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크리스토퍼 벤자민 룽캇(Christopher Benjamin Rungkat영어, 1990년 1월 14일 자카르타 출생)은 인도네시아의 테니스 선수이다. 그는 오른손잡이이며 양손 백핸드를 사용한다. 2008년, 그는 프랑스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 부문에서 핀란드의 앙리 콘티넨과 팀을 이루어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룽캇은 앙헬리크 위자자에 이어 그랜드 슬램 주니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두 번째 인도네시아 테니스 선수이다. 또한, 그는 인도네시아 올챔피언(All Indonesian Champion) 타이틀을 획득한 역대 최연소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2008년 인도네시아 최고 유망주 선수로 선정되었다. 프로 전향 후, 룽캇은 2010년 6월 타라칸 오픈 국제 남자 퓨처스 토너먼트에서 첫 국제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20년 2월에는 프로 전향 13년 만에 안드레 예란손과 함께 첫 ATP 투어 남자 복식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크리스토퍼 룽캇은 1990년 1월 14일 자카르타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전 인도네시아 항공사 협회 회장이었던 베니 룽캇이다. 그의 아버지 마이클 알렉산더 프리츠 룽캇(Michael Alexander Fritz Rungkat)은 마나도 혈통이며, 어머니 엘피아 미리안티(Elfia Mirlianti)는 미낭 혈통이다. 그의 키는 1.75 m이다. 룽캇은 로버트 데이비스의 지도를 받았다. 또한, 2007년에는 포카리 스웨트 스포츠 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포카리ID와 협력하여 자신의 경기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3. 주니어 경력
크리스토퍼 룽캇은 주니어 시절 대부분을 유럽에서 보냈으며, 스페인 발렌시아의 테니스 발(Tennis Val영어)에서 훈련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 오픈 주니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한 일본의 니시코리 케이에 이어 두 번째 아시아 남자 선수이다.
3.1. 주니어 그랜드 슬램 성적
룽캇은 주니어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남자 복식 부문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결과 | 연도 | 토너먼트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우승 | 2008 프랑스 오픈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코트 | 앙리 콘티넨 | 얀-프레데리크 브룬켄 맷 레이드 | 6-0, 6-3 |
준우승 | 2008 US 오픈 | US 오픈 | 하드 코트 | 앙리 콘티넨 | 니콜라우스 모저 세드릭-마르셀 슈테베 | 6-7(5-7), 6-3, [8-10] |
3.2. ITF 주니어 서킷 성적
룽캇은 ITF 주니어 서킷에서 단식 및 복식 모두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3.2.1. 단식: 5회 결승전 (4회 우승, 1회 준우승)
3.2.2. 복식: 22회 결승전 (13회 우승, 9회 준우승)
결과 | W-L | 날짜 | 토너먼트 | 티어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0-1 | 2004년 10월 | 홍콩 오픈 | G4 | 하드 | 무키 탄 | 존-패트릭 스미스 앤드류 토마스 | 2-6, 2-6 |
