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가사이 노리아키는 일본 홋카이도 시모카와정에서 태어나 스키점프에 입문하게 되며 선수로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1.1. Childhood and Education
가사이 노리아키는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이 개최된 해에 시모카와정에서 태어나, 같은 고향 출신인 시마 히로오와 오카베 다카노부의 뒤를 이어 10세에 스키점프를 시작했다. 그는 곧바로 재능을 발휘하여 유키지루시컵 전일본 스키점프 대회 주니어 부문 등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중학교 3학년 때는 미야사마 스키 대회 국제 경기 스페셜 점프의 테스트 점퍼로서 성인부와 같은 도움닫기 거리에서 히가시 아키히로의 비거리를 넘어서는 활약을 보여 주목받았다. 이후 도카이 대학 부속 삿포로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2. Early Career Beginnings
가사이 노리아키는 도카이 대학교 삿포로 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이던 1988년 11월, 삿포로에서 열린 FIS 스키점프 월드컵에 당시 역대 최연소인 16세 6개월의 나이로 처음 출전하여 31위를 기록했다. 한 달 뒤인 1월에는 제28회 STV컵 국제 스키점프 대회에서 국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당시 나카무라 요시히코 점프 부장의 발탁으로 2월 핀란드 라흐티에서 열린 1989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 16세 8개월의 나이로 출전하여 일본 남자 선수 중 역대 최연소 세계 선수권 출전 기록을 세웠다.
고등학교 2학년이던 1989-90 시즌부터 월드컵에 본격적으로 참가했으며, 12월 9일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대회에서 처음으로 한 자릿수 순위인 9위에 올랐고, 다음 날 12월 10일에는 7위를 기록하며 기록을 갱신했다. 이 시즌에 두 번 더 7위에 오르며 시즌 개인 종합 순위 24위를 달성했다. 고등학교 3학년이던 1990-91 시즌에는 최고 순위 18위에 그쳐 월드컵 포인트(당시 15위까지)를 획득하지 못했다.
2. Professional Career
가사이 노리아키는 1980년대 후반에 데뷔하여 2020년대까지 꾸준히 활약하며 스키점프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2.1. Debut and Early Success (1988-1997)
1991년 아키모토 마사히로 등이 소속된 치자키 공업 (현 이와타 치자키 건설)에 입사했다. 이 시기는 V자 스타일로의 전환기였는데, 가사이 역시 새로운 스타일 습득에 어려움을 겪었다. 클래식 스타일로 출전한 1991-92 시즌 월드컵 전반기에는 삿포로 오쿠라야마 스키점프 경기장에서 6위에 오르는 등 이전 시즌의 부진을 털어냈으나, 1월 일본 대표팀 전체의 방침에 따라 V자 스타일로 전향했다. 생애 첫 올림픽인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노멀힐 31위, 라지힐 26위에 그쳤다(단체전 4위 입상). 그러나 V자 스타일에 익숙해지면서 다시 성적이 상승하여, 2월 29일 열린 월드컵 라흐티 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처음으로 포디움에 입상했고, 3월 4일 스웨덴 외른셸스비크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인 2위를 달성했다. 또한 3월 22일 체코슬로바키아 하라호프에서 열린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K=180 겸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19세 9개월의 월드컵 일본 선수 역대 최연소 우승 기록(당시)을 세웠다.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은 일본인 최초이며, 해외에서 열린 월드컵 우승은 1980년 3월 아키모토 마사히로 이후 12년 만에 두 번째였다.
1992-93 시즌에는 연말연시 스키점프 주간에서 제1전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 3위, 제2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가사야 유키오 이후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제3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3위, 제4전 오스트리아 비쇼프스호펜에서 2위를 기록하며 4개 대회 모두에서 포디움에 올랐다. 종합 순위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안드레아스 골드베르거와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여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이 시즌에 V자 스타일을 완벽하게 습득하여 점프의 본고장 유럽에서 '가미카제 가사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월드컵 3승 (준우승 1회, 3위 2회)을 거두며 종합 3위라는 활약을 펼쳤다.
1993-94 시즌에는 일본 국내에서 오쿠라야마 스키점프 경기장의 바켄 레코드를 대폭 갱신하는 등 압도적인 성적을 남겼다. 스키점프 주간에서는 두 차례 포디움에 오르고 종합 4위를 기록했다. 월드컵에서도 1월 9일 오스트리아 무라우 대회에서 아키모토를 제치고 일본 선수 단독 1위인 통산 5승을 달성했다. 2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릴레함메르 올림픽에서는 노멀힐 개인전 5위 입상, 단체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95 시즌 개막 전인 11월 24일 노르웨이 전지훈련 중 넘어져 쇄골이 골절되었고, 1월에 복귀하여 8일 유키지루시컵에 출전했으나 11일 다시 넘어지며 같은 부위를 다쳐 결국 이 시즌에는 월드컵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이때 가사이의 대역으로 후나키 가즈요시가 월드컵에 데뷔하여 곧바로 우승하며 스타덤에 올랐다.
1995-96 시즌에는 두 시즌 만에 월드컵에 복귀하여 포디움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인스브루크에서 9위를 기록했다. 1996-97 시즌에는 1월 26일 하쿠바 스키점프 경기장에서 열린 라지힐 경기에서 2위에 오르며 세 시즌 만에 포디움에 복귀했다.
2.2. Peak Performance and Nagano Olympics Era (1997-2004)
1997-98 시즌에는 11월 29일 월드컵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12월 30일 하라다 마사히코와의 축구 중 우연히 발을 차여 왼쪽 발목 염좌 부상을 입었다. 이 부상의 영향으로 나가노 올림픽에서는 2월 11일 개인 노멀힐에서 7위 입상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2월 15일 개인 라지힐에서는 출전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다음 날 발표된 단체전 명단에서도 제외되었다. 하지만 개인전 입상 덕분에 곧바로 TV 프로그램이나 기념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단체전 멤버들과 함께 출연하는 등 아쉬운 경험을 했다. 그는 이러한 아쉬움이 지금도 경기를 계속하는 원동력 중 하나라고 밝히고 있다. 이후 3월에 열린 월드컵에서는 22일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대회에서 4시즌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등 세 차례 포디움에 오르며 부활을 알렸다. 같은 달 소속팀이었던 치자키 공업 스키부가 해체되면서 마이칼로 이적했다.
1998-99 시즌에는 스키점프 주간에서 제3전 인스브루크 우승을 포함하여 세 차례 포디움에 올랐고 (나머지 한 경기도 4위), 핀란드의 야네 아호넨, 독일의 마르틴 슈미트 등과 종합 우승을 다투며 1992-93 시즌 이래 두 번째로 종합 2위에 입상했다. 스키점프 주간을 포함한 월드컵에서는 6승(준우승 1회, 3위 7회)을 거두어 시즌 개인 최고 기록인 종합 3위에 올랐다. 한 시즌 6승은 2018-19 시즌 고바야시 료유가 갱신하기 전까지 일본 남자 선수 최다 기록이었다. 경기당 평균 획득 포인트는 55.28점(총 1603점/29경기)으로, 현재 스코어 방식이 도입된 1993-94 시즌 이후 개인 최고 기록이다. 오스트리아 람자우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도 세 대회 만에 출전하여 단체전에서 개인 첫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9-2000 시즌에는 여러 차례 싱글 순위에 들었지만, 이전 시즌과 달리 개인 포디움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했다. 2000-01 시즌에는 연말연시 스키점프 주간에서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대회 우승을 포함하여 3경기 연속 포디움에 오르는 등 호조를 보여 월드컵 시즌 개인 종합 4위를 기록했다.
