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약칭 중국(中国중궈중국어)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사회주의 공화국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수도는 베이징이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약 14억 명 이상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국토 면적은 약 960.00 만 km2로,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다. 중화인민공화국은 22개의 성,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그리고 홍콩과 마카오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 중 하나로, 황하 유역에서 발원하여 수천 년의 역사를 이어왔다. 진나라의 통일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광대한 영토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종이, 인쇄술, 나침반, 화약 등 인류사에 큰 영향을 미친 발명품들을 탄생시켰다. 근대에 들어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혼란을 겪었으나, 1949년 중국공산당 주도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마오쩌둥 시대에는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등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큰 실패와 혼란을 야기했다. 1978년 덩샤오핑의 주도로 개혁개방 정책이 시작된 이후,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하여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현재 중국은 GDP 규모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자 세계 최대의 제조국 및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정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공산당이 유일하게 집권하는 일당제 국가이며,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군사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상비군과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방 예산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 우주 개발 분야에서도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여 유인 우주 비행과 달 탐사에 성공했다.
그러나 중국은 급속한 발전 과정에서 환경 오염, 도농 격차, 소수 민족 문제, 인권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특히 신장 위구르 및 티베트 지역의 인권 상황과 홍콩의 민주화 운동 탄압, 정보 통제 등은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하나의 중국 원칙에 기반한 양안 관계 역시 동아시아의 주요 갈등 요인으로 남아 있다.
2. 국명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식 국호는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중화런민궁허궈중국어)이며, 약칭으로 중국(中国중궈중국어)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중국'이라는 명칭은 고대 주나라 시기부터 자국을 '중앙의 나라'라는 의미로 사용한 데서 유래했으며, 서주 시기 청동기 하존의 명문에서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당시 주나라가 상나라로부터 정복한 직접적인 영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6세기경 서경에서는 "황천(皇天)이 중앙 국가의 땅과 백성을 선조에게 내려주셨다"(皇天既付中國民越厥疆土于先王중국어)라는 구절에서 주나라 왕실 직할령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청나라 시대에는 국가를 지칭하는 동의어로 공식 문서에 사용되었다. '중국'은 영어로 'Middle Kingdom영어'(가운데 왕국)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China'라는 영어 명칭은 16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으나, 당시 중국인들 스스로가 사용한 용어는 아니었다. 이 명칭의 어원은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페르시아어를 거쳐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चीन치나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China'는 1555년 리처드 이든이 포르투갈 탐험가 두아르트 바르보자의 1516년 일지를 번역한 기록에 등장한다. 바르보자가 사용한 용어는 페르시아어 'چین친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산스크리트어 'चीन치나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것이다. 산스크리트어 단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치나'는 기원전 5세기의 마하바라타와 기원전 2세기의 마누 법전 등 초기 힌두교 경전에 처음 사용되었다. 1655년 마르티노 마르티니는 'China'라는 단어가 궁극적으로 진나라(기원전 221년~206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으나, 인도 문헌에서의 사용이 진나라보다 앞서기 때문에 이 주장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른 가설로는 야랑국이나 초나라의 국명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현대 중국을 지칭할 때, 중화민국이나 특별행정구와 구분하기 위해 '중국 대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3. 역사
3.1. 선사 시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초기 인류는 약 225만 년 전부터 중국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베이징 원인으로 알려진 호모 에렉투스의 화석은 약 68만 년에서 78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불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푸옌 동굴에서는 약 12만 5천 년에서 8만 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 치아 화석이 발견되었다.
중국의 원시 문자는 기원전 6600년경 자후에서, 기원전 6000년경 다마이디에서, 기원전 5800년에서 5400년 사이 다디완에서, 그리고 기원전 5천년기 반포에서 그 흔적이 나타난다. 일부 학자들은 자후 부호(기원전 7천년기)가 가장 초기의 중국 문자 체계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시기 중국 대륙에서는 다양한 신석기 문화가 발전하였으며,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고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다.
3.2. 고대 국가의 성립

중국의 전통적인 역사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21세기경 하나라가 성립되었다고 전해지나, 이는 고고학적으로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 1958년 고고학자들은 초기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얼리터우 문화 유적을 발견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하나라의 유적으로 보기도 하지만 논란이 있다.
고고학적으로 실존이 명확히 증명된 최초의 왕조는 상나라(은나라)로, 기원전 17세기부터 기원전 11세기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상나라는 갑골 문자를 사용하여 점을 치고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현재 한자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정교한 청동기 제작 기술 또한 상나라 문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상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주나라는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존속했으나, 점차 봉건제 제후들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중앙 권력은 약화되었다.
3.3. 춘추·전국 시대
주나라 왕실의 권위가 쇠퇴하면서, 제후국들은 패권을 다투기 시작했고, 이로써 약 300년간의 춘추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철기 사용이 보급되고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었으며, 다양한 사상과 학문이 꽃피웠던 제자백가 시대이기도 하다. 공자, 노자 등 위대한 사상가들이 등장하여 후대 중국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의 전국 시대에는 7개의 주요 강대국(전국 칠웅)이 남아 서로 격렬하게 경쟁했다. 이 시기에는 관료제가 발달하고 군사 기술이 진보했으며, 각국은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했다.
3.4. 통일 제국과 왕조 변천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나머지 6국을 정복하고 중국을 통일하여 최초의 중앙 집권적 통일 제국을 건설했다. 이후 약 2천 년 동안 진, 한, 수, 당, 송, 원, 명, 청 등 여러 통일 왕조가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중국 역사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중국 문화는 화약, 종이의 발명, 비단길 개척, 만리장성 건설 등을 통해 크게 발전했으며, 주변 국가 및 멀리 떨어진 지역에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3.4.1. 진·한 제국