준우승 | 0-2 | 2004년 10월 | ITF 양곤, 미얀마 | G5 | 하드 | 롭부리 나타시리 | 파이살 아이딜 아궁-바구스 데완토로 | 1-6, 1-6 |
우승 | 1-2 | 2004년 11월 | ITF 솔로, 인도네시아 | G4 | 하드 | 슈헤이 우자와 | 무키 탄 엘버트 시 | 6-1, 6-0 |
우승 | 2-2 | 2004년 12월 | ITF 싱가포르 | G5 | 하드 | 슈헤이 우자와 | 크리타누 푸통 무함마드-아샤아리 빈 자이날 아비딘 | 6-1, 6-0 |
준우승 | 2-3 | 2005년 4월 | ITF 서울, 대한민국 | G4 | 하드 | 슈헤이 우자와 | 파이살 아이딜 아궁-바구스 데완토로 | 6-4, 6-7(4-7), 0-6 |
우승 | 3-3 | 2005년 10월 | 태국 오픈, 논타부리 | G2 | 하드 | 슈헤이 우자와 | 오스틴 차일즈 얀 마르티 | 7-6(7-5), 4-6, 7-6(8-6) |
우승 | 4-3 | 2005년 11월 | ITF 솔로, 인도네시아 | G4 | 하드 | 아디티아 하리 사송코 | 아궁-바구스 데완토로 아이르턴 위보워 | 6-2, 5-7, 6-1 |
준우승 | 4-4 | 2005년 11월 | ITF 수라바야, 인도네시아 | G4 | 하드 | 아궁-바구스 데완토로 | 파이살 아이딜 아이르턴 위보워 | 7-6(7-3), 2-6 기권 |
준우승 | 4-5 | 2006년 2월 | ITF 라지샤히, 방글라데시 | G3 | 하드 | 카일-조슈아 단단 | 수미트-프라카시 굽타 테제스비 라오 | 6-3, 2-6, 6-7(7-9) |
준우승 | 4-6 | 2006년 4월 | ITF 서울, 대한민국 | G3 | 하드 | 아궁-바구스 데완토로 | 파이살 아이딜 아이르턴 위보워 | w/o |
우승 | 5-6 | 2006년 6월 | ITF 라바트, 모로코 | G3 | 클레이 | 리차르다스 베랑키스 | 에마뉘엘 멘사 로포 라미아라만나 | 6-3, 6-7(7-9), 6-3 |
우승 | 6-6 | 2006년 6월 | ITF 모하메디아, 모로코 | G2 | 클레이 | 리차르다스 베랑키스 | 에마뉘엘 멘사 로포 라미아라만나 | 6-3, 4-6, 6-3 |
우승 | 7-6 | 2006년 6월 | ITF 카사블랑카, 모로코 | G2 | 클레이 | 리차르다스 베랑키스 | 에마뉘엘 멘사 로포 라미아라만나 | 6-4, 7-6(10-8) |
우승 | 8-6 | 2007년 3월 | ITF 사라왁, 말레이시아 | G1 | 하드 | 오이겐 브라즈딜 | 스티븐 도널드 존-패트릭 스미스 | 7-6(7-4), 6-3 |
우승 | 9-6 | 2007년 6월 | ITF 로버발, 벨기에 | G1 | 클레이 | 리차르다스 베랑키스 | 루페시 로이 리카르도 우르주아-리베라 | 7-5, 6-2 |
우승 | 10-6 | 2008년 5월 | ITF 빌라흐, 오스트리아 | G2 | 클레이 | 테니스 샌드그렌 | 주니어 알렉산더 오어 데인 프로포지아 | 7-6(7-4), 6-4 |
우승 | 11-6 | 2008년 5월 | ITF 샤를루아-마르시넬, 벨기에 | G1 | 클레이 | 앙리 콘티넨 | 셰청펑 양충화 | 6-4, 6-3 |
우승 | 12-6 | 2008년 6월 | 프랑스 오픈, 파리 | GA | 클레이 | 앙리 콘티넨 | 얀-프레데리크 브룬켄 맷 레이드 | 6-0, 6-3 |
우승 | 13-6 | 2008년 6월 | ITF 로햄프턴, 영국 | G1 | 잔디 | 앙리 콘티넨 | 재러드 이스턴 앤드류 토마스 | 7-5, 6-1 |
준우승 | 13-7 | 2008년 8월 | 캐나디안 오픈, 퀘벡 | G1 | 하드 | 앙리 콘티넨 | 데인 프로포지아 맷 레이드 | 3-6, 6-3, [8-10] |
준우승 | 13-8 | 2008년 9월 | US 오픈, 뉴욕 | GA | 하드 | 앙리 콘티넨 | 니콜라우스 모저 세드릭-마르셀 슈테베 | 6-7(5-7), 6-3, [8-10] |
준우승 | 13-9 | 2008년 9월 | ITF 렉싱턴, 미국 | G1 | 하드 | 타칸이 가랑강가 | 매튜 칸다스 라이언 립맨 | 1-6, 6-7(5-7) |
4. 프로 경력
크리스토퍼 룽캇은 2007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2013년 4월 8일, 그는 단식 최고 랭킹 241위를 기록했으며, 2019년 6월 17일에는 복식 최고 랭킹 68위를 달성했다. 그의 총 경력 상금은 25.33 만 USD이다.
