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개인 배경
흐리스토 아타나소프 보네프는 1947년 2월 3일 불가리아 플로브디프에서 태어났다. 그의 별명은 '주마'(Зума불가리아어)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선수 경력
흐리스토 보네프는 1964년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한 이래 주로 이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불가리아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도 자리매김했다.

2.1. 클럽 경력
보네프는 1964년에 고향팀인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보냈다. 그는 1967년 CSKA 소피아에서 잠시 활동한 것을 제외하고 1981년까지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에서 뛰었다.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시절 그는 팀의 스타 플레이어로 성장하며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1979년(또는 1981년)에는 그리스로 건너가 AEK 아테네에 입단했다. 그러나 무릎 부상으로 인해 1년 반 동안 10번의 공식 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치며 활약은 미미했다. 그는 1982년 여름 부상으로 팀을 떠났는데, 잉글랜드 옥스퍼드 유나이티드에서 더 나은 조건의 입단 테스트를 제안받아 그곳으로 향했다. 하지만 옥스퍼드에서도 무릎 부상이 재발하여 프리시즌 친선 경기 3회 출전에 그쳤고, 결국 영국에서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보네프는 37세가 되던 1984년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로 돌아와 선수 경력을 마쳤다. 그는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소속으로 불가리아 1부 리그에서 404경기에 출전하여 180골을 기록했으며, UEFA컵에서도 14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넣었다. 클럽 경력 동안 그는 1983년 소련군 컵에서 우승했으며, 1973년 불가리아 리그 준우승과 1969년, 1974년 두 번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의 주요 클럽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59-1967: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64경기 19골)
- 1967-1968: CSKA 소피아 (6경기 5골)
- 1968-1979: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337경기 161골)
- 1979-1981: AEK 아테네 (10경기 0골)
- 1982-1984: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6경기 0골)
2.2. 국제 경력
보네프는 1967년부터 1979년까지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96경기에 출전하여 48골을 기록하며, 불가리아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1970 FIFA 월드컵과 1974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조국을 대표했다.
1970년 FIFA 월드컵에서는 페루를 상대로 1골을 득점했으며, 197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우루과이를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
2.3. 국제골 목록
다음은 흐리스토 보네프가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경기에서 기록한 득점 목록이다.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68년 10월 9일 | 미타트파샤 스타디움, 이스탄불, 튀르키예 | 튀르키예 | 2-0 | 2-0 | 친선 경기 |
2 | 1968년 10월 27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네덜란드 | 1-0 | 2-0 | 1970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3 | 1969년 6월 15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폴란드 | 1-0 | 4-1 | 1970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4 | 1969년 10월 22일 | 스타디온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네덜란드 | 네덜란드 | 1-1 | 1-1 | 1970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5 | 1969년 12월 7일 | 조지 바르텔 경기장, 룩셈부르크시,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 3-1 | 3-1 | 1970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6 | 1970년 5월 5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소련 | 3-2 | 3-3 | 친선 경기 |
7 | 1970년 6월 2일 | 에스타디오 레온, 레온, 멕시코 | 페루 | 2-0 | 2-3 | 1970 FIFA 월드컵 |
8 | 1971년 6월 9일 | 울레볼 스타디온, 오슬로, 노르웨이 | 노르웨이 | 1-0 | 4-1 | UEFA 유로 1972 예선 |
9 | 4-0 | |||||
10 | 1971년 9월 7일 | 그륀발더 슈타디온, 뮌헨, 독일 | 서독 아마추어 | 1-3 | 1-3 | 친선 경기 |
11 | 1971년 10월 27일 | 스타디오눌 나치오날,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루마니아 | 1-1 | 1-1 | 비공식 친선 경기 |
12 | 1971년 11월 10일 | 스타드 마르셀 소팽, 낭트, 프랑스 | 프랑스 | 1-0 | 1-2 | UEFA 유로 1972 예선 |
13 | 1971년 11월 24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스페인 | 7-3 | 8-3 |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예선 |
14 | 1972년 3월 24일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스타디움, 소피아, 불가리아 | 소련 | 1-1 | 1-1 | 친선 경기 |
15 | 1972년 4월 16일 | 스타디온 베로에, 스타라자고라, 불가리아 | 폴란드 | 1-1 | 3-1 |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예선 |
16 | 3-1 | |||||
17 | 1972년 5월 31일 | 에스타디오 엘 플란티오, 부르고스, 스페인 | 스페인 | 1-1 | 3-3 | 197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예선 |
18 | 1972년 6월 21일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스타디움, 소피아, 불가리아 | 이탈리아 | 1-0 | 1-0 | 친선 경기 |
19 | 1972년 10월 18일 | 스타디온 베로에, 스타라자고라, 불가리아 | 북아일랜드 | 1-0 | 3-0 | 1974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20 | 3-0 | |||||
21 | 1972년 11월 19일 | 치리오 스타디움, 리마솔, 키프로스 | 키프로스 | 3-0 | 4-0 | 1974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22 | 4-0 | |||||
