 기준 약 1억 30만 명으로 세계에서 16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다. 수도는 하노이이며, 최대 도시는 호찌민시이다. 베트남은 공산당이 유일 정당으로 집권하는 사회주의 공화국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베트남의 역사는 기원전 초기 국가 형태인 반랑, 어우락에서 시작되며, 기원전 111년부터 약 천 년간 중국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938년 응오꾸옌이 박당강 전투에서 승리하며 독립을 쟁취한 이후, 딘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후 레 왕조, 응우옌 왕조 등 여러 왕조를 거치며 독자적인 국가 체제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남진(南進) 정책을 통해 현재의 영토를 확보하였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점령을 겪었다. 전후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프랑스와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미국의 개입으로 인한 베트남 전쟁 등 오랜 전쟁을 치렀다. 1975년 북베트남의 승리로 통일을 이루었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통일 이후 베트남은 계획 경제의 한계와 국제적 고립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86년 도이 머이(쇄신) 정책을 채택하여 시장 경제 요소를 도입하고 대외 개방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농업, 공업, 서비스업 등 다방면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현재 베트남은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며, 아세안(ASEAN),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세계무역기구(WTO) 등 여러 국제기구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베트남은 남북으로 길게 뻗은 S자형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지형과 열대 몬순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전쟁 후유증인 고엽제 피해,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베트남 공산당이 유일 정당으로 국가를 영도하며, 국가주석, 총리, 국회 등의 주요 국가기관이 있다. 사회적으로는 킨족(비엣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54개 민족이 공존하는 다민족 국가이다. 베트남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과거 한자와 쯔놈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로마자 표기법인 쯔꾸옥응으를 사용한다. 문화적으로는 오랜 역사와 중국, 프랑스 등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인 문학, 음악, 미술, 공연 예술 등을 발전시켜 왔다.
2. 국호
베트남이라는 국호의 정식 명칭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꽁화 싸호이 쭈응이어 비엣남베트남어)이며, 약칭은 베트남( Việt Nam비엣남베트남어)이다. 베트남어의 한자(쯔한) 표기로는 '공화사회주의월남(共和社會主義越南)', '월남(越南)'으로 쓴다. '비엣남'이라는 명칭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했던 옛 베트남 왕조인 남월( Nam Việt남비엣베트남어)의 명칭을 거꾸로 부른 데서 유래했다. '비엣(Việt, 越)'은 백월(百越, Bách Việt박 비엣베트남어)족을 뜻하는 말이다.
'월남(越南)'이라는 국호의 형태는 16세기 응우옌빈키엠의 예언 시집 『삼짱찐』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이 명칭은 16세기와 17세기에 조각된 12개의 비석에서도 발견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15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하이퐁 바오람사(Bảo Lâm Pagoda)의 비석이다. 1802년, 현대 베트남과 거의 유사한 영토를 통일한 인물은 응우옌 왕조의 시조인 응우옌푹아인(가륭제)이다. 1804년, 그는 청나라 가경제로부터 '월남 국왕(越南國王)'으로 책봉받으며 '월남'을 정식 국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당초 응우옌 왕조는 청나라에 '남월(南越)'이라는 국호를 요청했으나, 가경제는 '월남'이라는 국호를 하사했다. 이는 '남월'이라는 국호에 담긴 응우옌 왕조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월남'이라는 국호는 월상(越裳)의 옛 강역인 베트남이 남쪽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이전 왕조들이 사용했던 대구월(大瞿越)이나 대월(大越) 등의 국호와 맥을 같이한다.
'월남'이라는 명칭은 20세기 초 판보이쩌우의 『월남망국사』와 이후 베트남 국민당(VNQDĐ)에 의해 다시 사용되었다. 1945년 5월까지 베트남은 보통 안남(Annam)으로 불렸으나, 후에의 베트남 제국 정부가 '월남'을 채택하면서 공식화되었다. 1945년 9월 2일 독립을 선언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 역시 '월남'을 국호로 사용했으며, 이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2013년 헌법 개정 시 국호를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현행 국명이 유지되었다.
영어 표기는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이며, 약칭은 'Vietnam' 또는 'SRV'이다. 과거 일부 정부 운영 매체나 유엔 등에서는 'Viet Nam' 또는 'Việt Nam' 표기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Vietnam'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표기이다. 베트남 정부와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공식 문서에서 'Viet Nam'과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을 표준화된 명칭으로 인정하고 있다.
3. 역사
베트남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하여 중국 왕조의 지배, 독립 왕조 시대, 프랑스 식민 통치, 남북 분단과 통일, 그리고 현대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지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과정을 거쳐왔다. 각 시대는 베트남 민족의 정체성 형성과 국가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3.1. 선사 시대와 초기 국가
베트남 지역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약 50만 년 전의 호모 에렉투스 화석이 북부 랑선성과 응에안성의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 화석은 중기 홍적세의 것으로, 탐옴(Tham Om)과 항훔(Hang Hum) 동굴에서 발견된 치아 조각들이 포함된다. 후기 홍적세의 호모 사피엔스 치아는 동깐(Dong Can)에서, 초기 홀로세의 치아는 마이다디에우(Mai Da Dieu), 랑가오(Lang Gao), 랑꾸옴(Lang Cuom)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약 1,000년 전부터 마강(Ma River)과 홍강 삼각주 지역에서 습식 벼농사가 발달하면서 정교한 동고로 유명한 동선 문화가 번성했다. 이 시기에 반랑과 어우락과 같은 초기 국가 형태가 등장했으며, 동선 문화의 영향력은 기원전 첫 천년기 동안 동남아시아의 다른 지역, 특히 해양 동남아시아까지 확산되었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베트남 지역은 해상 비취길(Maritime Jade Road)의 일부였다.
3.2. 중국 왕조의 지배와 독립
베트남 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2879년 훙브엉이 세운 홍방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국가(당시에는 씩뀌(Xích Quỷ), 이후 반랑(Văn Lang))로 간주된다. 기원전 257년, 마지막 훙브엉은 툭판에게 패배했다. 그는 락비엣족과 어우비엣족을 통합하여 어우락을 세우고 자신을 안즈엉브엉이라 칭했다. 기원전 179년, 중국 장군 찌에우다(趙佗)가 안즈엉브엉을 물리치고 어우락을 남월에 통합했다. 그러나 남월 자체는 한-남월 전쟁 이후 기원전 111년 중국 한나라 제국에 편입되었다.
이후 약 천 년 동안 현재의 베트남 북부는 대부분 중국의 지배하에 놓였다. 이 시기를 북속기(北屬期)라고 부른다. 쯩 자매와 바찌에우(趙氏貞) 등이 주도한 초기 독립 운동은 일시적으로 성공을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진압되었다. 서기 544년부터 602년까지는 전 리 왕조 치하에서 반쑤언(Vạn Xuân)이라는 이름으로 비교적 긴 독립 기간을 누렸다. 10세기 초, 북부 베트남은 쿡가(曲家)의 통치하에 자치권을 얻었으나 완전한 주권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서기 938년, 베트남의 영주 응오꾸옌이 박당강 전투에서 중국 남한(南漢) 왕조의 군대를 격파하고, 천 년간의 중국 지배를 끝내고 939년 베트남의 완전한 독립을 달성했다.
3.3. 중세 왕조 시대
960년대에 이르러 왕조 국가인 다이꼬비엣(Đại Cồ Việt, 大瞿越)이 세워졌으며, 이후 리 왕조와 쩐 왕조 시대에 베트남 사회는 황금기를 맞이했다. 쩐 왕조 시기에는 세 차례에 걸친 몽골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였다. 이 시기에 대승불교가 번성하여 국교가 되었다.
1406-7년 명나라와 호 왕조 간의 전쟁으로 호 왕조가 무너진 후, 베트남의 독립은 잠시 중국 명나라에 의해 중단되었으나(제4차 북속기), 후 레 왕조의 창건자인 레러이에 의해 회복되었다. 베트남은 15세기 후 레 왕조, 특히 레타인똥 황제(1460-1497) 치세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11세기부터 18세기까지 베트남은 점진적인 남진(南進) 정책을 통해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결국 참파 왕국과 크메르 제국 일부를 정복했다.
3.4. 후 레 왕조와 남북 분열
16세기부터 대월(Đại Việt)은 내전과 잦은 정치적 암투에 휩싸였다. 먼저 중국의 지원을 받은 막 왕조가 후 레 왕조의 권위에 도전했다. 막 왕조가 패배한 후, 후 레 왕조는 명목상으로 복위되었으나 실권은 북부의 찐(鄭)씨 가문과 남부의 응우옌(阮)씨 가문에게 나뉘었다. 이들은 1670년대에 휴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40년 이상 찐-응우옌 전쟁이라는 내전을 벌였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1600년부터 1777년까지 사실상 북(찐)과 남(응우옌)으로 분열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응우옌씨는 남부 베트남을 메콩강 삼각주까지 확장하여 중부 고원지대와 메콩강 삼각주의 크메르 영토를 병합했다.
이러한 국가 분열은 한 세기 후 떠이선 삼형제가 찐씨를 도와 응우옌씨를 몰아내고 새로운 왕조를 세우면서 끝이 났다.
3.5. 떠이선 왕조와 응우옌 왕조
떠이선 왕조는 농민 봉기를 통해 일어나 베트남을 통일하고 찐씨의 통치도 종식시켰다. 그러나 그들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고, 응우옌씨 가문의 잔존 세력이자 응우옌아인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 응우옌아인은 베트남을 통일하고 응우옌 왕조를 세워 자롱 황제라는 이름으로 통치했다. 응우옌 왕조 초기에는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강화하고 사회 질서 회복에 주력했으며, 유교 이념을 국가 통치의 근간으로 삼았다. 또한, 프랑스와의 관계를 초기에는 우호적으로 유지하려 했으나, 점차 가톨릭 탄압 등으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3.6. 프랑스 식민 시대