진시황은 스스로를 황제라 칭하고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문자, 도량형, 화폐, 도로망 등을 통일하는 강력한 중앙 집권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또한 광시, 광둥, 북부 베트남의 백월 부족을 정복했다. 그러나 가혹한 통치와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해 민심을 잃어 진나라는 15년 만에 멸망했다.
진나라 멸망 후 초한전쟁의 혼란기를 거쳐 유방이 한나라를 건국했다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한나라는 중국 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 중국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족이라는 명칭도 한나라에서 유래했다. 한나라는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중앙아시아, 몽골, 한반도, 윈난까지 군사 원정을 단행했고, 남월로부터 광둥과 북부 베트남을 회복했다. 중앙아시아와 소그디아나 지역 진출은 비단길 육로 개척에 기여했으며, 이를 통해 인도와의 교역로가 히말라야 산맥을 넘던 기존 경로를 대체했다. 한나라 시기 중국은 점차 고대 세계 최대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지방 분권적이었으나 점차 중앙 집권화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진나라의 법가적 제도와 정책은 한나라 정부와 후대 왕조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3.4.2. 위진남북조 시대
후한 말기 혼란 속에서 위, 촉, 오 삼국이 정립하는 삼국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후 진나라가 삼국을 통일했으나, 팔왕의 난과 영가의 난을 거치며 북방 유목민족들이 화북 지방을 점령하는 오호 십육국 시대가 열렸다. 선비족이 세운 북위는 화북을 통일하고 효문제 때 적극적인 한화 정책을 추진했다. 남쪽에서는 동진에 이어 송, 제, 양, 진의 한족 왕조가 명맥을 이었는데,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 한다. 남북조 시대는 분열과 대립의 시기였지만, 한편으로는 민족 융합과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도 했다.
3.4.3. 수·당 제국

581년 수나라가 남북조를 통일하고 다시 중국을 하나로 만들었다. 수나라는 대운하 건설, 과거 제도 정비 등 업적을 남겼으나, 무리한 대외 원정(고구려-수 전쟁)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해 국력을 소모하고 단명했다.
수나라를 이어 당나라(618년 ~ 907년)가 건국되었다. 당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기 중 하나로, 정치, 경제, 문화 모든 면에서 황금기를 이루었다. 수도 장안은 국제적인 대도시로 번성했으며, 비단길을 통해 동서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당나라의 문화는 율령제, 불교, 시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8세기 안사의 난을 계기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고, 907년 절도사들의 발호 속에서 멸망했다.
3.4.4. 송·원 제국
당나라 멸망 후 5대 10국 시대의 혼란기를 거쳐 960년 송나라가 건국되어 중국을 다시 통일했다. 송나라는 문치주의를 표방하여 경제와 문화가 크게 발전했으나, 군사적으로는 북방의 요나라, 서하, 금나라 등 이민족 왕조에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송나라 시기에는 지폐가 처음 사용되었고, 조선 기술과 해상 무역이 발달했다. 나침반, 활자 인쇄술 등 중요한 발명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인구는 1억 명을 넘어섰으며, 성리학이 발달하고 예술과 철학이 융성했다. 그러나 금나라의 침입으로 1127년 수도 개봉이 함락되고 휘종, 흠종 두 황제가 사로잡히는 정강의 변을 겪은 후, 남쪽으로 옮겨가 남송을 세웠다.
13세기 초,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이 발흥하여 서하와 금나라를 차례로 멸망시키고 중국 대륙을 침공했다. 1271년 쿠빌라이 칸은 국호를 원나라로 정하고, 1279년 애산 전투에서 남송을 멸망시켜 중국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원나라는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으나, 몽골인 제일주의 정책과 한족에 대한 차별로 인해 반발을 샀다. 몽골 침략 이전 송나라 인구는 1억 2천만 명이었으나, 1300년 인구 조사에서는 6천만 명으로 급감했다.
3.4.5. 명·청 제국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 등 농민 반란이 거세지자, 주원장은 1368년 원나라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하여 홍무제로 즉위했다. 명나라는 다시 한족 왕조의 시대를 열었으며, 강력한 해군을 바탕으로 정화의 대원정을 통해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까지 진출하며 국위를 떨쳤다. 초기 수도는 난징이었으나, 영락제 때 베이징으로 천도했다. 명나라 시기에는 자본주의의 맹아가 나타났으며, 왕양명과 같은 학자들은 양명학을 통해 개인주의와 사민평등 사상을 제시하며 성리학을 비판하고 확장했다. 그러나 환관의 전횡과 왜구의 침입, 북방 여진족(후금)의 성장 등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자 숭정제는 자결했다. 이 틈을 타 만주족의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와 이자성의 순 왕조를 무너뜨리고 베이징을 점령하여 새로운 통일 왕조를 세웠다.
청나라(1644년 ~ 1912년)는 중국 역사상 마지막 제국 왕조였다. 건국 초기 남명 정권을 진압하고, 삼번의 난을 평정하며 중국 지배를 공고히 했다. 또한 준가르를 정복하여 몽골, 티베트, 신장을 제국의 판도에 편입시켰다. 이 시기 중국의 인구는 다시 증가하여 18세기 말에는 세계에서 가장 상업화된 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의 강건성세 이후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만주족 중심의 통치와 변발 강요 등은 한족의 반감을 샀으며, 문자의 옥을 통해 사상 통제를 강화하고 상업을 억제하는 정책은 사회적, 기술적 정체를 초래하기도 했다.
3.5. 중화민국의 성립과 발전

19세기 중반, 영국 및 프랑스와의 아편 전쟁 패배로 청나라는 홍콩을 할양하고 개항을 강요당하는 등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며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했다. 태평천국의 난, 염군의 난, 회민 봉기 등 대규모 내란으로 국력은 더욱 쇠퇴했다. 1894년~1895년 청일 전쟁 패배로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상실하고 타이완을 일본에 할양했다. 변법자강 운동과 같은 개혁 시도도 무술정변으로 좌절되었고, 1900년 의화단 운동은 8개국 연합군의 베이징 점령을 초래하며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쑨원을 중심으로 혁명 운동이 전개되었고,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여 이듬해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초기에는 위안스카이의 독재와 그 사후 군벌 시대의 혼란이 이어졌다. 5·4 운동을 계기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의식이 고양되었으며, 중국국민당은 제1차 국공 합작을 통해 군벌 세력을 타도하고 북벌을 완수하여 명목상의 통일을 이루었다. 하지만 1927년 상하이 쿠데타로 국공 합작이 결렬되면서 중국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이 시작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일본 제국이 만주를 침략하자, 양당은 제2차 국공 합작을 결성하여 중일 전쟁(1937년 ~ 1945년)을 치렀다. 이 전쟁에서 중국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연합국의 일원으로 승전했다.
3.6.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현대

