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주니어 경력
기예르모 카냐스는 1977년 11월 2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아르헨티나의 전설적인 테니스 스타 기예르모 빌라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카냐스는 7세에 테니스를 시작했으며, 1995년에 프로로 전향하기 전까지 주니어 서킷에서 활약하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냈다. 영국 서비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마르틴 가르시아와 파트너를 이뤄 이탈리아 주니어 챔피언십에서 복식 우승을 거두기도 했다.
2. 프로 경력
카냐스는 1995년 프로로 전향한 이후 ATP 챌린저 투어에서 주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2.1. 초기 프로 활동과 부상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카냐스는 주로 챌린저 시리즈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1998년 4월, 그는 지난 52주 동안 세 번의 챌린저 대회에서 우승하며 처음으로 세계 랭킹 100위권에 진입했다. 이를 통해 그는 더 많은 ATP 레벨 토너먼트 출전 기회를 얻게 되었고, 1999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대회에서 자신의 첫 ATP 투어 결승에 진출했다. 또한 이 시기부터 테니스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인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도 꾸준히 출전하기 시작했다.
2000년 시즌 중 오른손 손목 부상으로 인해 약 4개월간 경기에 나서지 못했으며, 한때 ATP 랭킹이 227위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이 부상을 극복하고 2001년 ATP 랭킹 15위까지 급격히 상승하는 놀라운 복귀를 이뤄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그는 ATP 올해의 컴백 선수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카냐스는 카사블랑카에서 열린 대회에서 토미 로브레도를 꺾고 생애 첫 ATP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 외에도 세 차례 다른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다. 또한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에서 모두 4라운드에 진출하며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윔블던 이후에는 라이너 슈틀러와 파트너를 이뤄 메르세데스 컵 복식에서 우승하며 복식 통산 2승을 기록했다.
2.2. 주요 우승과 그랜드 슬램 성과
2002년 ATP 마스터스 시리즈 캐나다 대회에서 당시 노시드 선수였던 카냐스는 토론토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앤디 로딕을 6-4, 7-5로 꺾고 첫 마스터스 시리즈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카냐스는 세계 랭킹 2위의 마라트 사핀, 톱 10 랭커인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로저 페더러 등 유명 선수들을 연이어 격파하며 결승에 올랐다. 그는 1976년 기예르모 빌라스 이후 처음으로 캐나다 오픈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 선수이자, 1990년 마스터스 시리즈가 창설된 이래 최초로 마스터스 시리즈 타이틀을 차지한 아르헨티나 선수가 되었다. 카냐스는 2002년에 첸나이 오픈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총 2개의 타이틀을 추가했고, 카사블랑카와 슈투트가르트 대회 결승에도 진출했다. 또한 프랑스 오픈에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8강에 진출하며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더욱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카냐스는 그해 연간 상금으로 110.00 만 USD 이상을 벌어들이며 '연간 100.00 만 USD 이상을 벌어들인 최초의 아르헨티나 남자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
2003년 3월 14일, 카냐스는 오른손 중수골 인대 부상으로 다시 한번 큰 부상을 겪고 수술을 받았다. 9월에 투어에 복귀한 그는 2004년 시즌에 ATP 투어 단식에서 세 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2005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3년 만에 다시 8강에 진출했으나, 같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마리아노 푸에르타에게 2-6, 6-3, 6-1, 3-6, 4-6의 풀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2.3. 도핑 논란 및 출장 정지
2005년 8월 8일, 아카풀코 대회에서 치러진 약물 검사에서 카냐스는 이뇨제인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지만, 다른 금지 약물을 은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다. ATP는 이로 인해 카냐스에게 2년간의 출장 정지 처분과 더불어 27.61 만 USD의 상금 몰수를 명령했다. 카냐스는 자신의 샘플에서 다른 금지 약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뇨제는 멕시코 아카풀코 대회 기간 중 걸린 감기 치료를 위해 ATP 소속 의사가 처방한 약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주장하며 무죄를 호소했다. 출장 정지 처분이 시작되기 불과 몇 주 전, 카냐스는 세계 랭킹 8위로 생애 최고 랭킹을 기록하고 있었다.
