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셜 제도는 태평양 서부, 적도 북쪽에 위치한 미크로네시아 지역의 섬나라이다. 공식 명칭은 마셜 제도 공화국(Aolepān Aorōkin Ṃajeḷ아오레판 아오로킨 마옐마셜어)이며, 수도는 마주로이다. 영토는 29개의 산호 환초와 5개의 주요 섬으로 구성되며, 동쪽의 라타크 열도와 서쪽의 랄리크 열도로 나뉜다. 전체 영토의 약 97.87%가 물로 이루어져 있어, 육지 대비 물의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주권 국가 중 하나이다. 오스트로네시아 계통의 정착민들이 기원전 2000년경부터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전통적으로 뛰어난 항해술을 발전시켰다.
16세기 중반 스페인 탐험가들에 의해 유럽에 알려졌으나, 이후 영국의 존 마셜 선장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19세기 후반 독일의 보호령이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 점령되어 전후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이 기간 동안 비키니 환초와 에네웨타크 환초 등에서 67차례의 핵 실험이 강행되어 주민과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남겼다.
1979년 자치 정부를 수립하고, 1986년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을 통해 완전한 주권을 획득하였다. 1991년 UN에 가입하였다. 정치 체제는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대통령제 공화국이며, 미국이 국방, 재정 지원, 주요 미국 기반 기관 접근 등을 제공한다. 천연자원이 부족하여 서비스 경제, 어업, 농업에 의존하며, 미국으로부터의 원조가 국가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공식 통화는 미국 달러이다.
국민 대다수는 마셜계이며, 마셜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다. 대부분 기독교를 신앙으로 삼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자연재해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국제 사회에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2. 역사
마셜 제도의 역사는 미크로네시아인의 초기 정착부터 시작하여 유럽인들의 탐험, 식민 통치, 미국의 신탁 통치와 핵 실험, 그리고 독립과 현대 국가로의 발전을 거쳐왔다. 각 시대별 주요 사건들은 마셜 제도의 정치, 사회,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2.1. 초기 역사와 외부 세계와의 접촉

언어학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마셜 제도의 최초 오스트로네시아족 정착민들은 솔로몬 제도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비키니 환초에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표본 수집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른 환초에서의 고고학적 발굴에서는 서기 1세기경 마주로의 라우라 마을과 콰잘레인 환초에서 인간 거주 증거가 발견되었다.
오스트로네시아 정착민들은 코코넛, 대왕참치고구마, 빵나무 등 동남아시아 작물과 닭을 마셜 제도 전역에 도입했다. 이들은 계절에 따른 어업 캠프에 코코넛을 남겨두는 방식으로 섬에 씨앗을 뿌린 후, 수년 뒤 영구적으로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다. 남부 섬들은 북부보다 강우량이 많아, 습한 남부 공동체는 주로 타로와 빵나무에 의존했고, 북부 주민들은 판다누스와 코코넛에 더 의존했다. 남부 환초는 아마도 더 크고 밀집된 인구를 부양했을 것이다.
마셜인들은 빵나무 목재와 코코넛 섬유 로프로 만든 왈라프(walap)라는 카누를 타고 섬 사이를 항해했다. 그들은 별을 이용해 방향을 잡고 초기 항로를 설정했으며, 수평선 아래에 있는 낮은 산호 환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바다 너울의 교란을 해석하는 독특한 항법 기술을 개발했다. 그들은 너울이 환초의 수중 경사면 주위에서 굴절하는 것을 관찰했다. 서로 다른 방향에서 온 굴절된 너울이 만나면 눈에 띄는 교란 패턴을 만들었고, 마셜인 조종사들은 이를 읽어 섬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부 마셜인 선원들은 시각과 배의 움직임 변화를 느끼는 감각 모두를 이용해 카누를 조종했다고 인류학자들에게 말했다. 선원들은 또한 너울 패턴을 도표화하기 위해 스틱 차트를 발명했지만, 서양 항해용 해도와 달리 마셜인의 스틱 차트는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항해를 시작하기 전에 참고하는 도구였으며, 항해사들은 항해할 때 차트를 가져가지 않았다.
1526년 8월 21일, 스페인 탐험가 알론소 데 살라사르가 유럽인 최초로 마셜 제도를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산타 마리아 데 라 빅토리아 호를 지휘하며 녹색 석호를 가진 환초를 목격했는데, 이는 아마도 타옹기 환초였을 것이다. 강한 해류와 배의 닻을 내리기에는 너무 깊은 수심 때문에 상륙하지 못하고 이틀 후 괌으로 항해했다.
1528년 1월 2일, 알바로 데 사아베드라 세론 탐험대는 무인도에 상륙했는데, 아마도 아일링기나에 환초였을 것이며, 그곳에서 보급품을 확보하고 6일간 머물렀다. 이웃 섬의 원주민들이 잠시 스페인인들과 만났다. 이 탐험대는 문신을 한 원주민들을 보고 이 섬들을 '로스 핀타도스'(Los Pintados, 그림 그린 사람들)라고 명명했다. 이후 마셜 제도를 탐험한 스페인 탐험가로는 루이 로페스 데 비얄로보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알론소 데 아레야노,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 등이 있었지만, 16세기 스페인 항해 기록의 좌표와 지리적 설명이 때때로 부정확하여 그들이 목격하고 방문한 구체적인 섬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남아있다.
1565년 7월 6일, 스페인 선박 산 헤로니모 호는 선박 조종사 로페 마르틴이 반란을 일으킨 후 우젤랑 환초에서 거의 난파될 뻔했다. 반란군이 우젤랑에서 보급품을 확보하는 동안, 몇몇 선원들이 배의 통제권을 되찾고 마르틴과 다른 26명의 반란군을 마셜 제도에 버려두었다. 16세기 후반까지 아메리카와 필리핀 사이를 항해하는 스페인 갈레온선들은 북위 13도 해상 항로를 유지하며 괌에서 보급을 받았고, 스페인 선원들이 위험한 해역에 있는 수익성 없는 섬으로 여겼던 마셜 제도는 피했다.
1788년 영국의 해군 선장 존 마셜과 토머스 길버트가 이 섬들을 방문했다. 그들의 배는 영국에서 뉴사우스웨일스주 보타니만으로 죄수들을 수송하는 제1함대의 일부였으며, 광저우로 가는 도중 길버트 제도와 마셜 제도를 통과했다. 1788년 6월 25일, 영국 선박들은 밀리 환초에서 섬 주민들과 평화롭게 교류하고 무역을 했다. 이 만남은 1568년 멘다냐 탐험 이후 유럽인과 마셜인 사이의 첫 접촉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항해용 해도와 지도에는 존 마셜의 이름이 붙여졌다.
1820년대부터 1850년대까지 마셜 제도 주민들은 서양 선박에 대해 점점 더 적대적으로 변했는데, 이는 아마도 선장들이 절도에 대해 가혹한 처벌을 가하고, 태평양 농장에서 노예로 팔기 위해 마셜인들을 납치했기 때문일 것이다. 최초의 폭력적인 충돌 중 하나는 1824년 2월, 밀리 환초 주민들이 미국 포경선 글로브 호의 조난 선원들을 학살한 사건이었다. 유사한 충돌은 1851년과 1852년에도 발생하여 에본 환초, 잴루잇 환초, 남드릭 환초에서 세 차례에 걸쳐 마셜인들이 선박을 공격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러시아 탐험가 오토 폰 코체부가 1817년에 마셜 제도를 방문했을 때, 섬 주민들은 여전히 서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는 마셜인들이 초가 지붕 오두막에 살았지만, 그들의 마을에는 미크로네시아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크고 화려한 집회소가 없었다고 관찰했다. 그들은 바닥 깔개와 의복으로 사용하는 직조 매트 외에는 가구가 없었다. 마셜인들은 귀를 뚫고 문신을 했다. 그는 마셜인 가족들이 잦은 기근으로 인한 인구 조절의 한 형태로 세 번째 아이 출산 후 영아 살해를 행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또한 마셜인 족장(iroij)들이 상당한 권위와 모든 재산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폴리네시아인 평민들의 상태보다는 마셜인 평민들의 상태에 대해 더 호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마셜 제도의 두 섬 그룹인 라타크 열도와 랄리크 열도는 각각 최고 족장(iroijlaplap)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이들은 개별 섬의 족장(iroij)들에 대한 권위를 가졌다.
2.2. 식민 시대
마셜 제도는 독일, 일본, 미국에 의한 식민 통치를 경험했다. 각 식민 시기 동안 경제적 착취와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미국의 신탁 통치 기간 동안에는 광범위한 핵 실험이 이루어져 주민과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1857년, 미국 해외 선교 위원회는 두 가족을 보내 에본 환초에 선교 교회와 학교를 설립했다. 1875년까지 선교사들은 다섯 개의 환초에 교회를 설립하고 200명 이상의 섬 주민들에게 세례를 주었으며, 한 여행자는 1870년대 중반까지 에본의 대부분의 여성이 서양식 옷을 입고 많은 남성이 바지를 입었다고 기록했다.
1859년, 아돌프 카펠과 다른 상인이 에본에 도착하여 독일 회사 호프슐레거 앤 슈타펜호르스트(Hoffschlaeger & Stapenhorst)를 위한 교역소를 설립했다. 이 회사가 1863년에 파산하자, 카펠은 포르투갈 출신 전 포경선원 안톤 호세 데브룸과 협력하여 코프라 무역 회사인 카펠 앤 코(Capelle & Co.)를 설립했다. 1873년, 이 회사는 본사를 잴루잇 환초로 이전했는데, 이곳은 남부 랄리크 열도의 강력한 족장이자 최고 족장 자리를 놓고 논란이 있던 카부아의 본거지였다. 1870년대에는 독일, 하와이, 뉴질랜드, 미국 등 다양한 국가의 여러 회사가 마셜 제도에서 코프라 무역에 종사했다. 1885년까지 독일 회사인 헤른스하임 앤 코(Hernsheim & Co.)와 함부르크 남해 제도 독일 무역 농장 회사(Deutsche Handels- und Plantagen-Gesellschaft Der Südsee Inseln zu Hamburg)가 무역의 3분의 2를 장악했다.
마셜인과 서양인 간의 접촉은 인플루엔자, 홍역, 매독, 장티푸스 등 서양 질병의 치명적인 발병으로 이어졌다. 알코올 접근성 증가는 일부 마셜인 공동체에서 사회 문제를 야기했으며, 여러 환초에서는 화기를 손에 넣은 경쟁 관계의 족장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2.2.1. 독일 보호령 (1885년~1914년)