4.1. 경력 시작 및 초기 성과
프로 전향 후, 룽캇은 2010년 6월 타라칸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F2 퓨처스 토너먼트에서 안재성을 꺾고 첫 국제 대회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1년 5월에는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F1 퓨처스에서 리차르트 베커를 꺾고 우승했으며, 2011년 6월에는 수라바야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F2 퓨처스,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F3 퓨처스에서 연이어 우승하며 단식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4.2. ATP 투어 성과
룽캇은 2020년 2월 인도 푸네에서 열린 2020 마하라슈트라 오픈 남자 복식 부문에서 안드레 예란손과 파트너를 이루어 13년 만에 첫 ATP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들은 1라운드에서 전 파트너였던 셰청펑과 데니스 몰차노프 조를 상대로 3-6, 6-4, [10-8]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이후 프랑스의 브누아 페르와 앙투안 호앙 조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고, 로맹 아르네오도와 안드레 베게만 조를 6-4, 7-6(7-1)로 이기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3번 시드의 요나탄 에를리히와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조를 슈퍼 타이브레이크에서 꺾고 우승했다.
앞서 2019년 2월에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열린 ATP 소피아 오픈에서 셰청펑과 함께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니콜라 멕티치와 위르겐 멜처 조에 2-6, 6-4, [2-10]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4.3. ATP 챌린저 및 ITF 퓨처스 성적
룽캇은 ATP 챌린저 투어와 ITF 퓨처스 투어 (현 ITF 월드 테니스 투어)에서 다수의 단식 및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꾸준한 활약을 보였다.
4.3.1. 단식: 17회 결승전 (11회 우승, 6회 준우승)
결과 | W-L | 날짜 | 토너먼트 | 티어 | 코트 | 상대 | 점수 |
---|---|---|---|---|---|---|---|
우승 | 1-0 | 2010년 6월 | 인도네시아 F2, 타라칸 | 퓨처스 | 하드(실내) | 안재성 | 6-3, 0-6, 6-2 |
우승 | 2-0 | 2011년 5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리차르트 베커 | 6-4, 6-3 |
우승 | 3-0 | 2011년 6월 | 인도네시아 F2, 수라바야 | 퓨처스 | 하드 | 아라타 오노자와 | 7-6(7-5), 7-6(7-5) |
우승 | 4-0 | 2011년 6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다케우치 겐토 | 6-3, 6-2 |
준우승 | 4-1 | 2012년 5월 | 태국 F2, 방콕 | 퓨처스 | 하드 | 호세 스타섬 | 6-7(10-12), 3-6 |
우승 | 5-1 | 2012년 5월 | 태국 F3, 방콕 | 퓨처스 | 하드 | 앙투안 에스코피에 | 6-2, 6-2 |
우승 | 6-1 | 2012년 7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남지성 | 7-6(7-5), 6-1 |
우승 | 7-1 | 2012년 12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정석영 | 6-4, 7-5 |
준우승 | 7-2 | 2014년 6월 | 태국 F5, 방콕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4-6, 1-6 |
준우승 | 7-3 | 2014년 6월 | 태국 F7, 방콕 | 퓨처스 | 하드 | 데인 켈리 | 6-7(4-7), 6-7(7-9) |
우승 | 8-3 | 2015년 4월 | 인도네시아 F1, 타라칸 | 퓨처스 | 하드(실내) | 핀 티어니 | 7-6(9-7), 1-6, 6-1 |