2001-02 시즌에는 10월 소속팀 마이칼이 해체되면서 쓰치야 홈으로 이적했다. 월드컵에서는 올림픽 직전에 열린 홈 삿포로 대회에서 3위에 올랐지만, 2월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에서는 개인 두 종목 모두 40위권에 머물렀고 단체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2-03 시즌에는 1월까지의 월드컵에서 두 차례 9위가 최고 순위였지만, 2월 9일 독일 빌링겐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직후 이탈리아 발디피엠메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개인전 메달(동메달 2개)을 획득했고, 단체전 은메달까지 합쳐 출전한 모든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003-04 시즌에는 월드컵 초반부터 여러 차례 싱글 순위를 기록했고, 1월 25일 삿포로 대회에서 시즌 첫 포디움인 2위를 차지했다. 2월 28일 미국 파크시티 대회에서 우승하며 31세 7개월의 최고령 우승 기록(당시 오카베 다카노부가 2009년 3월 10일에 갱신하기 전까지)을 세웠다. 시즌 종합 순위에서도 세 시즌 만에 한 자릿수 순위인 8위에 입상했다.
2.3. Playing Manager and Steadiness (2004-2013)
2005년, 마티 니쾨넨 등을 지도했던 핀란드인 카리 율리안틸라가 일본팀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 가사이는 율리안틸라의 엄격한 지도에 처음에는 강하게 반발했지만, 점차 조언을 받아들이면서 도움닫기 속도와 비거리가 향상되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모든 종목에 출전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7년 삿포로 대회와 2009년 체코 리베레츠 대회에서 단체전 동메달을 두 대회 연속으로 획득했다.
2009년 4월 6일, 소속팀 쓰치야 홈 스키부의 감독으로 취임하며 일본 스키계에서는 이례적인 플레이잉 매니저가 되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6회 연속 출전하여 모든 종목에 참가했다.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1차 시기 121.5m로 21위에 그쳤으나, 2차 시기 135m의 대형 점프로 순위를 끌어올려 8위 입상했다. 단체전에서는 마지막 주자로 나서 5위 입상에 기여했다.
2010-11 시즌에는 개막 단체전에서 3위를 차지했다. 개인전 최고 성적은 1월 23일 폴란드 자코파네 대회에서의 5위였다. 2011-12 시즌에는 스키점프 주간부터 월드컵 명단에 들어, 1월 28일 삿포로 대회에서의 15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2012년 11월 15일, 핀에어는 가사이 노리아키 선수 겸 감독과 그가 이끄는 팀 쓰치야를 공식 후원한다고 발표했다. 핀에어는 2009년부터 공식 후원을 이어왔으며, 이 시즌이 네 번째 시즌이었다. 2012-13 시즌에는 5개 대회에서 10위권 내에 들었다. 최고 성적은 3월 22일과 24일 플라니차 스키 플라잉 대회에서의 4위였다.
2.4. Sochi Olympic Success and 'Legend' Era (2013-2018)
2013-14 시즌, 12월 15일 월드컵 독일 티티제노이슈타트 대회에서 3위 입상하며 월드컵 사상 최고령(41세 6개월 9일) 포디움 입상을 달성했다. 연말연시 스키점프 주간에서 4개 대회 모두 한 자릿수 순위를 기록하며 종합 5위에 올랐다. 이후 2014년 1월 11일 오스트리아 바트미터도르프에서 열린 개인전 제13전 스키 플라잉에서 10시즌 만에 우승하며 스키점프 월드컵 사상 최고령 우승(41세 7개월 5일)을 달성했다. 이튿날인 12일 개인전 제14전 스키 플라잉에서도 3위에 올랐고, 25일 개인전 제17전 삿포로 대회에서도 3위에 오르며 월드컵 사상 최고령 포디움 기록(41세 7개월 19일)을 갱신했다.
2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소치 올림픽에서는 하계·동계 올림픽을 통틀어 역대 최고령으로 일본 선수단 주장을 맡았다. 2월 9일 첫 경기였던 노멀힐 개인전에서는 1차 시기 101.5m로 1차 시기 1위인 카밀 스토흐와 10.8점 차, 3위인 페테르 프레브츠와는 3.6점 차인 131.2점으로 8위로 2차 시기에 진출했으나, 2차 시기에서 상위권 선수들을 넘어서지 못하고 7위로 경기를 마쳤다. 같은 달 15일 열린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1차 시기 139m를 뛰어 스토흐와 같은 비거리를 기록했으나 착지에서 뒷발이 약간 흔들려 비행점수가 1.5점 낮았고, 맞바람에 의한 감점도 스토흐보다 커서 총 2.8점 차이로 2위에 올랐다. 2차 시기에서는 133.5m를 뛰어 스토흐의 비거리보다 1m를 앞섰으나 1차 시기의 점수 차이를 뒤집기에는 부족하여 그대로 2위로 경기를 마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단체전 은메달 이후 20년 만이자, 개인으로서는 올림픽 7번째 출전 만에 첫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다. 일본 스키점프 선수단의 올림픽 메달 획득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의 후나키 가즈요시와 하라다 마사히코 이후 16년 만이었다. 41세 254일의 나이로 메달을 획득하며 동계 올림픽 일본인 최고령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빌게르 루드가 1948년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에서 36세 168일로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 약 66년 만에 갱신된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종목 세계 최고령 메달리스트 기록이었다. 같은 달 17일, 시미즈 레루히, 다케우치 다쿠, 이토 다이키와 함께 출전한 단체 라지힐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단체전에서 가사이의 합계 점수는 메달을 획득한 팀의 선수들 중 최고 점수(전체 4위)였다. 이 메달로 가사이는 자신의 최고령 메달 기록을 41세 256일로 다시 갱신했다. 다만 이 일본인 최고령 메달 기록은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이시자키 고토미가 43세 1개월의 나이로 갱신했다.
올림픽 직후인 2월 26일 월드컵 스웨덴 팔룬 대회에서 3위에 올랐으나 오른쪽 무릎을 다쳤다. 다음 제22전 한 경기만 결장했지만, 제23전부터 복귀하여 3월 7일 제25전 노르웨이 트론헤임 대회에서 다시 3위 입상하며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을 41세 9개월 4일로 갱신했다. 3월 15일 체코 하라호프에서 개막한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첫날 2회 시기까지 3위와 1점 차이로 4위에 올랐다. 둘째 날 후반 2회 시기는 강풍으로 취소되어 순위를 올리지 못했지만, 4위는 1992년 대회 우승에 이은 좋은 성적이었다. 이후 3월 23일 월드컵 시즌 최종전 플라니차 대회까지 모든 경기에서 톱10 진입을 달성했다. 이 시즌에는 개인 개막전에서 27위에 그쳤지만, 이후 출전한 22경기 모두 톱10에 들었고, 개인 종합 순위에서도 10시즌 만에 한 자릿수 순위인 5위 입상을 달성했다.
2014년 4월 1일,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부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까지 총 7회에 걸친 동계 올림픽 최다 출전 기록, 2014년 1월 11일에 41세 219일로 달성한 월드컵 최고령 우승 기록, 같은 해 2월 17일에 41세 256일로 달성한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종목 최고령 메달리스트 기록 등 3개의 기록이 기네스 세계 기록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5. Recent Activities and Ongoing Challenge (2018-Present)
2014-15 시즌, 11월 22일 월드컵 시즌 개막전 독일 클링겐탈 단체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다음 날 개인전 제1전에서도 6위에 오르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28일 핀란드 루카에서 열린 제2전에서 3위에 오르며 시즌 첫 포디움에 입상했다. 이 경기에서는 이토 다이키도 2위를 차지하여, 일본 선수들의 동반 포디움은 2006년 1월 삿포로 대회 이후 처음이었다. 다음 날인 제3전에서는 1차 시기에서 최장 비거리인 145m를 기록하며 선두에 올랐고, 2차 시기에서는 바람의 도움을 받지 못해 131.5m에 그쳤지만 선두를 지켜 스위스의 시몬 아만과 공동 우승하며 통산 17승을 달성, 자신이 보유한 월드컵 최고령 우승 기록을 42세 5개월로 갱신했다. 스키점프 주간에서는 전반 2경기 연속 8위, 제3전 인스브루크에서 또다시 아만과 공동 3위, 제4전 비쇼프스호펜에서 2위를 기록하며 4경기 모두 톱10에 들었고, 종합 순위에서 이전 시즌을 뛰어넘는 4위를 차지했다.