1500년대에 포르투갈 제국은 베트남 해안을 탐험하고 참 제도에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는 비석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1533년까지 그들은 베트남 삼각주에 상륙하기 시작했으나, 현지 혼란과 전투로 인해 철수해야 했다. 그들은 중국과 일본보다 베트남 영토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포르투갈령 마카오와 포르투갈령 나가사키에 정착하여 수익성 높은 마카오-일본 무역로를 개척한 후, 포르투갈인들은 호이안과의 무역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포르투갈 상인들과 파드로아두 체제하의 예수회 선교사들은 17세기에 당쫑(코친차이나 또는 퀴남)과 당응오아이(통킹) 양쪽 베트남 영역에서 활동했다. 네덜란드 제국도 1601년에 퀴남과 접촉하려 했으나 현지인들과의 여러 폭력적인 충돌 후 주둔지를 유지하지 못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1637년 봄 일본 데지마를 떠나 비단 무역을 위해 통킹과 공식 관계를 맺는 데 성공했다. 한편, 1613년 영국의 첫 호이안 접촉 시도는 동인도 회사와 관련된 폭력 사건으로 실패했다. 1672년까지 영국은 통킹과 관계를 맺고 포히엔에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1615년에서 1753년 사이 프랑스 상인들도 베트남에서 무역에 종사했다. 최초의 프랑스 선교사들은 1658년 포르투갈 파드로아두 하에 도착했다. 창립 초기부터 파리 외방전교회는 선교사들을 적극적으로 베트남에 파견하여, 1664년 코친차이나에, 1666년 통킹에 처음 진출했다. 스페인 도미니코회는 1676년 통킹 선교에 합류했고, 프란치스코회는 1719년부터 1834년까지 코친차이나에 있었다. 베트남 당국은 지속적인 기독교화 활동에 위협을 느끼기 시작했다. 몇몇 가톨릭 선교사들이 구금된 후, 프랑스 해군은 1843년 이들을 석방하기 위해 개입했는데, 이는 베트남 왕국이 외국인 혐오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1859년부터 1885년까지 일련의 정복 과정을 통해 프랑스는 베트남의 주권을 잠식해 나갔다. 1858년 투란 공방전에서 프랑스는 스페인(필리핀 출신의 필리핀인, 라틴 아메리카인, 스페인 군대 포함)과 일부 통킹 가톨릭 신자들의 도움을 받았다. 1862년 사이공 조약 이후, 특히 1867년 프랑스가 남부 베트남(코친차이나 하부)을 완전히 정복한 후, 학자-관료 계층의 반탄(Văn Thân) 운동이 일어나 중부 및 북부 베트남 전역에서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폭력을 자행했다.
1862년에서 1867년 사이에 남부 3분의 1 지역은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식민지가 되었다. 1884년까지 베트남 전역이 프랑스 통치하에 놓였으며, 중부와 북부는 각각 안남과 통킹이라는 두 개의 보호령으로 분리되었다. 이 세 지역은 1887년 공식적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에 통합되었다. 프랑스 행정부는 베트남 사회에 상당한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강요했다. 서양식 현대 교육 제도는 새로운 인본주의적 가치를 도입했다. 인도차이나의 대부분 프랑스 정착민들은 코친차이나, 특히 사이공과 식민지 수도인 하노이에 집중되었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왕당파 껀브엉 운동의 게릴라들은 프랑스 통치에 반란을 일으키고 베트남 기독교 인구의 약 3분의 1을 학살했다. 10년간의 저항 끝에 그들은 1890년대에 이전 학살에 대한 보복으로 가톨릭 신자들에 의해 패배했다. 또 다른 대규모 반란인 타이응우옌 봉기도 심하게 진압되었다. 프랑스는 담배, 인디고, 차, 커피 수출을 장려하기 위해 플랜테이션 경제를 발전시켰으나, 시민권과 자치 정부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는 대체로 무시했다. 불만이 커지면서 1908년 하노이 독살 음모와 같이 프랑스 축출을 위한 미흡하고 조정되지 않은 계획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곧 민족주의 정치 운동이 등장하여 판보이쩌우, 판쩌우찐, 판딘풍, 함응이 황제, 호찌민과 같은 지도자들이 독립을 위해 싸우거나 요구했다. 이는 1930년 베트남 국민당(VNQDĐ)에 의한 옌바이 봉기로 이어졌으나 프랑스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봉기는 독립 운동을 분열시켰고, 많은 주요 구성원들이 공산주의로 전향했다.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1940년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이 있기 전까지 식민지를 완전히 통제했다. 이후 일본 제국은 친 비시 프랑스 식민 행정부가 계속되는 동안 베트남에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이 허용되었다. 일본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베트남의 천연자원을 착취했으며, 1945년 3월에는 국가 전체를 완전히 장악했다. 이는 1945년 베트남 기근으로 이어져 최대 200만 명이 사망했다.
3.7.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1년, 공산주의 이념에 기반한 민족 해방 운동인 비엣민이 베트남 혁명 지도자 호찌민 하에 등장했다. 비엣민은 프랑스로부터 베트남의 독립과 일본 점령의 종식을 추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군사적 패배와 1945년 8월 괴뢰 정부인 베트남 제국의 붕괴 이후, 사이공의 행정 서비스는 붕괴되었고 혼란, 폭동, 살인이 만연했다. 비엣민은 하노이를 점령하고 임시 정부를 선포했으며, 9월 2일 국가 독립을 주장했다.
1945년 7월, 연합국은 16도선을 기준으로 인도차이나를 분할하여 중화민국의 장제스가 북쪽에서 일본의 항복을 받고, 영국의 루이 마운트배튼 경이 남쪽에서 항복을 받도록 결정했다. 연합국은 인도차이나가 여전히 프랑스에 속한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독일 점령으로 프랑스가 약화되자, 영국령 인도군과 잔존 일본 남방군이 질서 유지와 프랑스의 통제 재확립을 위해 1945-46년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었다. 호찌민은 처음에 프랑스와의 군사적 충돌을 피하기 위해 온건한 입장을 취하여, 프랑스에 식민 행정관 철수와 프랑스 교수 및 기술자들의 현대 독립 베트남 건설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프랑스 임시 정부는 독립 아이디어를 포함한 이러한 요청에 응하지 않고, 프랑스 극동 원정군을 파견하여 식민 통치를 복원하려 했다. 이로 인해 비엣민은 1946년 말 프랑스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발발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1954년 7월까지 지속되었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 식민주의자들과 베트남 국군 충성파의 패배는 호찌민이 이후 제네바 회담에서 유리한 입장에서 휴전을 협상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로써 식민 행정은 종식되었고, 1954년 7월 21일 제네바 협정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베트남, 캄보디아 왕국, 라오스 왕국 세 나라로 해체되었다. 베트남은 비무장 지대를 따라 대략 17도선을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 행정 구역으로 더욱 분할되었다(1956년 7월 예정된 선거 보류). 300일간의 자유 이동 기간이 허용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주로 가톨릭 신자인 약 백만 명의 북부 주민들이 공산주의자들의 박해를 두려워하여 남쪽으로 이주했다. 이 이주는 자유통행 작전을 통해 미국 군대에 의해 크게 지원되었다. 제네바 협정에 따른 베트남 분할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었으며, 선거 후 베트남이 통일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1955년, 남부 베트남국의 총리 응오딘지엠은 그의 형제 응오딘뉴가 조직한 사기성 국민투표에서 바오다이를 축출하고 자신을 베트남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포했다. 이는 사실상 남부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던 베트남국을 미국, 프랑스, 라오스 왕국, 중화민국, 태국의 지원을 받는 베트남 공화국으로 대체하고, 북부에서는 소련, 스웨덴, 크메르 루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호찌민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 대체하는 결과를 낳았다.
3.8. 남북 분단과 베트남 전쟁

1953년부터 1956년까지 북베트남 정부는 "임대료 인하"와 "토지 개혁"을 포함한 농업 개혁을 단행했으며, 이는 상당한 정치적 탄압을 초래했다. 이 과정에서 13,500명에서 최대 10만 명이 처형되었다. 남베트남에서는 응오딘지엠이 북베트남의 전복 활동(1956년 남베트남 관리 450명 이상 암살 포함)에 대응하여 수만 명의 공산주의 혐의자들을 "정치 재교육 센터"에 구금했다. 이 프로그램은 많은 비공산주의자들을 수감했지만, 한동안 국내 공산주의 활동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북베트남 정부는 1957년 11월까지 이 과정에서 2,148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친하노이 베트콩은 1950년대 후반 남베트남에서 응오딘지엠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1960년부터 소련과 북베트남은 추가적인 소련 군사 지원을 제공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1963년, 응오딘지엠의 가톨릭 정권에 대한 불교도들의 불만이 대규모 시위로 폭발하여 정부의 폭력적인 탄압으로 이어졌다. 이는 응오딘지エム과 미국 간의 관계 붕괴로 이어졌고, 궁극적으로 1963년 쿠데타로 그와 뉴가 암살당했다. 응오딘지엠 시대 이후 10여 차례의 군사 정부가 연이어 들어섰고, 1965년 중반 공군 원수 응우옌까오끼와 장군 응우옌반티에우가 정권을 장악했다. 티에우는 점차 끼를 밀어내고 1967년과 1971년의 부정 선거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공산주의 반란에 맞서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은 1964년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군사 고문단 파견을 늘렸다. 미군은 1965년부터 지상 전투 작전에 참여했으며, 몇 년 후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50만 명 이상에 달했다. 미국은 또한 지속적인 공중 폭격(롤링 썬더 작전)을 감행했다. 한편, 중국과 소련은 북베트남에 상당한 물자 지원과 15,000명의 전투 고문을 제공했다. 공산군은 라오스를 통과하는 호찌민 루트를 따라 베트콩에게 보급품을 운반했다.
공산군은 1968년 구정 대공세 기간 동안 남베트남 목표물을 공격했다. 이 작전은 군사적으로 실패했지만 미국 지도부에 충격을 주었고 미국 대중의 여론을 전쟁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돌렸다. 공세 기간 동안 공산군은 후에에서 3,000명 이상의 민간인을 학살했다. 사상자 증가, 국내 반전 여론 고조, 국제적 비난 심화에 직면한 미국은 1970년대 초 지상 전투 역할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이는 또한 남베트남을 강화하고 안정시키려는 노력(베트남화)의 실패로 이어졌다.
1973년 1월 27일 파리 평화 협정 이후 모든 미군 전투 부대는 1973년 3월 29일까지 철수했다. 1974년 12월 북베트남은 푸옥롱성을 점령하고 1975년 춘계 공세를 시작하여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절정에 달했다. 남베트남은 북베트남 군사 점령하에 거의 8년 동안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
베트남 전쟁은 베트남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96만 6천 명에서 38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74년 미국 상원 소위원회는 1965년에서 1974년 사이에 거의 140만 명의 베트남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으며, 이 중 41만 5천 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 전쟁 이후, 레주언 행정부 하에서 미국이나 몰락한 남베트남 정부와 협력했던 남베트남인들에 대한 대량 처형은 없었으나, 최대 30만 명의 남베트남인들이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져 고문, 기아, 질병을 겪으며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
국제 관계 측면에서 베트남 전쟁은 냉전의 대리전 양상을 띠었으며, 미국, 소련, 중국 등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전쟁은 주변국인 라오스와 캄보디아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도차이나반도 전체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전쟁 중 민간인 학살, 에이전트 오렌지와 같은 고엽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 및 건강 문제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베트남 사회에 깊은 상처로 남아있다.
3.9. 통일 이후와 도이 머이
1976년 7월 2일,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통합되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전쟁은 베트남을 황폐화시켰고 96만 6천 명에서 38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1974년 미국 상원 소위원회는 1965년에서 1974년 사이에 거의 140만 명의 베트남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으며, 이 중 415,000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 전쟁의 여파로 레주언 행정부 하에서는 미국이나 망한 남베트남 정부와 협력했던 남베트남인들에 대한 대량 처형은 없었지만, 최대 30만 명의 남베트남인들이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져 고문, 굶주림, 질병을 겪으며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 정부는 농장과 공장의 집단화 대규모 캠페인에 착수했다.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사람들이 나라를 떠났다.
1978년,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 정부가 안장성과 끼엔장성 국경 마을의 베트남 주민들을 학살하라는 명령에 대응하여, 베트남 군대는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프놈펜을 점령한 후 그들을 권좌에서 몰아냈다. 이 개입은 성공적이었으며, 1989년까지 통치한 새로운 친베트남 사회주의 정부인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이는 크메르 루주를 지지했던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중국은 이후 1979년 북베트남에 대한 짧은 침공을 감행했고, 이로 인해 베트남은 소련의 경제 및 군사 원조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으며 중국 정부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었다.
1986년 12월 제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개혁파 정치인들이 "구세대" 정부를 새로운 지도부로 교체했다. 개혁파는 71세의 응우옌반린이 이끌었으며, 그는 당의 새로운 서기장이 되었다. 그와 개혁파는 도이 머이(쇄신)로 알려진 일련의 자유 시장 개혁을 시행하여, 계획 경제에서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로 신중하게 전환했다. 도이 머이 하에서도 국가의 권위는 도전받지 않았지만, 정부는 농장과 공장의 사적 소유, 경제 규제 완화,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는 동시에 전략 산업에 대한 통제는 유지했다. 그 후 베트남 경제는 농업 및 산업 생산, 건설, 수출, 외국인 투자에서 강력한 성장을 달성했지만, 이러한 개혁은 소득 불평등과 성별 격차의 증가를 초래하기도 했다.
2021년,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응우옌푸쫑이 3선에 성공하여 수십 년 만에 베트남의 가장 강력한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2024년 7월 19일 사망했고, 또람이 공산당 서기장직을 계승했다.
4. 지리
베트남의 지리는 S자형의 긴 국토에 걸쳐 북부의 산악지대와 삼각주, 중부의 안남산맥과 좁은 해안 평야, 남부의 광대한 메콩강 삼각주 등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보인다. 기후는 지역별로 다른 열대 몬순 기후가 나타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동시에 고엽제 피해와 같은 환경 문제도 안고 있다.
4.1. 지형


