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루스탐 샤리포우는 1971년 6월 2일 소련 타지크 SSR의 수도인 두샨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체조를 시작하면서 우크라이나 SSR의 하르키우(당시 하르코프)로 이주하여 현지 스포츠 클럽인 디나모 하르코프에 입단하며 체조 선수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2. 선수 경력
샤리포우는 소련 주니어 국가대표부터 시작하여 독립국가연합, 그리고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정상급 체조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초기 경력 및 소련 대표팀 활동
루스탐 샤리포우는 1988년에 소련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며 국제 무대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1990년에는 소련 국가대표로 승격되었다. 1990년 1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US 올림픽컵에서 개인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1991년에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DTB컵에서 개인종합 준우승을 기록하며 꾸준히 기량을 선보였다.
2.2. 독립국가연합 대표팀 활동 (1992)
소련 해체 직후, 샤리포우는 자신이 거주하던 우크라이나 국적을 택했으나,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대다수의 전 소련 구성국 출신 선수들과 함께 독립국가연합 소속으로 참가했다. 그 해 5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92년 유럽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평행봉 종목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철봉 종목에서는 독일의 안드레아스 베커와 공동 금메달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같은 해 8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독립국가연합 팀의 일원으로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이어서 11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 체조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인 한 해를 마무리했다.
2.3. 우크라이나 대표팀 활동 (1993-1996)
1993년부터 루스탐 샤리포우는 정식으로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 해 6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에서 러시아의 드미트리 카르바넨코, 드미트리 바실렌코의 뒤를 이어 개인종합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철봉 종목 은메달과 평행봉 종목 동메달, 그리고 링 종목 은메달을 추가했다. 11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니콘 국제 체조 대회에서 개인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4월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열린 199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평행봉 종목에서 중국의 황리핑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7월에는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1994년 유럽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의 알렉세이 네모프와 함께 평행봉 종목 공동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해 11월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는 중국과 러시아팀에 이어 우크라이나팀이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1995년에는 독일 콧부스에서 열린 콧부스컵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 국제 체조 대회에서 평행봉 부문 우승을 차지하며 절정의 기량을 유지했다. 6월에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유러피언컵에서 평행봉과 철봉 종목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냈다. 그 해 10월 일본 사바에에서 열린 1995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으나, 평행봉 종목에서 벨라루스의 비탈리 셰르보, 중국의 황리핑, 일본의 다나카 히카루에게 밀려 4위를 기록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이 대회에서 단체전 5위, 개인종합 17위를 기록했다.
1996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 국제 체조 대회에서 평행봉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5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996년 유럽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러시아팀에 이어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평행봉 종목에서는 벨라루스의 셰르보와 함께 공동 금메달을 차지하며 애틀랜타 올림픽에서의 선전을 예고했다.
2.4.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6년 7월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루스탐 샤리포우 선수 경력의 정점이었다. 그는 남자 평행봉 종목에서 9.837점을 기록하며 미국의 제이러 린치와 벨라루스의 비탈리 셰르보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챔피언에 다시 한번 올랐다. 또한 이 대회 단체전에서 이호르 코로브친스키, 올레흐 코샤크, 흐리호리 미슈틴, 볼로디미르 샤멘코, 올렉산드르 스비틀리치니, 유리 예르마코우와 함께 러시아와 중국팀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하며 우크라이나 체조의 위상을 높였다.
2.5. 올림픽 이후 선수 경력
1996년 7월 애틀랜타 올림픽 이후에도 샤리포우는 뛰어난 기량을 이어갔다. 그는 같은 해 9월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열린 1996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남자 평행봉 종목에서 다시 한번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추가했다.
3. 지도자 경력
루스탐 샤리포우는 선수 경력 은퇴 후 2000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체조 지도자로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오클라호마 주립 대학교 남자 체조팀 코치를 맡아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2011년 5월에는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체조팀 감독으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해당 대학교팀을 이끌고 있으며, 그의 지도 아래 팀은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4. 유산과 인정
루스탐 샤리포우는 뛰어난 선수 경력과 성공적인 지도자 활동을 통해 체조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의 업적은 2024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칼리 패터슨, 줄리안 맥나마라, 요제프 스탈더와 함께 2024년 헌액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올림픽 금메달 획득과 체조 발전에 대한 기여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는 우크라이나 체조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