이후 2월 7일 제21전 독일 티티제노이슈타트 대회까지 출전 17경기 연속 톱10 진입을 이어갔다. 2월 14일 노르웨이 비케르순 스키 플라잉 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10경기 만에 포디움에 복귀했다. 2월 18일 개막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성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개인 점프에서는 부진하여 개인전 톱10 진입에 실패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월드컵에서 컨디션을 회복하여 제29전 홀멘콜렌 스키 대회에서 2위에 오르며 최고령 포디움 기록을 42세 282일로 갱신했다. 최종적으로 종합 순위 6위를 기록하며 두 시즌 연속 톱10 진입을 달성했다.
2015-16 시즌은 11월 22일 클링겐탈 월드컵 개인 개막전에서 5위로 시작했다. 이후 컨디션이 좋지 않아 이 시즌에는 포디움 획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지만, 12월 19일 제6전 스위스 엥겔베르그 대회에서 1차 시기 12위였던 순위를 2차 시기 점프로 프레브츠 형제에 이어 3위로 끌어올리며 시즌 첫 포디움에 올랐다. 스키점프 주간에서는 제1전 오버스트도르프에서의 5위가 최고 순위였고, 4개 대회 종합 순위에서 일본 선수 중 최고인 7위를 기록하며 세 시즌 연속 톱10에 진입했다.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위 입상한 뒤, 1월 31일 월드컵 삿포로 대회부터 3경기 연속 3위 입상을 달성했다. 3월 4일 폴란드 비스와 대회에서도 3위에 오르며 자신이 보유한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을 43세 272일로 갱신했다. 3월 17일 제27전 플라니차 스키 플라잉 대회에서 월드컵 개인전 출전 경기 수가 사상 처음으로 500경기에 도달했다. 주최 측의 배려로 500번 제켄을 달고 경기에 임했다(결과는 6위). 시즌 종합 순위는 세 시즌 연속 톱10 진입인 8위를 기록했다. 또한 시즌 중인 2월에는 스키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알려진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일본인으로는 오기하라 겐지, 후나키 가즈요시에 이어 세 번째).
2016-17 시즌은 11월 25일 핀란드 루카에서 열린 월드컵 개막전에서 18위를 기록했다. 1월 4일 스키점프 주간 제3전 인스브루크에서 스키점프 주간 통산 100경기 출전을 달성하며 주최 측으로부터 기념 제켄을 받았다. 이 경기에서 시즌 최고 순위인 10위를 기록했다. 이후 컨디션이 오르지 않아 라흐티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여 포디움에 오르지 못했지만, 3월 19일 비케르순에서 열린 스키 플라잉에서 1차 시기 5위였던 순위를 2차 시기에서 2위로 끌어올리며 시즌 처음으로 포디움에 올랐고,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을 44세 9개월로 갱신했다. 다음 경기인 3월 24일 플라니차 스키 플라잉에서도 4위, 26일 최종전에서 3위에 오르며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을 다시 갱신하며 시즌을 마쳤다. 종합 순위는 톱10 진입에는 실패했지만, 이 시즌에도 일본 선수 중 최고인 15위를 기록했다.
2017-18 시즌에는 고바야시 준시로, 고바야시 료유 형제가 부상했지만, 전일본 선수권 라지힐에서 이들을 꺾고 우승했다. 월드컵은 12월 10일 티티제노이슈타트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시즌 첫 톱10에 진입했다. 스키점프 주간은 부진했지만, 1월 13일 개최된 오스트리아 바트 미터도르프 스키 플라잉에서 이번 시즌 최고 순위인 5위를 기록했다. 또한 같은 날 오스트리아 스키 연맹 주최로, 과거 라이벌이었던 골드베르거와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등 약 600명이 참석하여 가사이의 공로를 기리는 축하회가 열렸다.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서 일본 선수단 기수를 맡았다. 2월 10일 노멀힐에서는 104.5m, 99m를 뛰어 21위에 올랐다. 17일 라지힐에서는 121m로 부진하여 2차 시기에 진출하지 못하고 33위를 기록했다. 월드컵 시즌 개인 종합 순위는 26위로, 일본 선수 중에서는 세 번째였다.
2018-19 시즌에도 월드컵 멤버로 선발되었다. 12월 16일 제7전 엥겔베르그 대회에서 30위에 오르며 이 시즌 처음으로 월드컵 포인트를 획득했다. 이 경기 외에는 부진하여 포인트를 얻지 못하는 경기가 계속되었지만, 1월 27일 제16전 삿포로 대회에서 시즌 최고 순위인 7위에 오르며 월드컵 사상 최고령 톱10 진입 기록을 갱신했다. 그러나 가사이 외의 일본 선수들이 가사이보다 더 많은 월드컵 포인트를 획득했기 때문에 세계 선수권 대표에는 선발되지 못했다. 시즌 종합 순위는 37위였다. 이 시즌에는 가사이 스스로 쓰치야 홈으로 스카우트한 제자 고바야시 료유가 일본 남자 선수 최초로 스키점프 월드컵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2019-20 시즌은 서머 그랑프리 하쿠바 대회에서 포인트를 얻지 못했고, 처음으로 콘티넨탈컵에 참가했다. 월드컵 멤버로는 개막전부터 선발되어 쇼와 시대, 헤이세이 시대, 레이와 시대의 3개 연호에서 월드컵에 출전하는 선수가 되었으나, 5경기 연속 포인트 획득에 실패하여 스키점프 주간 출전을 놓치고 콘티넨탈컵으로 전환했다. 월드컵 삿포로 대회에서는 1일차 예선 탈락, 2일차 36위로 마치며 월드컵 본선에는 3경기만 출전했고 포인트를 얻지 못하고 시즌을 마쳤다.
2020-21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해 월드컵 멤버 교체가 제한되었고, 삿포로에서 열릴 예정이던 콘티넨탈컵과 월드컵이 취소되는 상황에서 포인트를 얻기 위해 엥겔베르그 콘티넨탈컵에 참가했으나, 이틀 모두 2차 시기에 진출하지 못하고 포인트를 얻지 못했다. 월드컵에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한 것은 부상으로 결장했던 1994-95 시즌 이후 26시즌 만이었다. 국내전에서는 삿포로 올림픽 기념 국제 스키점프 대회에서 공동 3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2021-22 시즌은 월드컵 원정 멤버 선발을 겸한 시즌 초반 국내전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해 멤버 진입에 실패했고, 이로 인해 베이징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어 올림픽 연속 출전 기록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50대 현역 활동과 2026년, 2030년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한다고 선언했다. 2022년 1월, HTB컵 국제 스키점프 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이전 시즌 이후 10개월 만에 이번 시즌 첫 포디움에 올랐다. 같은 달 유키지루시컵 전일본 스키점프 대회에서 1차 시기 2위에서 2차 시기에서 역전하여 2017년 전일본 선수권 이후 4시즌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후지 TV 중계방송에 해설가로 현지에서 출연했다. 남자 노멀힐에서는 경기장에서 직접 관전하며 제자 고바야시 료유가 금메달을 획득하자 "눈앞에서, 사랑하는 제자가 금메달을 따다니 행복하다. 기쁘다"며 기쁨을 표현했다.