베트남은 남북으로 길게 뻗은 S자형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나타낸다. 북부에는 호앙리엔선 산맥을 포함한 여러 산맥이 있으며, 이 산맥에는 베트남 최고봉인 판시판산( 3143 m)이 솟아 있다. 이 지역에는 또한 넓은 홍강 삼각주가 펼쳐져 있는데, 면적은 약 1.50 만 km2로, 수천 년 동안 홍강의 충적토 퇴적으로 형성되었다.
중부 지역은 안남산맥(쯔엉선 산맥)이 해안선을 따라 길게 뻗어 있으며, 이로 인해 해안 평야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안남 산맥은 베트남의 중요한 지리적 경계선 역할을 한다.
남부에는 광활한 메콩강 삼각주가 자리 잡고 있으며, 면적은 약 4.00 만 km2이다. 이 삼각주는 해발 3 m 이하의 저지대로, 복잡한 강과 운하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콩강이 운반하는 막대한 양의 퇴적물로 인해 삼각주는 매년 바다 쪽으로 60 m에서 80 m씩 확장되고 있다. 남부 베트남은 해안 저지대, 안남산맥의 산악 지대, 그리고 광활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5개의 비교적 평탄한 현무암 토양 고원이 있으며, 이 고원 지대는 베트남 경작지의 16%, 전체 삼림 면적의 22%를 차지한다.
베트남은 긴 해안선을 따라 푸꾸옥섬을 포함한 수많은 섬들이 흩어져 있으며, 푸꾸옥섬이 가장 큰 섬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통로로 알려진 선도옹 동굴도 베트남에 위치하고 있다. 바베호와 메콩강은 각각 베트남에서 가장 큰 호수와 가장 긴 강이다.
4.2. 기후

베트남은 위도 차이와 현저한 지형적 다양성으로 인해 지역별 기후가 상당히 다른 경향이 있다. 겨울 또는 건기(대략 11월부터 4월까지)에는 몬순 바람이 보통 중국 해안을 따라 북동쪽에서 불어와 통킹만을 가로지르며 상당한 습기를 머금는다.
연평균 기온은 일반적으로 평야 지역이 산악 지역보다 높으며, 특히 남부 베트남이 북부보다 높다. 호찌민시와 메콩강 삼각주 주변의 남부 평야 지역은 연중 기온 변화가 적어 21 °C에서 35 °C 사이를 오간다. 하노이와 홍강 삼각주 주변 지역의 기온은 15 °C에서 33 °C 사이로 훨씬 낮다. 산악, 고원, 최북단 지역의 계절적 변화는 훨씬 극적이며, 기온은 12월과 1월에 3 °C에서 7월과 8월에 37 °C까지 다양하다. 겨울에는 중국 국경 근처 최북단 산맥의 가장 높은 봉우리에는 가끔 눈이 내리기도 한다.
베트남은 몬순 기간 동안 평균 1500 mm에서 2000 mm의 강우량을 기록하며, 이는 종종 배수 시스템이 열악한 도시에서 홍수를 유발한다. 또한 열대 저기압, 열대성 폭풍,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베트남은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 중 하나로, 인구의 55%가 저지대 해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4.3. 생물 다양성과 환경


베트남은 인도말레이 생물 지리구에 위치하여, 세계적으로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25개국 중 하나로 꼽힌다. 2005년 국가 환경 현황 보고서에도 이 점이 언급되었다. 생물 다양성 면에서 세계 16위이며, 세계 종의 약 16%가 서식하고 있다. 국내에서 확인된 식물 종은 15,986종이며, 이 중 10%는 고유종이다. 베트남의 동물군에는 선충류 307종, 빈모류 200종, 응애류 145종, 톡토기류 113종, 곤충 7,750종, 파충류 260종, 양서류 120종이 포함된다. 조류 840종과 포유류 310종이 발견되며, 이 중 조류 100종과 포유류 78종은 고유종이다. 베트남에는 하롱베이와 퐁냐께방 국립공원이라는 두 곳의 세계자연유산과 깐저 망그로브 숲, 깟띠엔 국립공원, 깟바 국립공원, 끼엔장, 홍강 삼각주, 메콩강 삼각주, 응에안성 서부, 까마우곶, 꾸라오참 해상공원 등 9개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있다.
베트남은 또한 1,438종의 담수 미세조류(전체 미세조류 종의 9.6% 차지), 794종의 수생 무척추동물, 2,458종의 해양 어류가 서식하는 곳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에서는 13속, 222종, 30분류군의 식물이 새로 기술되었다. 사올라, 큰문착, 통킹들창코원숭이 등 6종의 새로운 포유류와 멸종위기종인 에드워즈꿩이라는 새로운 조류 1종도 발견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깟띠엔 국립공원에서 소수의 자와코뿔소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나, 2010년 베트남 내 마지막 개체가 사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농업 유전 다양성 측면에서 베트남은 세계 12개 원산 재배지 중 하나이며, 베트남 국립 재배 유전자 은행은 115종 12,300개의 재배 품종을 보존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04년에만 생물 다양성 보존에 4907.00 만 USD를 지출했으며, 30개의 국립공원을 포함한 126개의 보호 구역을 설정했다.
베트남에서는 야생동물 밀렵이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2000년, 베트남 자연교육(Education for Nature - Vietnam)이라는 비정부기구(NGO)가 설립되어 국민들에게 국내 야생동물 보존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이후 몇 년 동안 베트남 청년들이 야생동물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그린비엣(GreenViet)이라는 또 다른 NGO를 결성했다. NGO와 지방 당국 간의 협력을 통해 많은 지역 밀렵 조직이 지도자 체포로 와해되었다. 2018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베트남은 약재 및 지위 상징으로서의 수요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코뿔소 뿔 불법 수출의 목적지가 되고 있다.
오늘날 베트남에 남아있는 주요 환경 문제는 전쟁 중 미군이 사용한 화학 제초제 에이전트 오렌지의 후유증으로, 이는 베트남 인구에게 지속적으로 선천적 기형과 많은 건강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 중 이 화학물질 사용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남부 지역에서는 거의 480만 명의 베트남인이 노출되어 그 영향을 받고 있다. 2012년, 전쟁 약 50년 후, 미국은 베트남의 이전 화학물질 저장 지역에서 단계적으로 진행될 4300.00 만 USD 규모의 공동 정화 사업을 시작했다. 2017년 말 다낭에서의 1단계 완료 후, 미국은 특히 심각하게 오염된 비엔호아 지역 등 다른 지역 정화에 대한 약속을 발표했다. 베트남 정부는 이 화학물질 피해자들의 월간 수당 및 신체 재활을 위해 매년 10조 동(4.31 억 USD)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 2018년, 일본 엔지니어링 그룹 시미즈 건설은 베트남 군과 협력하여 에이전트 오렌지로 오염된 토양 처리 공장을 건설했다. 공장 건설 비용은 회사 자체에서 부담했다. 베트남 남부의 손상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기 계획 중 하나는 재조림 노력을 통한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전쟁이 끝난 후 이를 시작했다. 메콩강 삼각주 지역과 호찌민시 외곽 껀저 지역의 맹그로브 숲을 다시 심는 것으로 시작했는데, 맹그로브는 몬순 기간 동안 홍수 상황을 완화(제거는 아님)하는 데 중요하다. 베트남은 2019년 산림 경관 보전 지수(Forest Landscape Integrity Index) 평균 점수 5.35/10점으로, 172개국 중 세계 104위를 차지했다.
제초제 문제 외에도 메콩강 삼각주와 홍강 삼각주의 지하수 비소 오염 또한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그리고 가장 악명 높은 것은 불발탄(UXO)으로, 이는 인간과 야생동물에게 위험을 초래하며 긴 전쟁의 또 다른 쓰라린 유산이다. 지속적인 지뢰 제거/UXO 제거 캠페인의 일환으로 영국, 덴마크, 대한민국, 미국 등 여러 국제 지뢰 제거 기관이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뢰 제거 작업에 연간 1조 동(4400.00 만 USD) 이상을 지출하고 있으며, UXO 피해자들의 치료, 지원, 재활, 직업 훈련 및 재정착을 위해 추가로 수천억 동을 지출하고 있다.