1875년, 영국과 독일 정부는 서태평양을 세력권으로 분할하기 위한 일련의 비밀 협상을 벌였고, 독일의 세력권에는 마셜 제도가 포함되었다. 1878년 11월 26일, 독일 군함 SMS 아리아드네 호가 잴루잇에 정박하여 족장들과 독일 제국에 랄리크 열도에서의 최혜국 지위를 부여하는 조약 협상을 시작했다. 협상 둘째 날, 바르톨로메우스 폰 베르너 함장은 부하들에게 군사 시위를 명령했는데, 그는 나중에 "이전에 이런 것을 본 적이 없는 섬 주민들에게 유럽인들의 힘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11월 29일, 베르너는 카부아 및 다른 여러 랄리크 열도 족장들과 조약을 체결하여 잴루잇에 독일 급탄항을 확보하고 환초 항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885년 8월 29일, 독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독일 기업들의 거듭된 청원에 따라 마셜 제도를 보호령으로 합병하는 것을 승인했다. 독일 포함 SMS 나우틸루스 호가 10월 13일 잴루잇에 정박하여 통제권을 장악했다. 10월 15일, 족장 카부아, 로에아크, 넬루, 라가지메, 라우나가 독일 영사관에서 독일어와 마셜어로 보호 조약을 체결했다. 마셜어 조문은 다섯 족장 사이에 지위 구분을 두지 않았지만, 독일어 조문은 카부아와 로에아크 사이에 최고 족장 자리를 놓고 계속된 분쟁에도 불구하고 카부아를 마셜 제도의 왕으로 인정했다. 독일 해병대 중대가 잴루잇에 독일 제국 국기를 게양하고 마셜 제도의 다른 7개 환초에서도 유사한 의식을 거행했으나, 몇몇 친미 성향의 족장들은 1886년 중반 독일 해군력의 위협을 받고 나서야 독일 보호령을 인정했다. 나우루는 1886년 4월 영독 선언에 따라 1888년 독일 마셜 제도 보호령에 편입되었다.
독일 상업 이익 단체들은 합자 회사인 잴루잇 회사(Jaluit Company)를 설립하여 식민지 행정 자금을 조달했다. 이 회사는 마셜 코프라 무역의 3분의 2를 통제하는 것 외에도 상업 면허 수수료와 연간 인두세를 징수할 권한을 가졌다. 또한 모든 새로운 법률과 조례에 대해 협의할 권리를 가졌으며 모든 식민 행정 직원을 지명했다. 회사의 면허 수수료와 법적 이점으로 인해 미국과 영국의 경쟁자들이 밀려나 독일 태평양 식민지에서 독점 체제가 구축되었다. 영국 정부는 잴루잇 회사에 유리한 규정이 영독 선언의 자유 무역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항의했다. 1906년 3월 31일, 독일 정부는 직접 통치를 시작하고 마셜 제도와 나우루를 독일령 뉴기니 보호령의 일부로 재편했다.
2.2.2. 일본 제국 통치기 (1914년~1944년)
일본 제국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인 1914년 9월 29일 에네웨타크 환초를, 9월 30일 잴루잇 환초를 침공했다. 점령군은 10월 3일 잴루잇에 주둔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적도 북쪽의 독일 태평양 식민지들은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 제도 하에 일본의 남양 위임통치령이 되었다. 독일은 1919년 6월 28일 베르사유 조약 체결과 함께 마셜 제도를 일본에 할양했다.
일본 해군은 1914년 말부터 1921년까지 이 섬들을 관리했다. 민간 정부인 南洋庁난요초일본어는 1922년 4월 팔라우에 본부를 설치하고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마셜 제도를 관리했다. 일본의 조사 결과, 마셜 제도의 가치는 주로 전략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이는 장래의 남진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마셜 제도는 또한 일본 통치 기간 동안 주요 코프라 생산지였으며, 南洋貿易会社난요보에키가이샤일본어가 잴루잇 회사의 사업을 인수하고 독일 식민지 기반 시설을 확충했다. 남양 위임통치령의 다른 지역에서는 일본인 정착이 활발하여 북마리아나 제도와 팔라우에서는 일본인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마셜 제도는 일본 본토에서 멀고 미크로네시아에서 경제적 잠재력이 가장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일본인 정착민은 일본 통치 기간 내내 1,000명 미만의 소수 민족으로 남아 있었다.