중일 전쟁이 끝난 후,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 간의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 미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국민당은 민심을 잃고 패퇴를 거듭하여, 결국 1949년 장제스는 중화민국 정부를 이끌고 타이완으로 이전했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 톈안먼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마오쩌둥은 토지 개혁을 단행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58년부터 시작된 대약진 운동은 비현실적인 목표와 정책 실패로 수천만 명의 아사자를 낳는 대기근을 초래했다. 1966년부터 10년간 지속된 문화대혁명은 극심한 사회적 혼란과 정치적 박해, 전통문화 파괴를 야기했다. 이 기간 동안 마오쩌둥 사상에 기반한 대중 동원과 극단적인 계급투쟁이 강조되었다.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에서 중화민국을 대신하여 중국의 대표 자격을 얻고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1972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미국과의 관계가 정상화되기 시작했다.
마오쩌둥 사후, 화궈펑 시기를 거쳐 1978년 덩샤오핑이 실권을 장악하고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이 정책은 농촌에서 가정연산승포책임제를 도입하고 경제특구를 설치하는 등 점진적인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하여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을 이끌었다. 1982년 현행 헌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1989년 민주화와 정치 개혁을 요구하는 톈안먼 시위는 무력으로 진압되어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장쩌민과 주룽지 시기(1990년대)에도 중국은 경제 성장을 지속했으며, 1997년 홍콩, 1999년 마카오를 일국양제 원칙하에 특별행정구로 편입했다.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다.
후진타오와 원자바오 시기(2000년대) 중국은 경제 규모에서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을 차례로 추월하며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급속한 성장은 환경오염, 빈부 격차, 사회적 갈등 심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2012년 집권한 시진핑은 강력한 반부패 운동을 전개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 시진핑 시대 중국은 일대일로 구상을 통해 국제적 영향력 확대를 추구하고 있으며, 중국제조 2025 등 산업 고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신장 위구르 및 티베트의 인권 문제,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등으로 국제 사회의 우려와 비판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대응과 제로 코로나 정책 또한 국내외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4. 지리

중화인민공화국의 국토는 광활하고 다양하며, 북부의 건조한 고비 및 타클라마칸 사막에서부터 남부의 습윤한 아열대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지리적 특징을 보인다. 히말라야, 카라코람, 파미르, 톈산 산맥 등은 중국을 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와 분리한다. 세계에서 각각 3번째와 6번째로 긴 장강과 황하는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인구가 밀집된 동부 해안으로 흐른다. 태평양에 접한 중국의 해안선은 약 1.45 만 km에 달하며, 보하이만, 황해, 동중국해,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중국은 카자흐스탄 국경을 통해 유라시아 스텝과 연결된다.
4.1. 지형과 경관
중국의 영토는 북위 18도에서 54도, 동경 73도에서 135도 사이에 위치하며, 국토의 지리 중심은 북위 35도 50분 40.9초, 동경 103도 27분 7.5초 지점의 국토 중심 기념비로 표시된다. 중국의 지형은 매우 다양하여, 동부의 황해 및 동중국해 연안에는 광활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충적 평야가 발달해 있는 반면, 북부 내몽골 고원 가장자리에는 넓은 초원이 펼쳐져 있다. 중국 남부는 구릉과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동부에는 황하와 장강이라는 두 주요 강의 삼각주가 위치한다. 그 외 주요 강으로는 주강, 메콩강, 브라마푸트라강, 아무르강이 있다. 서쪽에는 히말라야 산맥을 비롯한 주요 산맥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타클라마칸 사막과 고비 사막 같은 건조한 지형의 고원 지대가 북부에 분포한다.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해발 8848 m)은 중국-네팔 국경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낮은 지점인 아이딩호(해발 -154 m)는 투르판 분지에 있다.
4.2. 기후
중국의 기후는 주로 건조한 계절과 습한 계절풍(몬순)의 영향을 받아 겨울과 여름의 기온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겨울에는 고위도 지역에서 불어오는 북풍의 영향으로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저위도 해안 지역에서 불어오는 남풍의 영향으로 따뜻하고 습윤하다.
중국의 주요 환경 문제 중 하나는 고비 사막을 중심으로 한 사막의 지속적인 확장이다. 1970년대부터 조성된 방풍림이 모래폭풍의 빈도를 줄이는 데 기여했지만, 장기간의 가뭄과 부적절한 농업 관행으로 인해 매년 봄 중국 북부 지역에 황사가 발생하여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수질, 토양 침식, 오염 통제는 중국의 대외 관계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빙하가 녹으면서 수억 명의 사람들이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학계에 따르면, 중국의 기후 변화를 1.5 °C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없는 석탄 발전을 2045년까지 단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현재 정책으로는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5년에 정점을 찍고 2030년까지 2022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경로는 여전히 지구 온도 3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농업 생산성에 대한 공식 통계는 하위 정부 수준에서의 생산량 과장으로 인해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된다. 중국의 많은 지역이 농업에 매우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쌀, 밀, 토마토, 가지, 포도, 수박, 시금치 등 많은 작물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2021년 기준, 전 세계 영구 목초지의 12%, 경작지의 8%가 중국에 속해 있다.
4.3. 생물 다양성