5. 정치
베트남의 정치 체제는 베트남 공산당이 유일 정당으로 국가를 영도하며, 국가주석, 총리, 국회의장 등으로 구성된 중앙집권적 정부 구조와 독특한 행정 구역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다자주의 외교를 펼치면서도 주변국 및 강대국과의 관계에서 복잡한 양상을 보이며, 베트남 인민군을 중심으로 군사력을 유지하는 한편,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5.1. 정부 구조와 공산당

베트남의 정치 체제는 베트남 공산당이 유일 정당으로서 국가와 사회 전반을 영도하는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당의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는 당의 전국 조직을 통제하며 다수의 주요 행정 기능을 수행한다. 베트남의 국가주석은 국가 원수이자 군 최고사령관으로서 국방안보최고위원회 의장을 겸임하며, 베트남의 총리는 정부 수반으로서 각료회의를 주재한다. 각료회의는 5명의 부총리와 26개 부처 및 위원회의 장으로 구성된다.
입법부인 베트남 국회는 단원제로 5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국회의장이 이를 이끈다. 국회는 행정부와 사법부보다 우위에 있으며, 모든 정부 각료는 국회의원 중에서 임명된다. 사법부의 최고 기관은 베트남 최고인민법원으로, 대법원장이 이를 이끌며 국회에 책임을 진다. 최고인민법원 산하에는 각급 인민법원과 군사법원이 있다. 베트남은 다수의 범죄에 대해 사형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공산당에 소속되거나 승인된 정치 조직만이 선거에 참여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베트남 조국전선과 노동자 및 노동조합 정당이 포함된다.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국가주석
2024년 10월 현재, 베트남의 주요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또람 (2024년 8월 3일 선출, 대통령 겸임)
- 국가주석: 르엉끄엉 (2024년 10월 21일 선출)
- 정부 총리: 팜민찐 (2021년 취임)
- 국회의장: 쩐타인만 (2024년 5월 선출)

총리

국회의장
응우옌푸쫑 전 서기장은 2024년 7월 19일 사망했으며, 이후 또람 대통령이 서기장직을 승계했다. 이전 대통령이었던 보반트엉은 2024년 부패 혐의로 사임했다.
5.2. 행정 구역
베트남은 57개의 성( tỉnh띤베트남어, 한자: 省)과 중앙 정부 직속의 6개 중앙직할시(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타인포 특투옥 쭝으엉베트남어)로 나뉜다. 중앙직할시는 성과 동등한 행정 단위를 가진다.
각 성은 다시 성 직속시(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ỉnh타인포 특투옥 띤베트남어), 시사( thị xã티싸베트남어), 현( huyện후옌베트남어)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시진( thị trấn티쩐베트남어) 또는 사( xã싸베트남어)로 세분화된다.
중앙직할시는 군( quận꾸언베트남어)과 현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방( phường프엉베트남어)으로 세분화된다.
8개 지역으로의 구분:
- 떠이박보 (서북부)
- 디엔비엔성
- 호아빈성
- 라이쩌우성
- 라오까이성
- 선라성
- 옌바이성
- 동북부 (동북부)
- 박장성
- 박깐성
- 까오방성
- 하장성
- 랑선성
- 푸토성
- 꽝닌성
- 타이응우옌성
- 뚜옌꽝성
- 홍강 삼각주
- 하노이 (중앙직할시)
- 하이퐁 (중앙직할시)
- 박닌성
- 하남성
- 하이즈엉성
- 흥옌성
- 남딘성
- 닌빈성
- 타이빈성
- 빈푹성
- 북중부
- 후에 (중앙직할시)
- 하띤성
- 응에안성
- 꽝빈성
- 꽝찌성
- 타인호아성
- 떠이응우옌 (중부 고원)
- 닥락성
- 닥농성
- 잘라이성
- 꼰뚬성
- 럼동성
- 남중부
- 다낭 (중앙직할시)
- 빈딘성
- 빈투언성
- 카인호아성
- 닌투언성
- 푸옌성
- 꽝남성
- 꽝응아이성
- 동남부 (동남부)
- 호찌민시 (중앙직할시)
- 바리어붕따우성
- 빈즈엉성
- 빈프억성
- 동나이성
- 떠이닌성
- 메콩강 삼각주
- 껀터 (중앙직할시)
- 안장성
- 박리에우성
- 벤째성
- 까마우성
- 동탑성
- 허우장성
- 끼엔장성
- 롱안성
- 속짱성
- 띠엔장성
- 짜빈성
- 빈롱성
5.3. 대외 관계


베트남의 역사를 통틀어 주요 대외 관계는 다양한 중국 왕조들과의 관계였다. 1954년 베트남 분단 이후 북베트남은 동구권과 관계를 유지했고, 남베트남은 서구권과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주권 원칙과 문화적 독립에 대한 주장은 독립 이전 수세기 동안 수많은 문서에 명시되어 왔다. 여기에는 11세기 애국시 "남국산하"와 1428년 독립 선언문 "평오대고"가 포함된다. 현재 중국과 베트남은 공식적으로 평화 관계에 있지만, 남중국해를 둘러싼 상당한 영토 긴장이 양국 사이에 남아 있다.
베트남은 국제 연합(UN),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비동맹 운동(NAM), 프랑코포니 국제 기구(La Francophonie), 세계무역기구(WTO) 등 63개 국제기구의 회원국이다. 또한 650개 이상의 비정부기구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베트남은 178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베트남의 현재 외교 정책은 독립, 자립, 평화, 협력, 발전의 정책과 함께 개방성, 다변화, 국제 관계의 다자화를 일관되게 시행하는 것이다. 베트남은 정치적 소속과 관계없이 국제 사회 모든 국가의 친구이자 파트너임을 선언하며, 국제 및 지역 협력 개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베트남은 자본주의 서방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복원을 위한 몇 가지 주요 조치를 취했다. 그 이전 수십 년 동안 이미 공산주의 서방 국가들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미국과의 관계는 1995년 8월 양국이 연락사무소를 대사관으로 격상하면서 개선되기 시작했다. 양국 정부 간 외교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미국은 호찌민시에 총영사관을 개설했고 베트남은 샌프란시스코에 영사관을 개설했다. 1995년 뉴질랜드와도 완전한 외교 관계가 복원되어 뉴질랜드는 하노이에 대사관을 개설했고, 베트남은 2003년 웰링턴에 대사관을 설립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2000년 11월 역사적인 베트남 방문을 했다. 그는 하노이를 공식 방문한 최초의 미국 지도자이자 1975년 미군 철수 이후 베트남을 방문한 최초의 미국 지도자였다. 파키스탄도 2000년 10월 하노이에 대사관을 재개설했고, 베트남은 2005년 12월 이슬라마바드에 대사관을, 2005년 11월 카라치에 무역 사무소를 재개설했다.
2016년 5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베트남에 대한 살상 무기 판매 금수 조치를 해제한다고 발표하면서 베트남과의 관계를 더욱 정상화했다. 역사적 과거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베트남은 특히 남중국해 영토 분쟁과 중국의 팽창주의 억제라는 지정학적 맥락에서 미국의 잠재적 동맹국으로 간주된다.
5.3.1. 주요 국가와의 관계
베트남은 주변국 및 강대국들과 다양한 양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주요 협력 분야와 갈등 요인을 동시에 안고 있다.
5.4. 군사
베트남 인민무장역량은 베트남 인민군(VPA), 베트남 인민공안, 베트남 자위민병대로 구성된다. VPA는 베트남 현역 군대의 공식 명칭이며, 베트남 인민육군, 베트남 인민해군, 베트남 인민공군, 베트남 국경수비대, 베트남 해안경비대로 세분화된다. VPA의 현역 병력은 약 45만 명이지만, 준군사 조직을 포함한 총 병력은 5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 2015년 베트남의 군사비 지출은 약 44.00 억 USD로, 총 정부 지출의 약 8%에 해당한다. 브루나이, 인도, 일본, 라오스, 러시아, 싱가포르, 미국과 합동 군사 훈련 및 워게임을 실시했다. 2017년 베트남은 핵무기금지조약에 서명했다.
5.5. 인권
베트남 정부는 전체주의 체제에서 권위주의 체제로 완화되었으나, 과거의 유산을 많이 지니고 있다. 집회, 결사, 표현, 언론, 종교의 자유 및 시민 사회 활동이 엄격히 제한된다. 현행 헌법 하에서는 베트남 공산당만이 통치를 허용받으며, 다른 모든 정당의 운영은 불법이다. 다른 인권 문제로는 결사의 자유,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 출판의 자유 등이 있다. 2009년 베트남 변호사 레꽁딘이 체포되어 국가 전복죄로 기소되었으며, 그의 동료 몇몇도 체포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그와 체포된 동료들을 양심수로 규정했다. 베트남은 또한 인신매매 및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베트남의 인권 상황에 대해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정부는 국가 안보와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특정 자유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제 인권 단체들은 이러한 제한이 국제 인권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특히 언론의 자유와 관련하여 정부의 엄격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넷 검열도 시행되고 있다. 종교의 자유는 헌법에 보장되어 있으나,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종교 단체의 활동은 제한을 받기도 한다. 정부는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국제 사회는 여전히 우려를 표명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6. 경제
세계 GDP 점유율(구매력 평가 기준) | |
---|---|
연도 | 점유율 |
1980 | 0.21% |
1990 | 0.28% |
2000 | 0.39% |
2010 | 0.52% |
2020 | 0.80% |