1933년 3월 27일, 일본은 국제 연맹 탈퇴 의사를 밝혔고, 1935년 공식적으로 탈퇴했지만 남양 위임통치령 영토는 계속 통제했다. 일본 군사 계획가들은 처음에 마셜 제도를 광범위한 요새화에는 너무 멀고 방어하기 어려운 곳으로 평가절하했지만, 일본이 장거리 폭격기를 개발하면서 이 섬들은 호주, 영국 식민지, 미국을 공격하기 위한 전진 기지로 유용해졌다. 1939년과 1940년에 해군은 콰잘레인 환초, 마로에라프 환초, 웟제 환초에 군용 비행장을 건설하고 잴루잇에 수상 비행기 시설을 구축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 미국 태평양 함대는 1942년 2월 1일 잴루잇, 콰잘레인, 마로에라프, 웟제를 공습한 마셜-길버트 제도 공습을 감행했다. 이는 일본 영토에 대한 최초의 미국 공습이었다. 미국은 1944년 1월 31일 길버트-마셜 제도 전역 중에 마셜 제도를 침공했다. 미군은 마주로와 콰잘레인을 동시에 침공했다. 1944년 가을까지 미군은 잴루잇, 마로에라프, 밀리, 웟제를 제외한 마셜 제도 전역을 장악했다. 미군 작전이 미크로네시아를 거쳐 류큐 열도로 진격함에 따라, 일본이 점령한 4개 환초는 보급이 끊기고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주둔군은 1944년 말부터 식량이 부족해지기 시작하여 기아와 질병으로 인한 사상자가 많이 발생했다.
2.3. 미국의 신탁 통치와 핵 실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셜 제도는 미국의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에 편입되었다. 이 시기 미국은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며 자치 정부 수립 과정을 지원했으나, 동시에 비키니 환초와 에네웨타크 환초 등지에서 대규모 핵 실험을 강행하여 마셜 제도 주민과 환경에 심각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입혔다.
2.3.1.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운영
1947년, 미국은 UN 안전 보장 이사회와 협정을 맺어 마셜 제도를 포함한 미크로네시아 대부분을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1965년 태평양 섬들의 자치권 증진을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미크로네시아 의회를 구성했다. 미국의 신탁 통치 하에서 마셜 제도는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변화를 겪었으며, 점차 자치 정부 수립을 향해 나아갔다.
2.3.2. 핵 실험과 그 영향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마셜 제도는 미국의 태평양 실험장 역할을 하며 다양한 환초에서 67차례의 핵 실험이 이루어졌다. (총 실험 횟수는 67회이지만, 하드택 I 작전의 스캐볼라(SCAEVOLA)와 퀸스(QUINCE) 두 실험은 폭발력이 0이었는데, 하나는 안전 실험이었고 다른 하나는 실패했다. 때때로 이 중 하나가 집계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또 다른 불일치의 원인은 사이먼과 로빈슨의 널리 인용되는 논문인데, 요약에서는 마셜 제도에서 실시된 총 실험 횟수를 66회(비키니 환초 23회 + 에네웨타크 환초 42회 + 환초 사이 1회)로 제시하지만, 첨부된 표에는 67회 실험(23 + 43 + 1) 모두에 대한 데이터가 나열되어 있다.)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주민 일부를 강제 이주시킨 후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 핵폭탄 실험이 시작되었다. 세계 최초의 수소 폭탄인 코드명 "아이비 마이크"는 1952년 11월 1일(현지 시간) 마셜 제도 에네웨타크 환초에서 실험되었으며, 이 지역에 상당한 방사능 낙진을 발생시켰다. 특히 1954년 캐슬 브라보 실험은 예상보다 훨씬 강력한 폭발을 일으켜 인근의 유인도인 롱겔라프 환초와 롱게리크 환초 등에 심각한 방사능 낙진 피해를 입혔다. 이 섬들은 폭발 전에 대피하지 못했다.
수년에 걸쳐 미국 정부는 60개가 넘는 섬 중 단 하나만을 정화했으며, 주민들은 여전히 핵 청구 재판소에서 평가한 20.00 억 USD의 보상을 기다리고 있다. 많은 섬 주민과 그 후손들은 섬이 높은 수준의 방사능으로 오염되어 여전히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미국은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과 잔해(치명적인 양의 플루토늄 포함)를 처리하기 위해 루닛섬에 루닛 돔을 건설했다. 이 폐기물 처리장의 노후화와 잠재적인 방사능 오염 유출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핵 실험은 마셜 제도 주민들에게 심각한 건강 문제(방사선 화상, 암 발병률 증가 등)를 야기했으며, 환경 오염과 강제 이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이에 대한 보상과 장기적인 건강 관리 문제는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2.4. 독립과 현대 국가 발전

