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교육
김지유 선수는 유년기에 스케이트를 접하고 초등학교 때부터 쇼트트랙 선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국가대표로 발탁되기까지 학업과 선수 생활을 병행했다.
1.1. 유년기 및 학력
김지유는 1999년 7월 14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6살 때 오빠를 따라 처음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다. 서울 성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정신여자중학교와 화정고등학교에서 학업을 마쳤다.
1.2. 쇼트트랙 입문
초등학교 4학년부터 본격적으로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한 김지유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전국 동계체전에서 3관왕을 기록하는 등 출전하는 대회마다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15년 2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부 개인 종합 2위를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으며, 이 대회에서 1000미터, 3000미터 계주, 1500미터 슈퍼파이널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했다. 이어 2016년 2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개최된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서는 개인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김지유는 2016년 4월에 열린 2016-2017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최민정과 심석희에 이어 3위로 선발되어 처음으로 국가대표가 되었다.
2. 선수 경력
김지유 선수는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 시니어 국가대표로 활약했으며, 부상과 재활을 겪으면서도 월드컵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1. 국가대표 및 소속팀 경력
김지유는 2016-2017 시즌 국가대표로 처음 선발된 이래, 2018-2019 시즌과 2019-2020 시즌, 그리고 2021-2022 시즌에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그녀는 2017년에 콜핑팀에 입단했으며, 2018년 12월 콜핑팀 해체 이후 2019년 성남시청 빙상팀으로 소속을 옮겼다. 2021년 1월부터는 의정부시청 빙상팀 소속으로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2.2. 2015-2016 시즌: 주니어 및 청소년 올림픽
2015년 2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김지유는 여자부 개인 종합 2위를 차지했으며, 1000미터, 3000미터 계주, 1500미터 슈퍼파이널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2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서는 1000미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성 국가올림픽위원회(NOC)팀 계주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하며 대회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3. 2016-2017 시즌

2016년 11월 12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ISU 쇼트트랙 월드컵 2차 대회 1000미터에서 김지유는 시니어 대회 첫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같은 대회 1500미터에서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당시 빙상경기연맹 관계자들은 김지유를 '주니어 때부터 뛰어난 선수였으며, 뚝심이 있고 묵묵히 탱크처럼 스케이트를 쭉쭉 밀고 나간다'고 평가했다. 김지유는 어느 인터뷰에서 가장 기억할 만한 경기로 이때를 꼽기도 했다. 또한 김지유는 2016년 12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월드컵 3차 대회 1000미터와 1500미터에서 캐나다, 중국, 유럽 선수들을 제치고 모두 2위를 차지했다. 2017년 3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첫 출전한 시니어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500미터 동메달을 따며 개인 종합 순위 4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는 여자 3000미터 계주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4. 2017-2018 시즌: 부상과 재활
2017년 4월 열린 2017-2018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지유는 7위에 머물며 국가대표에서 탈락하는 아픔을 겪었다. 그녀는 이 시기를 "스스로도 가장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회고하며,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꿈이 무산된 것에 대한 좌절감을 드러냈다. 설상가상으로 왼쪽 발목 인대 수술을 3번이나 받으며 오랜 기간 재활에 전념해야 했다. 새로운 시즌에 선수로 활동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끼기도 했으나, 다행히 회복이 순조로웠고 훈련에 매진할 수 있었다. 재활 이후 김지유는 2018년 3월 폴란드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부 개인 종합 1위를 차지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이 대회에서 주 종목인 1000미터와 1500미터 개인전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부상 극복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2.5. 2018-2019 시즌
2018년 4월에 치러진 2018-2019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지유는 심석희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번 국가대표로 최종 선발되었다. 국가대표 선발전 직후 가진 인터뷰에서 그녀는 자신의 강점으로 순간적인 스피드를 활용한 아웃코스에서의 강력한 치고 나가는 능력을 꼽았다. 반면 스타트가 부족한 것을 단점으로 언급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맨땅 대시 훈련과 민첩성 운동을 꾸준히 한다고 밝혔다. 2019년 2월 2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ISU 쇼트트랙 월드컵 1500미터 결승 경기에서는 킴 부탱(Kim Boutin영어)과 2018-2019 시즌의 강자 수잔 슐팅(Suzanne Schulting영어)을 제치고 금메달을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수잔 슐팅은 2018-2019 시즌 월드컵 1000미터와 1500미터 경기에서 금메달 6개를 차지했다.) 이 시즌의 ISU 월드컵 1000미터와 1500미터 종목에서 총 3개의 은메달을 추가하며 심석희와 최민정 이후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밝은 미래를 예고했다. 또한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자 3000미터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팀에 기여했고, 개인 종합 5위를 기록했다.
2.6. 2019-2020 시즌
2019년 4월 열린 2019-2020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김지유는 김아랑, 노도희, 서휘민에 이어 4위를 차지하며 월드컵 및 세계 선수권 대회 계주 멤버로 활약할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이 시즌은 김지유에게 있어 한국 여자 쇼트트랙 대표선수 중 가장 빛나는 한 해였다. 그녀는 ISU 월드컵 1000미터 경기에 3차례 출전하여 금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1500미터 경기에 4차례 출전하여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추가했다. 특히 ISU 월드컵 5차(독일 드레스덴)와 6차(네덜란드 도르드레흐트) 대회 1000미터 경기에서는 2018-2019, 2019-2020 시즌 ISU 쇼트트랙 세계 랭킹 1위인 수잔 슐팅을 물리치고 1위를 차지하는 놀라운 기량을 선보였다.