2023-24 시즌은 2024년 1월 20일과 21일 삿포로 오쿠라야마에서 열린 콘티넨탈컵에 출전하여 포인트를 획득,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삿포로 오쿠라야마 월드컵에 출전할 권리를 얻어 2019-20 시즌 이후 4시즌 만에 대표팀 선수로 복귀했다. 2월 17일 제19전에서 30위에 오르며 최고령 포인트 획득 기록을 갱신했을 뿐만 아니라, 제23전 이후의 대표팀 원정 멤버 복귀도 확정지었다. 이후 시즌 종료까지 대표팀 원정 멤버로 월드컵에 출전하여 3월 3일 라흐티(28위), 3월 17일 비케르순(27위), 3월 22일 플라니차(29위)에서 포인트를 획득했으며, 2월 3일 라흐티(5위), 3월 23일 플라니차(4위)에서 단체전에도 출전했다. 시즌 종료 후인 4월 17일에는 월드컵 최고령 포인트 획득 기록과 2016-17 시즌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이 기네스 세계 기록에 새롭게 인정받았다.
3. Records and Milestones
가사이 노리아키는 스키점프 역사에 수많은 기록과 이정표를 남겼다.
3.1. Guinness World Records
가사이 노리아키는 여러 차례 기네스 세계 기록 인증을 받으며 그 업적을 인정받았다.
- 동계 올림픽 최다 출전 기록
- 2014년 4월 1일, 1992년부터 2014년까지 7회 연속 동계 올림픽 출전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이후 2018년 평창 올림픽까지 8회 연속 출전에 성공하며 기록을 갱신했다.
- FIS 스키점프 월드컵 개인전 최다 출전 기록
- 2016년 3월 17일 500번째 월드컵 개인전 출전을 달성하며 기록을 세웠고, 2023-24 시즌 종료 시점까지 579회 개인전 출전으로 이 기록을 계속 갱신하고 있다.
- 2016년, 스키점프뿐만 아니라 국제 스키 연맹이 주관하는 모든 월드컵 종목에서 가장 많은 개인전 월드컵 출전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 인증을 받았다.
-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 최다 출전 기록
- 2016년에 이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 인증을 받았다. 총 13회 출전.
-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최고령 메달리스트 기록
- 2014년 4월 1일,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라지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41세 256일로 이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개인전 최고령 메달리스트 기록
- 2014년 4월 1일,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라지힐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하며 41세 254일로 이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 FIS 스키점프 월드컵 최고령 우승 기록
- 2014년 4월 1일, 2014년 1월 11일 월드컵에서 우승하며 41세 219일로 이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이후 2014년 11월 29일에 42세 5개월로 자신의 기록을 갱신했다.
- FIS 스키점프 월드컵 최고령 포디움 기록
- 2024년 4월 17일, 2017년 3월 26일 월드컵에서 포디움에 오르며 44세 293일로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 FIS 스키점프 월드컵 최고령 포인트 획득 기록
- 2024년 4월 17일, 2024년 3월 22일 월드컵에서 포인트를 획득하며 51세 290일로 기록을 세웠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3.2. Major Competition Records
가사이 노리아키는 동계 올림픽,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수의 출전 및 최고령 기록을 세웠다.
- 동계 올림픽 기록
- 최다 출전: 8회 (1992년 알베르빌 ~ 2018년 평창)
- 총 21회의 개인전 출전.
- 스키점프 개인전 최고령 메달리스트: 41세 254일 (2014년 소치 라지힐 개인전 은메달)
- 스키점프 최고령 메달리스트: 41세 256일 (2014년 소치 라지힐 단체전 동메달)
-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 최다 출전: 13회 (1989년 라흐티 ~ 2017년 라흐티)
- 총 42회의 개인 및 단체전 출전.
- 최고령 메달리스트: 42세 22일 (2015년 혼성 단체전 동메달)
-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 최다 출전: 11회 (1990년 비케르순 ~ 2018년 오버스트도르프)
- 총 13회의 개인 및 단체전 출전.
- 최고령 출전: 45세 228일 (2018년 개인전)
3.3. World Cup Records
가사이 노리아키는 FIS 스키점프 월드컵에서 수많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개인전 최다 출전
- 579회 (1988-89 시즌 ~ 2024-25 시즌, 34시즌 출전)
- 최고령 우승
- 42세 5개월 (2014년 11월 29일, 핀란드 루카 대회)
- 최고령 포디움
- 44세 9개월 (2017년 3월 19일, 노르웨이 비케르순 대회)
- 최고령 포인트 획득
- 51세 290일 (2024년 3월 22일,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대회)
- 최고령 톱10 진입
- 46세 236일 (2019년 1월 27일, 일본 삿포로 대회)
- 최장 선수 경력
- 35년 96일 (1988년 12월 17일 데뷔 ~ 2024년 3월 23일)
- 첫 우승과 마지막 우승 사이의 최장 기간
- 22년 252일 (1992년 3월 22일 ~ 2014년 11월 29일)
- 다섯 개 십 년대 출전
-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 개인전 통산 우승
- 17회 (일본 남자 선수 역대 2위)
- 개인전 통산 포디움
- 준우승 13회, 3위 33회
- 단체전 통산 우승
- 3회
- 단체전 통산 포디움
- 준우승 4회, 3위 10회
월드컵 기록 기록 달성 단체 출전 73 개인 출전 578 통산 출전 651 톱30위권 진입 466 개인 포인트 획득 경기 451 출전 시즌 32 포인트 획득 시즌 29 다른 10년대 출전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최장 선수 경력 35년 96일 첫 우승과 마지막 우승 사이 기간 22년 252일 최연장자 우승 42세 176일 최연장자 개인 포디움 44세 293일 최연장자 단체 포디움 46세 276일 최연장자 톱10 진입 46세 236일 최연장자 포인트 획득 51세 290일 최연장자 출전 51세 292일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기록 기록 달성 최연장자 메달리스트 42세 22일 최다 출전 13 단체 출전 17 개인 출전 25 통산 출전 42 올림픽 기록 기록 달성 최연장자 개인 메달리스트 41세 254일 최연장자 단체 메달리스트 41세 256일 최다 출전 8 단체 출전 6 개인 출전 15 통산 출전 21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기록 기록 달성 최다 출전 11 개인 출전 11 최연장자 출전 45세 228일
4. Public Image and Personal Life
가사이 노리아키는 그의 오랜 경력과 불굴의 도전 정신으로 일본 내외에서 큰 존경을 받으며 '레전드'로 불린다.
4.1. Family and Personal Relationships
가사이는 5인 가족 중 장남으로, 부모님과 두 여동생이 있다. 1997년 어머니를 화재로 잃었으며, 어머니의 기일과 추석, 그리고 월드컵 원정 전에는 반드시 성묘를 간다. 여동생은 1993년 재생불량성 빈혈이라는 난치병 진단을 받았고, 한때 제대혈 치료로 완치되어 2003년 결혼했으나 2013년 재발했다. 가사이는 이 시즌 중에도 두 차례 병원으로 달려갔다고 한다. 소치 올림픽 직전에는 여동생으로부터 LINE 메시지로 "절대 메달 딸 수 있을 테니 아무 걱정 말고 뛰어"라는 응원을 받았다. '여동생을 위해'는 가사이의 입버릇이었으며, 동계 올림픽 금메달 목표도 처음에는 여동생에게 용기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치료에도 불구하고 여동생은 2015년 5월 의식을 잃었고, 2016년 1월 13일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사망했다. 장례식은 원정 중이던 가사이가 귀국한 19일에 치러졌고, 다음 날 20일 블로그를 통해 팬들에게 이 소식을 전했다.
가사이는 2014년 2월까지 미혼이었으나, 소치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직후인 2월 22일에 일반인 여성과 결혼했다. 그는 장기 해외 원정 시에도 혼자 살면서 익힌 요리 솜씨로 후배들에게 음식을 해 주기도 한다. 2018년에는 약 330 m2의 부지에 2층짜리 자택을 신축했으며, 핀란드식 사우나도 설치했다. 2016년 1월 30일에는 딸 리노가 태어났다.
