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안드레이 샤르헤예비치 크라우찬카 (Андрэй Сяргеевіч Краўчанка벨라루스어; Андрей Сергеевич Кравченко안드레이 세르게예비치 크랍첸코러시아어, 1986년 1월 4일 출생)는 벨라루스의 10종경기 선수이다. 그는 벨라루스 육상 역사상 가장 뛰어난 다종목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10종경기 및 7종경기에서 여러 국가 기록을 수립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그의 개인 최고 기록인 8617점은 벨라루스 10종경기 국가 기록이며, 7종경기에서도 6282점으로 실내 국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크라우찬카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세계 청소년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주니어 세계 및 유럽 챔피언에 올랐다. 그는 2014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0종경기 금메달, 2011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7종경기 금메달을 비롯해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벨라루스 육상계에 큰 기여를 했다.
스포츠적 업적 외에도, 크라우찬카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벨라루스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용기 있는 행동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그는 벨라루스 당국에 의해 구금되기도 했으며, 2021년 2020년 하계 올림픽 기간 중 크리스치나 치마노우스카야 사건 이후 배우자 야나 막시마바와 함께 독일로 망명하는 결정을 내렸다. 그의 이러한 행동은 스포츠인의 사회 참여와 정치적 자유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며, 벨라루스 내외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스포츠맨십을 보여준 일화로도 잘 알려져 있다.

2. 생애 및 초기 경력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벨라루스 호멜주 미샨카에서 태어나 페트리카우 마을에서 성장했다. 그의 부모님 모두 스포츠에 조예가 깊었다. 아버지 세르게이는 소련 방공군 소속 시절 복합 트랙 필드 종목에서 군사 챔피언이었으며, 어머니는 피겨 스케이팅, 배구, 육상에 참여했다. 그가 9세 때 부모님은 이혼했으며,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던 어머니는 그가 스포츠를 통해 어려움을 이겨내도록 격려했다. 그는 뛰어난 기량을 보였고, 십대 시절 호멜에 위치한 올림픽 스포츠 기숙 학교에 입학하여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다.
2.1. 유년기 및 교육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1986년 1월 4일 벨라루스 호멜주 미샨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은 페트리카우 마을에서 보냈으며, 그의 부모님은 모두 스포츠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그의 아버지 세르게이는 과거 소련 방공군 소속으로 복합 트랙 필드 종목에서 군사 챔피언을 지냈고, 어머니는 피겨 스케이팅, 배구, 육상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했다. 크라우찬카가 9세가 되던 해 부모님은 이혼하였고, 그는 어머니와 함께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어머니는 그가 어려움을 잊고 기량을 발전시키도록 육상 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그는 어린 나이부터 높은 수준의 기량을 선보였고, 그 결과 십대 시절 벨라루스 호멜에 위치한 올림픽 스포츠 기숙 학교에 입학하여 전문적인 스포츠 교육을 받게 되었다.
2.2. 육상 경력 시작 및 발전
안드레이 크라우찬카의 육상 경력은 2000년 벨라루스 청소년 8종경기 우승을 시작으로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03년에는 8종경기에서 6415점을 기록하며 세계 청소년 최고 기록을 수립했다. 이 기록은 곧 안드레스 실바에 의해 경신되었으나, 그는 2003년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유럽 청소년 올림픽 페스티벌 멀리뛰기 종목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그는 한때 에두아르트 해맬래이넨의 아버지인 파벨 해맬래이넨 밑에서 핀란드에서 훈련을 받았으나, 곧 원래 코치였던 이반 고르디엔코에게 돌아갔다.
2004년부터 크라우찬카는 10종경기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는 전국 주니어 대회에서 7963점으로 우승하며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고, 2004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8126점을 기록하며 대회 신기록을 수립하는 동시에 여러 종목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2005년에는 탈린 복합 종목 대회에서 7종경기 5929점을 기록하며 전국 주니어 기록을 경신했다. 같은 해 하이포 미팅에서는 13위에 그쳤지만, 2005년 유럽 육상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주요 주니어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입증했다. 2006년에는 다시 8000점의 벽을 넘어 2006년 하이포 미팅에서 11위를 기록했고, 유럽컵 복합 종목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3. 주요 성과 및 대회 활동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2007년 시니어 무대에 본격적으로 데뷔한 이래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벨라루스를 대표하는 다종목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을 포함하여 세계 및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3.1. 시니어 데뷔와 첫 올림픽 메달
크라우찬카는 2007년 탈린에서 열린 7종경기 대회에서 5955점의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운 후, 2007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7종경기에서 6090점을 기록하며 첫 시니어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했다. 야외 시즌에는 2007년 하이포 미팅에서 8617점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우승하며 큰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세계 기록 보유자 로만 셰브를레와 현 세계 챔피언 브라이언 클레이를 모두 제치고 우승했으며, 이 두 선수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그는 7개 종목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고, 이 중 4개 종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후 TNT - 포르투나 미팅에서는 완주하지 못했으나, 2007년 유럽 육상 U23 선수권 대회에서 8492점으로 우승하며 꾸준한 발전을 보였다.