중국은 17개의 생물다양성 거대국가 중 하나로, 세계 주요 생물 지리구인 구북구와 동양구 두 곳에 걸쳐 있다. 한 측정 기준에 따르면, 중국에는 34,687종 이상의 동물과 관다발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브라질과 콜롬비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국가이다. 중국은 생물 다양성 협약 당사국이며, 2010년에 국가 생물 다양성 전략 및 행동 계획을 협약에 제출했다.
중국에는 최소 551종의 포유류(세계 3위), 1,221종의 조류(세계 8위), 424종의 파충류(세계 7위), 333종의 양서류(세계 7위)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야생동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서식지를 공유하며 극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 서식지 파괴, 오염, 식량·모피·한약재를 위한 밀렵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해 최소 840종의 동물이 위협받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멸종 위기 야생동물은 법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2005년 기준 중국에는 총 1억 4,995만 헥타르(중국 전체 육지 면적의 15%)를 차지하는 2,349개 이상의 자연보호구가 있다. 대부분의 야생동물은 중국 동부와 중부의 핵심 농경지에서는 사라졌지만, 산악 지형인 남부와 서부에서는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다. 양쯔강돌고래는 2006년 12월 12일 멸종이 확인되었다.
중국에는 32,000종 이상의 관다발식물이 서식하며, 다양한 유형의 숲이 존재한다. 북부 지역에는 한랭 침엽수림이 우세하며, 말코손바닥사슴, 아시아흑곰 등 동물과 120종 이상의 조류가 서식한다. 습윤한 침엽수림의 하층 식생에는 대나무 숲이 있을 수 있다. 고산 지대의 향나무와 주목 군락에서는 대나무 대신 진달래가 자란다. 중국 중부와 남부에 주로 분포하는 아열대림은 수많은 희귀 고유종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인다. 윈난성과 하이난성에 국한된 열대 및 계절성 열대우림에는 중국 전체 동식물 종의 4분의 1이 서식한다. 중국에는 10,000종 이상의 균류가 기록되어 있다.
4.4. 환경 문제

2000년대 초,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환경 악화와 오염 문제에 직면했다. 1979년 환경보호법과 같은 규제는 상당히 엄격하지만, 급속한 경제 발전을 우선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제대로 시행되지 않거나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은 인도에 이어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두 번째로 많은 국가로, 약 100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소(CO{{sub|2}}) 배출국이지만, 1인당 CO{{sub|2}} 배출량은 8톤으로 미국(16.1톤), 호주(16.8톤), 한국(13.6톤) 등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다.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최대 규모이다. 중국은 심각한 수질 오염 문제를 안고 있으며, 2023년 생태환경부 기준으로 전국 지표수 중 인간 소비에 적합한 수질은 89.4%에 불과했다.
중국은 오염 단속을 우선시하여 2010년대 대기오염을 크게 감소시켰다. 2020년 중국 정부는 파리 협정에 따라 2030년 이전에 국가 배출량 정점에 도달하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으며, 이는 기후 행동 추적에 따르면 예상 지구 온도 상승을 0.2~0.3도 낮추는 "기후 행동 추적 역사상 가장 큰 단일 감축량"이다.
중국은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상용화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투자국으로, 2022년에 5,460억 달러를 투자했다. 중국은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의 주요 제조국이며 지역 규모의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과거 석탄과 같은 비재생 에너지원에 크게 의존했던 중국은 최근 몇 년 동안 재생 가능 에너지 도입이 크게 증가하여, 2016년 26.3%에서 2022년 31.9%로 그 비중이 증가했다. 2023년 중국 전력의 60.5%는 석탄(세계 최대 생산국), 13.2%는 수력 발전(최대), 9.4%는 풍력(최대), 6.2%는 태양 에너지(최대), 4.6%는 원자력(세계 2위), 3.3%는 천연가스(세계 5위), 2.2%는 바이오에너지(최대)에서 생산되었으며, 총 에너지의 31%가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서 나왔다. 재생 에너지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세계 석유 시장과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인도 다음으로 2022년 러시아 원유의 최대 수입국이었다. 중국 정부에 따르면, 중국의 삼림 피복률은 1949년 전체 영토의 10%에서 2024년 25%로 증가했다.
4.5. 영토와 국경

중국은 러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은 육지 면적을 가진 국가이며, 총면적으로는 세계에서 세 번째 또는 네 번째로 큰 국가이다. 중국의 총면적은 일반적으로 약 960.00 만 km2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면적 수치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957.29 만 km2, 유엔 인구 통계 연감 및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959.70 만 km2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총 육지 국경(약 2.21 만 km)을 가지고 있으며, 해안선은 압록강 하구에서 통킹만까지 약 1.45 만 km에 이른다. 중국은 14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대부분을 차지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와, 남아시아에서는 인도, 부탄, 네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에서는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과, 그리고 내륙아시아 및 동북아시아에서는 러시아, 몽골, 북한과 국경을 접한다. 남서쪽과 남쪽으로는 방글라데시 및 태국과 약간 떨어져 있으며, 일본,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여러 해상 인접국이 있다.
중국은 14개 인접국 중 12개국과의 육지 국경을 해결했으며, 대부분의 경우 상당한 타협을 추구했다. 현재 중국은 인도 및 부탄과 영토 분쟁 중인 육지 국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영토를 둘러싸고 여러 국가와 해상 분쟁에 연루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와 남중국해 제도 전체가 있다.
5. 정치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공산당(CCP)이 영도하는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중국공산당은 공식적으로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이는 중국 상황에 맞게 조정된 마르크스주의이다. 중국 헌법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노동자 계급이 영도하고 노농 동맹에 기초한 인민민주독재가 통치하는 사회주의 국가"이며, 국가 기관은 "민주집중제 원칙을 실행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결정적인 특징은 중국공산당의 영도"라고 규정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협상 민주주의", "전과정 인민민주"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며 스스로를 민주주의 국가라고 칭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권위주의적 일당제 국가이자 독재 국가로 묘사되며,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사회 단체 결성의 자유, 종교의 자유, 인터넷 접근의 자유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통제를 가하는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프리덤 하우스는 중국을 꾸준히 "자유롭지 않은" 국가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민주주의 지수에서는 2024년 167개국 중 145위로 "권위주의 체제"로 분류되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중국을 단순히 "권위주의적"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중국 정부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협의 메커니즘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5.1.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당장에 따르면, 당의 최고 기관은 5년마다 열리는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이다. 전국대표대회는 중앙위원회를 선출하고, 중앙위원회는 다시 당의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그리고 국가 최고 지도자인 총서기를 선출한다. 총서기는 당과 국가에 대한 궁극적인 권력과 권한을 가지며, 비공식적인 최고지도자 역할을 수행한다. 현 총서기는 시진핑으로, 2012년 11월 15일에 취임했다. 지방 차원에서는 각 행정 구역의 공산당 위원회 서기가 해당 지역 정부 수장보다 상위에 있으며, 성급 공산당 위원회 서기는 성장보다, 시급 공산당 위원회 서기는 시장보다 높은 지위를 갖는다.
5.2. 국가 기구