4.2. Jumping Style and Nicknames
점프 시 가사이의 공중 자세는 몸을 스키보다 앞으로 내밀 정도로 깊게 숙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역동적이고 스릴 넘치는 독특한 자세는 점프의 본고장 유럽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월드컵 종합 3위를 기록한 1992-93 시즌 무렵부터 '가미카제 가사이'라고 불렸고, 이 별명은 2014년에 '레전드'로 대체되기 전까지 오랫동안 가사이의 상징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에도 자세를 계속 개선하여, 현재는 손을 몸에 붙이지 않고 활짝 펴서 손바닥으로 바람을 받으며 나는 날다람쥐와 같은 스타일이 되었다.
30대 후반에 접어든 이후에도 최전선에서 경기를 계속하는 선수는 당시 스키점프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었고, 이때부터 유럽에서 경의를 담아 '레전드'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2014년 1월 11일 월드컵 사상 최고령 우승을 달성했을 때는 그레고어 슐리렌차워를 비롯한 수많은 선수와 코치들이 모자를 벗고 최경례로 축하했으며, 경기 개최지인 오스트리아의 지역 신문들은 여러 곳에서 1면 톱기사로 이 소식을 보도했다. 독일 공영 방송은 "경이롭다는 말은 이제 '가사이'로 바꾸어야 할 것"이라고 극찬했다. 다음 시즌인 2014년 11월 28일 최고령 우승 기록을 또다시 갱신했을 때는 슐리렌차워가 '에어 닛폰'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가사이가 월드컵 개인전 통산 500경기 출전을 달성한 2016년 3월 17일 플라니차 대회에서는 500경기 출전을 기념하여 황금 독수리 문양이 새겨진 '500번' 제켄이 준비되었고, 가사이가 이를 달고 경기에 임했다. 1차 시기 점프가 끝난 후 2만 명의 관중이 경기장 아나운서의 안내에 따라 일본어로 "아리가토(고마워)"라고 외치며 축하했다. 경기장에는 점프가 활발한 유럽 미디어 외에도 가사이만을 위해 캐나다 미디어도 방문했고, 가사이는 경기 직후 취재 구역에서 20여 개 언론사와 인터뷰했다. 오스트리아 크로네지는 가사이의 500경기 출전 달성에 대해 "일본의 기적적인 독수리는 영원히 젊음을 유지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4.3. Training and Philosophy
시즌 중 가사이의 가장 좋은 체중은 약 60 kg이다 (쓰치야 홈 프로필에는 59 kg, JOC 프로필에는 62 kg으로 기재되어 있다). 감량을 위해 단식하는 일도 잦다. 하지만 너무 많이 감량하면 스키점프계의 이른바 'BMI 규칙'에 저촉되어 실격될 우려가 있어, 일정 체중을 유지하는 데도 신경을 쓴다고 한다.
2014년 현재 소속인 쓰치야 홈과는 프로 계약이 아닌 일반 사원으로 고용되어 있다. 따라서 비시즌에는 한 명의 사원으로서 회사의 모델하우스에서 사인회, 악수회 등의 판촉 업무를 수행한다. 2014년 2월에는 소치 올림픽 은메달 공로로 회사 주택부장으로 승진했다. 또한 같은 해 6월에는 쓰치야 홈에서 가사이 프로듀스 단독 주택 '쓰치야 레전드 가사이 모델 2014'가 출시되었다.
4.4. Business and Endorsements
가사이 노리아키는 소속팀 쓰치야 홈의 선수 겸 감독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2014년에는 직접 주택 모델을 프로듀싱하여 '쓰치야 레전드 가사이 모델 2014'를 출시하는 등 사업적 활동도 펼쳤다. 또한 일본 정부 홍보, 일본생명보험, 아데란스, 닛산 엑스트레일 등 다양한 기업의 광고에도 출연했다.
4.5. Interests and Other Activities
가사이는 자신의 블로그에 이모티콘을 많이 사용한다. 그는 B'z의 팬이며, 배우 아이부 사키의 팬이라고 공언했다. 스티븐 시걸의 팬이기도 하다.
2014년에는 제27회 일본 안경 베스트 드레서상 스포츠 부문에 선정되었다. 또한 같은 해 월드컵 최고령 우승과 올림픽 메달 획득을 달성하면서 '레전드'라는 별명이 일본 국내에서도 널리 퍼져, 2014년 신조어 유행어 대상에서 '레전드'가 톱10에 올랐다.
취미는 골프, 낚시, 와인이다. 좋아하는 음식은 고향 시모카와정에 있는 찻집 아폴로의 나폴리탄, 야나이 과자점의 생크림 앙팡이다.
5. Awards and Honors
가사이 노리아키는 그의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시상 및 영예를 받았다.
- 시모카와정 주민 영예상 (2001년)
- JOC 스포츠상 특별 공로상 (2013년)
- 일본 안경 베스트 드레서상 스포츠계 부문 (2014년 10월)
- 안티에이징 대상 2014 특별상 (2014년 11월)
- 제64회 일본 스포츠상 올림픽 특별상 (2015년 1월)
- 홀멘콜렌 메달 (2016년 2월)
- 제18회 비트 다케시의 엔터테인먼트상 공로상 (2018년 1월)
6. Major Competition Results
가사이 노리아키의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 성적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6.1. Winter Olympic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라지힐 |
---|---|---|---|---|
1992 | 프랑스 알베르빌 | 31 | 26 | 4 |
1994 |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 5 | 14 | ![]() |
1998 | 일본 나가노 | 7 | - | - |
2002 |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49 | 41 | - |
2006 | 이탈리아 토리노 | 20 | 12 | 6 |
2010 | 캐나다 밴쿠버 | 17 | 8 | 5 |
2014 | 러시아 소치 | 8 | ![]() | ![]() |
2018 | 대한민국 평창 | 21 | 33 | 6 |
메달 | 종목 | 멤버 |
---|---|---|
![]() | 남자 라지힐 개인 | 가사이 노리아키 |
![]() | 남자 라지힐 단체 | 시미즈 레루히, 다케우치 다쿠, 이토 다이키, 가사이 노리아키 |
6.2. FIS Nordic World Ski Championship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노멀힐 | 팀 라지힐 | 혼성 노멀힐 |
---|---|---|---|---|---|---|
1989 | 핀란드 라흐티 | 54 | 57 | N/A | 15 | N/A |
1991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36 | N/A | 11 | N/A |
1993 | 스웨덴 팔룬 | 10 | 7 | N/A | 5 | N/A |
1995 | 캐나다 선더베이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7 | 노르웨이 트론헤임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9 | 오스트리아 람자우 | 5 | 10 | N/A | ![]() | N/A |
2001 | 핀란드 라흐티 | 8 | 19 | 4 | 4 | N/A |
200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 | N/A | ![]() | N/A |
2005 | 독일 오버스트도르프 | 21 | 36 | 9 | 10 | N/A |
2007 | 일본 삿포로 | 34 | 24 | N/A | ![]() | N/A |
2009 | 체코 리베레츠 | 30 | 32 | N/A | ![]() | N/A |
2011 | 노르웨이 오슬로 | 26 | 24 | 5 | 6 | N/A |
201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35 | 22 | N/A | 5 | - |
2015 | 스웨덴 팔룬 | 35 | 11 | N/A | 4 | ![]() |
2017 | 핀란드 라흐티 | 28 | 32 | N/A | 7 | - |
6.3. FIS Ski Flying World Championships
6.4. FIS Ski Jumping World Cup
6.4.1. Overall Standings
시즌 | 종합 | 4힐 토너먼트 | 스키 플라잉 | 로 에어 | 노르딕 토너먼트 | 스키 점프 (JP) 컵 |