1979년 5월 1일, 마셜 제도의 변화하는 정치적 지위를 인정하여 미국은 마셜 제도 헌법과 마셜 제도 공화국 정부 수립을 인정했다. 헌법에는 미국과 영국의 헌법 개념이 모두 통합되어 있다. 아마타 카부아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마셜 제도 공화국이 창립된 이후 여러 차례의 지방 선거와 전국 선거가 있었다. 개혁 강령을 내세운 통합민주당은 1999년 의회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직과 내각을 장악했다.
마셜 제도는 1986년 미국과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을 체결하여 완전한 주권 또는 자치를 달성했다. 신탁 통치는 1990년 12월 22일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683호에 따라 종료되었다. 1999년까지 섬 주민들은 미국이 콰잘레인 환초를 계속 사용하는 대가로 1.80 억 USD, 핵 실험 보상금으로 2.50 억 USD, 그리고 협정에 따른 기타 지불금으로 6.00 억 USD를 받았다. 자유연합협정에 따른 대부분의 재정 지원은 2023년에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같은 해에 20년 더 연장되었다.
헌법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주로 이로이즈(Iroij, 전통적 족장)에 의해 통제되었다. 1999년 정치 부패 혐의 이후 귀족 정부가 전복되고 이마타 카부아가 평민인 케사이 노트로 교체되었다.
2018년 2월, 마셜 제도는 세계 최초로 자체 암호화폐(소버린, Sovereign)를 법정 화폐로 인정했다.
2020년 1월, 창립 대통령 아마타 카부아의 아들인 데이비드 카부아가 새로운 마셜 제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전임자인 힐다 하이네는 표결 후 직위를 잃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마셜인들은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칸소주에 4,000명 이상, 하와이주에 7,000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독립 이후 마셜 제도는 군사 및 상업적 우주 목적을 위한 미사일 및 로켓 시험 및 발사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스페이스X 팰컨 1 로켓 비행 5회 모두 콰잘레인 환초 내의 오멜렉섬에서 이루어졌다. 팰컨 1의 네 번째 발사는 성공적이었으며, 민간 개발 액체 연료 발사체가 궤도에 도달한 역사상 최초의 사례였다. 스페이스X 창립자 일론 머스크는 일부 발사 시 콰잘레인에 있었다.
2021년, 다른 미크로네시아권 4개국과 함께 태평양 제도 포럼 탈퇴를 선언했으나, 관계 개선 후 탈퇴를 철회했다.
2023년, 마셜 제도 의회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 방류에 우려를 표명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 이는 과거 핵 실험 피해 경험과 맞물려 태평양 도서국들의 큰 반향을 일으켰다.
3. 지리
마셜 제도는 태평양 중서부에 위치하며, 수많은 환초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형적으로 매우 낮고 평탄하여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취약하다.

3.1. 지형 및 자연환경

마셜 제도는 하와이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 중간쯤, 나우루와 키리바시 북쪽, 미크로네시아 연방 동쪽, 그리고 영유권 분쟁이 있는 미국령 웨이크섬 남쪽에 위치하며, 고대 해저 화산 위에 자리 잡고 있다. 마셜 제도는 웨이크섬에 대한 영유권도 주장하고 있다. 환초와 섬들은 두 개의 주요 열도인 라타크 열도(Ratak, "일출"이라는 뜻)와 랄리크 열도(Ralik, "일몰"이라는 뜻)를 형성한다. 두 열도는 대략 서로 평행하게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약 194249108 만 m2 (75.00 만 mile2)의 해양 면적을 차지하지만 육지 면적은 약 181299168 m2 (70 mile2)에 불과하다. 각 열도에는 15개에서 18개의 섬과 환초가 포함된다.
이 나라는 태평양 약 46619786 만 m2 (18.00 만 mile2)에 걸쳐 총 29개의 환초와 5개의 개별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육지 면적이 15539929 m2 (6 mile2)인 가장 큰 환초는 콰잘레인 환초이며, 1696442212 m2 (655 mile2)의 석호를 둘러싸고 있다. 전국 평균 해발 고도는 2.1 m (7 ft)이다.

