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루트비히는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의 일원이자 사업가, 그리고 사회활동가였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 카를 1세와 치타 황후의 다섯째 자녀이자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합스부르크가가 망명하며 유년기를 보냈으며, 미국 육군에 자원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전후에는 벨기에와 캐나다에서 성공적인 사업가로서 활동하며 벨기에 빈곤층과 실업자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스트리아 시민권 취득 및 귀국 과정에서는 합스부르크법과의 갈등을 겪었으나, 궁극적으로 오스트리아 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하며 귀국하여 어머니 곁에 안장되었다. 그의 삶은 왕실의 후예로서의 책임감과 더불어 개인의 역동적인 삶, 그리고 사회에 대한 헌신이 어우러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2. 생애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루트비히는 어린 시절부터 망명 생활을 경험하며 성장했고, 성인이 된 후에는 전쟁에 참전하고 사업가로서 성공을 거두는 등 다채로운 삶을 살았다. 또한 오스트리아 공화국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합스부르크가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2.1. 유년기 및 교육
카를 루트비히 마리아 프란츠 요제프 미하엘 가브리엘 안토니우스 로베르트 슈테판 피우스 그레고르 이그나티우스 마르쿠스 다비아노 (Carl Ludwig Maria Franz Joseph Michael Gabriel Antonius Robert Stephan Pius Gregor Ignatius Markus d'Aviano독일어)는 1918년 3월 10일 바덴 바이 빈(Baden bei Wien독일어)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인 카를 1세와 치타 황후의 다섯째 자녀이자 넷째 아들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하기 불과 6개월 전에 태어났으며, 그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101발의 축포가 발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왕정이 폐지되자, 합스부르크 황실은 망명길에 올랐다. 가족은 처음 스위스로 피신한 뒤, 포르투갈의 마데이라 섬으로 옮겨가 정착했으며, 이곳에서 그의 아버지인 카를 1세는 세상을 떠났다. 1930년대에는 그의 큰형인 오토 대공의 지원을 받아 벨기에의 루뱅 가톨릭 대학교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프랑스어)에서 수학했다. 1940년 나치 독일의 침공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북미로 피신하여 캐나다 퀘벡에 정착했다. 이곳에서 그는 라발 대학교 (Université Laval프랑스어)에서 법학, 정치학, 사회학을 전공하며 학위를 취득했다. 북미로 이주하면서 그의 이름 철자인 'Karl'을 'Carl'로 변경했다.
2.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미국 육군에 자원입대했다.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중립국인 포르투갈에서 헝가리와 비밀리에 평화 협상을 시도했으나, 이는 성공하지 못했다. 전쟁 중 그는 '자유 오스트리아 대대'(Free Austria Battalion)로 알려진 미국 육군 제101보병대대에서 형 펠릭스 대공과 함께 복무했다. 그러나 이 대대는 소수의 유대인 망명 자원병들이 최종적으로 입대 의사를 철회하면서 해체되었다.
1944년에는 연합군의 주요 작전 중 하나인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참전하여 전선에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47년에는 육군 소령으로 진급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전쟁 기간 동안 그는 독일에서 피신해온 유대인 난민들을 돕는 활동에도 참여했다.
2.3. 사업 경력 및 사회 활동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벨기에 기업의 미국 지사에 입사하여 뉴욕과 워싱턴 D.C.에서 근무하며 사업 경험을 쌓았다. 1950년 욜랑드 드 리녜 공주와 결혼한 후, 1958년에는 가족과 함께 유럽으로 돌아와 벨기에 브뤼셀에 정착했다.
브뤼셀에서 그는 벨기에 종합회사인 소시에테 제네랄 드 벨지크 (Société Générale de Belgique프랑스어)에 입사하여 근무했다. 이후 이 회사의 캐나다 자회사인 젠스타 (Genstar영어)사를 설립하고 1986년 은퇴할 때까지 이사의 직책을 맡았다. 그는 젠스타에 여러 부서를 신설하며 회사를 크게 성장시켰고, 은퇴 당시에는 젠스타의 직원 수가 2,000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사업가로서의 성공 외에도 그는 벨기에에서 사회 공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빈곤층과 실업자들을 지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4.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및 귀국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형 펠릭스 대공과 함께 1919년에 제정되어 합스부르크가의 자산을 몰수했던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법과 관련하여, 나치 독일이 1938년 오스트리아를 합병(안슐루스)하면서 다시 몰수된 합스부르크가 자산의 일부 반환을 요구했다. 이 자산은 1935년부터 1936년 사이 합스부르크가와 오스트리아 공화국 정부 간의 일시적인 화해를 통해 일부가 배상되었던 것이다.