베트남 역사를 통틀어 경제는 주로 농업, 특히 습식 벼농사에 기반을 두었다. 알루미늄 생산에 중요한 원료인 보크사이트는 중부 베트남에서 채굴된다. 통일 이후 베트남 경제는 주로 베트남 공산당(CPV)이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와 전국대표대회에서 결정하는 5개년 계획을 통해 형성되었다. 농장, 공장, 자본재의 집단화는 중앙 계획 수립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백만 명이 국영 기업에서 일했다. 엄격한 국가 통제 하에 베트남 경제는 비효율성, 국영 기업의 부패, 낮은 품질 및 생산 부족으로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1980년대 후반 동구권 붕괴와 이후 소련 해체로 주요 교역 상대국인 소련으로부터의 경제 원조가 감소하고, 미국이 부과한 전후 무역 금수 조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베트남은 수출 증대를 위해 환율을 평가절하하고 경제 개발 정책에 착수함으로써 무역을 자유화하기 시작했다.
6.1. 경제 발전과 도이 머이
통일 이후 계획 경제의 한계와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베트남은 1986년 도이 머이(쇄신) 개혁을 시작했다. 이는 사회주의 지향 시장 경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 정책으로, 농업, 공업, 상업 분야에서 사유화가 장려되었고 국영 기업은 시장 제약 하에 운영되도록 구조 조정되었다. 이러한 개혁의 결과로 베트남은 1990년부터 1997년까지 연평균 약 8%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달성했다. 1994년 초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경제 금수 조치를 해제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경제 성장이 연 4-5%로 둔화되었지만, 1999년부터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여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약 7% 성장하여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2007년 1월 11일, 베트남은 세계무역기구(WTO)의 15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은 견조하여 2010년 6.8%를 유지했다. 베트남의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은 2010년 12월 11.8%에 달했으며 통화인 베트남 동은 세 차례 평가절하되었다.
1일당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인구 비율로 정의되는 극심한 빈곤은 베트남에서 크게 감소했으며, 상대적 빈곤율은 현재 중국, 인도, 필리핀보다 낮다. 이러한 감소는 생활 수준 향상과 불평등 증가 방지를 목표로 하는 공평한 경제 정책 덕분이다. 이러한 정책에는 도이 머이 프로그램 초기 단계의 평등한 토지 분배, 가난한 외딴 지역에 대한 투자, 교육 및 의료 보조금 지급 등이 포함되었다. 2000년대 초부터 베트남은 단계적 무역 자유화를 적용하여 경제 일부 부문을 국제 시장에 개방하는 이중 트랙 접근 방식을 취했다. 제조업, 정보 기술 및 하이테크 산업은 현재 국가 경제에서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베트남은 석유 산업에 비교적 늦게 진출했지만, 2011년 총 생산량 318,000 배럴/일로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석유 생산국이다. 2010년 베트남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8번째로 큰 원유 생산국으로 선정되었다. 미국은 베트남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중국산 제품은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입품이었다.
2022년 국제통화기금(IMF)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의 실업률은 2.3%, 명목 GDP는 4064.52 억 USD, 명목 1인당 GDP는 4086 USD였다. 1차 산업 경제 외에도 관광 산업은 베트남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여 2015년에는 794만 명의 외국인 방문객을 기록했다.
6.2. 주요 산업
베트남 경제는 농림수산업, 공업 및 광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주요 산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문은 국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6.2.1. 농림수산업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농업 국가였으며, 도이 머이 개혁 이후 농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주요 농산물로는 세계 최대 생산국 중 하나인 쌀, 커피(세계 2위 수출국), 후추(세계 최대 생산국), 고무, 캐슈넛(세계 최대 생산국) 등이 있으며, 이들은 중요한 수출 품목이다. 베트남은 또한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어업과 양식업이 발달하여 새우, 생선 등을 수출하고 있다. 임업 부문에서도 목재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이 과제로 남아있다. 농업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인구가 농업에 종사하며 국가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6.2.2. 공업 및 광업
베트남의 공업 부문은 도이 머이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와 함께 빠르게 성장했다. 주요 제조업 분야로는 의류, 신발, 전자제품 조립, 가구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은 주요 수출품이기도 하다. 특히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국적 기업들의 생산 기지 이전으로 전자제품 제조업이 크게 발전했다. 광업 부문에서는 석탄, 보크사이트, 석유, 천연가스 등이 주요 광물자원이다. 석유와 천연가스는 남중국해 연안에서 주로 생산되며, 국가 에너지 공급과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광물자원 개발은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6.2.3. 서비스업

베트남의 서비스업은 경제 성장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커지고 있다. 베트남의 관광 산업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급성장하여 주요 외화 수입원이 되었다. 하롱베이, 호이안, 후에 등은 유명한 관광지이다. 정보 기술(IT) 산업 또한 젊고 숙련된 노동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및 아웃소싱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금융, 물류, 유통 등 전통적인 서비스 산업도 경제 규모 확대와 함께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6.3. 과학 기술


2010년 베트남의 과학 기술에 대한 총 국가 지출은 GDP의 약 0.45%에 달했다. 베트남 과학자들은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공헌을 했으며, 특히 수학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호앙뚜이는 20세기 응용 수학 분야인 전역 최적화 분야를 개척했으며, 응오바오쩌우는 보형 형식 이론의 기본 보조정리 증명으로 2010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1975년 정부가 베트남 과학기술원(VAST)을 설립한 이후, 베트남은 특히 2018년 베트남 우주 센터(VSC)의 인프라 완공 이후 첫 국가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은 또한 TOPIO 휴머노이드 모델과 같은 로봇 개발에서도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베트남의 주요 메시징 앱 중 하나인 잘로는 베트남 해커 출신으로 나중에 베트남 최대 정보 기술 서비스 회사인 FPT 그룹과 협력한 브엉꽝카이가 개발했다.
유네스코 통계 연구소에 따르면, 베트남은 2011년 GDP의 0.19%를 과학 연구 개발에 투입했다. 베트남은 2024년 세계 혁신 지수에서 44위를 차지했으며, 2012년 76위에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2005년에서 2014년 사이에 톰슨 로이터의 웹 오브 사이언스에 기록된 베트남 과학 출판물 수는 동남아시아 평균보다 훨씬 높은 비율로 증가했지만, 시작점은 미미했다. 출판물은 주로 생명 과학(22%), 물리학(13%), 공학(13%)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진단 장비 생산 및 조선 분야의 최근 발전과 일치한다.
6.4. 교통

베트남의 현대 교통망 대부분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원자재를 주요 항구로 운송하기 위해 건설된 것에서 비롯되었다. 베트남 분단 이후 광범위하게 확장되고 현대화되었다. 베트남의 도로 시스템은 중앙 정부에서 관리하는 국도, 성에서 관리하는 지방도, 현에서 관리하는 현도, 시와 읍에서 관리하는 도시 도로, 사에서 관리하는 사도로 구성된다. 2010년 베트남 도로 시스템의 총 길이는 약 18.87 만 km이며, 이 중 9.35 만 km는 국도, 지방도, 현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로이다. 국도 시스템의 길이는 약 1.54 만 km이며, 이 중 1.51 만 km가 포장되어 있다. 지방도 시스템에는 약 2.80 만 km의 포장 도로가 있으며, 현도에는 5.05 만 km의 포장 도로가 있다.
자전거, 오토바이, 스쿠터는 프랑스 시대의 유산으로 여전히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도로 교통 수단이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개인 소유 자동차 수가 증가하고 있다.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공공 버스는 대부분의 인구에게 주요 장거리 여행 수단이다. 교통사고는 베트남 교통의 주요 안전 문제로 남아 있으며, 매일 평균 30명이 사망한다. 교통 혼잡은 특히 개인 자동차 소유가 증가함에 따라 하노이와 호찌민시 모두에서 점점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국가 횡단 철도 서비스는 호찌민시에서 하노이까지 거의 1726 km에 달하는 통일 특급이다. 하노이에서 철도 노선은 북동쪽, 북쪽, 서쪽으로 갈라지며, 동쪽 노선은 하노이에서 하롱베이까지, 북쪽 노선은 하노이에서 타이응우옌까지, 북동쪽 노선은 하노이에서 라오까이까지 이어진다. 2009년 베트남과 일본은 일본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철도(신칸센)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베트남 기술자들은 고속 열차 운영 및 유지 보수 교육을 받기 위해 일본으로 파견되었다. 계획된 철도는 하노이와 호찌민시를 포함하여 총 23개 역을 서비스하는 1545 km 길이의 고속 노선으로, 경로의 70%가 교량과 터널을 통과한다. 열차는 시속 350 km/h의 최고 속도로 운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가 하노이 지하철과 호찌민 지하철 개발 및 도로망 확장을 우선시하기로 결정한 후 고속철도 계획은 연기되었다.
베트남은 3개의 국제 관문인 하노이의 노이바이, 다낭의 다낭 국제공항, 호찌민시의 떤선녓을 포함하여 20개의 주요 민간 공항을 운영하고 있다. 떤선녓은 국제 여객 수송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국내 최대 공항이다. 정부 승인 계획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빈 국제공항, 푸바이 국제공항, 깜라인 국제공항, 푸꾸옥 국제공항, 깟비 국제공항, 껀터 국제공항, 롱타인 국제공항을 포함하여 7개의 국제 공항을 추가로 갖게 될 것이다. 계획된 롱타인 국제공항은 2025년에 완전히 운영되면 연간 1억 명의 승객을 서비스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국영 항공사인 베트남 항공은 86대의 여객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170대를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어 메콩, 밤부항공, 젯스타 퍼시픽 항공, VASCO, 비엣젯 항공 등 여러 민간 항공사도 베트남에서 운영 중이다.
해안 국가인 베트남에는 깜라인, 다낭, 하이퐁, 호찌민시, 하롱, 꾸이년, 붕따우, 냐짱 등 많은 주요 항구가 있다. 더 내륙으로 들어가면, 국가의 광범위한 강 네트워크는 페리, 바지선, 수상 택시를 운반하는 4.71 만 km 이상의 항해 가능한 수로를 통해 농촌 교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6.5. 에너지
베트남의 에너지 부문은 주로 국영 베트남 전력 그룹(EVN)이 장악하고 있다. 2017년 기준 EVN은 총 발전 용량 25,884MW로 국가 전력 생산 시스템의 약 61.4%를 차지했다. 다른 에너지원으로는 페트로베트남(4,435 MW), 비나코민(1,785 MW) 및 BOT(건설-운영-이전) 투자자로부터의 10,031 MW가 있다.
베트남 전력의 대부분은 수력 또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 발전을 통해 생산되며, 디젤, 소수력 및 재생 가능 에너지가 나머지를 공급한다. 베트남 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위한 또 다른 전력원으로서 원자로 개발을 계획했으나, 방사능 오염에 대한 광범위한 대중의 우려로 인해 국회 다수가 프로젝트에 반대하여 2016년 말 계획이 폐기되었다.
베트남의 가정용 가스 부문은 국내 액화석유가스(LPG) 시장의 거의 70%를 장악하고 있는 페트로베트남이 주도하고 있다. 2011년부터 이 회사는 또한 년짝 2 화력 발전소(750 MW), 푸꾸이 풍력 발전소(6 MW), 후아나 수력 발전소(180 MW), 닥드린 수력 발전소(125 MW), 붕앙 1 화력 발전소(1,200 MW)를 포함한 5개의 재생 가능 에너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BP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은 확인된 원유 매장량을 보유한 52개국 중 하나이다. 2015년 매장량은 약 44억 배럴로 동남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확인된 가스 매장량은 약 0.6조 m³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동남아시아에서 3위를 차지했다.
6.6. 통신
베트남의 통신 서비스는 국영 기업인 베트남 우정통신 그룹(현재 VNPT 그룹)이 전적으로 제공한다. VNPT는 1986년까지 독점 체제를 유지했다. 통신 부문은 베트남 정부가 두 개의 국내 통신 회사, 즉 군 전자 통신 회사(비엣텔, 베트남 국방부 소유)와 사이공 우정 통신 회사(SPT 또는 사이공포스텔, VNPT가 18% 지분 소유)를 설립하여 경쟁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한 1995년에 개혁되었다. VNPT의 독점은 2003년 정부 법령 발표로 마침내 종식되었다. 2012년까지 베트남의 상위 3개 통신 사업자는 비엣텔, 비나폰, 모비폰이었다. 나머지 회사로는 EVN텔레콤, 베트남모바일, S-Fone 등이 있었다. 시장 지향 경제로 전환함에 따라 베트남 통신 시장은 서비스 공급 및 전국 통신 인프라 구축을 포함한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위해 지속적으로 개혁되고 있다.
6.7. 대외 무역 및 투자
베트남의 주요 교역 상대국은 중국, 미국, 대한민국, 일본, 아세안 국가 등이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섬유 및 의류, 전자제품, 신발, 농수산물(쌀, 커피, 해산물 등), 원유 등이 있으며, 주요 수입 품목은 기계류, 설비, 원부자재, 석유제품 등이다.
도이 머이 정책 이후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 중 하나이다. 정부는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분야에 많은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2007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경제 개방화 노력을 더욱 강화하여 국제 경제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통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CPTPP) 및 유럽 연합-베트남 자유 무역 협정(EVFTA) 등 다자간 무역 협정을 통해 대외 경제 관계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7. 사회
베트남 사회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인구 구성, 도시화, 언어, 종교, 교육, 보건 등 여러 측면에서 독특한 특징과 현안을 안고 있다.
7.1. 인구와 민족