24개의 환초와 섬에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나머지 환초들은 열악한 생활 조건, 강우 부족 또는 핵 오염으로 인해 무인도이다. 무인 환초는 다음과 같다:
- 아일링기나에 환초
- 비카르 환초
- 비키니 환초
- 보카크 환초
- 에리쿠브 환초
- 제모섬
- 나디크디크 환초
- 롱게리크 환초
- 토케 환초
- 우젤랑 환초
2011년 10월, 정부는 거의 200.00 만 km2에 달하는 해양 지역을 상어 보호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 보호구역으로, 상어가 보호되는 전 세계 해양 면적을 270.00 만 km2에서 460.00 만 km2로 확장했다. 보호 수역에서는 모든 상어 어업이 금지되며 모든 혼획은 방류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마셜 제도가 이 구역을 집행할 능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마셜 제도에는 집참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닷새나 철새이다. 약 70종의 새가 있으며, 그중 31종은 바닷새이다. 이 중 15종이 현지에서 번식한다. 바닷새에는 검은제비갈매기와 흰제비갈매기가 있다. 약 300종의 어류가 있으며, 그중 250종은 산호초 어류이다. 바다거북으로는 푸른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장수거북, 올리브각시바다거북이 있다. 최소 22종의 상어 종류가 서식한다.
3.2. 기후
마셜 제도의 기후는 열대 우림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Af)에 속하며, 비교적 건조한 시기는 12월부터 4월까지이고 우기는 5월부터 11월까지이다. 많은 태평양 태풍이 마셜 제도 지역에서 열대성 폭풍으로 시작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마리아나 제도와 필리핀을 향해 더욱 강력해진다.
인구는 보통 강우량으로부터 얻는 담수 공급량을 초과했다. 북부 환초는 연간 1.3 m (50 in)의 강우량을, 남부 환초는 그 두 배 정도의 강우량을 기록한다. 가뭄의 위협은 제도 전반에 걸쳐 흔하다.
3.3. 기후 변화의 영향
기후 변화는 마셜 제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태풍은 더욱 강력해지고 해수면은 상승하고 있다. 태평양 섬들 주변의 바다는 1993년 이후 연간 3.4 mm씩 상승했으며, 이는 전 세계 평균 상승률의 두 배 이상이다. 콰잘레인 환초에서는 영구 침수 위험이 높다. 해수면이 1 m 상승하면 건물 37%가 영구 침수될 것이다. 에베예섬에서는 해수면 상승 위험이 더욱 높아, 같은 시나리오에서 건물 50%가 영구 침수될 것이다. 해수면이 1 m 상승하면 마주로 환초 일부가 영구 침수되고 다른 지역은 특히 환초 동부가 심각한 침수 위험에 처하게 된다. 해수면이 2 m 상승하면 마주로의 모든 건물이 영구 침수되거나 높은 침수 위험에 처하게 된다.
2020년 1인당 CO2 배출량은 2.56톤이었다. 마셜 제도 정부는 2050년까지 순 제로 배출을 달성하고, 2010년 대비 온실가스(GHG)를 2025년까지 32%, 2030년까지 45%, 2035년까지 58% 감축하겠다고 약속했다.
3.4. 주요 환초와 섬
마셜 제도는 수많은 환초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수도인 마주로와 주요 경제 중심지인 에베예가 있는 콰잘레인 환초가 대표적이다. 역사적으로는 핵 실험 장소였던 비키니 환초와 에네웨타크 환초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마주로: 마셜 제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인구의 약 절반이 거주한다. 정부 기관, 주요 상업 시설, 마셜 제도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 콰잘레인 환초: 세계에서 가장 큰 환초 중 하나로,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탄도 미사일 방어 시험장이 위치해 있다. 환초 내의 에베예섬은 마주로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이다.
- 비키니 환초: 1946년부터 1958년까지 23차례의 미국 핵 실험 장소로 이용되었다. 주민들은 강제 이주되었으며, 방사능 오염으로 인해 여전히 거주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에네웨타크 환초: 1948년부터 1958년까지 43차례의 핵 실험이 이루어진 곳이다. 특히 1952년 세계 최초의 수소 폭탄 실험("아이비 마이크")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이곳 역시 심각한 방사능 오염 피해를 입었다.
- 잴루잇 환초: 과거 독일과 일본 통치 시기 행정 중심지 중 하나였다. 현재도 비교적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 롱겔라프 환초: 1954년 캐슬 브라보 핵 실험 당시 심각한 방사능 낙진 피해를 입은 유인 환초이다. 주민들은 이후 여러 차례 이주해야 했다.
3.5. 영유권 문제
마셜 제도는 웨이크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웨이크섬은 마셜어로 Ānen Kio아넨 키오마셜어(새로운 철자법) 또는 Enen-kio에넨키오마셜어(옛 철자법)로 불린다. 마셜 제도의 주장은 구전 전설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웨이크섬은 1899년부터 미국이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은 마셜 제도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현재 웨이크섬은 미국의 미편입영토이자 비자치령으로 남아 있다.
4. 정치
마셜 제도는 대통령제를 채택한 공화국으로,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 하에 독특한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입법, 행정, 사법의 삼권 분립을 기본으로 하며, 전통적인 족장 제도의 영향력도 남아있다.


4.1. 정부 구조
마셜 제도의 정부는 1979년 제정된 헌법에 따라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대통령제를 운영한다.
- 대통령: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다. 입법부인 니티젤라(Nitijela, 의회)에서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 대통령은 니티젤라 의원 중에서 각료를 지명하여 내각을 구성한다.
- 니티젤라 (Nitijela, 의회): 단원제 입법부로, 총 33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된다. 의원들은 24개 선거구에서 보통선거(18세 이상 모든 시민)를 통해 4년 임기로 선출된다. 수도인 마주로는 5명의 상원의원을 선출한다.
- 이로이즈 대의회 (Council of Iroij): 12명의 전통적인 최고 족장(Iroijlaplap)으로 구성된 자문 기구이다. 관습법 및 전통 문제에 대해 니티젤라와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역할을 한다.
- 사법부: 대법원, 고등 법원, 지방 법원, 전통 권리 법원 등으로 구성된다. 법관은 대통령이 니티젤라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2024년 1월, 힐다 하이네가 대통령으로 재선출되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그녀는 마셜 제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기도 하다.
4.2. 주요 정당 및 선거
마셜 제도에는 현재 4개의 주요 정당이 있다: 아엘론 케인 아드당(Aelon Kein Ad, AKA), 통합인민당(United People's Party, UPP), 키엔 에오 암당(Kien Eo Am, KEA), 통합민주당(United Democratic Party, UDP). 최근 선거에서는 AKA당과 UDP당이 연립하여 정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총선은 4년마다 실시되며, 가장 최근의 총선은 2023년 11월에 치러졌다. 이 선거 결과에 따라 2024년 1월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선거는 비교적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지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4.3. 행정 구역
마셜 제도는 24개의 유인 환초와 섬으로 구성된 선거구를 행정 단위로 한다. 각 선거구는 하나 이상의 대표(상원의원)를 니티젤라에 보낸다. 주요 행정 중심지는 수도인 마주로이며, 그 외에 콰잘레인 환초의 에베예섬이 주요 도시 지역이다. 각 지방 자치 정부는 지방의 문제들을 관리한다.
다음은 마셜 제도를 구성하는 주요 유인 환초 및 섬(선거구) 목록이다.
- 아일링라플라프 환초
- 아일룩 환초
- 아르노 환초
- 아우르 환초
- 에본 환초
- 에네웨타크 환초
- 자밧섬
- 잴루잇 환초
- 킬리섬
- 콰잘레인 환초
- 라에 환초
- 리브섬
- 리키에프 환초
- 마주로 환초 (수도)
- 마로에라프 환초
- 메짓섬
- 밀리 환초
- 남드릭 환초
- 나무 환초
- 롱겔라프 환초
- 우자에 환초
- 우티리크 환초
- 워토 환초
- 웟제 환초
4.4. 이로이즈 대의회
이로이즈 대의회(Council of Iroij)는 마셜 제도의 전통적인 족장들로 구성된 자문 기구이다. 12명의 최고 족장(이로이즈라플랍, Iroijlaplap)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자의 지역에서 전통적인 권위와 영향력을 가진다. 이로이즈 대의회는 주로 관습법, 토지 소유권, 전통 문화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니티젤라(의회)와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역할을 한다. 헌법상 명시된 기구로, 현대 정치 체제 내에서 전통적인 리더십의 역할을 보장하고 있다. 이들의 의견은 특히 토지 문제나 문화적 사안에 있어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1979년 헌법 제정 이후 선출된 5명의 마셜 제도 대통령 중 4명이 전통적인 최고 족장이었다는 점은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5. 대외 관계 및 국방
마셜 제도는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을 통해 독특한 대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UN 등 국제기구의 회원국으로서 다자 외교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자체 군대는 없으며 국방은 미국에 의존한다.