---|---|---|---|---|---|---|
1988-89 | - | - | N/A | N/A | N/A | N/A |
1989-90 | 24 | 19 | N/A | N/A | N/A | N/A |
1990-91 | - | 73 | - | N/A | N/A | N/A |
1991-92 | 9 | - | 7 | N/A | N/A | N/A |
1992-93 | 3 | 2 | - | N/A | N/A | N/A |
1993-94 | 6 | 4 | 19 | N/A | N/A | N/A |
1995-96 | 36 | 10 | 26 | N/A | N/A | 36 |
1996-97 | 17 | 24 | 23 | N/A | 11 | 15 |
1997-98 | 10 | 24 | 13 | N/A | 4 | 10 |
1998-99 | 3 | 2 | 2 | N/A | - | 4 |
1999-00 | 15 | 20 | 10 | N/A | 9 | 14 |
2000-01 | 4 | 12 | 8 | N/A | 23 | N/A |
2001-02 | 23 | 31 | N/A | N/A | 28 | N/A |
2002-03 | 13 | 23 | N/A | N/A | 6 | N/A |
2003-04 | 8 | 8 | N/A | N/A | 10 | N/A |
2004-05 | 16 | 11 | N/A | N/A | 26 | N/A |
2005-06 | 21 | 9 | N/A | N/A | 15 | N/A |
2006-07 | 26 | 34 | N/A | N/A | 20 | N/A |
2007-08 | 34 | 34 | N/A | N/A | 31 | N/A |
2008-09 | 15 | 13 | 20 | N/A | 13 | N/A |
2009-10 | 17 | 11 | - | N/A | 8 | N/A |
2010-11 | 25 | 31 | 31 | N/A | N/A | N/A |
2011-12 | 51 | 33 | 45 | N/A | N/A | N/A |
2012-13 | 24 | 42 | 17 | N/A | N/A | N/A |
2013-14 | 5 | 5 | 2 | N/A | N/A | N/A |
2014-15 | 6 | 4 | 4 | N/A | N/A | N/A |
2015-16 | 8 | 7 | 5 | N/A | N/A | N/A |
2016-17 | 15 | 29 | 4 | 8 | N/A | N/A |
2017-18 | 26 | 40 | 9 | 24 | N/A | N/A |
2018-19 | 37 | 42 | 26 | 42 | N/A | N/A |
2019-20 | - | - | - | - | N/A | N/A |
2022-23 | - | - | - | - | N/A | N/A |
2023-24 | 58 | - | 38 | 45 | N/A | N/A |
6.4.2. Individual Wins
No. | 시즌 | 날짜 | 장소 | 힐 | 규모 |
---|---|---|---|---|---|
1 | 1991-92 | 1992년 3월 22일 | 체코슬로바키아 하라호프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 체르타크 K180 | 플라잉힐 |
2 | 1992-93 | 1993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07 | 라지힐 |
3 | 1992-93 | 1993년 1월 23일 | 이탈리아 프레다초 | 트람폴리노 달 벤 K120 | 라지힐 |
4 | 1992-93 | 1993년 3월 6일 | 핀란드 라흐티 | 살파우셀카 K90 | 노멀힐 |
5 | 1993-94 | 1994년 1월 9일 | 오스트리아 무라우 | 한스 발란트 그로스샨체 K120 | 라지힐 |
6 | 1997-98 | 1998년 3월 22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블로우드코바 벨리칸카 K120 | 라지힐 |
7 | 1998-99 | 1999년 1월 3일 |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 베르기젤샨체 K120 | 라지힐 |
8 | 1998-99 | 1999년 1월 2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9 | 1998-99 | 1999년 1월 31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0 | 1998-99 | 1999년 3월 9일 | 노르웨이 트론헤임 | 그라나센 K120 | 라지힐 |
11 | 1998-99 | 1999년 3월 14일 | 노르웨이 오슬로 | 홀멘콜바켄 K115 | 라지힐 |
12 | 1998-99 | 1999년 3월 21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벨리칸카 브라토브 고리셰크 K185 | 플라잉힐 |
13 | 2000-01 | 2001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15 | 라지힐 |
14 | 2002-03 | 2003년 2월 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5 | 2003-04 | 2004년 2월 28일 | 미국 파크시티 | 유타 올림픽 파크 K120 | 라지힐 |
16 | 2013-14 | 2014년 1월 11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미터도르프 | 쿨름 HS200 | 플라잉힐 |
17 | 2014-15 | 2014년 11월 29일 | 핀란드 쿠사모 | 루카툰투리 HS142 | 라지힐 |
6.4.3. Team Wins
7. Publications and Media
가사이 노리아키는 선수 활동 외에도 다양한 출판물 및 미디어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했다.
7.1. Authored Books
가사이 노리아키가 직접 저술한 서적들은 다음과 같다.
- 《가족이 딴 은메달》 (家族で獲った銀メダル일본어, 고분샤, 2014년 7월)
- 《꿈은 노력으로 이룬다》 (夢は、努力でかなえる。일본어, 지쓰교노니혼샤, 2014년 10월)
- 《가사이 노리아키의 레전드 스트레칭: 하반신을 유연하게 만들면 10살 젊어진다》 (葛西紀明のレジェンド・ストレッチ: 下半身を柔らかくすれば10歳若返る일본어, 쇼가쿠칸, 2017년 3월)
- 《맞바람이 가장 좋다》 (向かい風がいちばんいい일본어, 가와데쇼보신샤, 2017년 12월)
- 《40세를 넘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피곤하지 않은 몸"과 "꺾이지 않는 마음" 만드는 법》 (40歳を過ぎて最高の成果を出せる「疲れない体」と「折れない心」のつくり方일본어, 도요케이자이 신포샤, 2017년 12월)
7.2. Related Publications and Films
가사이 노리아키와 관련된 서적 및 영상물은 다음과 같다.
- 《일본 점프팀 영광을 향한 도전!》 (日本ジャンプ陣 栄光への挑戦!일본어, 오리야마 요시미 저, 세카이분카샤, 2013년 11월)
- 《불굴의 날개》 (不屈の翼일본어, 오카자키 사토시 저, 닛칸스포츠 출판사, 2014년 2월)
- 《레전드! 가사이 노리아키 선수와 시모카와 점프 소년단 이야기》 (レジェンド! 葛西紀明選手と下川ジャンプ少年団ものがたり일본어, 조지마 미쓰루 저, 고단샤, 2014년 10월)
- 《가사이 노리아키 40세를 넘어도 쇠퇴하지 않는 사람의 비밀》 (葛西紀明 40歳を過ぎても衰えない人の秘密일본어, 사사키 사토시 저, 시소샤, 2015년 3월)
- 《프로페셔널 일의 방식: 스키점프 일본 대표 가사이 노리아키의 일, 전설의 날개, 아직 보지 못한 하늘로》 (DVD, 2016년 9월)
- 영화 《히노마루소울: 무대 뒤 영웅들》 (2021년 5월 공개, 오치아이 모토키가 가사이 역으로 출연)
7.3. Media Appearances
가사이 노리아키가 출연한 주요 미디어는 다음과 같다.
- 텔레비전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2년, 후지 TV) - 해설가
- 광고
- 쓰치야 홈
- 정부 홍보 '유카쓰' (2015년)
- 일본생명보험 'Play, Support. 가사이 노리아키 선수, 어머니의 말씀편' (2017년)
- 아데란스 '프리덤 가사이 노리아키 챌린지편' (2021년)
- 닛산 엑스트레일 '가사이 노리아키 meets NISSAN X-TRAIL e-4ORCE편' (2024년)
8. Awards and Honors
가사이 노리아키는 그의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시상 및 영예를 받았다.