카냐스는 자신에게 부과된 혐의에 대해 결백을 주장하며 출장 정지 처분에 맞서 싸우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자신의 사건을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제소했다. 그의 끈질긴 노력은 2006년 5월 23일 결실을 맺었는데, 해당 물질이 처방 약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고의적인 경기력 향상 목적의 불법 물질 복용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약을 복용하기 전에 성분을 확인하지 않은 부주의함은 인정되었다. 그는 2006년 9월 11일부터 프로 활동에 완전히 복귀할 수 있게 되었고, 출장 정지 전 획득했던 상금도 복구되었다. 다만 복귀 당시 그의 랭킹 포인트는 모두 소멸된 상태였다.
2.4. 성공적인 복귀
투어 복귀 후 카냐스는 5개의 챌린저 타이틀과 1개의 ATP 타이틀(2007년 브라질 오픈)을 획득하며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복귀 후 6개월 동안 그는 47경기 중 42승을 거두며 랭킹이 없던 상태에서 세계 랭킹 60위까지 급격히 상승했다. 2007년 2월 15일, 그는 마르코스 다니엘을 6-1, 6-4로 꺾고 출장 정지 후 첫 ATP 레벨 경기의 승리를 기록했다.
2007년 3월 11일, 카냐스는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로저 페더러를 7-5, 6-2로 꺾는 대이변을 일으켰다. 이 승리로 페더러의 41연승 기록이 중단되었는데, 이는 기예르모 빌라스의 ATP 투어 최다 연승 기록보다 5승 부족한 것이었다. 16일 후 마이애미 마스터스에서 카냐스는 페더러를 다시 한번 7-6, 2-6, 7-6으로 꺾으며 인디언 웰스에서의 승리가 우연이 아님을 입증했다. 이 두 번의 연속 승리는 그를 2003년 이후 라파엘 나달 외에 페더러를 연속 토너먼트에서 두 번 꺾은 유일한 선수로 만들었다. 카냐스는 "매우 의욕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돌아왔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카냐스는 마이애미 마스터스에서 예선 통과 선수로는 최초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7번 시드의 이반 류비치치를 7-5, 6-2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세르비아의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세트 스코어 3-6, 2-6, 4-6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카냐스는 팀 헨만,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리샤르 가스케, 로저 페더러, 토미 로브레도, 이반 류비치치 등을 연이어 꺾는 기염을 토했다. 2007년 4월 30일 기준으로 카냐스는 ATP 랭킹에서 121계단 상승하여 22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그해 가장 큰 폭의 랭킹 상승이었다.
2007년, 카냐스는 바르셀로나 오픈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으나 라파엘 나달에게 패했다. 그는 경기 후 프랑스 오픈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가 될 것이라고 믿었으나, 프랑스 오픈에서는 세 번째로 8강 단계에서 니콜라이 다비덴코에게 패하며 도전을 멈춰야 했다. 연말 톱 20 진입을 목표로 했던 카냐스는 2001년과 2002년과 동일하게 15위로 시즌을 마쳤다.
2.5. 프로 테니스 은퇴
카냐스는 2010년 3월에 프로 테니스 선수로서의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선수 경력 동안 데비스 컵 경기에서 5승 2패(단식 3승 1패)의 기록을 남겼다.
3. 플레이 스타일
기예르모 카냐스는 베이스라인에서 수비적인 카운터 펀처 스타일의 경기를 펼쳤다. 그는 상대방을 좌절시키기 위해 뛰어난 볼 리트리빙 기술을 활용했다. 백핸드는 양손 포핸드를 구사했다.
4. 은퇴 후 활동
프로 테니스 은퇴 후 카냐스는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에르네스츠 굴비스의 코치를 맡았으며, 2015년에는 테이무라즈 가바슈빌리의 코치로 활동했다. 2017년 1월부터 옐레나 얀코비치가 은퇴할 때까지 그녀를 지도했다. 현재는 플로리다 아벤투라에서 전 투어 프로 선수였던 마르틴 가르시아 및 구스타보 오리베와 함께 자신의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현재 베르나르다 페라의 코치이다.