중공중앙총서기 겸 국가주석

국무원 총리

전인대 상무위원장

정협 전국위 주석
중국의 정부는 중국공산당(CCP)의 단독 통제하에 있다. CCP는 정부 기관의 인사를 통제하며, 대부분의 고위 정부 관리는 CCP 당원이다.
약 3,000명으로 구성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헌법상 "최고 국가권력기관"이지만, "고무도장" 기구로 묘사되기도 한다. 전인대는 매년 회의를 개최하며, 전인대 대표 중에서 선출된 약 150명의 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들은 몇 달에 한 번씩 회의를 갖는다. 선거는 간접적이고 다원적이지 않으며, 모든 수준의 후보 지명은 CCP가 통제한다. 전인대는 CCP가 장악하고 있으며, 다른 8개의 소수 정당은 CCP의 영도를 지지하는 조건 하에 명목상의 대표성을 가진다.
대통령은 전인대에서 선출된다. 대통령직은 의례적인 국가 대표이지만, 헌법상 국가 원수는 아니다. 현 대통령은 시진핑으로, 그는 또한 CCP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여 중국의 최고지도자이자 군 최고사령관이다. 총리는 정부수반으로, 현 총리는 리창이다. 총리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이 지명하고 전인대에서 선출되며, 일반적으로 정치국 상무위원회(PSC)의 서열 2위 또는 3위 위원이다. 총리는 국무원, 즉 중국 내각을 주재하며, 국무원은 4명의 부총리, 국무위원, 각 부처 및 위원회 수장으로 구성된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는 중국의 "통일전선" 체제에서 중요한 정치 자문 기구로, 비CCP 인사들을 모아 CCP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민대표대회와 마찬가지로 정협도 다양한 하위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정협 전국위원회는 PSC 서열 4위 위원인 왕후닝이 주석을 맡고 있다.
중국의 통치 방식은 고도의 정치적 중앙집권화와 상당한 경제적 분권화가 특징이다. 정책 도구나 과정은 종종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전에 지방 차원에서 시험되며, 이는 실험과 피드백을 포함하는 정책으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중앙 정부 지도부는 구체적인 정책 초안 작성은 자제하고, 비공식 네트워크와 현장 방문을 통해 지방 정책 실험이나 시범 프로그램의 방향을 확인하거나 변경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지방 차원에서 정책이 개발된 후 중앙 정부 지도부가 공식적인 정책, 법률 또는 규정 초안 작성을 시작하는 것이다.
5.3. 행정 구역
중화인민공화국은 헌법상 단일 국가로, 23개의 성, 5개의 자치구(각각 소수 민족 지정), 4개의 직할시(총칭하여 "중국 대륙"이라 칭함), 그리고 홍콩과 마카오라는 특별행정구(SAR)로 구성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섬을 타이완성으로, 진먼과 마쭈를 푸젠성의 일부로, 그리고 중화민국이 남중국해에서 통제하는 섬들을 하이난성과 광둥성의 일부로 간주하지만, 이 모든 영토는 중화민국(ROC)이 통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중국 대륙의 31개 성급 행정 구역은 화북, 화동, 서남, 서북, 중남, 동북의 6개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성 (省중국어 (한자)) |
>- | 주장하는 성 | |||||||||||||||||||||||||||||||||||||||||||||||||||||||||||||||||||||||||||||||||||||||||||||||||||||||||||||||||||||||||||||||||
---|---|---|---|---|---|---|---|---|---|---|---|---|---|---|---|---|---|---|---|---|---|---|---|---|---|---|---|---|---|---|---|---|---|---|---|---|---|---|---|---|---|---|---|---|---|---|---|---|---|---|---|---|---|---|---|---|---|---|---|---|---|---|---|---|---|---|---|---|---|---|---|---|---|---|---|---|---|---|---|---|---|---|---|---|---|---|---|---|---|---|---|---|---|---|---|---|---|---|---|---|---|---|---|---|---|---|---|---|---|---|---|---|---|---|---|---|---|---|---|---|---|---|---|---|---|---|---|---|---|---|---|
자치구 (自治区중국어 (한자)) |
>- | 직할시 (直辖市중국어 (한자)) |
>- | 특별행정구 (特别行政区중국어 (한자)) |
>} |
순위 | 도시 | 성급행정구 | 도시 인구 | 관할 인구 | 지역 |
---|---|---|---|---|---|
1 | 상하이 | 상하이시 | 22,206,000 | 24,870,895 | 화동 |
2 | 베이징 | 베이징시 | 18,905,000 | 21,893,095 | 화북 |
3 | 광저우 | 광둥성 | 16,095,000 | 18,676,605 | 중남 |
4 | 선전 | 광둥성 | 15,905,000 | 17,560,061 | 중남 지구 |
5 | 충칭 | 충칭시 | 15,075,000 | 32,054,195 | 서남 |
6 | 청두 | 쓰촨성 | 12,200,000 | 20,937,757 | 서남 지구 |
7 | 톈진 | 톈진시 | 11,050,000 | 13,866,009 | 화북 지구 |
8 | 우한 | 후베이성 | 9,950,000 | 12,326,518 | 중남 지구 |
9 | 둥관 | 광둥성 | 9,644,871 | 10,466,625 | 중남 지구 |
10 | 항저우 | 저장성 | 9,236,032 | 11,936,010 | 화동 지구 |
11 | 포산 | 광둥성 | 9,042,501 | 9,498,863 | 중남 지구 |
12 | 난징 | 장쑤성 | 7,935,000 | 9,314,685 | 화동 지구 |
13 | 정저우 | 허난성 | 7,775,000 | 12,600,574 | 중남 지구 |
14 | 선양 | 랴오닝성 | 7,665,000 | 9,070,093 | 동북 |
15 | 칭다오 | 산둥성 | 6,975,000 | 10,071,722 | 화동 지구 |
16 | 하얼빈 | 헤이룽장성 | 6,360,991 | 10,009,854 | 동북 지구 |
17 | 시안 | 산시성 | 6,325,000 | 12,952,907 | 서북 |
18 | 창사 | 후난성 | 6,025,000 | 10,047,914 | 중남 지구 |
19 | 지난 | 산둥성 | 5,925,000 | 9,202,432 | 화동 지구 |
20 | 다롄 | 랴오닝성 | 5,587,815 | 7,450,765 | 동북 지구 |
12. 민족