준우승 | 8-4 | 2015년 4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이덕희 | 4-6, 3-6 |
우승 | 9-4 | 2015년 6월 | 태국 F5, 방콕 | 퓨처스 | 하드 | 슈이치 세키구치 | 6-4, 6-3 |
준우승 | 9-5 | 2016년 8월 | 베트남 F2, 투더우못 | 퓨처스 | 하드 | 다카하시 유스케 | 4-6, 1-6 |
우승 | 10-5 | 2016년 8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웡 홍-킷 | 6-0, 6-1 |
우승 | 11-5 | 2016년 8월 | 인도네시아 F2, 마카사르 | 퓨처스 | 하드 | 루카스 고메스 | 6-3, 3-6, 6-0 |
준우승 | 11-6 | 2017년 3월 | 인도네시아 F4,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브라이단 클라인 | 6-4, 2-6, 6-7(5-7) |
4.3.2. 복식: 90회 결승전 (56회 우승, 34회 준우승)
결과 | W-L | 날짜 | 토너먼트 | 티어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0-1 | 2005년 8월 | 인도네시아 F1, 욕야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페비 위디얀토 | 수완디 보니트 위리아완 | 4-6, 2-6 |
준우승 | 0-2 | 2007년 8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보니트 위리아완 | 창화이언 펑셴인 | 5-7, 3-6 |
우승 | 1-2 | 2007년 9월 | 인도네시아 F5,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안드리안 라투랑당 | 아디티아 마드케카르 아슈토시 싱 | 6-3, 2-6, [10-5] |
우승 | 2-2 | 2008년 2월 | 태국 F2, 락시 | 퓨처스 | 하드 | 네이선 톰슨 | 로만 예바비 필립 제만 | 6-4, 6-2 |
우승 | 3-2 | 2008년 2월 | 태국 F3, 논타부리 | 퓨처스 | 하드 | 네이선 톰슨 | 공마오신 노리카즈 스기야마 | 6-2, 6-4 |
우승 | 4-2 | 2008년 7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아이르턴 위보워 | 펑셴인 이추환 | 6-1, 7-5 |
우승 | 5-2 | 2008년 11월 | 말레이시아 F1, 쿠알라룸푸르 | 퓨처스 | 하드 | 네이선 톰슨 | 세르게이 베토프 안드레이 카라트체니아 | 6-3, 6-4 |
우승 | 6-2 | 2009년 8월 | 이란 F5, 테헤란 | 퓨처스 | 클레이 | 수누 와휴 트리자티 | 알렉세이 필렌코프 무라트 이노야토프 | 6-2, 6-0 |
우승 | 7-2 | 2009년 8월 | 태국 F2, 논타부리 | 퓨처스 | 하드 | 네사 아르타 | 이와미 다스쿠 모리야 히로키 | 4-6, 6-4, [12-10] |
준우승 | 7-3 | 2009년 8월 | 태국 F3, 논타부리 | 퓨처스 | 하드 | 네사 아르타 | 리신한 양충화 | 6-7(4-7), 4-6 |
우승 | 8-3 | 2010년 6월 | 인도네시아 F3, 테갈 | 퓨처스 | 하드 | 네이선 톰슨 | 위라팟 도아크마이클리 키티퐁 와치라마노웡 | 4-6, 6-4, [12-10] |
준우승 | 8-4 | 2010년 6월 | 말레이시아 F2, 쿠알라룸푸르 | 퓨처스 | 하드 | 네이선 톰슨 | 케이든 헨젤 데인 프로포지아 | 1-6, 6-7(1-7) |
우승 | 9-4 | 2010년 11월 | 태국 F4, 콘깬 | 퓨처스 | 하드 | 키라티 시리부트웡 | 도리안 데클루아 야니크 장코비츠 | 6-2, 7-6(8-6) |
준우승 | 9-5 | 2011년 4월 | 태국 F3, 콘깬 | 퓨처스 | 하드 | 키라티 시리부트웡 | 위라팟 도아크마이클리 키티퐁 와치라마노웡 | 0-6, 2-6 |
우승 | 10-5 | 2011년 4월 | 인도 F4, 노이다 | 퓨처스 | 하드 | 키티퐁 와치라마노웡 | 준 미츠하시 다나이 우돔초케 | 6-7(1-7), 6-3, [10-6] |
우승 | 11-5 | 2011년 6월 | 인도네시아 F2, 수라바야 | 퓨처스 | 하드 | 위라팟 도아크마이클리 | 황량치 어우양 보원 | 6-4, 7-5 |
우승 | 12-5 | 2011년 6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위라팟 도아크마이클리 | 다비트 아궁 수산토 수누 와휴 트리자티 | 7-5, 6-0 |
우승 | 13-5 | 2011년 6월 | 일본 F6, 가시와 | 퓨처스 | 하드 | 이추환 | 셰청펑 리신한 | 7-6(7-2), 6-3 |
우승 | 14-5 | 2011년 6월 | 일본 F7, 도쿄-아키시마 | 퓨처스 | 잔디 | 이추환 | 셰청펑 리신한 | 6-4, 6-3 |