5.1.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
마셜 제도는 1986년 미국과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 COFA)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 따라 마셜 제도는 완전한 주권을 가지지만, 국방 및 안보는 미국이 전적으로 책임진다. 미국은 마셜 제도에 재정 지원을 제공하며, 마셜 제도 국민은 미국에 비자 없이 이주하여 거주하고 일할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외국인 신분이므로 특정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추방될 수 있다.
협정은 또한 미국이 콰잘레인 환초의 로널드 레이건 탄도 미사일 방어 시험장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기지 사용에 대한 임대료는 마셜 제도 정부 수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최초 협정은 2003년에 개정되었으며, 재정 지원 조항은 2023년에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20년간 연장하는 새로운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를 통해 마셜 제도는 향후 20년간 약 23.00 억 USD의 경제 지원을 받게 된다.
5.2. 국제 기구 가입 및 활동
마셜 제도는 1991년 9월 17일 UN에 가입했다 (UN 안전보장이사회 1991년 8월 9일 결의 제704호 및 총회 결의 46/3호). UN 내에서는 종종 미국과 유사한 투표 성향을 보인다.
또한, 1983년부터 태평양 공동체(SPC)의 회원국이며, 태평양 제도 포럼(PIF)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2021년 2월, 사무총장 선출 문제로 PIF 탈퇴를 선언했으나, 이후 관계 개선 노력으로 탈퇴를 철회하고 포럼 활동에 복귀했다.
기후 변화 문제에 있어 국제 사회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특히 저지대 도서 국가들의 취약성을 강조하고 선진국들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2017년 3월, UN 인권이사회에서는 바누아투 등 다른 태평양 국가들과 함께 인도네시아령 서뉴기니의 인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5.3. 주요 국가와의 관계
- 미국: 자유연합협정을 통해 가장 중요한 동맹국이다. 국방, 경제 원조, 국민 이주 등 다방면에 걸쳐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 대한민국: 1991년 4월 5일 수교했다. 대한민국은 주피지 대사관이 마셜 제도 업무를 겸임하고 있으며, 마셜 제도는 2015년 12월 대한민국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마셜 제도의 대 한국 수출은 미미하며(주로 코코넛, 코프라), 한국의 대 마셜 제도 수출은 주로 석유 제품이다.
- 일본: 과거 위임 통치국이었으며, 현재는 주요 원조 공여국 중 하나이다. 경제 협력 및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1년 호주와 함께 마셜 제도의 주요 법 집행 개발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 중화민국(대만): 1998년부터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있으며, 마셜 제도는 대만을 승인하는 소수의 국가 중 하나이다. 대만은 마셜 제도에 농업,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원조를 제공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원조 공여국 중 하나로, 마셜 제도의 해양 안보 및 개발 사업을 지원한다.
5.4. 국방
마셜 제도는 자체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국방은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에 따라 전적으로 미국이 책임진다.
마셜 제도 경찰(Marshall Islands Police) 내 해양 순찰대(Republic of Marshall Islands Sea Patrol)가 160톤급 순찰선 RMIS 로모르를 운영하고 있다. 이 순찰선은 오스트레일리아가 태평양 제도 포럼 회원국들에게 제공한 22척의 태평양 포럼급 순찰선 중 하나이다. 자유연합협정 조건에 따라 로모르는 주권 보호 임무보다는 어업 보호, 수색 및 구조와 같은 민간 임무에 제한적으로 투입된다.
미국은 콰잘레인 환초에 로널드 레이건 탄도 미사일 방어 시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중요한 군사 시설이다.
2015년 4월 28일, 이란 해군이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마셜 제도 선적의 상선 MV Maersk Tigris호를 나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은 이 사건과 관련하여 마셜 제도에 대한 방위 의무가 해상에서 외국 소유의 마셜 제도 선적 선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6. 경제
마셜 제도의 경제는 미국으로부터의 원조, 어업, 농업, 그리고 편의치적을 통한 해운업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천연자원이 거의 없어 수입이 수출을 훨씬 초과하는 구조이다.
6.1. 경제 구조 및 주요 지표


마셜 제도는 천연자원이 부족하여 수입이 수출을 크게 초과한다. CIA에 따르면 2013년 수출액은 약 5370.00 만 USD인 반면, 수입액은 약 1.34 억 USD로 추정되었다. 2016년 국내총생산(GDP)은 약 1.80 억 USD였으며, 실질 성장률은 1.7%였다. 1인당 GDP는 3300 USD였다.
국제 통화 기금(IMF)은 2016년 중반, 개선된 어업 부문 덕분에 2015 회계연도에 공화국 경제가 약 0.5% 성장했다고 보고했다. 기록적인 어업 면허 수수료로 인해 GDP의 3% 흑자가 기록되었다. 2016년 초 가뭄의 영향이 인프라 프로젝트 재개로 상쇄되면서 2016 회계연도에는 성장률이 약 1.5%, 물가 상승률은 약 0.5%로 예상되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코프라, 코코넛 유, 생선(특히 참치)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식료품, 기계류, 연료, 소비재 등이다.
세금 제도로는 소득세(8% 및 12%의 2단계 세율)와 법인세(수익의 3%)가 있다. 서비스업, 특히 정부 부문과 미국 기지 관련 서비스가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관광업은 잠재력이 있으나, 지리적 고립과 기반 시설 부족으로 인해 아직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수공예품 생산과 같은 소규모 산업도 존재한다.
6.2. 주요 산업
마셜 제도의 주요 산업은 어업, 농업, 관광업, 그리고 편의치적을 이용한 해운업이다.
6.2.1. 농업 및 어업