중국은 공식적으로 중화민족을 구성하는 56개의 민족을 인정한다. 이 중 가장 큰 민족은 한족으로, 전체 인구의 91% 이상을 차지한다. 한족은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민족 집단으로, 티베트, 신장, 린샤, 시솽반나와 같은 자치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다른 민족보다 수가 많다. 소수 민족은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중국 인구의 10% 미만을 차지한다. 2010년 인구 조사와 비교하여 한족 인구는 60,378,693명(4.93%) 증가한 반면, 55개 소수 민족의 인구는 총 11,675,179명(10.26%) 증가했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중국 본토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총 845,697명으로 기록되었다.
13. 언어와 문자
중국에는 약 292개의 현용어가 존재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의 중국어파에 속하며, 여기에는 관화(인구의 80%가 사용), 그리고 다른 종류의 중국어: 진어, 오어, 민어, 객가어, 월어, 상어, 공어, 후이어, 핑화, 그리고 미분류 투화(사오저우 투화 및 샹난 투화)가 포함된다.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들, 예를 들어 티베트어, 창어, 나시어, 이어는 티베트 및 윈구이 고원 전역에서 사용된다. 중국 남서부의 다른 소수 민족 언어로는 좡어, 태국어, 동어, 수이어 등 타이카다이어족 언어, 몽몐어족의 먀오어 및 야오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와어가 있다. 동북부와 서북부 전역에서 현지 소수 민족들은 만주어, 몽골어 및 여러 튀르크어: 위구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살라르어, 서부 유구르어를 포함한 알타이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한국어는 북한과의 국경을 따라 모국어로 사용된다. 신장 서부 타지크족의 언어인 사리콜리어는 인도유럽어족이다. 대만 원주민은 본토의 소수 인구를 포함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베이징 방언의 관화에 기반을 둔 표준 중국어는 중국의 국가 언어이며, 사실상의 공용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서로 다른 언어 배경을 가진 사람들 사이의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다. 자치구에서는 다른 언어가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신장에서는 위구르어가 사용되며, 위구르어 정부 서비스는 헌법에 의해 보장된다.
14. 종교

중국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공식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종교 단체는 국가의 박해를 받을 수 있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무신론 국가이다. 국내 종교 문제와 사안은 통일전선공작부 산하 국가종교사무국이 감독한다.
수천 년 동안 중국 문명은 다양한 종교 운동의 영향을 받아왔다. 유교, 도교, 불교의 "세 가지 가르침"은 역사적으로 중국 문화를 형성했으며, 초기 상나라와 주나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 종교의 신학적, 정신적 틀을 풍요롭게 했다. 세 가지 가르침과 다른 전통에 의해 형성된 중국 민간신앙은 주변 자연의 신이나 인간 집단의 조상 원리, 문명 개념, 문화영웅(이들 중 다수는 중국 신화와 역사에 등장)이 될 수 있는 신들에 대한 충성으로 구성된다. 민간신앙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숭배 대상으로는 하늘의 신이자 중국인의 두 신성한 족장 중 하나인 황제, 마조(바다의 여신), 관우(전쟁과 사업의 신), 재물신, 반고 등이 있다. 21세기 초, 중국 정부는 민간 숭배를 공식적으로 종교 교리와 구별되는 "민간 신앙"으로 인정하고, 종종 이를 "고도로 선별된" 시민 종교 형태로 재구성하는 등 민간 숭배의 재건과 불교의 국내외 홍보에 참여해왔다. 중국에는 중국 민간신앙의 신이나 불교의 깨달은 존재를 형상화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종교 조각상이 많이 있으며, 그중 가장 높은 것은 허난성의 중원대불이다.

중국의 종교 소속에 대한 통계는 종교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의와 중국 종교 전통의 확산적 특성으로 인해 수집하기 어렵다. 학자들은 중국에서 세 가지 교리와 지역 민간 종교 관습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고 지적한다. 중국 종교 또는 그 일부 흐름은 신의 창조성이 완전히 초월적인 것이 아니라 세상, 특히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비신론적이고 인문주의적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2010년대와 2020년대 초에 걸쳐 수행된 인구 통계 분석을 종합한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70%가 중국 민간신앙을 믿거나 실천했으며, 이들 중 비배타적인 접근 방식으로 33.4%는 불교 신자, 19.6%는 도교 신자, 17.7%는 다른 유형의 민간신앙 신자로 식별될 수 있다. 나머지 인구 중 25.2%는 완전한 비신자 또는 무신론자, 2.5%는 기독교 신자, 1.6%는 이슬람교 신자이다. 중국 민간신앙은 또한 송나라 이후 등장한 다양한 교리적 구원 운동을 포함한다. 중국에는 자신들의 토착 종교를 유지하는 소수 민족도 있으며, 특정 소수 민족의 특징적인 주요 종교로는 티베트인, 몽골인, 유구르족 사이의 티베트 불교, 후이족, 위구르족,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및 기타 북부 및 북서부 지역 민족들 사이의 이슬람교가 있다.
15. 교육