준우승 | 14-6 | 2012년 5월 | 태국 F3, 방콕 | 퓨처스 | 하드 | 다비트 아궁 수산토 | 리신한 펑셴인 | 6-7(3-7), 3-6 |
우승 | 15-6 | 2012년 6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엘버트 시 | 김청의 오대성 | 4-6, 7-5, [10-3] |
우승 | 16-6 | 2013년 6월 | 네덜란드 F1, 암스텔베인 | 퓨처스 | 클레이 | 앙리 콘티넨 | 닐스 로츠마 옐레 셀스 | 6-1, 7-5 |
우승 | 17-6 | 2013년 6월 | 네덜란드 F2, 알크마르 | 퓨처스 | 클레이 | 앙리 콘티넨 | 다비트 슈코흐 얀 제드니크 | 7-5, 7-6(9-7) |
우승 | 18-7 | 2013년 6월 | 네덜란드 F3, 브레다 | 퓨처스 | 클레이 | 앙리 콘티넨 | 뵤른 프라탕젤로 미첼 크루거 | 6-4, 7-5 |
우승 | 19-6 | 2014년 3월 | 중국 F1, 광저우 | 퓨처스 | 하드 | 라두 알봇 | 리카르도 게딘 클라우디오 그라시 | 1-6, 7-5, [10-7] |
우승 | 20-6 | 2014년 5월 | 태국 F4, 방콕 | 퓨처스 | 하드 | 리저 | 파사위트 부라파리타 그리타분 프라마니 | 6-0, 6-1 |
준우승 | 20-7 | 2014년 6월 | 태국 F6, 방콕 | 퓨처스 | 하드 | 앙드레 돔 | 프루차야 이사로 누타논 카차파난 | 4-6, 7-6(7-5), [8-10] |
우승 | 21-7 | 2014년 6월 | 태국 F7, 방콕 | 퓨처스 | 하드 | 비슈누 바르단 | 티모 시바프룩사 위샤야 트롱차로엔차이쿨 | 6-1, 6-2 |
우승 | 22-7 | 2014년 7월 | 태국 F8, 방콕 | 퓨처스 | 하드 | 다비트 아궁 수산토 | 데인 춘타루크 프루차야 이사로 | 6-3, 6-3 |
준우승 | 22-8 | 2015년 4월 | 인도네시아 F1, 타라칸 | 퓨처스 | 하드(실내) | 마쓰이 도시히데 | 맷 시베르거 핀 티어니 | 2-6, 6-1, [8-10] |
우승 | 23-8 | 2015년 4월 | 인도네시아 F2, 테갈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아디티아 하리 사송코 수누 와휴 트리자티 | 6-4, 6-2 |
우승 | 24-8 | 2015년 4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지반 네둔체지안 다나이 우돔초케 | 6-4, 6-2 |
우승 | 25-8 | 2015년 4월 | 태국 F1, 방콕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4-6, 6-3, [10-8] |
우승 | 26-8 | 2015년 6월 | 태국 F4, 방콕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4-6, 6-3, [10-2] |
우승 | 27-8 | 2015년 8월 | 태국 F6, 방콕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벤저민 미첼 조던 톰슨 | 4-6, 6-3, [11-9] |
준우승 | 27-9 | 2015년 8월 | 태국 F7, 방콕 | 퓨처스 | 하드 | 마쓰이 도시히데 | 프루차야 이사로 누타논 카차파난 | 4-6, 6-7(5-7) |
준우승 | 0-1 | 2016년 1월 | 마닐라 챌린저, 필리핀 | 챌린저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요한 브룬스트롬 프레데리크 닐센 | 2-6, 2-6 |
우승 | 28-9 | 2016년 4월 | 중국 F5, 타이저우 | 퓨처스 | 하드 | 비제이 순다르 프라샨트 | 제이슨 패트롬본 왕아오란 | 6-4, 6-0 |
우승 | 29-9 | 2016년 7월 | 베트남 F1, 투더우못 | 퓨처스 | 하드 | 다비트 아궁 수산토 | 기쿠치 겐고 다케시마 슌로 | 6-3, 6-1 |
우승 | 30-9 | 2016년 8월 | 베트남 F2, 투더우못 | 퓨처스 | 하드 | 프루차야 이사로 | 이마이 신타로 아라타 오노자와 | 7-5, 6-2 |
우승 | 31-9 | 2016년 8월 | 인도네시아 F2, 마카사르 | 퓨처스 | 하드 | 다비트 아궁 수산토 | 린웨이더 위청위 | 6-1, 6-4 |
준우승 | 0-2 | 2016년 11월 | 고베 챌린저, 일본 | 챌린저 | 하드(실내) | 지반 네둔체지안 | 다니엘 마수르 안테 파비치 | 6-4, 3-6, [6-10] |
준우승 | 0-3 | 2016년 11월 | 던롭 월드 챌린지, 도요타 | 챌린저 | 카펫(실내) | 지반 네둔체지안 | 맷 레이드 존-패트릭 스미스 | 3-6, 4-6 |
우승 | 32-9 | 2016년 12월 | 인도네시아 F6,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카롤 드르제비에츠키 마치에이 스몰라 | 6-4, 6-4 |