농업 생산은 소규모 농장에 집중되어 있다. 가장 중요한 상업 작물은 코프라이며, 그 외에 코코넛, 빵나무, 판다누스, 바나나, 타로, 칡 등이 생산된다. 가축은 주로 돼지와 닭으로 구성된다.
마주로는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참치 환적항으로, 2015년에는 총 444,393톤에 달하는 704건의 환적이 이루어졌다. 마주로는 또한 참치 가공 중심지이기도 하다. 팬 퍼시픽 푸드(Pan Pacific Foods) 공장은 가공된 참치를 여러 국가에 수출하며, 주로 미국에서는 범블비 브랜드로 판매된다. 참치를 비롯한 어업 면허 수수료는 정부의 중요한 수입원이다. 1999년 한 민간 회사가 4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는 참치 가공 공장을 건설했으나, 2005년 문을 닫았다. 정부는 이 사업에 200.00 만 USD의 대출 보증을 섰었다.
6.2.2. 해운업 (편의치적)
마셜 제도는 상업용 선박의 편의치적 국가로서 국제 해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셜 제도 선박 등록은 1990년에 시작되었으며, 미국의 인터내셔널 레지스트리(International Registries, Inc.)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관리된다. 이 회사는 전 세계 주요 해운 중심지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2017년 기준 마셜 제도 선박 등록은 파나마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
일부 국적 국가와 달리, 마셜 제도 국적 선박이 마셜 제도 개인이나 법인 소유여야 한다는 요건은 없다. 2015년 MV 머스크 티그리스호 나포 사건 이후, 미국은 마셜 제도 방어에 대한 조약 의무가 해상에서 외국 소유의 마셜 제도 국적 선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마셜 제도 국적 유조선에 의한 선박 간 환적으로 인해, 마셜 제도는 석유 정제 능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미국으로부터 원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6.3. 미국 원조 및 재정
미국 정부의 지원은 마셜 제도 경제의 버팀목이다. 개정된 자유연합협정 조건에 따라, 미국은 마셜 제도에 매년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초기 협정에서는 2013년까지 연간 5770.00 만 USD, 2023년까지는 연간 6270.00 만 USD를 제공하기로 약속했으며, 이후에는 미국과 마셜 제도의 기여금으로 구성된 신탁 기금이 영구적인 연간 지불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2023년 새로운 20년 협정이 체결되어 향후 20년간 약 23.00 억 USD의 경제 지원이 확보되었다.
미 육군은 콰잘레인 환초에 로널드 레이건 탄도 미사일 방어 시험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마셜 제도 지주들은 기지 임대료를 받는다. 이러한 원조와 임대료는 국가 재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마셜 제도 경제는 미국 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6.4. 통화
마셜 제도의 공식 통화는 미국 달러(USD)이다.
2018년, 마셜 제도 공화국은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법정 통화로 인증하는 주권 통화법을 통과시켰다. 이 암호화폐의 이름은 "소버린(Sovereign)"이며, 이는 마셜 제도가 세계 최초로 자체 암호화폐를 법정 통화로 지정한 사례가 되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금융기관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거시경제적 위험, 금융 건전성 위험,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위험 등을 이유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현재까지 소버린의 광범위한 사용이나 국제적 인정은 미미한 수준이다.
7. 사회 및 인구
마셜 제도의 사회는 전통적인 미크로네시아 문화와 서구의 영향이 혼재된 모습을 보이며, 인구는 주로 수도인 마주로와 에베예에 집중되어 있다. 핵 실험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해외 이주 현상도 중요한 사회적 특징이다.
7.1. 인구 통계와 분포
마셜 제도의 역사적 인구 수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862년에는 약 10,000명으로 추산되었으며, 1960년에는 약 15,000명이었다.
연도 | 인구 |
---|---|
1920 | 9,800 |
1925 | 9,644 |
1930 | 10,412 |
1935 | 10,446 |
1958 | 13,928 |
1967 | 18,925 |
1973 | 24,135 |
1980 | 30,873 |
1988 | 43,380 |
1999 | 50,840 |
2011 | 53,158 |
2021 | 42,418 |
2021년 인구 조사에서는 42,418명의 주민이 집계되었으며, 이 중 약 54.6%인 23,156명이 수도 마주로에 거주했다. 인구의 77.7%가 마주로나 제2의 도시 중심지인 에베예에 도시 환경에서 살고 있다. 이 수치는 다른 곳으로 이주한 마셜 제도 원주민을 제외한 것이다. 자유연합협정은 마셜 제도 국민이 미국으로 자유롭게 이주하여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미국 아칸소주 스프링데일에는 약 4,300명의 마셜 제도 원주민이 이주해 있으며, 이는 마셜 제도 본토 이외 지역에서 가장 큰 마셜인 집중 거주지이다. 하와이에도 7,000명 이상(2010년 기준)이 거주하고 있다.
인구 밀도는 평방 마일당 760명(km²당 295명)이며 (UN 2020년 추정), 평균 수명은 남성 약 68세, 여성 약 72세이다. 도시화율은 높은 편이며, 주로 마주로와 에베예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7.2. 민족, 언어, 종교

마셜 제도 주민의 대다수는 마셜인이다. 마셜인은 미크로네시아인의 한 갈래로, 수천 년 전 아시아에서 마셜 제도로 이주한 것으로 여겨진다. 소수의 마셜인은 최근의 아시아계(주로 일본인) 및 유럽계(독일인) 조상을 두고 있다. 다수는 폴리네시아인 및 멜라네시아인 혈통을 가지고 있다.
공식 언어는 마셜어와 영어이다. 두 언어 모두 널리 사용된다. 마셜어는 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과거 일본 통치의 영향으로 일부 노년층은 일본어를 이해하기도 한다.
2021년 9월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약 96.2%가 마셜 제도 내 14개 기독교 교파 중 하나에 속한다고 응답했다. 신자 수가 1,000명 이상인 교파는 다음과 같다:
- 마셜 제도 연합 그리스도 교회(UCCCMI): 47.9%
- 하나님의 성회: 14.1%
- 가톨릭교회: 9.3%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5.7%
- 마셜 제도 순복음 교회: 5%
- 부콧 난 예수스: 3%
나머지 교파는 주로 개신교 교회와 여호와의 증인을 포함한다. 응답자의 2.7%인 1,128명은 인구 조사 양식에 기재된 14개 교파 이외의 종교에 속한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1.1%인 444명은 무종교라고 주장했다. 마주로에는 바하이 신앙 공동체와 이슬람교 공동체도 있다. 이 나라의 유일한 모스크는 아흐마드파 운동과 연계되어 있다.
7.3. 교육