2024년 기준 베트남의 인구는 약 1억 110만 명이다. 인구는 1979년 통일 베트남의 총인구가 5,270만 명이었던 것에서 크게 증가했다.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인구의 65.6%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 지역 거주자는 34.4%에 불과하다. 최근 도시 인구의 평균 증가율은 주로 이주와 급속한 도시화에 기인하여 증가했다.
주요 민족인 킨족(비엣족)은 82,085,826명으로 전체 인구의 85.32%를 차지한다. 이들 대부분은 충적 삼각주와 해안 평야에 집중되어 있다. 다수 민족으로서 킨족은 국가에 대한 상당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는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54개 민족이 인정받고 있다. 여기에는 흐몽족, 야오족, 따이족, 타이족, 눙족 등이 포함된다. 킨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므엉족과 같은 많은 소수 민족은 베트남 영토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고원 지대에 거주한다.
베트남 분단 이후 중부 고원지대의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데가르족(40개 이상의 부족 포함)이었으나, 당시 남베트남 정부는 킨족을 원주민 지역으로 이주시키는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호아족(중국계)과 크메르 크롬족은 주로 저지대에 거주한다. 베트남 역사를 통틀어 많은 중국인들, 주로 남중국 출신들이 행정관, 상인, 심지어 난민으로 베트남에 이주해 왔다. 1976년 통일 이후 전국적으로 공산주의 정책이 강화되면서 특히 남부 호아족과 도시 부유층의 재산이 국유화되고 몰수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베트남을 떠났다.
7.2. 도시화

2019년 도시화 지역 거주 인구는 33,122,548명(도시화율 34.4%)이다. 1986년 이후 베트남 정부가 도이 머이 경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사회주의 체제로 전환하고 재산권을 자유화하면서 베트남의 도시화율은 급격히 증가했다. 그 결과, 홍강 삼각주와 동남부 지역의 두 주요 도시인 하노이와 호찌민시는 전체 도시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8.5%와 24.9%에서 15.9%와 31%로 증가했다. 베트남 정부는 건설부를 통해 2020년까지 도시화율 45%를 예측했으나,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4.4%로 확인되었다. 도시화는 경제 성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화율이 높은 국가는 GDP 성장률이 더 높다. 더욱이 베트남의 도시화 운동은 주로 농촌 지역과 동남부 지역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호찌민시는 주로 더 나은 기후와 경제적 기회로 인해 많은 이주민을 받아들였다.
한 연구에 따르면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은 농촌 비이주민과 도시 비이주민 모두보다 생활 수준이 더 높다. 이는 경제 구조의 변화를 초래한다. 1985년 농업은 베트남 GDP의 37.2%를 차지했으나, 2008년에는 이 수치가 18.5%로 감소했다. 1985년 산업은 베트남 GDP의 26.2%에 불과했으나, 2008년에는 43.2%로 증가했다. 도시화는 또한 기본 서비스를 개선하여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전력 접근성은 1993년 전체 가구의 14%에서 2009년 96% 이상으로 증가했다. 깨끗한 물 접근성 측면에서는 65개 수도 회사의 데이터에 따르면 2002년 해당 지역 가구의 12%만이 수도망에 접근할 수 있었으나, 2007년에는 인구의 70% 이상이 연결되었다. 도시화에는 많은 이점이 있지만, 교통량 증가, 대기 및 수질 오염과 같은 단점도 있다.
많은 베트남인들은 비교적 저렴하고 작동하기 쉬운 오토바이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한다. 오토바이의 엄청난 수는 베트남에서 교통 혼잡과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도 하노이에서만 오토바이 수가 2001년 50만 대에서 2013년 470만 대로 증가했다.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공장이 생겨나면서 간접적으로 대기와 물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6년 베트남 해양오염 사고가 있다. 정부는 오토바이 수를 줄이고 대중교통을 늘려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개입과 해결책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처리 규정을 더 많이 도입했다. 베트남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 양은 2003년에서 2008년 사이에 200% 이상 증가했으며, 이 중 산업 고형 폐기물이 181%를 차지했다. 정부의 노력 중 하나는 대부분의 베트남 사회에서 아직 실천되지 않는 생활 폐기물 분류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홍보하는 것이다.
7.3. 언어와 문자

베트남의 공용어는 베트남어이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성조 언어이다. 베트남어는 대다수 인구가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한자를 기반으로 한 쯔놈이라는 문자 체계를 사용했으나, 17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쯔꾸옥응으( Chữ Quốc Ngữ쯔꾸옥응으베트남어)가 개발되어 현재 공식 문자로 사용되고 있다.
베트남에는 54개 소수민족이 있으며, 각 민족은 고유한 언어를 사용한다. 주요 소수민족 언어로는 따이어, 므엉어, 참어, 크메르어, 중국어, 눙어, 흐몽어 등이 있다. 일부 소수민족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기도 한다. 정부는 소수민족 언어 보존 및 교육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베트남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부 언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기도 하다.
프랑스 식민 통치의 영향으로 일부 교육받은 베트남인, 특히 구 남베트남에서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프랑스어가 제2외국어로 사용된다. 베트남은 여전히 프랑코포니 국제 기구의 정회원국이며, 교육계에서 프랑스어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고 있다. 냉전 시기 동구권과의 관계로 인해 일부 북베트남 사람들 사이에서는 러시아어, 독일어, 체코어, 폴란드어가 알려져 있다.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및 최근 베트남 행정 개혁으로 인해 영어가 제2외국어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또는 프랑스어 대신 영어 학습이 의무화되고 있다.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만다린)의 인기도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7개 언어(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독일어) 중 하나를 제1외국어로 선택할 수 있다. 베트남의 고등학교 졸업 시험에서는 학생들이 위에서 언급한 언어 중 하나로 외국어 시험을 치를 수 있다.
7.4. 종교
1992년 베트남 헌법 제70조에 따라 모든 시민은 신앙과 종교의 자유를 누린다. 모든 종교는 법 앞에 평등하며 각 예배 장소는 베트남 국가법에 따라 보호된다. 종교적 신념은 국가법과 정책을 훼손하는 데 오용될 수 없다. 2007년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인의 81%는 신을 믿지 않았다. 2009년 정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종교인 수는 932,000명 증가했다. 2014년 베트남 정부가 유엔 특별보고관에게 제출한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인정된 종교 신자 수는 총인구 약 9천만 명 중 약 2,400만 명이다. 2019년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불교 신자는 총인구의 4.79%, 가톨릭 신자는 6.1%, 개신교 신자는 1.0%, 호아하오교 신자는 1.02%, 까오다이교 신자는 0.58%를 차지한다. 기타 종교로는 이슬람교, 바하이 신앙, 힌두교 등이 있으며, 인구의 0.2% 미만을 차지한다.
대다수의 베트남인은 조직된 종교를 따르지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일종의 베트남 민간 신앙을 따른다. 사회 및 윤리 철학 체계로서의 유교는 현대 베트남에서도 여전히 특정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대승불교가 불교의 지배적인 분파이며, 상좌부 불교는 주로 크메르 소수 민족이 믿는다. 인구의 약 8~9%가 기독교인이며,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로 구성된다. 가톨릭은 16세기에 베트남에 전래되었고, 17세기에 인근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온 예수회 선교사들(주로 포르투갈과 이탈리아 출신)에 의해 확고히 자리 잡았다. 프랑스 선교사들(파리 외방전교회)과 스페인 선교사들(인접한 스페인령 동인도 제도의 도미니코회)은 18, 19세기 및 20세기 전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개종자를 찾았다. 특히 남부 지역의 상당수 베트남인들은 두 개의 토착 종교인 혼합주의적 까오다이교와 준불교적 호아하오교의 신자이기도 하다. 개신교는 20세기에 미국과 캐나다 선교사들에 의해 비교적 최근에 전파되었으며, 가장 큰 개신교 교단은 베트남 복음교회이다. 베트남 개신교 신자 약 77만 명은 소수 민족, 특히 고지대 몬타냐르족과 흐몽족 출신이다. 개신교는 베트남의 소수 종교 중 하나이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600%의 비율로 확장되며 베트남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이다. 베트남에는 몇몇 다른 소수 신앙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주로 참족 소수 민족이 믿는 이슬람교의 바니파, 수니파, 비종파적 분파가 포함된다. 또한 소수의 킨족 이슬람교 신자, 다른 소수 민족 바하이 신자, 참족 힌두교 신자도 있다.
7.5. 교육
베트남은 국가가 통제하는 광범위한 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네트워크와 함께 점점 더 많은 민간 및 부분 민영화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의 일반 교육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다섯 가지 범주로 나뉜다. 2008년 국가 문해율이 90%에 달하도록 전국적으로 많은 공립학교가 건설되었다. 대부분의 대학교는 주요 도시인 하노이와 호찌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가 교육 시스템은 정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혁되고 있다. 빈곤층을 위한 기본 교육은 비교적 무료이지만, 일부 가정은 공공 또는 민간 지원 없이는 자녀의 등록금을 지불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학교 등록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 수는 2000년대에 2000년 178개에서 2005년 299개로 급격히 증가했다. 고등 교육에서 정부는 국립 은행을 통해 학생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학자금 대출을 제공하지만, 대출 접근성 및 학생들의 상환 부담에 대한 깊은 우려가 있다. 1995년 이후 고등 교육 등록자 수는 10배 증가하여 220만 명 이상에 달하며, 84,000명의 강사와 419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하버드 대학교(미국) 및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호주)를 포함한 다수의 외국 대학교가 베트남에서 사립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는 상당한 성장을 촉진했지만, 학자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018년, 대학이 장관의 통제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대학 자율성에 관한 법령이 최종 승인 단계에 있다. 정부는 특히 빈곤층이 기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다.
7.6. 보건과 의료
2015년까지 인구의 97%가 개선된 수원에 접근할 수 있었다. 2016년 베트남의 국가 기대 수명은 여성 80.9세, 남성 71.5세였으며, 영아 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17명이었다. 분단 이후 북베트남은 촌락 수준까지 도달하는 공중 보건 시스템을 구축했다. 1975년 국가 통일 이후 전국적인 보건 서비스가 수립되었다. 1980년대 후반, 예산 제약, 지방으로의 책임 이전, 유료화 도입 등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의 질이 어느 정도 저하되었다. 자금 부족은 또한 간호사, 조산사, 병상 부족에 기여했다. 2000년 베트남은 인구 10,000명당 병상이 24.7개에 불과했으며, 베트남 보건부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에는 23.7개로 감소했다. 전쟁 중 미군이 화학 무기로 제초제를 논란적으로 사용한 것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유형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로 인해 300만 명의 베트남인이 건강 문제를 겪었고, 화학 물질 노출로 인해 직접적으로 100만 건의 선천적 기형이 발생했으며, 베트남 국토의 24%가 고엽되었다.
2000년대 초부터 베트남은 말라리아 퇴치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개선된 항말라리아제와 치료법을 도입한 후 말라리아 사망률은 2005년까지 1990년대의 약 5% 수준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결핵(TB)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결핵은 호흡기 관련 질환 다음으로 국내에서 두 번째로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 되었다. 강화된 예방 접종 프로그램, 개선된 위생 및 외국 지원을 통해 베트남은 결핵 환자 수와 새로운 결핵 감염자 수를 급격히 줄이기를 희망하고 있다. 2004년 정부 보조금은 의료비의 약 15%를 차지했다. 그해 미국은 베트남이 전 세계 에이즈 구호 계획의 일환으로 자금을 지원받을 15개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음 해까지 베트남은 101,291건의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사례를 진단했으며, 이 중 16,528건이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으로 진행되었고, 9,554명이 사망했다. 실제 HIV 양성자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는 매일 평균 40~50건의 새로운 감염이 보고된다. 2007년 인구의 0.4%가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수치는 2005년 이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국제 기금(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을 통해 국내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더 많은 국제 원조가 제공되고 있다. 2018년 9월, 하노이 인민위원회는 광견병 및 렙토스피라증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개고기와 고양이 고기 섭취를 중단할 것을 시민들에게 촉구했다. 수도 하노이의 1,000개 이상의 상점에서 두 가지 고기를 판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정은 소셜 미디어에서 베트남인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지만, 일부는 개고기 섭취가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뿌리 깊은 습관으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8. 문화