5. 경력 통계 및 기록
기예르모 카냐스의 프로 테니스 통계와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그의 통산 전적은 단식 252승 195패, 복식 61승 82패로 총 313승 277패를 기록했다.
5.1. ATP 투어 결승 기록
기예르모 카냐스는 ATP 투어 단식에서 16회 결승에 진출하여 7회 우승, 9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복식에서는 2회 결승에 진출하여 모두 우승했다.
5.1.1. 단식: 16회 (7승 9패)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준우승 | 1999 | 올랜도 | 클레이 | 스웨덴 마그누스 노르만 | 0-6, 3-6 |
우승 | 2001 | 카사블랑카 | 클레이 | 스페인 토미 로브레도 | 7-5, 6-2 |
준우승 | 2001 | 스헤르토헨보스 | 잔디 | 호주 레이턴 휴잇 | 3-6, 4-6 |
준우승 | 2001 | 슈투트가르트 | 클레이 | 브라질 구스타보 쿠에르텐 | 3-6, 2-6, 4-6 |
준우승 | 2001 | 비엔나 | 하드 (실내) | 독일 토미 하스 | 2-6, 6-7(6-8), 4-6 |
우승 | 2002 | 첸나이 | 하드 | 태국 파라도른 스리차판 | 6-4, 7-6(7-2) |
준우승 | 2002 | 카사블랑카 | 클레이 | 모로코 유네스 엘 아이나우이 | 6-3, 3-6, 2-6 |
준우승 | 2002 | 슈투트가르트 | 클레이 | 러시아 미하일 유즈니 | 3-6, 6-3, 6-3, 4-6, 4-6 |
우승 | 2002 | 토론토 | 하드 | 미국 앤디 로딕 | 6-4, 7-5 |
우승 | 2004 | 슈투트가르트 | 클레이 | 아르헨티나 가스통 가우디오 | 5-7, 6-2, 6-0, 1-6, 6-3 |
우승 | 2004 | 우마그 | 클레이 | 이탈리아 필리포 볼란드니 | 7-5, 6-3 |
우승 | 2004 | 상하이 | 하드 | 독일 라르스 부르크스뮐러 | 6-1, 6-0 |
준우승 | 2004 | 비엔나 | 하드 (실내) | 스페인 펠리시아노 로페스 | 4-6, 6-1, 5-7, 6-3, 5-7 |
우승 | 2007 | 코스타 도 사이페 | 클레이 |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 7-6(7-4), 6-2 |
준우승 | 2007 | 마이애미 | 하드 |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 3-6, 2-6, 4-6 |
준우승 | 2007 | 바르셀로나 | 클레이 | 스페인 라파엘 나달 | 3-6, 4-6 |
5.1.2. 복식: 2회 (2승)
5.2. ATP 챌린저 투어 결승 기록
기예르모 카냐스는 ATP 챌린저 투어 단식에서 15회 결승에 진출하여 11회 우승, 4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복식에서는 5회 우승을 차지했다.