중국의 의무 교육은 초등학교와 중학교로 구성되며, 만 6세부터 15세까지 총 9년 동안 이루어진다. 가오카오는 중국의 전국 대학 입학시험으로,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 입학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직업 교육은 중등 및 고등 수준의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중국 학생들이 직업 대학을 졸업한다. 2023년에는 약 91.8%의 학생들이 3년제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계속했으며, 중등학교 졸업생의 60.2%가 고등 교육 기관에 등록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교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2억 9,100만 명의 학생과 1,892만 명의 전임 교사가 498,300개 이상의 학교에 재학 중이다. 연간 교육 투자는 2003년 500억 달러 미만에서 2020년 8,17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교육 지출에는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2010년 베이징의 중학생 1인당 연간 교육 지출액은 20,023위안이었지만, 가장 가난한 성 중 하나인 구이저우성에서는 3,204위안에 불과했다. 중국의 식자율은 1949년 20%, 1979년 65.5%에서 2020년 15세 이상 인구의 97%로 극적으로 증가했다.
2023년 기준, 중국에는 3,074개 이상의 대학이 있으며, 중국 본토에 4,760만 명 이상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어 세계에서 가장 큰 고등 교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중국은 최고 대학 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현재 중국은 세계 3대 대학 순위 시스템(ARWU+QS+THE)의 종합 순위 시스템인 2023년 최고 대학 종합 순위에 따르면 상위 200개 대학 목록에서 미국과 영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는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와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 따르면 아시아 및 신흥 경제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두 개의 대학(칭화 대학 및 베이징 대학)이 있다. 이들 대학은 종합적이고 선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엘리트 중국 대학 연합인 C9 리그 회원이다.
16. 보건 의료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지방 위원회와 함께 인구의 건강 요구를 감독한다. 공중 보건과 예방 의학에 대한 강조는 1950년대 초부터 중국 보건 정책의 특징이었다. 공산당은 위생 및 청결 개선, 여러 질병 치료 및 예방을 목표로 하는 애국위생운동을 시작했다. 이전 중국에서 만연했던 콜레라, 장티푸스, 성홍열과 같은 질병은 이 운동으로 거의 근절되었다.
1978년 덩샤오핑이 경제 개혁을 단행한 후, 중국 국민의 건강은 영양 개선으로 급속히 향상되었지만, 농촌에서 제공되던 많은 무료 공중 보건 서비스는 사라졌다. 중국의 의료는 대부분 민영화되었고 질적으로 상당한 향상을 경험했다. 2009년 정부는 1,240억 달러 규모의 3개년 대규모 의료 제공 계획을 시작했다. 2011년까지 이 캠페인을 통해 중국 인구의 95%가 기본 건강 보험 혜택을 받게 되었다. 2022년까지 중국은 주요 제약 생산국 및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2017년에는 전 세계 유효 제약 성분의 약 40%를 생산했다.
2023년 기준, 출생 시 기대 수명은 78세를 초과한다. 2021년 기준, 영아 사망률은 1,000명당 5명이다. 두 지표 모두 1950년대 이후 크게 개선되었다. 발육 부진, 즉 영양실조로 인한 질환 발생률은 1990년 33.1%에서 2010년 9.9%로 감소했다. 보건 분야의 상당한 개선과 첨단 의료 시설 건설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광범위한 대기오염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수억 명의 흡연자, 도시 청소년의 비만 증가 등 여러 가지 새로운 공중 보건 문제에 직면해 있다. 2010년 대기오염으로 인해 중국에서 120만 명이 조기 사망했다. 중국의 정신 건강 서비스는 부적절하다. 중국의 많은 인구와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들은 2003년 사스와 같이 심각한 질병 발생으로 이어졌지만, 그 이후로는 대체로 억제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2019년 12월 우한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해 정부는 바이러스를 완전히 근절하기 위한 엄격한 공중 보건 조치를 시행했으나, 정책에 대한 시위 이후 2022년 12월에 결국 포기했다.
17. 문화


고대부터 중국 문화는 유교의 큰 영향을 받아왔다. 중국 문화는 다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왕조 시대 대부분 동안 사회적 성공 기회는 과거 시험에서의 우수한 성적을 통해 제공되었으며, 이는 한나라 시대에 기원한다. 시험의 문학적 강조는 서예, 시, 그림이 춤이나 연극보다 우월한 예술 형식이라는 믿음과 같이 중국 문화적 세련됨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문화는 오랫동안 깊은 역사 의식과 대체로 내향적인 국가적 관점을 강조해왔다. 시험과 능력주의 문화는 오늘날 중국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오늘날 중국 정부는 수많은 전통 중국 문화 요소를 중국 사회에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민족주의의 부상과 문화대혁명 종식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전통 중국 예술, 문학, 음악, 영화, 패션, 건축이 활발하게 부활했으며, 특히 민속 예술과 버라이어티 예술은 국내외적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외국 미디어에 대한 접근은 여전히 엄격하게 제한된다.
17.1. 전통 문화
중국의 전통 문화는 유교 사상, 중국 전통 명절, 서예, 경극 등 다양한 유산을 포함한다. 유교는 수천 년 동안 중국 사회의 윤리적, 철학적 기반을 형성해 왔으며, 가족 관계, 사회 질서, 교육을 중시하는 가치를 강조한다. 춘절(설날), 단오절, 중추절과 같은 전통 명절은 중국인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각 명절마다 고유한 풍습과 음식이 전해진다. 서예는 단순한 글씨 쓰기를 넘어 예술의 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문인들의 중요한 소양으로 여겨졌다. 경극은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연극으로, 화려한 의상과 분장, 독특한 창법과 몸짓으로 중국인의 희로애락을 표현한다. 이러한 전통 문화는 오늘날에도 중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17.2. 문학
중국 문학은 주나라의 문학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중국 고전은 역법, 군사, 점성술, 약초학, 지리학 등 광범위한 사상과 주제를 포괄한다. 가장 중요한 초기 작품 중에는 사서오경의 일부인 주역과 서경이 있다. 이 문헌들은 왕조 시대 내내 국가가 후원하는 유교 교육 과정의 초석이었다. 시경에서 계승된 고전 한시는 당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이백과 두보는 각각 낭만주의와 사실주의를 통해 시단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 중국 역사학은 사기로 시작되었으며, 중국 역사학 전통의 전체 범위는 이십사사로 불리며, 이는 중국 신화 및 중국 민담과 함께 중국 소설의 광대한 무대를 마련했다. 명나라 시대에 신흥 시민 계층의 지지를 받아 중국 고전 소설은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홍루몽으로 대표되는 역사, 도시, 신마소설 장르의 호황을 누렸다. 김용과 양우생의 무협 소설과 함께, 이는 중화권 대중문화의 지속적인 원천으로 남아 있다.
청나라 말기 신문화운동의 여파로 중국 문학은 일반 시민을 위한 백화문으로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후스와 루쉰은 현대 문학의 선구자였다. 문화대혁명 이후 몽롱시, 상흔문학, 청소년 문학, 심근문학(마술적 사실주의의 영향을 받음) 등 다양한 문학 장르가 등장했다. 심근문학 작가인 모옌은 20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7.3. 예술
중국의 전통 예술은 회화, 음악, 공예,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특한 특징을 발전시켜 왔다. 중국 전통 회화는 주로 산수화와 화조화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자연과의 조화와 정신적인 경지를 추구했다. 전통 음악은 고금, 비파와 같은 악기를 사용하여 우아하고 서정적인 선율을 표현했다. 중국 공예는 도자기, 옥공예, 칠기 등 다양한 재료와 기술을 활용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작품들을 만들어냈다. 자금성, 만리장성과 같은 웅장한 건축물들은 중국 전통 건축의 뛰어난 기술과 예술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통 예술은 현대 중국 예술가들에게도 지속적인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으며, 현대적인 감각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17.3.1. 음악
중국 음악은 전통 음악에서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음악을 포괄한다. 중국 음악은 제국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의 전통 악기는 전통적으로 팔음(八音)으로 알려진 8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전통 중국 경극은 수천 년 전부터 시작된 중국의 음악 극 형태로, 베이징 및 광둥 오페라와 같은 지역적 양식을 가지고 있다. 중국 대중음악(C-Pop)에는 만다린팝과 칸토팝이 포함된다. 중국 힙합과 홍콩 힙합은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17.3.2. 미술
중국의 시각 예술은 전통 회화, 조각, 서예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중국 전통 회화는 주로 수묵을 사용하여 자연 풍경이나 인물, 동식물을 그리는 산수화, 인물화, 화조화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조각은 불상, 능묘 석상, 옥공예품 등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시대별 특징을 반영한다. 서예는 한자를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단순한 기록 수단을 넘어 정신 수양의 방법이자 중요한 예술 장르로 여겨졌다. 이러한 전통 미술은 역사적으로 중국인의 미의식과 정신세계를 반영하며, 현대 중국 미술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작가와 작품으로는 동진의 고개지와 그의 "여사잠도", 당나라의 오도현과 그의 벽화, 송나라의 장택단과 그의 "청명상하도" 등이 있다.
17.3.3. 건축
중국 전통 건축은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동아시아 건축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본, 한국, 몽골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건축(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포함)에도 약간의 영향을 미쳤다.
중국 건축은 좌우 대칭, 밀폐된 개방 공간 사용, 풍수(예: 방향성 계층 구조), 수평적 강조, 다양한 우주론적, 신화적 또는 일반적인 상징적 요소에 대한 암시를 특징으로 한다. 중국 건축은 전통적으로 탑에서 궁궐에 이르기까지 유형에 따라 구조물을 분류한다.
중국 건축은 황제, 평민 또는 종교적 목적으로 건축되었는지 여부와 같이 지위나 소속에 따라 크게 다르다. 중국 건축의 다른 변형은 남쪽의 수상가옥, 북서쪽의 야오동 건물, 유목민의 유르트 건물, 북쪽의 사합원 건물과 같이 다양한 지리적 지역 및 다양한 민족 유산과 관련된 토착 양식으로 나타난다.
17.4. 음식