베트남 문화는 한자 문화권의 일부로 간주된다. 베트남 문화는 습식 벼농사를 경제 기반으로 하는 토착 고대 동선 문화에서 수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다. 국가 문화의 일부 요소는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인 정치 체제와 철학에서 유교, 대승불교, 도교의 요소를 차용했다. 베트남 사회는 làng랑베트남어(조상 대대로 살아온 마을)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모든 베트남인은 음력 3월 10일에 공동 조상 기념일을 지낸다. 중국 문화, 특히 광둥, 하카, 호키엔, 하이난 문화의 영향은 불교가 대중문화와 강하게 얽혀 있는 북부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부에는 Chợ Lớn쩌런베트남어과 같은 차이나타운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많은 중국인이 킨족과 국제결혼하여 그들과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베트남 중남부 지역에서는 참파와 크메르 문화의 흔적이 유적, 유물뿐만 아니라 고대 사후인 문화의 후계자로서의 인구 내에서도 나타난다. 최근 세기에는 서양 문화가 젊은 세대의 베트남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베트남 문화의 전통적인 초점은 가족과 공동체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인( nhân nghĩa년응이어베트남어)과 화( hòa호아베트남어)에 기반을 둔다. 베트남은 베트남 용(악어와 뱀 형상에서 유래)과 같은 여러 핵심 문화 상징을 존경하며, 베트남의 국부인 Lạc Long Quân락롱꿘베트남어은 신성한 용으로 묘사된다. lạc락베트남어은 베트남의 국모 Âu Cơ어우꺼베트남어를 상징하는 신성한 새이다. 그 외에도 거북이, 물소, 말과 같이 존경받는 이미지가 있다. 많은 베트남인들은 또한 초자연적인 현상과 영적인 것을 믿으며, 질병이 저주나 주술 또는 종교적 윤리 위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믿는다. 전통 의술가, 부적 및 기타 형태의 영적 보호 및 종교적 관행이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베트남의 문화생활은 정부 통제하의 미디어와 문화 프로그램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 동안 서양 기원의 외국 문화 영향은 기피되었으나, 최근 개혁 이후 베트남은 이웃 동남아시아,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와 미디어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정장인 áo dài아오자이베트남어는 결혼식이나 종교 축제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착용한다. 흰색 아오자이는 전국 여러 고등학교에서 여학생들의 필수 교복이다. 다른 전통 베트남 의류로는 여성용 네 조각 드레스인 áo tứ thân아오뜨턴베트남어, 주로 북부 지역에서 착용하는 다섯 조각 형태의 thân턴베트남어인 áo ngũ thân아오응우턴베트남어, 여성용 속옷인 yếm이엠베트남어, 남성과 여성을 위한 농촌 작업복 "파자마"인 áo bà ba아오바바베트남어, 정부 리셉션을 위한 정장 브로케이드 튜닉인 áo gấm아오검베트남어, 결혼식에서 신랑이 착용하는 아오검의 변형인 áo the아오테베트남어 등이 있다. 전통 모자로는 표준 원뿔 모양의 nón lá논라베트남어, "갓등 모양"의 nón quai thao논꽈이타오베트남어, 전통 터번인 khăn đóng칸동베트남어 등이 있다. 관광 분야에서 인기 있는 문화 관광지로는 옛 후에 황성, 세계문화유산인 퐁냐께방 국립공원, Hội An호이안베트남어, Mỹ Sơn미선 성지베트남어, 냐짱과 같은 해안 지역, 하롱베이 동굴, 오행산 등이 있다.
8.1. 전통과 현대
베트남 문화는 수천 년의 역사 속에서 토착 문화와 중국, 동남아시아, 그리고 근대 이후 프랑스 및 서구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다층적으로 발전해 왔다. 고대 동선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 초기 문화는 중국의 오랜 지배 기간 동안 유교, 불교, 도교 등 중국 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이는 전통적인 정치 체제, 사회 윤리, 생활양식 전반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민족은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도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에는 서구 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교육, 법률, 건축, 예술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도시를 중심으로 프랑스식 생활양식이 확산되었고, 쯔꾸옥응으라는 로마자 표기법이 보급되어 문자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주의 체제 수립 이후에는 국가 주도의 문화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혁명적 이념과 민족적 가치를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1986년 도이 머이(쇄신) 정책 이후 베트남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함께 세계화의 물결을 맞이했다. 다양한 외국 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 외래문화가 공존하고 때로는 갈등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K-pop, 미국 대중문화 등 국제적인 문화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현대 베트남 문화는 전통적 가치를 계승하면서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8.2. 문학
베트남 문학은 수세기에 걸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마을의 조상과 영웅에 초점을 맞춘 전형적인 6-8절 운율 시 형식( lục bát룩밧베트남어)인 ca dao까자오베트남어에 기반한 풍부한 민속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기록된 문학은 10세기 응오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저명한 고대 작가로는 Nguyễn Trãi응우옌짜이베트남어, Hồ Xuân Hương호쑤언흐엉베트남어, Nguyễn Du응우옌주베트남어, Nguyễn Đình Chiểu응우옌딘찌에우베트남어 등이 있다. 일부 문학 장르는 hát nói핫노이베트남어와 같이 연극 공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 trù까쭈베트남어). 일부 시인 조합도 베트남에서 형성되었는데, 예를 들어 tao đàn따오단베트남어이 있다. 최근 베트남 문학은 서양 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1932년에 최초의 문학 변혁 운동인 thơ mới터머이베트남어가 등장했다.
베트남 민속 문학은 여러 형태가 혼합된 것이다. 이는 구전 전통일 뿐만 아니라 숨겨진 것(민속 작가의 기억 속에만 남아 있음), 고정된 것(기록된 것), 보여지는 것(공연되는 것)이라는 세 가지 매체가 혼합된 것이다. 민속 문학은 일반적으로 여러 버전으로 존재하며 구전으로 전해지며 작가를 알 수 없다. 신화는 초자연적 존재, 영웅, 창조신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며 인간 생활에 대한 고대인의 관점을 반영한다. 신화는 창조 이야기, 그들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 Lạc Long Quân락롱꿘베트남어과 Âu Cơ어우꺼베트남어), 산신과 수신으로 각각 불리는 문화 영웅( Sơn Tinh선띤베트남어과 Thủy Tinh투이띤베트남어) 및 기타 많은 민담으로 구성된다.
8.3. 음악