5.2.1. 단식: 15회 (11승 4패)
우승 (11)
No. | 날짜 | 대회 | 표면 | 상대 선수 | 스코어 |
---|---|---|---|---|---|
1. | 1996년 12월 2일 | 산티아고 | 클레이 | 아르헨티나 프랑코 스킬라리 | 7-6, 6-1 |
2. | 1997년 8월 25일 | 산타크루스 | 클레이 | 브라질 마르시우 칼슨 | 6-2, 4-6, 6-2 |
3. | 1997년 9월 29일 | 산티아고 | 클레이 | 네덜란드 데니스 판 스헤핑언 | 4-6, 7-5, 6-3 |
4. | 1998년 4월 20일 | 에스피뉴 | 클레이 | 아르헨티나 마리아노 푸에르타 | 6-1, 2-6, 6-2 |
5. | 1998년 9월 14일 | 플로리아노폴리스 | 클레이 | 브라질 마르시우 칼슨 | 6-2, 7-5 |
6. | 2003년 12월 29일 | 누메아 | 하드 | 호주 토드 리드 | 6-4, 6-3 |
7. | 2006년 9월 11일 | 벨렘 | 클레이 | 아르헨티나 카를로스 베를로크 | 4-6, 6-2, 7-6(10-8) |
8. | 2006년 10월 23일 | 몬테비데오 | 클레이 | 에콰도르 니콜라스 라펜티 | 2-6, 6-3, 7-6(7-3) |
9. | 2006년 11월 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 클레이 | 아르헨티나 마르틴 바사요 | 6-3, 6-4 |
10. | 2006년 11월 13일 | 아순시온 | 클레이 | 브라질 플라비오 사레타 | 6-4, 6-1 |
11. | 2007년 1월 1일 | 상파울루 | 클레이 | 아르헨티나 디에고 하트필드 | 6-3, 6-4 |
준우승 (4)
5.2.2. 복식: 5회 (5승)
우승 (5)
No. | 날짜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선수 | 스코어 |
---|---|---|---|---|---|---|
1. | 1998년 11월 16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 클레이 | 아르헨티나 마르틴 가르시아 | 스페인 알베르토 마르틴 | 6-7(5-7), 6-1, 6-4 |
2. | 1999년 3월 29일 | 바를레타 | 클레이 | 스페인 하비에르 산체스 | 아르헨티나 가스통 가우디오 | 4-6, 6-2, 6-2 |
3. | 1999년 11월 15일 | 부에노스아이레스 | 클레이 | 아르헨티나 마르틴 가르시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폴 로스너 | 6-4, 6-4 |
4. | 2000년 12월 4일 | 산호세 | 하드 | 칠레 아드리안 가르시아 | 미국 데빈 보웬 | 7-6(7-5), 6-1 |
5. | 2008년 11월 10일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하드 (실내) | 러시아 드미트리 투르수노프 | 폴란드 루카시 쿠보트 | 6-3, 7-6(7-5) |
5.3.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표
기예르모 카냐스의 그랜드 슬램 단식 연도별 성적과 통산 승패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통산 승패 |
---|---|---|---|---|---|---|---|---|---|---|---|---|---|---|---|
호주 오픈 | A | A | A | 1R | 1R | 2R | 3R | 2R | 4R | 4R | A | A | A | 2R | 11-8 |
프랑스 오픈 | A | 예선 1R | 예선 2R | 2R | 1R | 4R | QF | A | 1R | QF | A | QF | 1R | 예선 1R | 16-8 |
윔블던 | A | 예선 2R | 2R | 2R | 1R | 4R | 2R | A | 1R | A | A | 3R | 1R | 2R | 9-9 |
US 오픈 | 예선 2R | A | 2R | 2R | A | 2R | A | A | 3R | A | A | 2R | 1R | A | 6-6 |
그랜드 슬램 승패 | 0-0 | 0-0 | 2-2 | 3-4 | 0-3 | 8-4 | 7-3 | 1-1 | 5-4 | 7-2 | 0-0 | 7-3 | 0-3 | 2-2 | 42-31 |
5.4. Top 10 선수 상대 승리
기예르모 카냐스는 ATP 랭킹 Top 10에 속했던 선수들을 상대로 총 20승을 거두었다.
