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오렐리오 비드마(Aurelio Vidmar영어; 1967년 2월 3일 ~ )는 호주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이다. 선수 시절 호주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역임했고, 감독으로서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를 이끌고 호주 팀으로는 최초로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진출시키는 등 주요 업적을 달성했다. 현재는 멜버른 시티의 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그의 동생인 토니 비드마 또한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다.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의 화려한 경력과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힌드마시 스타디움의 남쪽 스탠드는 '비드마 엔드'로 명명되었다.
2. 어린 시절
오렐리오 비드마는 1967년 2월 3일 호주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남동생인 토니 비드마 또한 프로 축구 선수로 활약했다.
3. 선수 경력
오렐리오 비드마는 20년에 걸친 선수 경력 동안 총 517경기에 출전하여 127골을 기록했다.
3.1. 클럽 경력
비드마는 1985년 지역 팀인 애들레이드 시티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991년까지 애들레이드 시티에서 157경기에 출전하여 29골을 기록했다. 1990년대 중반 유럽으로 이적하여 벨기에, 스페인, 스위스, 네덜란드 등 여러 리그에서 뛰었다.
벨기에에서는 코르트레이크(1991~1992), 바레헴(1992~1994), 스탕다르 리에주(1994~1995)에서 활약했다. 특히 1994-95 시즌에는 스탕다르 리에주 소속으로 리그 득점왕에 올랐으며, 총 32경기에서 22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과시했다. 이 시기 그의 활약으로 1994년 오세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네덜란드의 페예노르트 (1995~1996), 스위스의 시옹(1995~1996)을 거쳐 스페인 테네리페(1996~1998)에서 뛰었다. 시옹에서는 1995-96 시즌 스위스컵 우승을 경험했다.
1998년에는 당시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감독이었던 에디 톰슨의 인연으로 일본 J리그의 산프레체 히로시마로 이적했다. 그는 도널드 굿맨 및 야마구치 도시히로와 함께 J1리그 강등 플레이오프 회피를 위한 핵심 선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컨디션 난조로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1998년 15경기 4골, 1999년 9경기 2골을 기록한 후 1999년 6월 팀을 떠났다.
일본 생활을 마친 후 1999년 호주로 돌아와 다시 애들레이드 시티에 합류하여 2003년까지 110경기에 출전하여 21골을 추가했다. 2001년에는 크로이돈 킹스로 잠시 임대되기도 했다. 애들레이드 시티가 해체된 후 내셔널 사커 리그에서 새로 창단된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 합류하여 존 코스미나 감독으로부터 주장직을 부여받았다. 그는 2003-04 시즌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서 27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첫 A리그 시즌에 뛸 계획도 있었으나, 20년간의 프로 선수 경력을 마무리하며 은퇴를 선언했다.
3.2. 국가대표팀 경력
비드마는 12년간 호주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으며, 3번의 FIFA 월드컵 예선 캠페인에 참여했다. 1993년에는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끄는 아르헨티나와의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득점을 기록했다. 1997년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열린 이란과의 경기에서도 뛰었으나, 호주는 2-0으로 앞서다가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2001년 아메리칸사모아와의 경기에서는 두 골을 넣으며 팀의 31-0 대승에 기여했다.
그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사커루스'의 주장을 맡기도 했다. 국제 대회에서 은퇴하기 전까지 총 44경기에 출전하여 17골을 기록했다. 또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축구 대회에서는 호주 올림픽 축구팀의 와일드카드 선수로 선발되었다.
4. 감독 경력
선수 생활을 마친 2005년, 비드마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서 존 코스미나 감독 밑에서 수석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4.1.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2007년 5월 2일, 비드마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정식 임명되었다. 그러나 2007-08 A리그 시즌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그의 팀은 8개 팀 중 6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역사상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재능 있는 팀들을 상대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AFC 챔피언스리그 캠페인에서도 조 3위에 그쳐 8강 진출에 실패하자, 그에 대한 사임 요구가 빗발쳤다.
하지만 비드마는 크리스티아누와 사샤 오그네노브스키와 같은 가치 있는 선수들을 영입하며 애들레이드의 수비를 강화하고 공격 옵션을 개선하여 팬들의 지지를 되찾기 시작했다. 그는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팀을 이끌며 호주 팀으로는 최초로 이 업적을 달성하며 역사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2008년 11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의 CEO인 샘 시카렐로는 비드마와 그의 수석 코치인 필 스터빈스와 3년 재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09-10 시즌 초반 5경기에서 승점 15점 중 5점만을 획득하며 부진한 출발을 보였다. 그는 외로운 스트라이커 전술을 고수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는 2009-10 시즌을 최하위로 마쳤다. 2009년 11월 기자회견에서 선수들의 부진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할 것처럼 선수들의 목을 칠 것"이라고 발언하여 논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두 경기 출장 정지와 1.00 만 USD의 벌금 징계를 받았다.