카를 루트비히는 오스트리아 시민권 취득을 위해 황위 청구권을 포기하고 합스부르크가의 구성원으로서의 신분을 포기하라는 오스트리아 정부의 요구를 형 오토 대공과는 달리 거부했다. 이로 인해 그는 오스트리아 입국이 금지된 상태였다. 그러나 1996년 3월 26일, 오스트리아 정부의 양보에 따라 카를 루트비히는 형 펠릭스와 함께 황위 청구권 포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없이 오스트리아 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선언했다. 이 선언 이후 1996년 4월 16일, 오스트리아 의회는 그들 형제에게 여권과 입국 허가증을 발급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를 통해 오랜 망명과 오스트리아와의 갈등 관계를 청산하고 공식적으로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
3. 결혼 및 자녀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1950년 1월 17일 벨기에 벨뢰유 (Belœil프랑스어)에서 리녜 공작 외젠 2세 드 리녜와 필리핀 드 노아이유 공주의 딸인 리녜 공주 욜랑드 드 리녜 (Yolande de Ligne프랑스어, 1923년 5월 6일 출생 - 2023년 9월 13일 사망)와 결혼했다. 그들은 슬하에 네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자녀들은 이후에도 여러 왕실 및 귀족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 오스트리아 대공 루돌프 마리아 카를 오이겐 안나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다비아노 대공 (Rudolf Maria Carl Eugen Anna Antonius Marcus d'Aviano독일어, 1950년 11월 17일 출생): 1976년 7월 3일 브뤼셀에서 빌렌파뉴 드 포겔산크 남작부인 엘렌 (Hélène de Villenfagne de Vogelsanck프랑스어, 1954년 4월 24일 출생)과 결혼했다. 이후 그의 가족은 벨기에에 거주했으며, 1978년 5월 29일 벨기에 왕실 특허로 '하프스부르크로트링겐 공자/공녀'의 세습 칭호와 '고요한 전하 (Serene Highness영어)'의 경칭을 부여받아 벨기에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루돌프는 스위스 빌라르쉬르글란에 본사를 둔 투자 운용사 AAA 제스티옹 (AAA Gestion)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드 디스바흐 성에 거주하고 있다. 그와 엘렌은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후에 오스트리아 황실 가문의 수장에 의해 '오스트리아 대공 및 대공녀'로 인정받았다.
-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Carl Christian독일어, 1977년 출생): 2007년 6월 2일 에스텔 드 생로맹 (Estelle de Saint-Romain프랑스어, 1979년 출생)과 결혼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프리실라 (Priscilla독일어, 1979년 6월 5일 출생): 2022년에 가브리엘 콘트레라스 밀란과 약혼했다.
- 오스트리아 대공 요한네스 (Johannes독일어, 1981년 6월 1일 출생): 스위스 에우카리스테인 형제회의 가톨릭 사제이다.
- 오스트리아 대공 토마스 (Thomas독일어, 1983년 10월 13일 출생): 스위스 가톨릭 형제회 에우카리스테인 회원이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데네주 (Marie-des-Neiges독일어, 1986년 6월 17일 출생): 스위스 가톨릭 형제회 에우카리스테인 회원이다.
- 오스트리아 대공 프란츠-루트비히 (Franz-Ludwig독일어, 1988년 10월 5일 출생): 2018년 마틸드 비뇽 (Mathilde Vignon프랑스어, 1992년 출생)과 결혼했다.
- 오스트리아 대공 미하엘 (Michael독일어, 1990년 9월 15일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 요제프 (Joseph독일어, 1991년 11월 14일 출생): 스위스 가톨릭 형제회 에우카리스테인 회원이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알렉산드라 마리아 안나 필리파 오토니아 대공녀 (Alexandra Maria Anna Philippa Othonia독일어, 1952년 7월 10일 출생): 칠레 주교황청 대사 엑토르 리슬레 콘트레라스 (Héctor Riesle Contreras스페인어, 1943년 2월 16일 출생)와 결혼했다. 그들은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 펠리페 리슬레 데 합스부르크-로레나 (Felipe Riesle de Habsburgo-Lorena스페인어, 1986년 2월 27일 출생): 필라르 가르시아-위도브로 에체베리아와 결혼했다.
- 마리아 소피아 리슬레 데 합스부르크-로레나 (María Sofía Riesle de Habsburgo-Lorena스페인어, 1987년 7월 18일 출생): 로드리고 리소파르통 몬테로와 결혼했다.
- 콘스탄차 리슬레 데 합스부르크-로레나 (Constanza Riesle de Habsburgo-Lorena스페인어, 1989년 9월 1일 출생): 세바스티안 프리에토 도노소와 결혼했다.