준우승 | 0-4 | 2017년 1월 | RBC 테니스 챔피언십스 오브 댈러스, 미국 | 챌린저 | 하드(실내) | 지반 네둔체지안 | 데이비드 오헤어 조 살리스버리 | 7-6(7-6), 3-6, [9-11] |
우승 | 33-9 | 2017년 2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가타야마 쇼 시마부쿠로 쇼 | 6-3, 6-2 |
준우승 | 0-5 | 2017년 3월 | 핑산 오픈, 선전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2-6, 7-6(7-5), [6-10] |
우승 | 34-9 | 2017년 3월 | 인도네시아 F4,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피르민 해늘레 카루누데이 싱 | 6-3, 7-6(7-1) |
준우승 | 34-10 | 2017년 4월 | 인도네시아 F6,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모리타니 소이치로 다케우치 겐토 | 4-6, 6-3, [9-11] |
우승 | 35-10 | 2017년 5월 | 일본 F6, 가루이자와 | 퓨처스 | 클레이 | 마쓰이 도시히데 | 이마이 신타로 니키 다쿠토 | 7-5, 6-2 |
우승 | 1-5 | 2017년 6월 | 리스보아 벨렝 오픈, 리스본 | 챌린저 | 클레이 | 루안 로엘로프세 | 프레드 질 곤살루 올리베이라 | 7-6(9-7), 6-1 |
우승 | 2-5 | 2017년 7월 | 닐슨 프로 테니스 챔피언십, 위네트카 | 챌린저 | 하드 | 산차이 라티와타나 | 브래들리 클란 케빈 킹 | 7-6(7-4), 6-2 |
준우승 | 2-6 | 2017년 10월 | 닝보 챌린저, 닝보 | 챌린저 | 하드 | 지반 네둔체지안 | 라두 알봇 호세 스타섬 | 5-7, 3-6 |
준우승 | 2-7 | 2017년 11월 | 고베 챌린저, 고베 | 챌린저 | 하드(실내) | 지반 네둔체지안 | 벤 매클라클란 우치야마 야스타카 | 6-4, 3-6, [8-10] |
준우승 | 2-8 | 2017년 11월 | 던롭 월드 챌린지, 도요타 | 챌린저 | 카펫(실내) | 루벤 곤살레스 | 맥스 퍼셀 앤드류 위팅턴 | 3-6, 6-2, [8-10] |
우승 | 36-10 | 2017년 11월 | 인도네시아 F7,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이마이 신타로 렌타 토쿠다 | 6-3, 1-6, [11-9] |
우승 | 3-8 | 2018년 2월 | RBC 테니스 챔피언십스 오브 댈러스, 댈러스 | 챌린저 | 하드(실내) | 지반 네둔체지안 | 리앤더 페이스 조 살리스버리 | 6-4, 3-6, [10-7] |
준우승 | 3-9 | 2018년 4월 | ATP 챌린저 차이나 인터내셔널 - 난창, 난창 | 챌린저 | 클레이(실내) | 루벤 곤살레스 | 공마오신 장쩌 | 6-3, 6-7(7-9), [7-10] |
우승 | 4-9 | 2018년 5월 | 부산 오픈, 대한민국 부산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루안 로엘로프세 존-패트릭 스미스 | 6-4, 6-3 |
준우승 | 4-10 | 2018년 7월 | 닐슨 프로 테니스 챔피언십, 위네트카 | 챌린저 | 하드 | 로베르토 마이틴 | 지반 네둔체지안 오스틴 크라이첵 | 7-6(7-4), 4-6, [5-10] |
준우승 | 36-11 | 2018년 7월 | 인도네시아 F1,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마이클 룩 매튜 로미오스 | 6-7(6-8), 6-7(5-7) |
우승 | 37-11 | 2018년 8월 | 인도네시아 F3, 자카르타 | 퓨처스 | 하드 | 저스틴 바르키 | 프랜시스 알칸타라 우에스기 가이토 | 6-3, 6-2 |
준우승 | 4-11 | 2018년 10월 | 스톡턴 챌린저, 스톡턴 | 챌린저 | 하드 | 산차이 라티와타나 | 다리안 킹 노아 루빈 | 3-6, 4-6 |
우승 | 5-11 | 2018년 10월 | 페어필드 챌린저, 페어필드 | 챌린저 | 하드 | 산차이 라티와타나 | 앙리 라악소넨 하리 헬리오바라 | 6-0, 7-6 |
준우승 | 5-12 | 2018년 10월 | 닝보 챌린저, 닝보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공마오신 장쩌 | 5-7, 6-2, [5-10] |
준우승 | 5-13 | 2018년 10월 | 류저우 국제 챌린저, 류저우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공마오신 장쩌 | 3-6, 6-2, [3-10] |