중국 요리는 수천 년의 요리 역사와 지리적 다양성을 바탕으로 매우 다양하며, 그중 가장 영향력 있는 요리는 쓰촨, 광둥, 장쑤, 산둥, 푸젠, 후난, 안후이, 저장 요리를 포함한 "8대 요리"로 알려져 있다. 중국 요리는 다양한 조리법과 재료로 유명하다. 중국의 주식은 북동부와 남부에서는 쌀, 북부에서는 밀을 기반으로 한 빵과 국수이다. 두부와 두유와 같은 콩 제품은 여전히 인기 있는 단백질 공급원이다. 돼지고기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육류로, 전국 총 육류 소비량의 약 4분의 3을 차지한다. 불교 요리와 돼지고기가 없는 중국 이슬람 요리도 있다. 중국 요리는 바다와 가깝고 기후가 온화하여 해산물과 채소가 매우 다양하다. 홍콩 요리와 미국식 중국 요리와 같은 중국 음식의 파생 요리는 중국인 디아스포라에서 등장했다.
17.5. 영화와 대중문화
1896년 중국에 처음으로 영화가 소개되었고, 1905년 최초의 중국 영화인 정군산이 개봉되었다. 중국은 2016년부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세계 최대 영화 시장이 되었다. 2023년 기준 중국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 세 편은 장진호(2021), 전랑 2(2017), 안녕, 리환잉(2021)이다. 중국 영화 산업은 국내외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베이징 국제 영화제, 상하이 국제 영화제 등 주요 영화제를 통해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류와 같은 외국 대중문화도 중국 젊은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는 중국 대중문화의 다양성과 국제적 교류를 보여준다.
17.6. 스포츠
중국은 가장 오래된 스포츠 문화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서주 시대에 활쏘기(사전, 射箭)가 행해졌다는 증거가 있다. 검술(검술, 劍術)과 축국(축국, 蹴鞠, 축구와 느슨하게 관련된 스포츠) 또한 중국 초기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체 단련은 중국 문화에서 널리 강조되며, 기공과 태극권과 같은 아침 운동이 널리 행해지고, 상업용 체육관과 개인 피트니스 클럽이 인기를 얻고 있다. 농구는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람 스포츠이다. 중국 농구 협회와 미국 전미 농구 협회 또한 중국 대중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중국 태생의 NBA 진출 선수들과 야오밍, 이젠롄과 같은 유명 선수들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의 프로 축구 리그인 중국 슈퍼리그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축구 시장이다. 다른 인기 있는 스포츠로는 무술, 탁구, 배드민턴, 수영, 스누커가 있다. 중국은 2012년 기준 약 4억 7천만 대의 자전거를 보유한 자전거 이용자가 매우 많은 나라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e스포츠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용선 경주, 몽골식 씨름, 경마와 같은 더 많은 전통 스포츠도 인기가 있다.
중국은 1932년부터 올림픽에 참가해왔지만, 중화인민공화국으로서는 1952년부터 참가했다. 중국은 베이징에서 200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선수단은 그해 참가국 중 가장 많은 48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은 또한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총 231개의 메달(금메달 95개 포함)을 획득하여 최다 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에는 선전에서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했다. 중국은 톈진에서 2013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를, 난징에서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을 개최하여 일반 올림픽과 청소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베이징과 인근 도시 장자커우는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공동 개최하여, 베이징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최초의 이중 올림픽 도시가 되었다. 중국은 1990년(베이징), 2010년(광저우), 2023년(항저우)에 아시안 게임을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