-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 마리아 안나 루돌프 안톤 대공 (Carl Christian Maria Anna Rudolph Anton독일어, 1954년 8월 26일 출생): 룩셈부르크 공주 마리 아스트리드 (Marie Astrid of Luxembourg프랑스어)와 결혼했다. 그의 형 루돌프와 마찬가지로 스위스 빌라르쉬르글란에 본사를 둔 투자 운용사 AAA 제스티옹에서 근무하고 있다. 카를 크리스티안과 마리 아스트리드 사이에는 다섯 명의 자녀가 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크리스틴 (Marie-Christine프랑스어, 1983년 7월 31일 브뤼셀 출생): 림부르크-스티룸 백작 로돌프 크리스티앙 레오폴 카를 루트비히 필리프 (Rodolphe Christian Léopold Carl Ludwig Phillipe de Limburg-Stirum프랑스어, 1979년 3월 20일 우클 출생)와 2008년 5월 16일 약혼을 발표했다. 2008년 12월 6일 벨기에 메헬렌 시청에서 시민 결혼식을 올렸고, 이후 벨기에 메헬렌의 성 룸볼트 대성당에서 종교 결혼식을 거행했다. 그들에게는 세 아들이 있다.
- 림부르크-스티룸 백작 레오폴 메노 필리프 가브리엘 프랑수아-그자비에 마리 조제프 기슬랑 (Léopold Menno Philippe Gabriel François-Xavier Marie Joseph Ghislain de Limburg-Stirum프랑스어, 2011년 4월 19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 림부르크-스티룸 백작 콘스탄틴 (Constantin de Limburg-Stirum프랑스어, 2013년 10월 25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
- 림부르크-스티룸 백작 가브리엘 (Gabriel de Limburg-Stirum프랑스어, 2016년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 임레 (Imre독일어, 1985년 12월 8일 제네바 출생): 2011년 12월 22일 캐슬린 엘리자베스 워커 (Kathleen Elizabeth Walker영어, 1986년 4월 17일 신시내티 출생)와의 약혼이 발표되었다. 두 사람은 2010년 4월에 만났으며, 2012년 12월 8일 워싱턴 D.C.의 성모 마리아 성당에서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다섯 자녀가 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스텔라 (Maria-Stella독일어, 2013년 11월 11일 룩셈부르크 키르히베르크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막달레나 (Magdalena독일어, 2016년 2월 24일 룩셈부르크 키르히베르크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율리아나 (Juliana독일어, 2018년 10월 14일 제네바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세실리아 (Cecilia독일어, 2021년 1월 15일 제네바 출생)
- 카를 대공 (Karl독일어, 2023년 6월 4일 제네바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 크리스토프 (Christoph독일어, 1988년 2월 2일 제네바 출생): 2011년 12월 22일 아델라이드 마리 베아트리스 드라페-프리슈 (Adélaïde Marie Béatrice Drapé-Frisch프랑스어, 1989년 9월 4일 파리 레 릴라 출생)와의 약혼이 발표되었다. 두 사람은 2012년 12월 29일 프랑스 낭시의 성 에브르 대성당에서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네 자녀가 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카타리나 (Katarina독일어, 2014년 12월 22일 제네바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소피아 (Sophia독일어, 2017년 8월 31일 제네바 출생)
- 요제프 대공 (Josef독일어, 2020년 10월 제네바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플라비아 (Flavia독일어, 2023년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 알렉산더 (Alexander독일어, 1990년 9월 26일 메이랭 출생): 2023년 9월 30일 벨기에 벨뢰유에서 나타샤 루미안체프-파슈케비치 (Natacha Roumiantzeff-Pachkevitch프랑스어)와 결혼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가브리엘라 (Gabriella독일어, 1994년 3월 26일 제네바 출생): 2017년 10월 22일 부르봉-파르마 공자 앙리 루트폴트 앙투안 빅토르 마리 조제프 (Henri Luitpold Antoine Victor Marie Joseph of Bourbon-Parma프랑스어, 1991년 10월 14일 로스킬레 출생)와 약혼했다. 두 사람은 2020년 9월 12일 오스트리아 티롤의 예엔바흐 트라츠베르크 성에서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세 딸이 있다.