그러나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대에 대한 압박감으로 인해 첫 100미터 종목에서 두 번의 부정 출발을 저질러 실격 처리되었다. 그는 그 해 마지막 대회인 데카스타르 미팅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다.
2008년 시즌은 그에게 매우 성공적이었다. 탈린에서 열린 7종경기 대회에서 벨라루스 기록을 경신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2008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6234점을 기록하며 브라이언 클레이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야외 시즌에는 신중하게 대회에 참가했으며, 유럽컵 10종경기에서 8585점으로 우승했다. 그리고 같은 해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10종경기에서 8551점으로 다시 브라이언 클레이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시즌 마지막 10종경기 대회인 데카스타르 타이틀을 유지하며 IAAF 복합 종목 챌린지 시리즈 우승자가 되었다.
3.2. 유럽 선수권 대회 및 이후 경력
2008년의 성공적인 시즌에도 불구하고, 크라우찬카는 2009년 폐렴에 걸려 시즌 내내 어려움을 겪으며 더 이상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그는 유럽컵 복합 종목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고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차지했지만, 시즌 최고 기록인 8336점은 이전 두 해에 비해 다소 낮았다.

2010년, 그는 전국 대학 선수권 대회 7종경기에서 6206점으로 우승했고, 2010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0종경기에서는 8370점을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 중 그는 장대높이뛰기에서 장대가 부러져 실격 위기에 처했지만, 경쟁자였던 리투아니아의 다리우스 드라우드빌라가 자신의 장대를 빌려주어 크라우찬카는 경기를 계속할 수 있었다. 이 스포츠맨십에 감동한 벨라루스 팀은 드라우드빌라를 세계 페어 플레이 상 후보로 추천했다.
크라우찬카는 2011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또 다른 유럽 메달을 획득하며, 자신의 국가 기록을 6282점으로 경신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당시 그는 발목 부상을 안고 있었고 경기 내내 통증에 시달렸다. 그는 그 해 TNT - 포르투나 미팅에서 완주하지 못했고,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도 불참했다. 9월에는 데카스타르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벨라루스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6205점으로 우승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2012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에 그쳤고, 5월의 하이포 미팅에서는 10종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 이는 그 해 그의 유일한 야외 대회 출전이었다. 그의 다음 대회는 거의 1년 뒤인 멀티스타스 미팅이었는데, 그는 8390점의 점수로 우승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4. 개인사 및 정치적 입장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벨라루스 육상 선수로서의 삶 외에, 벨라루스 민주주의 운동의 중요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결혼 생활과 함께,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에 대한 그의 단호한 정치적 입장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4.1. 결혼 및 가족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동료 벨라루스 육상 선수인 야나 막시마바와 결혼했다. 막시마바는 7종경기 선수로 활동했으며, 두 사람은 벨라루스 스포츠계에서 주목받는 부부였다.