전통 베트남 음악은 북부와 남부 지역 간에 차이가 있다. 북부 고전 음악은 베트남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 형식이며 전통적으로 더 형식적이다. 베트남 고전 오페라( tuồng뚜옹베트남어)의 기원은 13세기 몽골 침략 당시 베트남인들이 중국 오페라단을 사로잡았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적으로 베트남은 일본, 한국, 몽골과 함께 중국 음악 전통의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Nhã nhạc냐냑베트남어은 가장 인기 있는 궁중 음악 형식이며, Chèo째오베트남어는 일반적으로 풍자적인 뮤지컬 연극 형식이고, Xẩm쌈베트남어 또는 hát xẩm핫쌈베트남어(쌈 노래)은 베트남 민속 음악의 한 종류이다. Quan họ꽌호베트남어(교창)는 옛 하박성(현재는 Bắc Ninh박닌성베트남어과 Bắc Giang박장성베트남어으로 나뉨)과 베트남 전역에서 인기가 있다. Hát chầu văn핫쩌우반베트남어 또는 hát văn핫반베트남어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음악 형식은 의식 중에 영혼을 부르는 데 사용된다. Nhạc dân tộc cải biên냑전똑까이비엔베트남어은 1950년대에 등장한 현대 베트남 민속 음악 형식이며, ca trù까쭈베트남어( hát ả đào핫아다오베트남어라고도 함)는 인기 있는 민속 음악이다. Hò호베트남어는 꽌호의 남부 스타일로 생각할 수 있다. đàn bầu단버우베트남어(단현 치터), đàn gáo단가오베트남어(코코넛 몸통이 있는 2현 피들), đàn nguyệt단응우엣베트남어(2현 프렛이 있는 달 모양의 류트) 등 다양한 전통 악기가 있다. 최근에는 베트남 전통 음악, 특히 민속 음악을 현대 음악과 혼합하여 현대적 맥락에서 민족 음악을 부흥시키고 젊은 세대에게 베트남 전통 악기와 창법을 교육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볼레로는 1930년대부터 베트남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전통 베트남 음악과 서양 요소를 결합한 다른 스타일이다. 21세기 현대 베트남 대중음악 산업인 V-pop은 일렉트로닉, 댄스, 컨템포러리 R&B와 같은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여러 장르의 요소를 통합한다.
8.4. 미술과 건축
베트남의 전통 미술은 도자기, 회화, 조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왔다. 특히 리 왕조와 쩐 왕조 시대의 불교 미술은 독창적인 양식을 보여주며, 청자, 백자 등 뛰어난 도자기들이 제작되었다. 회화에서는 수묵화와 채색화가 발달했으며, 민간에서는 동호 판화와 같은 독특한 판화 예술이 전승되어 왔다. 조각은 사찰이나 궁궐 장식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섬세하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특징이다.
현대 미술은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 서양 미술의 영향을 받으며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독립 이후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도이 머이 정책 이후에는 다양한 표현 방식과 주제를 탐구하는 작가들이 등장하며 현대 미술계가 활기를 띠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목조 건축이 발달했으며, 사원, 궁궐, 민가 등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 건축의 영향을 받았지만, 베트남 고유의 기후와 생활양식에 맞게 변형되어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했다. 후에 황성, 호이안 고대 도시, 미선 성지 등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대표적인 전통 건축물이다. 현대 건축은 도시화와 함께 고층 건물과 현대적인 디자인의 건축물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전통 건축 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8.5. 공연 예술
베트남은 다채로운 전통 공연 예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장르는 고유한 특징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 수상 인형극 ( Múa rối nước무아조이느억베트남어): 물 위에서 펼쳐지는 독특한 인형극으로, 베트남을 대표하는 전통 공연 예술 중 하나이다. 농촌 생활, 역사적 사건, 신화 등을 주제로 하며, 인형 조종 기술이 매우 정교하다.
- 째오 ( Chèo째오베트남어): 북부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 극으로, 노래와 춤, 해학적인 대사가 어우러진 종합 예술이다. 주로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다룬다.
- 뚜옹 ( Tuồng뚜옹베트남어 또는 Hát bội핫보이베트남어): 중국 경극의 영향을 받은 고전 극으로, 역사적 영웅담이나 충효 사상을 주제로 한다. 화려한 의상과 분장, 격렬한 동작이 특징이다.
- 까이르엉 ( Cải lương까이르엉베트남어): 20세기 초 남부 지방에서 발생한 개량 극으로, 전통 음악과 서양 연극의 요소가 결합된 형태이다. 사회 문제, 역사, 사랑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현대 공연 예술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현대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 공연 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도 활발하다.
8.6. 영화
베트남 영화 산업은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주로 프랑스 영화가 상영되었다. 독립 이후에는 국가 주도로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 경향의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전쟁의 참상과 민족의 저항을 다룬 영화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도이 머이 정책 이후 영화 제작 환경이 변화하면서 다양한 주제와 장르의 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쩐아인훙 감독의 '그린 파파야 향기', '씨클로' 등은 국제 영화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며 베트남 영화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 베트남 영화는 전쟁의 상처, 사회 문제, 개인의 삶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젊은 감독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경향을 모색하고 있다. 독립 영화 제작도 활발해지고 있으며, 국제 영화제 참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8.7. 복식

베트남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 의상은 아오자이( Áo dài아오자이베트남어)이다. 아오자이는 긴 상의와 넓은 바지로 구성되며, 여성의 아름다운 곡선미를 살려주는 우아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주로 특별한 행사나 명절에 착용하며, 흰색 아오자이는 여학생 교복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전통 의상이 있다. 북부 지방 여성들이 주로 입었던 áo tứ thân아오뜨턴베트남어은 네 폭으로 된 긴 저고리와 치마로 구성되며, yếm이엠베트남어이라는 속옷을 함께 착용한다. áo bà ba아오바바베트남어는 남녀 모두 편하게 입는 일상복으로, 주로 농촌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각 소수민족들도 고유한 전통 의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려한 색상과 독특한 문양이 특징이다. 현대 베트남에서는 서양식 복장이 보편화되었지만, 전통 의상은 여전히 중요한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지며, 현대적인 디자인과 결합된 패션도 등장하고 있다.
8.8. 음식

베트남 요리는 신선한 재료와 다양한 허브 사용, 그리고 느억맘(어장)을 기본으로 하는 독특한 풍미가 특징이다. 맵고, 시고, 짜고, 달고, 쓴 다섯 가지 맛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쇠고기나 닭고기 육수에 쌀국수를 넣어 먹는 퍼( Phở퍼베트남어), 숯불에 구운 돼지고기와 쌀국수, 신선한 채소를 함께 먹는 분짜( Bún chả분짜베트남어), 프랑스 바게트를 베트남식으로 변형한 샌드위치인 반미( Bánh mì반미베트남어) 등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 외에도 쌀가루 반죽을 얇게 부쳐 다양한 속 재료를 넣어 만든 반쌔오( Bánh xèo반쌔오베트남어), 신선한 채소와 새우, 돼지고기 등을 라이스페이퍼에 말아 먹는 고이꾸온( Gỏi cuốn고이꾸온베트남어) 등 다양한 요리가 있다.
지역별로 음식 문화에 차이가 있어, 북부 음식은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중부 음식은 맵고 자극적인 맛을, 남부 음식은 달고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세 끼를 모두 챙겨 먹으며, 길거리 음식 문화도 매우 발달해 있다.
8.9. 언론 미디어
베트남의 미디어 부문은 2004년 출판법에 따라 정부의 규제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베트남의 미디어는 정부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당의 공식 노선을 따르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일부 신문은 비교적 직설적인 보도를 하기도 한다.
베트남의 소리(VOV)는 공식 국영 라디오 방송사로, 다른 나라의 송신기를 임대하여 단파를 통해 국제적으로 방송하며 웹사이트에서도 방송을 제공한다. 베트남 텔레비전(VTV)은 국영 텔레비전 방송사이다. 1997년부터 베트남은 법적 및 기술적 수단을 모두 사용하여 공공 인터넷 접속을 광범위하게 규제해 왔으며, 그 결과로 나타난 봉쇄는 널리 "대나무 방화벽"으로 불린다. 공동 프로젝트인 오픈넷 이니셔티브는 베트남의 온라인 정치 검열 수준을 "만연함"으로 분류하며, 국경 없는 기자회(RWB)는 베트남을 전 세계 15개 "인터넷의 적" 중 하나로 간주한다. 베트남 정부는 이러한 검열이 음란하거나 성적으로 노골적인 콘텐츠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국가 권위를 훼손한다고 간주되는 많은 정치적, 종교적 웹사이트도 차단된다.
8.10. 스포츠

보비남, Kim Kê낌께베트남어, Võ Bình Định보빈딘베트남어은 베트남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축구는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국가대표팀은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008년, 2018년, 2024년에 우승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8강에 진출했다. U-23 대표팀은 2018년 AFC U-23 아시안컵 준우승, 2018년 아시안 게임 4위를 차지했으며, U-20 대표팀은 2017년 FIFA U-20 월드컵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U-17 대표팀은 2000년 AFC U-16 챔피언십에서 10개 팀 중 4위를 차지했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최초의 11인제 국가대표팀이 되었으며, 전통적으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주요 라이벌인 태국과 함께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배드민턴, 테니스, 배구, 탁구, 체스와 같은 다른 서양 스포츠도 널리 인기가 있다. 베트남은 1952년부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해 왔다. 1954년 국가 분단 이후에는 남베트남만이 경기에 참가하여 1956년과 1972년 올림픽에 선수를 파견했다. 1976년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참가하여 1988년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현재의 베트남 올림픽 위원회는 1976년에 결성되어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다. 베트남은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한 적이 없다. 2016년 베트남은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농구는 특히 호찌민시, 하노이, Sóc Trăng속짱베트남어에서 점점 더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되고 있다.
8.11. 공휴일과 축제

베트남에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11개의 공휴일이 있다. 여기에는 1월 1일 새해 첫날, 음력 마지막 날부터 음력 첫 달 5일까지의 베트남 설날(뗏응우옌단), 음력 3월 10일 훙왕 기일, 4월 30일 통일절(남부 해방 기념일), 5월 1일 노동절, 9월 2일 국경일이 포함된다. 뗏 기간에는 주요 도시의 많은 베트남인들이 가족 상봉과 조상 제사를 위해 고향으로 돌아간다. 연장자들은 보통 젊은이들에게 lì xì리씨베트남어(붉은 봉투)를 주며, bánh chưng바인쯩베트남어(사각형 찹쌀떡)과 다양한 말린 과일과 같은 특별한 명절 음식을 손님을 위해 집에 차려 놓는다.
Tết Nguyên Tiêu뗏응우옌띠에우베트남어, Tết Trung Thu뗏쭝투베트남어 및 다양한 사원 및 자연 축제를 포함하여 계절에 따라 많은 다른 축제가 열린다. 고원지대에서는 봄에 코끼리 경주 축제가 매년 열리며, 기수들은 약 1.6 km 동안 코끼리를 타고 우승한 코끼리에게는 사탕수수가 주어진다. 전통 베트남 결혼식은 여전히 널리 인기가 있다. 각 지역의 다채로운 전통 축제는 그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