- 부르봉-파르마 공주 빅토리아 안토니아 마리-아스트리드 리디아 (Victoria Antonia Marie-Astrid Lydia of Bourbon-Parma프랑스어, 2017년 10월 30일 제네바 출생)
- 부르봉-파르마 공주 아나스타시아 에리카 알렉산드라 마리 욜랑드 (Anastasia Erika Alexandra Marie Yolande of Bourbon-Parma프랑스어, 2021년 7월 3일 제네바 출생)
- 부르봉-파르마 공주 필리피나 (Philippina of Bourbon-Parma프랑스어, 2023년 출생)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크리스틴 (Marie-Christine프랑스어, 1983년 7월 31일 브뤼셀 출생): 림부르크-스티룸 백작 로돌프 크리스티앙 레오폴 카를 루트비히 필리프 (Rodolphe Christian Léopold Carl Ludwig Phillipe de Limburg-Stirum프랑스어, 1979년 3월 20일 우클 출생)와 2008년 5월 16일 약혼을 발표했다. 2008년 12월 6일 벨기에 메헬렌 시청에서 시민 결혼식을 올렸고, 이후 벨기에 메헬렌의 성 룸볼트 대성당에서 종교 결혼식을 거행했다. 그들에게는 세 아들이 있다.
-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콘스탄차 안나 로사리오 로베르타 대공녀 (Maria Constanza Anna Rosario Roberta독일어, 1957년 10월 19일 출생): 1994년 6월 18일 벨기에 벨뢰유에서 아우어스페르크-트라우트손 후작 프란츠 요제프 (Franz Josef, Prince von Auersperg-Trautson독일어, 1954년 12월 11일 출생)와 결혼했다. 그들에게는 세 명의 친딸(한 명은 태어난 직후 사망)과 한 명의 입양딸 안나 마리아가 있다.
- 안나 마리아 공주 (Anna Maria독일어, 1997년 9월 24일 출생)
- 알렉산드라 마리아 공주 (Alexandra Maria독일어, 1998년 2월 9일 출생 및 사망)
- 라디슬라야 공주 (Ladislaya독일어, 1999년 2월 26일 출생)
- 엘레오노라 공주 (Eleonora독일어, 2002년 5월 28일 출생)
카를 루트비히의 아들인 루돌프 대공이 2014년 브르노에서 할머니 치타 황후에 대한 발표 중이다.
4. 사망
카를 루트비히 대공은 2007년 12월 11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이듬해인 2008년 1월 1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거행되었다. 장례식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실 가족은 물론 룩셈부르크 왕실과 벨기에 왕실 구성원들도 참석했다. 특히 오스트리아 정부도 장례식에 관여하며, 그의 죽음이 오스트리아와 합스부르크가 사이의 오랜 긴장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그의 유해는 빈의 카푸치너 납골당 (Kapuzinergruft독일어)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어머니 치타 황후의 관 옆에 영원히 잠들었다.
5. 가계
카를 루트비히 대공의 선조들은 다음과 같다.
카를 루트비히 대공의 선조 | |||
---|---|---|---|
1. 카를 루트비히 대공 | 2. 카를 1세 (오스트리아 황제) | 4. 오토 프란츠 대공 | 8. 카를 루트비히 대공 |
9.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안눈치아타 공주 | |||
5. 작센의 마리아 요제파 공주 | 10. 작센의 게오르크 | ||
11.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인판타 | |||
3. 부르봉-파르마의 치타 공주 | 6.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 12.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 | |
13. 아르투아의 루이즈 공주 | |||
7.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인판타 | 14. 포르투갈의 미겔 1세 | ||
15.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의 아델라이드 공주 |
6. 평가 및 유산
카를 루트비히 대공의 생애는 오스트리아 황실의 후예로서 겪은 격동의 시대와 개인의 노력이 조화를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왕정 폐지와 망명이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루뱅과 라발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나갔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에 자원하여 노르망디 상륙작전에도 참여하는 등 군인으로서의 책임을 다했다. 이는 단순한 귀족으로서의 삶을 넘어, 시대적 요청에 응답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후 그의 사업가로서의 경력은 주목할 만하다. 벨기에 기업의 미국 지사에서 시작하여 캐나다 자회사 젠스타를 크게 성장시키고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는 등 탁월한 경영 능력을 발휘했다. 이러한 사업적 성공은 그가 단순히 왕실의 후예가 아니라 자수성가한 인물로서 현대 사회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벨기에에서 빈곤층과 실업자들을 지원하는 사회 공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사회적 약자를 돕는 데 헌신했다. 이러한 활동은 그의 중도좌파적 관점을 반영하며, 단순히 혈통에 기대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그의 의지를 보여준다.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회복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황위 청구권 포기 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은 합스부르크가의 역사적 정체성을 지키려는 그의 의지를 대변한다. 비록 쉽지 않은 과정이었으나, 결국 오스트리아 공화국 정부와의 원만한 합의를 통해 고국으로 귀환하여 어머니 곁에 안장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끈기 있는 노력과 오스트리아 정부의 유연성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의 삶은 합스부르크가의 현대적 재해석과 함께, 한 개인이 역사적 격변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