우승 | 6-13 | 2018년 11월 | 선전 룽화 오픈, 선전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스리람 발라지 지반 네둔체지안 | 6-4, 6-2 |
우승 | 7-13 | 2019년 1월 | 다낭 테니스 오픈, 다낭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미겔 앙헬 레예스-바렐라 리앤더 페이스 | 6-3, 2-6, [11-9] |
준우승 | 7-14 | 2019년 2월 | 방콕 챌린저, 방콕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공마오신 장쩌 | 4-6, 4-6 |
우승 | 8-14 | 2019년 3월 | 핑산 오픈, 선전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곤살루 올리베이라 리저 | 6-4, 3-6, [10-6] |
우승 | 9-14 | 2019년 5월 | 부산 오픈, 대한민국 부산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마쓰이 도시히데 비슈누 바르단 | 7-6(9-7), 6-1 |
우승 | 10-14 | 2019년 5월 | 광주 오픈, 대한민국 광주 | 챌린저 | 하드 | 셰청펑 | 남지성 송민규 | 6-3, 3-6, [10-6] |
준우승 | 10-15 | 2019년 11월 | 고베 챌린저, 고베 | 챌린저 | 하드(실내) | 안드레 예란손 | 푸라브 라자 람쿠마르 라마나탄 | 6-7(6-8), 3-6 |
준우승 | 10-16 | 2020년 1월 | 방콕 챌린저, 방콕 | 챌린저 | 하드 | 산차이 라티와타나 | 안드레이 골루베프 알렉산드르 네도비에소프 | 6-3, 6-7(1-7), [5-10] |
준우승 | 37-12 | 2022년 8월 | M15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네이선 앤서니 바르키 | 시미즈 유타 다누마 료타 | 1-6, 6-7(6-8) |
준우승 | 10-17 | 2022년 8월 | 논타부리 챌린저 II, 논타부리 | 챌린저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벤저민 록 시미즈 유타 | 1-6, 3-6 |
준우승 | 10-18 | 2022년 9월 | 논타부리 챌린저 III, 논타부리 | 챌린저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아지트 라이 정윤성 | 1-6, 6-7 |
준우승 | 10-19 | 2022년 9월 | 브라가 오픈, 브라가 | 챌린저 | 클레이 | 지반 네둔체지안 | 비트 코프르지바 야로슬라프 포스피실 | 6-3, 3-6, [4-10] |
준우승 | 10-20 | 2023년 1월 | 논타부리 챌린저 II, 논타부리 | 챌린저 | 하드 | 아키라 산티얀 | 유키 밤브리 사케트 마이네니 | 6-2, 6-7(7-9), [12-14] |
우승 | 38-12 | 2023년 1월 | M15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네이선 앤서니 바르키 | 황쭝하오 이덕희 | 6-2, 6-4 |
준우승 | 38-13 | 2023년 6월 | M25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네이선 앤서니 바르키 | 모리야 히로키 프랜시스 알칸타라 | 1-6, 2-6 |
우승 | 39-13 | 2023년 6월 | M25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네이선 앤서니 바르키 | 앤서니 수산토 다비트 아궁 수산토 | 6-4, 6-4 |
우승 | 40-13 | 2023년 8월 | M25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네이선 앤서니 바르키 | 한선용 이재문 | 6-2, 4-6, [10-1] |
우승 | 41-13 | 2023년 11월 | M15 이포, 말레이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티이멘 루프 위샤야 트롱차로엔차이쿨 | 6-2, 6-0 |
우승 | 42-13 | 2023년 11월 | M15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티이멘 루프 프루차야 이사로 | 6-4, 6-2 |
우승 | 43-13 | 2024년 1월 | M25 첸나이, 인도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랜시스 알칸타라 | 보그단 보브로프 아딜 칼리안푸르 | 6-4, 6-2 |
우승 | 44-13 | 2024년 2월 | M15 나콘시탐마랏, 태국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루차야 이사로 | 황쭝하오 정영석 | 6-4, 4-6, [10-8] |