23 | 1973년 1월 31일 | 니코스 구마스 스타디움, 아테네, 그리스 | 그리스 | 2-2 | 2-2 | 친선 경기 |
24 | 1973년 5월 2일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스타디움, 소피아, 불가리아 | 포르투갈 | 2-0 | 2-1 | 1974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25 | 1973년 10월 13일 | 이스타디우 다 루스, 리스본, 포르투갈 | 포르투갈 | 1-1 | 2-2 | 1974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26 | 2-1 | |||||
27 | 1974년 2월 6일 | 모르푸 시립 경기장, 모르푸, 키프로스 | 키프로스 | 2-1 | 4-1 | 1974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28 | 3-1 | |||||
29 | 4-1 | |||||
30 | 1974년 2월 8일 | 알사다카 왈살람 경기장, 쿠웨이트시, 쿠웨이트 | 쿠웨이트 | 2-0 | 3-1 | 친선 경기 |
31 | 1974년 2월 10일 | 알사다카 왈살람 경기장, 쿠웨이트시, 쿠웨이트 | 쿠웨이트 | 1-1 | 2-1 | 친선 경기 |
32 | 2-1 | |||||
33 | 1974년 3월 31일 | Z.T.E. 스타디온, 잘라에게르세그, 헝가리 | 헝가리 | 1-3 | 1-3 | 친선 경기 |
34 | 1974년 5월 8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튀르키예 | 1-0 | 5-1 | 1973-76 발칸컵 |
35 | 2-0 | |||||
36 | 1974년 5월 25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6-1 | 친선 경기 |
37 | 5-0 | |||||
38 | 6-1 | |||||
39 | 1974년 6월 19일 | 니더작센슈타디온, 하노버, 독일 | 우루과이 | 1-0 | 1-1 | 1974 FIFA 월드컵 |
40 | 1974년 10월 13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그리스 | 1-0 | 3-2 | UEFA 유로 1976 예선 |
41 | 1975년 6월 11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몰타 | 4-0 | 5-0 | UEFA 유로 1976 예선 |
42 | 1976년 1월 25일 |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일본 | 일본 | 1-1 | 3-1 | 친선 경기 |
43 | 1976년 1월 28일 | 나가이 육상 경기장, 오사카, 일본 | 일본 | 1-0 | 1-1 | 친선 경기 |
44 | 1976년 5월 5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3-0 | 친선 경기 |
45 | 2-0 | |||||
46 | 1976년 9월 22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튀르키예 | 1-0 | 2-2 | 친선 경기 |
47 | 1976년 10월 9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경기장, 소피아, 불가리아 | 프랑스 | 1-2 | 2-2 | 1978 FIFA 월드컵 지역 예선 |
48 | 1979년 4월 25일 | 엘 모누멘탈,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 1-1 | 1-2 | 친선 경기 |
3. 감독 경력
흐리스토 보네프는 선수 은퇴 전인 1983년부터 1985년까지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은퇴 후 그는 정식 감독으로 전환하여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그의 주요 감독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83-1985: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 1987-1988: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 1988-1990: 파나티나이코스 (그리스)
- 1990-1993: AEL FC (그리스)
- 1993-1994: 이오니코스 (그리스)
- 1994-1996: APOEL (키프로스)
- 1996-1998: 불가리아 대표팀
- 1997-1998: 로코모티프 소피아 (불가리아)
- 2000: FC 작센 라이프치히 (독일)
- 2010: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감독으로서 보네프는 1988년 그리스의 파나티나이코스 감독으로 부임하여 1990년 그리스 수페르리가 우승을 이끌었으며, 그해 그리스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이후 AEL에서 세 시즌을 보냈고, 이오니코스에서는 그리스 수페르리가 2 우승을 차지하며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리스를 떠난 후 1995년 키프로스 팀인 APOEL의 감독을 맡아, 부임 첫해인 1995년 키프로스 컵 우승을 달성하고 이듬해에는 리그와 컵 우승을 동시에 거머쥐었다.
1996년에는 고국으로 돌아와 로코모티프 소피아의 감독을 지낸 후,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1998 FIFA 월드컵 본선에 팀을 진출시켰다. 프랑스에서 열린 월드컵 본선에서는 3경기에서 1무만을 거두며 실망스러운 결과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이어갔다. 그러나 1998년 9월 UEFA 유로 2000 예선 첫 경기에서 폴란드에 0-3으로 패한 후, 그는 "나는 팀을 내가 할 수 있는 한도까지 이끌었다고 믿으며, 이제는 선수들이 결과를 개선할 수 있기를 바라는 다른 사람에게 반응해야 할 때이다"라고 말하며 사임했다.
2000년에는 독일의 FC 작센 라이프치히를 지도했으며, 2010년에는 다시 고향팀인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의 감독을 맡으며 경력을 마무리했다.
4. 수상 및 업적
흐리스토 보네프는 선수 및 감독 경력 전반에 걸쳐 수많은 상과 인정을 받았다.
4.1. 선수 시절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 소련군 컵: 1983년
- 불가리아 1부 리그 준우승: 1973년
- 불가리아 1부 리그 동메달: 1969년, 1974년
4.2. 감독 시절
파나티나이코스
- 그리스 수페르리가: 1989-90 시즌
이오니코스
- 그리스 수페르리가 2: 1993-94 시즌
APOEL
- 키프로스 1부 리그: 1995-96 시즌
- 키프로스 컵: 1994-95 시즌, 1995-96 시즌
4.3. 개인 수상
- 불가리아 올해의 축구 선수: 1967년, 1969년, 1971년, 1972년, 1973년
- 20세기 최고의 불가리아 축구 선수 3위
- 20세기 플로브디프 최고의 축구 선수
- 스타라 플라니나 훈장 1등급
- 플로브디프 명예 시민
- 그리스 올해의 감독: 1989-90 시즌
5. 유산과 평가
흐리스토 보네프는 불가리아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구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뛰어난 비전과 기술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와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세운 기록들은 그를 전설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선수 은퇴 후 감독으로서도 성공적인 경력을 이어가며 불가리아 및 그리스, 키프로스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플로브디프시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는 등 축구계를 넘어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