- 시모카와정 주민 영예상 (2001년)
- JOC 스포츠상 특별 공로상 (2013년)
- 일본 안경 베스트 드레서상 스포츠계 부문 (2014년 10월)
- 안티에이징 대상 2014 특별상 (2014년 11월)
- 제64회 일본 스포츠상 올림픽 특별상 (2015년 1월)
- 홀멘콜렌 메달 (2016년 2월)
- 제18회 비트 다케시의 엔터테인먼트상 공로상 (2018년 1월)
9. Major Competition Results
가사이 노리아키의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 성적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9.1. Winter Olympic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라지힐 |
---|---|---|---|---|
1992 | 프랑스 알베르빌 | 31 | 26 | 4 |
1994 |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 5 | 14 | ![]() |
1998 | 일본 나가노 | 7 | - | - |
2002 |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49 | 41 | - |
2006 | 이탈리아 토리노 | 20 | 12 | 6 |
2010 | 캐나다 밴쿠버 | 17 | 8 | 5 |
2014 | 러시아 소치 | 8 | ![]() | ![]() |
2018 | 대한민국 평창 | 21 | 33 | 6 |
메달 | 종목 | 멤버 |
---|---|---|
![]() | 남자 라지힐 개인 | 가사이 노리아키 |
![]() | 남자 라지힐 단체 | 시미즈 레루히, 다케우치 다쿠, 이토 다이키, 가사이 노리아키 |
9.2. FIS Nordic World Ski Championship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노멀힐 | 팀 라지힐 | 혼성 노멀힐 |
---|---|---|---|---|---|---|
1989 | 핀란드 라흐티 | 54 | 57 | N/A | 15 | N/A |
1991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36 | N/A | 11 | N/A |
1993 | 스웨덴 팔룬 | 10 | 7 | N/A | 5 | N/A |
1995 | 캐나다 선더베이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7 | 노르웨이 트론헤임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9 | 오스트리아 람자우 | 5 | 10 | N/A | ![]() | N/A |
2001 | 핀란드 라흐티 | 8 | 19 | 4 | 4 | N/A |
200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 | N/A | ![]() | N/A |
2005 | 독일 오버스트도르프 | 21 | 36 | 9 | 10 | N/A |
2007 | 일본 삿포로 | 34 | 24 | N/A | ![]() | N/A |
2009 | 체코 리베레츠 | 30 | 32 | N/A | ![]() | N/A |
2011 | 노르웨이 오슬로 | 26 | 24 | 5 | 6 | N/A |
201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35 | 22 | N/A | 5 | - |
2015 | 스웨덴 팔룬 | 35 | 11 | N/A | 4 | ![]() |
2017 | 핀란드 라흐티 | 28 | 32 | N/A | 7 | - |
9.3. FIS Ski Flying World Championships
9.4. FIS Ski Jumping World Cup
9.4.1. Overall Standings
시즌 | 종합 | 4힐 토너먼트 | 스키 플라잉 | 로 에어 | 노르딕 토너먼트 | 스키 점프 (JP) 컵 |
---|---|---|---|---|---|---|
1988-89 | - | - | N/A | N/A | N/A | N/A |
1989-90 | 24 | 19 | N/A | N/A | N/A | N/A |
1990-91 | - | 73 | - | N/A | N/A | N/A |
1991-92 | 9 | - | 7 | N/A | N/A | N/A |
1992-93 | 3 | 2 | - | N/A | N/A | N/A |
1993-94 | 6 | 4 | 19 | N/A | N/A | N/A |
1995-96 | 36 | 10 | 26 | N/A | N/A | 36 |
1996-97 | 17 | 24 | 23 | N/A | 11 | 15 |
1997-98 | 10 | 24 | 13 | N/A | 4 | 10 |
1998-99 | 3 | 2 | 2 | N/A | - | 4 |
1999-00 | 15 | 20 | 10 | N/A | 9 | 14 |
2000-01 | 4 | 12 | 8 | N/A | 23 | N/A |
2001-02 | 23 | 31 | N/A | N/A | 28 | N/A |
2002-03 | 13 | 23 | N/A | N/A | 6 | N/A |
2003-04 | 8 | 8 | N/A | N/A | 10 | N/A |
2004-05 | 16 | 11 | N/A | N/A | 26 | N/A |
2005-06 | 21 | 9 | N/A | N/A | 15 | N/A |
2006-07 | 26 | 34 | N/A | N/A | 20 | N/A |
2007-08 | 34 | 34 | N/A | N/A | 31 | N/A |
2008-09 | 15 | 13 | 20 | N/A | 13 | N/A |
2009-10 | 17 | 11 | - | N/A | 8 | N/A |
2010-11 | 25 | 31 | 31 | N/A | N/A | N/A |
2011-12 | 51 | 33 | 45 | N/A | N/A | N/A |
2012-13 | 24 | 42 | 17 | N/A | N/A | N/A |
2013-14 | 5 | 5 | 2 | N/A | N/A | N/A |
2014-15 | 6 | 4 | 4 | N/A | N/A | N/A |
2015-16 | 8 | 7 | 5 | N/A | N/A | N/A |
2016-17 | 15 | 29 | 4 | 8 | N/A | N/A |
2017-18 | 26 | 40 | 9 | 24 | N/A | N/A |
2018-19 | 37 | 42 | 26 | 42 | N/A | N/A |
2019-20 | - | - | - | - | N/A | N/A |
2022-23 | - | - | - | - | N/A | N/A |
2023-24 | 58 | - | 38 | 45 | N/A | N/A |
9.4.2. Individual Wins
No. | 시즌 | 날짜 | 장소 | 힐 | 규모 |
---|---|---|---|---|---|
1 | 1991-92 | 1992년 3월 22일 | 체코슬로바키아 하라호프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 체르타크 K180 | 플라잉힐 |
2 | 1992-93 | 1993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07 | 라지힐 |
3 | 1992-93 | 1993년 1월 23일 | 이탈리아 프레다초 | 트람폴리노 달 벤 K120 | 라지힐 |
4 | 1992-93 | 1993년 3월 6일 | 핀란드 라흐티 | 살파우셀카 K90 | 노멀힐 |
5 | 1993-94 | 1994년 1월 9일 | 오스트리아 무라우 | 한스 발란트 그로스샨체 K120 | 라지힐 |
6 | 1997-98 | 1998년 3월 22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블로우드코바 벨리칸카 K120 | 라지힐 |
7 | 1998-99 | 1999년 1월 3일 |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 베르기젤샨체 K120 | 라지힐 |
8 | 1998-99 | 1999년 1월 2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9 | 1998-99 | 1999년 1월 31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0 | 1998-99 | 1999년 3월 9일 | 노르웨이 트론헤임 | 그라나센 K120 | 라지힐 |
11 | 1998-99 | 1999년 3월 14일 | 노르웨이 오슬로 | 홀멘콜바켄 K115 | 라지힐 |
12 | 1998-99 | 1999년 3월 21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벨리칸카 브라토브 고리셰크 K185 | 플라잉힐 |
13 | 2000-01 | 2001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15 | 라지힐 |
14 | 2002-03 | 2003년 2월 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5 | 2003-04 | 2004년 2월 28일 | 미국 파크시티 | 유타 올림픽 파크 K120 | 라지힐 |
16 | 2013-14 | 2014년 1월 11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미터도르프 | 쿨름 HS200 | 플라잉힐 |
17 | 2014-15 | 2014년 11월 29일 | 핀란드 쿠사모 | 루카툰투리 HS142 | 라지힐 |
9.4.3. Team Wins
10. Publications and Media
가사이 노리아키는 선수 활동 외에도 다양한 출판물 및 미디어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했다.
10.1. Authored Books
가사이 노리아키가 직접 저술한 서적들은 다음과 같다.
- 《가족이 딴 은메달》 (家族で獲った銀メダル일본어, 고분샤, 2014년 7월)
- 《꿈은 노력으로 이룬다》 (夢は、努力でかなえる。일본어, 지쓰교노니혼샤, 2014년 10월)
- 《가사이 노리아키의 레전드 스트레칭: 하반신을 유연하게 만들면 10살 젊어진다》 (葛西紀明のレジェンド・ストレッチ: 下半身を柔らかくすれば10歳若返る일본어, 쇼가쿠칸, 2017년 3월)
- 《맞바람이 가장 좋다》 (向かい風がいちばんいい일본어, 가와데쇼보신샤, 2017년 12월)
- 《40세를 넘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피곤하지 않은 몸"과 "꺾이지 않는 마음" 만드는 법》 (40歳を過ぎて最高の成果を出せる「疲れない体」と「折れない心」のつくり方일본어, 도요케이자이 신포샤, 2017년 12월)
10.2. Related Publications and Films
가사이 노리아키와 관련된 서적 및 영상물은 다음과 같다.