4.2. 벨라루스 시위 참여 및 망명
크라우찬카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벨라루스 당국에 의해 구금된 이력이 있다. 그의 이러한 행동은 벨라루스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용기 있는 외침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2021년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기간 중 벨라루스 육상 선수 크리스치나 치마노우스카야가 강제 송환 위기에 처했다가 망명한 사건이 발생하자, 그의 아내 야나 막시마바는 자신과 크라우찬카 또한 벨라루스로 돌아가지 않고 독일에 망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두 사람은 평소 독일에서 훈련을 해왔으며, 이들의 망명 결정은 벨라루스 내의 정치적 상황과 스포츠계의 자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다시금 불러일으켰다. 크라우찬카와 막시마바 부부의 망명은 벨라루스 스포츠인들의 저항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5. 대회 기록
안드레이 크라우찬카의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 2003 | 유럽 청소년 올림픽 페스티벌 | 프랑스 파리 | 5위 | 멀리뛰기 | 7.19 m |
| 2003년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 | 캐나다 셰르브루크 | 2위 | 8종경기 | 6366점 | |
| 2004 | 2004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 이탈리아 그로세토 | 1위 | 10종경기 (주니어 규격) | 8126점 |
| 2005 | 하이포 미팅 | 오스트리아 괴치스 | 13위 | 10종경기 | 7833점 |
| 2005년 유럽 육상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 1위 | 10종경기 (주니어 규격) | 7997점 | |
| 2006 | 하이포 미팅 | 오스트리아 괴치스 | 11위 | 10종경기 | 8013점 |
| 유럽컵 복합 종목 대회 (1부 리그) | 우크라이나 얄타 | 3위 | 10종경기 | 7805점 | |
| 2007 | 2007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영국 버밍엄 | 3위 | 7종경기 | 6090점 (실내 개인 최고 기록) |
| 하이포 미팅 | 오스트리아 괴치스 | 1위 | 10종경기 | 8617점 (개인 최고 기록) | |
| 2007년 유럽 육상 U23 선수권 대회 | 헝가리 데브레첸 | 1위 | 10종경기 | 8492점 | |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일본 오사카 | - | 10종경기 | 미완주 (DNF) | |
| 2008 | 2008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페인 발렌시아 | 2위 | 7종경기 | 6234점 (실내 개인 최고 기록) |
| 유럽컵 복합 종목 대회 (슈퍼 리그) | 네덜란드 헹겔로 | 1위 | 10종경기 | 8585점 | |
| 2008년 하계 올림픽 | 중국 베이징 | 2위 | 10종경기 | 8551점 | |
| 2009 | 유럽컵 복합 종목 대회 (슈퍼 리그) | 폴란드 슈체친 | 1위 | 10종경기 | 8336점 |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독일 베를린 | 10위 | 10종경기 | 8281점 | |
| 2010 | 2010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카타르 도하 | 4위 | 7종경기 | 6124점 |
| 201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페인 바르셀로나 | 3위 | 10종경기 | 8370점 | |
| 2011 | 2011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프랑스 파리 | 1위 | 7종경기 | 6282점 (개인 최고 기록) |
| 2012 | 2012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튀르키예 이스탄불 | 6위 | 7종경기 | 5746점 |
6. 평가 및 영향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벨라루스 육상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다종목 선수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그의 스포츠적 업적은 물론 용기 있는 사회 참여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6.1. 스포츠맨십 및 긍정적 평가
크라우찬카는 뛰어난 운동 능력 외에도 탁월한 스포츠맨십으로 주목받았다. 201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0종경기 장대높이뛰기 종목에서 그의 장대가 부러져 실격 위기에 처했을 때, 경쟁 선수인 리투아니아의 다리우스 드라우드빌라가 자신의 장대를 빌려주어 그가 경기를 계속할 수 있게 한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스포츠 정신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았으며, 벨라루스 팀은 드라우드빌라를 세계 페어 플레이 상 후보로 추천하기도 했다. 이는 크라우찬카가 단순한 경쟁을 넘어선 스포츠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6.2. 인권 및 민주주의에 대한 기여
안드레이 크라우찬카의 가장 큰 영향 중 하나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에 맞서 시위에 참여하고 망명을 결정한 그의 용기 있는 행동이다. 그는 직접적으로 시위에 참여했다가 벨라루스 당국에 의해 구금되기도 했으며, 이는 그가 개인적인 불이익을 감수하면서도 벨라루스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목소리를 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발생한 크리스치나 치마노우스카야 선수의 강제 송환 및 망명 사건 이후, 크라우찬카와 그의 아내 야나 막시마바 또한 벨라루스에 돌아가지 않고 독일로 망명할 것을 선언했다. 이들의 결정은 벨라루스 스포츠계의 전반적인 자유 억압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벨라루스 내외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감을 주었다. 크라우찬카의 이러한 행동은 스포츠 선수로서의 성공뿐만 아니라, 억압적인 정권에 맞서 개인의 양심과 신념을 지켜낸 인권 운동가로서의 그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그의 이야기는 스포츠인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정치적 억압에 저항하는 상징적인 사례로 회자되고 있다.
7. 함께 보기
- 크리스치나 치마노우스카야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 벨라루스의 역사
- 인권
-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