준우승 | 10-21 | 2024년 3월 | 르완다 챌린저, 키갈리 | 챌린저 | 클레이 | 프루차야 이사로 | 막스 하우크스 클레망 타부르 | 3-6, 6-7(4-7) |
우승 | 45-13 | 2024년 7월 | M25 타이베이, 대만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루차야 이사로 | 레이 호 신우빈 | 7-6(7-4), 6-4 |
우승 | 46-13 | 2024년 8월 | M25 타이베이, 대만 | 월드 테니스 투어 | 하드 | 프루차야 이사로 | 사이 카르티크 레디 간타 위샤야 트롱차로엔차이쿨 | 7-6(7-4), 7-5 |
5. 국가대표 경력
룽캇은 200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국가대표로 데뷔하여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하며 다종목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
5.1. 다종목 대회
룽캇은 아시안 게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이슬람 연대 게임 등 다양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했다.
5.1.1. 개인 종목
룽캇은 개인 종목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
5.1.2. 팀 성적
룽캇은 팀 종목에서도 여러 메달을 획득하며 인도네시아 국가대표로서의 기여를 입증했다.
결과 | 날짜 | 토너먼트 | 코트 | 팀원 | 상대 | 점수 |
---|---|---|---|---|---|---|
은 | 2007년 12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나콘랏차시마 | 하드 | - | - | - |
동 | 2009년 12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비엔티안 | 하드 | - | - | - |
금 | 2011년 11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팔렘방 | 하드 | - | - | - |
금 | 2013년 9월 | 이슬람 연대 게임, 팔렘방 | 하드 | - | - | - |
은 | 2015년 6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싱가포르 | 하드 | - | - | - |
은 | 2022년 5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박닌 | 하드 | - | - | - |
동 | 2023년 5월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프놈펜 | 하드 | - | - | - |
6. 그랜드 슬램 성적 연표
크리스토퍼 룽캇의 그랜드 슬램 대회 연도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6.1. 단식 성적
단식에서는 2013년 호주 오픈 예선 1라운드에 진출했으나 본선에는 오르지 못했다.
토너먼트 | 2013년 | 승-패 |
---|---|---|
호주 오픈 | 1회 예선 탈락 | 0-1 |
총 승-패 | 0-1 | 0-1 |
6.2. 복식 성적
복식에서는 2019년 프랑스 오픈과 2022년 호주 오픈에서 2라운드에 진출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토너먼트 | 2019년 | 2022년 | 승-패 |
---|---|---|---|
호주 오픈 | 불참 | 2라운드 | 1-1 |
프랑스 오픈 | 2라운드 | 불참 | 1-1 |
윔블던 | 1라운드 | 불참 | 0-1 |
US 오픈 | 1라운드 | 불참 | 0-1 |
총 승-패 | 1-3 | 1-1 | 2-4 |
6.3. 혼합 복식 성적
혼합 복식에서는 201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2라운드에 진출했다.
토너먼트 | 2019년 | 승-패 |
---|---|---|
윔블던 | 2라운드 | 1-1 |
총 승-패 | 1-1 | 1-1 |
7. 수상 및 후보 지명
크리스토퍼 룽캇은 선수 경력 동안 다양한 상을 수상하거나 후보에 지명되었다.
수상 | 연도 | 부문 | 결과 |
---|---|---|---|
AORI | 2009년 | 베스트 호프 선수 | 우승 |
2011년 | 베스트 남자 선수 | ||
최애 선수 | |||
인도네시아 스포츠 어워즈 2018 | 2018년 | 최애 혼합 복식 선수 (알딜라 수티아디와 함께) | 우승 |
국제 테니스 연맹 | 2020년 | 데이비스 컵 커미트먼트 어워드 | 우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