4.2. 국가대표팀 감독직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를 떠난 후, 비드마는 영 소커루스(Young Socceroos), 즉 호주 U-20 축구 국가대표팀 및 호주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아시아 최종 예선에서 팀을 이끌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3년 홀거 오지크 감독이 경질된 후에는 호주 성인 국가대표팀의 임시 감독을 한 경기 동안 맡기도 했다.
4.3. 기타 클럽 감독직
2018년 비드마는 다시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의 단장으로 임명되었으나, 5개월 만인 2019년 2월 6일 사임했다.
그는 이후 태국 리그와 싱가포르 리그에서 여러 클럽을 지휘했다.
- BG 빠툼 유나이티드 (구 방콕 글라스 FC):
- 2016년 8월 13일부터 2017년 7월 10일까지 첫 번째 임기를 보냈다. 이 기간 동안 총 30경기를 지휘하여 16승 6무 8패를 기록했다.
-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11월 15일까지 두 번째 임기를 가졌다. 두 번째 임기에서는 팀을 이끌고 2021 태국 챔피언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2021에서는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2021년 11월 14일, 두싯 찰름샌 감독의 복귀로 테크니컬 디렉터직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하고 팀을 떠났다.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싱가포르): 2019년 12월 18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감독을 맡았다. 총 22경기를 지휘하여 13승 5무 4패를 기록했다.
- 방콕 유나이티드 (태국): 2022년 3월 11일에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2022년 12월 28일 개인적인 사유로 사임했다. 방콕 유나이티드 재임 중인 2022년 8월에는 타이 리그 1 이달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 멜버른 시티 (호주): 2023년 11월 1일, 2023-24 시즌 종료 시까지 멜버른 시티의 새로운 감독으로 발표되었다.
5. 개인 생활
오렐리오 비드마는 전 축구 선수인 토니 비드마의 친형이다.
6. 수상 기록
6.1. 선수 시절
- 애들레이드 시티**
- NSL 챔피언십: 1986
- FC 시옹**
- 스위스컵: 1995-96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준우승 1997, 3위 2001
- OFC 네이션스컵: 2000
- 개인**
- 벨기에 리그 득점왕: 1994-95 (22골)
- 오세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 1994
- 남호주 축구 협회 명예의 전당: 2008
- 호주 축구 연맹 명예의 전당: 2008
- 남호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 2019
6.2. 감독 시절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A리그 멘 챔피언십: 준우승 2009
- A리그 멘 프리미어십: 준우승 2008-09
- A리그 프리시즌 챌린지컵: 우승 2007
-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08
- BG 빠툼 유나이티드**
- 태국 챔피언스컵: 2021
- 개인**
- A리그 올해의 감독: 2008-09
- 타이 리그 1 이달의 감독: 2022년 8월
7. 평가 및 논란
오렐리오 비드마는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호주 축구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으나, 그의 경력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었다.
그는 2008년 11월 호주 축구 연맹과 남호주 축구 협회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19년에는 남호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호주 축구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높이 평가받는다. 특히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호주 팀 최초로 결승에 진출시킨 감독으로서의 업적은 그의 지도력을 인정받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러나 2008-09 A리그 준결승전에서 멜버른 빅토리에 0-4(합계 0-6)로 대패한 후, 경기 후 인터뷰에서 애들레이드를 "하찮은 마을"(piss-ant town영어)이라고 비하하고 패배의 원인을 구단 내부 정치 때문이라고 주장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이후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했다.
또한 2009년 11월에는 선수들의 부진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할 것처럼 선수들의 목을 칠 것"이라고 발언하여 다시 한 번 물의를 빚었다. 이 발언으로 인해 그는 소속팀인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로부터 두 경기 출장 정지와 1.00 만 USD의 벌금 징계를 받았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해서 감독 경력을 이어가며 여러 리그에서 팀을 지휘하고 성과를 내고 있다.
8. 유산
오렐리오 비드마는 호주 국가대표팀에서 보여준 빛나는 선수 경력과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에 대한 헌신적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힌드마시 스타디움의 남쪽 스탠드는 '비드마 엔드'로 명명되어 그의 업적을 영구적으로 기념하고 있다.