# | 선수 | 랭킹 | 대회 | 표면 | 라운드 | 스코어 | 카냐스 랭킹 |
---|---|---|---|---|---|---|---|
1999 | |||||||
1. | 영국 팀 헨만 | 5 | US 오픈, 뉴욕, 미국 | 하드 | 1R | 7-6(7-1), 6-4, 6-3 | 68 |
2001 | |||||||
2. | 러시아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7 | 윔블던, 런던 | 잔디 | 3R | 3-6, 6-1, 6-3, 7-6(7-2) | 49 |
3. | 러시아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6 | 슈투트가르트, 독일 | 클레이 | QF | 4-6, 6-3, 6-3 | 39 |
4. | 러시아 마라트 사핀 | 3 | 신시내티, 미국 | 하드 | 1R | 6-3, 6-3 | 33 |
5. | 영국 팀 헨만 | 8 | 비엔나, 오스트리아 | 하드 (실내) | 2R | 3-6, 7-6(7-4), 7-6(7-5) | 21 |
2002 | |||||||
6. | 스웨덴 토마스 요한슨 | 9 | 월드 팀 컵, 뒤셀도르프 | 클레이 | RR | 6-2, 4-6, 6-0 | 17 |
7. | 러시아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5 | 월드 팀 컵, 뒤셀도르프 | 클레이 | 결승 | 6-4, 6-2 | 17 |
8. | 호주 레이턴 휴잇 | 1 | 프랑스 오픈, 파리 | 클레이 | 4R | 6-7(1-7), 7-6(15-13), 6-4, 6-3 | 17 |
9. | 스위스 로저 페더러 | 10 | 토론토, 캐나다 | 하드 | 1R | 7-6(12-10), 7-5 | 19 |
10. | 러시아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5 | 토론토, 캐나다 | 하드 | 3R | 6-2, 6-2 | 19 |
11. | 러시아 마라트 사핀 | 2 | 토론토, 캐나다 | 하드 | QF | 7-5, 6-3 | 19 |
12. | 독일 토미 하스 | 3 | 토론토, 캐나다 | 하드 | SF | 6-4, 3-6, 7-6(7-5) | 19 |
2004 | |||||||
13. | 미국 앤디 로딕 | 2 | 로마, 이탈리아 | 클레이 | 1R | 7-6(9-7), 6-1 | 80 |
14. | 아르헨티나 다비드 날반디안 | 10 | 비엔나, 오스트리아 | 하드 (실내) | QF | 6-4, 2-6, 6-3 | 26 |
2005 | |||||||
15. | 영국 팀 헨만 | 6 | 인디언 웰스, 미국 | 하드 | QF | 7-6(7-1), 7-5 | 14 |
2007 | |||||||
16. | 아르헨티나 다비드 날반디안 | 10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클레이 | RR | 6-4, 6-4 | 63 |
17. | 스위스 로저 페더러 | 1 | 인디언 웰스, 미국 | 하드 | 2R | 7-5, 6-2 | 60 |
18. | 스위스 로저 페더러 | 1 | 마이애미, 미국 | 하드 | 4R | 7-6(7-2), 2-6, 7-6(7-5) | 55 |
19. | 스페인 토미 로브레도 | 6 | 마이애미, 미국 | 하드 | QF | 7-6(7-5), 6-1 | 55 |
20. | 크로아티아 이반 류비치치 | 7 | 마이애미, 미국 | 하드 | SF | 7-5, 6-2 | 55 |
6. 유산 및 평가
기예르모 카냐스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프로 선수 경력 동안 캐나다 마스터스를 포함한 7개의 단식 타이틀과 2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아르헨티나 테니스의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2005년 6월 세계 랭킹 8위에 오르며 경력 최고점을 찍었으나, 직후 발생한 도핑 논란으로 선수 경력에 큰 위기를 맞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2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고, 이는 그의 대중적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카냐스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항소하여 자신의 결백을 일부 인정받고 출장 정지 기간을 단축시킨 후 2006년 투어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특히 2007년 복귀 후 세계 랭킹 1위였던 로저 페더러를 두 차례 연속으로 꺾는 등 놀라운 경기력을 보여주며 '컴백의 아이콘'으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극적인 복귀는 그의 뛰어난 회복력과 정신력을 증명하는 사례로 남았으며, 도핑 논란 이후의 그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경력은 최고점과 최저점을 모두 경험하며 역경을 딛고 일어선 선수로서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은퇴 후 코치로서의 활동도 그의 테니스에 대한 깊은 열정을 보여주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