인권측정계획(HRMI)에 따르면 마셜 제도는 국가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교육권에 대해 충족해야 할 수준의 66.1%만을 충족하고 있다. HRMI는 초등 교육권과 중등 교육권을 살펴 교육권을 세분화한다. 마셜 제도의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국가는 초등 교육의 경우 자원(소득)을 기준으로 가능한 수준의 65.5%를, 중등 교육의 경우 66.6%를 달성하고 있다.
교육부가 교육 기관이다. 마셜 제도 공립학교 시스템은 마셜 제도의 주립 학교를 운영한다.
1994-1995학년도에 이 나라에는 103개의 초등학교와 13개의 중등학교가 있었다. 사립 초등학교는 27개, 사립 고등학교는 1개였다. 기독교 단체가 대부분의 사립 학교를 운영했다.
역사적으로 마셜 인구는 먼저 영어를 배우고 나중에 마셜어 교육을 받았지만, 1990년대에는 섬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아이들이 마셜어로 글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순서가 바뀌었다. 현재 영어 교육은 3학년부터 시작된다.
마셜 제도에는 두 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마셜 제도 대학(College of the Marshall Islands)과 남태평양 대학교.
7.4. 보건 및 의료
과거 캐슬 브라보 핵 실험과 같은 핵 실험으로 인해 주민들은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건강 문제(암, 갑상선 질환 등)를 겪어왔으며, 이는 장기적인 보건 과제로 남아있다. 롱겔라프와 롱게리크 환초 주민들은 피폭 후 강제 이주되었고, 미국 정부로부터의 보상은 미흡하다는 비판이 있다.
주요 질병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생활습관병의 발병률이 높다. 이는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서구화된 식생활로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의료 시설은 주로 수도인 마주로에 집중되어 있으며, 외곽 섬 지역의 의료 접근성은 낮은 편이다. 평균 기대 수명은 약 65-70세 사이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2010년에는 마셜인들이 토지 부족으로 사망자를 매장할 땅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그들이 개발한 한 가지 해결책은 같은 묘지에 다른 사람을 묻어 이중 무덤을 만드는 것이었다.
8. 문화
마셜 제도의 문화는 전통적인 미크로네시아 해양 문화와 서구의 영향이 결합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뛰어난 항해술과 카누 제작 기술, 독특한 수공예품 등이 대표적이며, 현대에는 스포츠와 대중 매체도 발달하고 있다.
8.1. 전통 문화

고대 기술은 현재 쇠퇴하고 있지만, 마셜인들은 한때 별과 막대기와 조개껍데기 해도를 사용하여 뛰어난 항해사였다. 그들은 빵나무로 만든 왈라프(walap)라는 대형 아웃리거 카누를 제작하여 먼 바다를 항해했다. 스틱 차트는 파도의 패턴과 섬의 위치를 나타내는 독특한 항법 도구로,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구전 문학, 전통 춤과 노래도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여성들은 판다누스 잎이나 코코넛 잎으로 정교한 매트, 바구니, 부채와 같은 수공예품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다. 이러한 수공예품은 '키에키에(kiejkie)'나 '아미모노(amimono)' 등으로 불리며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있다. 전통 음식으로는 빵나무, 타로, 코코넛, 생선 등이 주를 이룬다.
8.2. 스포츠
배구, 농구(주로 남성), 야구,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가 인기 있다. 수상 스포츠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마셜 제도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해왔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두 명의 수영 선수가 마셜 제도를 대표하여 참가했다.
축구는 인기가 있지만, 아직 FIFA에 가입하지 않아 공식적인 국가대표팀은 없다. 코비어 FC(Kobeer FC)가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역 리그가 소규모로 운영된다. 마셜 제도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가대표 축구팀이 없는 주권 국가이다.
소프트볼과 야구는 마셜 제도에서 하나의 스포츠 연맹 하에 운영된다. 마셜 제도는 2012년 미크로네시아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SPG 게임에서도 메달을 획득했다.
8.3. 대중 매체 및 통신

마셜 제도에는 여러 AM 및 FM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AM 방송국으로는 1098kHz 5kW V7AB 마주로(라디오 마셜스, 전국 방송)와 1224kHz AFN 콰잘레인(둘 다 공영 라디오), 그리고 1557kHz 미크로네시아 히트웨이브가 있다. FM 방송국으로는 97.9MHz V7AD 마주로, V7AA 96.3MHz 울리가, 104.1MHz V7AA 마주로(침례교 종교 방송)가 있다. BBC 월드는 마주로 98.5MHz FM으로 방송된다. 가장 최근에 생긴 방송국은 2016년에 방송을 시작한 파워 103.5이다.
AFRTS 방송국으로는 99.9MHz AFN 콰잘레인(컨트리), 101.1MHz AFN(성인 록), 102.1MHz AFN(핫 AC)이 있다.
국영 방송 TV 방송국인 MBC-TV가 하나 있다. 케이블 TV도 이용 가능하다. 케이블 TV에서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북미보다 2주 늦게 방영되지만, CNN, CNBC, BBC의 뉴스는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미군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AFRTS)도 콰잘레인 환초에 TV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셜 제도 국영 통신 당국(NTA)은 전화, 케이블 TV(MHTV), 팩스, 휴대폰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관은 정부가 상당한 지분을 소유한 민간 기업이다.
신문으로는 마셜어와 영어로 발행되는 주간지인 마셜 제도 저널(The Marshall Islands Journal)이 1980년부터 발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1953년부터 1954년까지 마셜어 신문인 로안 란 케인(Loan Ran Kein)이 발행된 바 있다.
8.4. 공휴일
날짜 | 한국어 명칭 | 현지어 명칭 | 비고 |
---|---|---|---|
1월 1일 | 새해 첫날 | New Year's Day | |
3월 1일 | 핵 피해자 추모일 | Nuclear Victims' Day / Remembrance Day | 캐슬 브라보 핵 실험 희생자 추모 |
성금요일 | 성금요일 | Good Friday | 날짜 변동 |
5월 1일 | 헌법 제정일 | Constitution Day | 국경일 |
7월 첫째 금요일 | 어부의 날 | Fisherman's Day | 스포츠 낚시 대회 개최 |
9월 첫째 금요일 | 노동절 | Rijerbal Day (Worker's Day) | |
9월 마지막 금요일 | 문화의 날 / 관습의 날 | Manit Day (Customs Day) | |
11월 17일 | 대통령의 날 | President's Day | |
11월 셋째 목요일 | 추수감사절 | Kamolol Day (Thanksgiving Day) | |
12월 첫째 금요일 | 복음의 날 | Gospel Day |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 | Christmas Day | |
12월 31일 | 섣달그믐 | New Year's E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