9. 경력 통계
9.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내셔널 컵 | 리그 컵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애들레이드 시티 | 1985 | 내셔널 사커 리그 | 10 | 2 | 10 | 2 | ||||||||
1986 | 26 | 2 | 26 | 2 | ||||||||||
1987 | 23 | 2 | 23 | 2 | ||||||||||
1988 | 22 | 5 | 22 | 5 | ||||||||||
1989 | 25 | 5 | 25 | 5 | ||||||||||
1989-90 | 23 | 9 | 23 | 9 | ||||||||||
1990-91 | 28 | 4 | 28 | 4 | ||||||||||
코르트레이크 | 1991-92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 30 | 10 | 30 | 10 | ||||||||
바레헴 | 1992-93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 32 | 18 | 32 | 18 | ||||||||
1993-94 | 25 | 7 | 25 | 7 | ||||||||||
스탕다르 리에주 | 1994-95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 32 | 22 | 32 | 22 | ||||||||
페예노르트 | 1995-96 | 에레디비시 | 15 | 2 | 15 | 2 | ||||||||
시옹 | 1995-96 | 내셔널리가 A | 14 | 7 | 14 | 7 | ||||||||
테네리페 | 1996-97 | 라리가 | 25 | 1 | 25 | 1 | ||||||||
1997-98 | 0 | 0 | 0 | 0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998 | J1리그 | 15 | 4 | 3 | 1 | 0 | 0 | 18 | 5 | ||||
1999 | 9 | 2 | 0 | 0 | 2 | 1 | 11 | 3 | ||||||
애들레이드 시티 | 1999-2000 | 내셔널 사커 리그 | 34 | 8 | 34 | 8 | ||||||||
2000-01 | 21 | 4 | 21 | 4 | ||||||||||
2001-02 | 23 | 3 | 23 | 3 | ||||||||||
2002-03 | 32 | 6 | 32 | 6 | ||||||||||
크로이돈 킹스 (임대) | 2001 | 3 | 0 | 3 | 0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2003-04 | 내셔널 사커 리그 | 27 | 2 | 27 | 2 | ||||||||
커리어 통계 | 494 | 125 | 3 | 1 | 2 | 1 | 499 | 127 |
9.2. 국가대표팀 통계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호주 | 1991 | 6 | 1 |
1992 | 2 | 0 | |
1993 | 5 | 2 | |
1994 | 4 | 2 | |
1995 | 1 | 0 | |
1996 | 1 | 0 | |
1997 | 16 | 8 | |
1998 | 0 | 0 | |
1999 | 0 | 0 | |
2000 | 5 | 0 | |
2001 | 4 | 4 | |
총합 | 44 | 17 |
다음은 오렐리오 비드마의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이다.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91년 5월 15일 | 힌드마시 스타디움, 애들레이드, 호주 | 뉴질랜드 | 2-0 | 2-1 | 친선 경기 |
2 | 1993년 6월 6일 | 올림픽 파크 스타디움, 멜버른, 호주 | 뉴질랜드 | 2-0 | 3-0 | 1994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3 | 1993년 10월 31일 |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시드니, 호주 | 아르헨티나 | 1-1 | 1-1 | 1994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
4 | 1994년 5월 22일 |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일본 | 일본 | 1-1 | 1-1 | 친선 경기 |
5 | 1994년 6월 8일 | 힌드마시 스타디움, 애들레이드, 호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0 | 1-0 | 친선 경기 |
6 | 1997년 3월 12일 | 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 스코페, 북마케도니아 | 북마케도니아 | 1-0 | 1-0 | 친선 경기 |
7 | 1997년 4월 2일 | 푸슈카시 페렌츠 스타디움, 부다페스트, 헝가리 | 헝가리 | 1-0 | 3-1 | 친선 경기 |
8 | 3-1 | |||||
9 | 1997년 6월 13일 | 파라마타 스타디움, 파라마타, 호주 | 타히티 | 1-0 | 5-0 | 1998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0 | 1997년 6월 17일 | 파라마타 스타디움, 파라마타, 호주 | 솔로몬 제도 | 6-2 | 6-2 | 1998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1 | 1997년 6월 28일 | 노스 하버 스타디움, 노스쇼어, 뉴질랜드 | 뉴질랜드 | 2-0 | 3-0 | 1998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2 | 1997년 10월 1일 | 엘 멘자 스타디움, 튀니스, 튀니지 | 튀니지 | 1-0 | 3-0 | 친선 경기 |
13 | 1997년 11월 29일 |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멜버른, 호주 | 이란 | 2-0 | 2-2 | 1998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플레이오프 |
14 | 2001년 4월 11일 | 코프스 하버 국제 스타디움, 코프스 하버, 호주 | 아메리칸사모아 | 4-0 | 31-0 | 2002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5 | 26-0 | |||||
16 | 2001년 4월 16일 | 코프스 하버 국제 스타디움, 코프스 하버, 호주 | 사모아 | 1-0 | 11-0 | 2002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7 | 4-0 |
9.3. 감독 통계
팀 | 국가 | 부임 | 퇴임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호주 | 2007년 5월 2일 | 2010년 6월 3일 | 35|26|33|37.23% | ||||
방콕 글라스 | 태국 | 2016년 8월 13일 | 2017년 7월 10일 | 16|6|8|53.33%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 싱가포르 | 2019년 12월 18일 | 2021년 4월 30일 | 13|5|4|59.09% | ||||
BG 빠툼 유나이티드 | 태국 | 2021년 6월 1일 | 2021년 11월 15일 | 14|2|4|70.00% | ||||
방콕 유나이티드 | 태국 | 2022년 3월 11일 | 2022년 12월 28일 | 15|5|5|60.00% | ||||
멜버른 시티 | 호주 | 2023년 11월 1일 | 현재 | 13|8|11|40.63% | ||||
총합 | 106|52|65|47.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