2.7. 2020-2021 시즌 이후
2020-2021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국가대표 선발 대회가 취소되면서 국제 대회 참여가 제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지유는 2021-2022 시즌 국가대표로 다시 선발되며 꾸준한 기량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3. 주요 대회 결과
이 섹션은 김지유 선수의 개인 최고 기록, ISU 세계 랭킹, 세계 선수권 대회 및 국제 대회 시즌별 세부 성적을 표 형식으로 종합하여 그녀의 주요 경기 성과를 보여준다.
3.1. 개인 최고 기록
3.2. ISU 세계 랭킹
ISU(국제빙상연맹) 쇼트트랙 세계 랭킹 | ||||
---|---|---|---|---|
시즌 | 전체 랭킹 | 500 미터 | 1000 미터 | 1500 미터 |
2020-2021 | 4 | 10 | 4 | 2 |
2019-2020 | 4 | 10 | 4 | 2 |
2018-2019 | 3 | 67 | 6 | 2 |
2017-2018 | - | - | - | - |
2020-2021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ISU 쇼트트랙 월드컵 경기 취소로 전년 시즌과 세계 랭킹이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3.3.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3.4. 국제 대회 시즌별 세부 성적
2019-20 시즌 |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2000 m R 혼성 |
2020년 3월 13~15일 | 세계 선수권 (대한민국 서울)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하여 대회 취소 | |||||
2020년 2월 14~16일 | 월드컵 6차 (네덜란드 도르드레흐트) | (2): 1위 | 2위 | 3위 | ||
2020년 2월 7~9일 | 월드컵 5차 (독일 드레스덴) | 1위 | (2): 7위 | 4위 | ||
2019년 12월 6~8일 | 월드컵 4차 (중국 상하이) | (1):16위 (2):14위 | ||||
2019년 11월 29일~12월 1일 | 월드컵 3차 (일본 나고야) | 3위 | (1): 1위 | 4위 | 1위 | |
2019년 11월 8~10일 | 월드컵 2차 (캐나다 몬트리올) | (2): 6위 | 1위 | 6위 | ||
2019년 11월 1~3일 | 월드컵 1차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1): 6위 (2):14위 | ||||
2018-19 시즌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3000 m SF |
2019년 3월 8~10일 | 세계 선수권 (불가리아 소피아) 개인종합순위 5위 | 20위 | 4위 | 4위 | 1위 | 3위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2000 m R 혼성 |
2019년 2월 8~10일 | 월드컵 6차 (이탈리아 토리노) | 6위 | 2위 | 4위 | ||
2019년 2월 1~3일 | 월드컵 5차 (독일 드레스덴) | (2): 2위 | 1위 | 3위 | 4위 | |
2018년 12월 7~9일 | 월드컵 3차 (카자흐스탄 알마티) | 6위 | (2): 6위 | 2위 | 2위 | |
2018년 11월 9~11일 | 월드컵 2차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2): 13위 | 2위 | 1위 | ||
2018년 11월 2~4일 | 월드컵 1차 (캐나다 캘거리) | (1): 23위 | 11위 | 2위 | 3위 | |
2017-18 시즌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1500 m SF |
2018년 3월 2~4일 | 세계 Jr 선수권 (폴란드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 개인종합순위 1위 | 5위 | 1위 | 1위 | 8위 | 2위 |
날짜 | 대회 | 1000 m | 1500 m | 444 m | 777 m | |
2017년 11월 24~26일 | 상하이 트로피 | 3위 | 10위 | L2: 9위 | L2: 8위 | |
2016-17 시즌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3000 m SF |
2017년 3월 10~12일 | 세계 선수권 (네덜란드 로테르담) 개인종합순위 4위 | 3위 | 6위 | 6위 | PEN | 5위 |
2017년 2월 20~22일 | 동계 아시안 게임 (일본 삿포로) | 1위 | ||||
2016년 12월 16~18일 | 월드컵 4차 (대한민국 강릉) | (2): 9위 | 9위 | 1위 | ||
2016년 12월 9~11일 | 월드컵 3차 (중국 상하이) | 2위 | 2위 | 1위 | ||
2016년 11월 11~13일 | 월드컵 2차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1위 | (2): 2위 | 1위 | ||
2016년 11월 4~6일 | 월드컵 1차 (캐나다 캘거리) | 19위 | 1위 | |||
2015-16 시즌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혼성 NOC팀) | |
2016년 2월 14~20일 | 동계 청소년 올림픽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개인종합순위 1위 | 3위 | 1위 | 1위 | ||
2014-15 시즌 | ||||||
날짜 | 대회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R | 1500 m SF |
2015년 2월 27일~3월 1일 | 세계 Jr 선수권 (일본 오사카) 개인종합순위 2위 | 9위 | 1위 | 16위 | 1위 |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