- 《일본 점프팀 영광을 향한 도전!》 (日本ジャンプ陣 栄光への挑戦!일본어, 오리야마 요시미 저, 세카이분카샤, 2013년 11월)
- 《불굴의 날개》 (不屈の翼일본어, 오카자키 사토시 저, 닛칸스포츠 출판사, 2014년 2월)
- 《레전드! 가사이 노리아키 선수와 시모카와 점프 소년단 이야기》 (レジェンド! 葛西紀明選手と下川ジャンプ少年団ものがたり일본어, 조지마 미쓰루 저, 고단샤, 2014년 10월)
- 《가사이 노리아키 40세를 넘어도 쇠퇴하지 않는 사람의 비밀》 (葛西紀明 40歳を過ぎても衰えない人の秘密일본어, 사사키 사토시 저, 시소샤, 2015년 3월)
- 《프로페셔널 일의 방식: 스키점프 일본 대표 가사이 노리아키의 일, 전설의 날개, 아직 보지 못한 하늘로》 (DVD, 2016년 9월)
- 영화 《히노마루소울: 무대 뒤 영웅들》 (2021년 5월 공개, 오치아이 모토키가 가사이 역으로 출연)
10.3. Media Appearances
가사이 노리아키가 출연한 주요 미디어는 다음과 같다.
- 텔레비전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2년, 후지 TV) - 해설가
- 광고
- 쓰치야 홈
- 정부 홍보 '유카쓰' (2015년)
- 일본생명보험 'Play, Support. 가사이 노리아키 선수, 어머니의 말씀편' (2017년)
- 아데란스 '프리덤 가사이 노리아키 챌린지편' (2021년)
- 닛산 엑스트레일 '가사이 노리아키 meets NISSAN X-TRAIL e-4ORCE편' (2024년)
11. Awards and Honors
가사이 노리아키는 그의 선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시상 및 영예를 받았다.
- 시모카와정 주민 영예상 (2001년)
- JOC 스포츠상 특별 공로상 (2013년)
- 일본 안경 베스트 드레서상 스포츠계 부문 (2014년 10월)
- 안티에이징 대상 2014 특별상 (2014년 11월)
- 제64회 일본 스포츠상 올림픽 특별상 (2015년 1월)
- 홀멘콜렌 메달 (2016년 2월)
- 제18회 비트 다케시의 엔터테인먼트상 공로상 (2018년 1월)
12. Major Competition Results
가사이 노리아키의 주요 국제 및 국내 대회 성적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12.1. Winter Olympic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라지힐 |
---|---|---|---|---|
1992 | 프랑스 알베르빌 | 31 | 26 | 4 |
1994 |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 5 | 14 | ![]() |
1998 | 일본 나가노 | 7 | - | - |
2002 |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 49 | 41 | - |
2006 | 이탈리아 토리노 | 20 | 12 | 6 |
2010 | 캐나다 밴쿠버 | 17 | 8 | 5 |
2014 | 러시아 소치 | 8 | ![]() | ![]() |
2018 | 대한민국 평창 | 21 | 33 | 6 |
메달 | 종목 | 멤버 |
---|---|---|
![]() | 남자 라지힐 개인 | 가사이 노리아키 |
![]() | 남자 라지힐 단체 | 시미즈 레루히, 다케우치 다쿠, 이토 다이키, 가사이 노리아키 |
12.2. FIS Nordic World Ski Championships
연도 | 장소 | 노멀힐 | 라지힐 | 팀 노멀힐 | 팀 라지힐 | 혼성 노멀힐 |
---|---|---|---|---|---|---|
1989 | 핀란드 라흐티 | 54 | 57 | N/A | 15 | N/A |
1991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36 | N/A | 11 | N/A |
1993 | 스웨덴 팔룬 | 10 | 7 | N/A | 5 | N/A |
1995 | 캐나다 선더베이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7 | 노르웨이 트론헤임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999 | 오스트리아 람자우 | 5 | 10 | N/A | ![]() | N/A |
2001 | 핀란드 라흐티 | 8 | 19 | 4 | 4 | N/A |
200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 | ![]() | N/A | ![]() | N/A |
2005 | 독일 오버스트도르프 | 21 | 36 | 9 | 10 | N/A |
2007 | 일본 삿포로 | 34 | 24 | N/A | ![]() | N/A |
2009 | 체코 리베레츠 | 30 | 32 | N/A | ![]() | N/A |
2011 | 노르웨이 오슬로 | 26 | 24 | 5 | 6 | N/A |
2013 | 이탈리아 발디피엠메 | 35 | 22 | N/A | 5 | - |
2015 | 스웨덴 팔룬 | 35 | 11 | N/A | 4 | ![]() |
2017 | 핀란드 라흐티 | 28 | 32 | N/A | 7 | - |
12.3. FIS Ski Flying World Championships
12.4. FIS Ski Jumping World Cup
12.4.1. Overall Standings
시즌 | 종합 | 4힐 토너먼트 | 스키 플라잉 | 로 에어 | 노르딕 토너먼트 | 스키 점프 (JP) 컵 |
---|---|---|---|---|---|---|
1988-89 | - | - | N/A | N/A | N/A | N/A |
1989-90 | 24 | 19 | N/A | N/A | N/A | N/A |
1990-91 | - | 73 | - | N/A | N/A | N/A |
1991-92 | 9 | - | 7 | N/A | N/A | N/A |
1992-93 | 3 | 2 | - | N/A | N/A | N/A |
1993-94 | 6 | 4 | 19 | N/A | N/A | N/A |
1995-96 | 36 | 10 | 26 | N/A | N/A | 36 |
1996-97 | 17 | 24 | 23 | N/A | 11 | 15 |
1997-98 | 10 | 24 | 13 | N/A | 4 | 10 |
1998-99 | 3 | 2 | 2 | N/A | - | 4 |
1999-00 | 15 | 20 | 10 | N/A | 9 | 14 |
2000-01 | 4 | 12 | 8 | N/A | 23 | N/A |
2001-02 | 23 | 31 | N/A | N/A | 28 | N/A |
2002-03 | 13 | 23 | N/A | N/A | 6 | N/A |
2003-04 | 8 | 8 | N/A | N/A | 10 | N/A |
2004-05 | 16 | 11 | N/A | N/A | 26 | N/A |
2005-06 | 21 | 9 | N/A | N/A | 15 | N/A |
2006-07 | 26 | 34 | N/A | N/A | 20 | N/A |
2007-08 | 34 | 34 | N/A | N/A | 31 | N/A |
2008-09 | 15 | 13 | 20 | N/A | 13 | N/A |
2009-10 | 17 | 11 | - | N/A | 8 | N/A |
2010-11 | 25 | 31 | 31 | N/A | N/A | N/A |
2011-12 | 51 | 33 | 45 | N/A | N/A | N/A |
2012-13 | 24 | 42 | 17 | N/A | N/A | N/A |
2013-14 | 5 | 5 | 2 | N/A | N/A | N/A |
2014-15 | 6 | 4 | 4 | N/A | N/A | N/A |
2015-16 | 8 | 7 | 5 | N/A | N/A | N/A |
2016-17 | 15 | 29 | 4 | 8 | N/A | N/A |
2017-18 | 26 | 40 | 9 | 24 | N/A | N/A |
2018-19 | 37 | 42 | 26 | 42 | N/A | N/A |
2019-20 | - | - | - | - | N/A | N/A |
2022-23 | - | - | - | - | N/A | N/A |
2023-24 | 58 | - | 38 | 45 | N/A | N/A |
12.4.2. Individual Wins
No. | 시즌 | 날짜 | 장소 | 힐 | 규모 |
---|---|---|---|---|---|
1 | 1991-92 | 1992년 3월 22일 | 체코슬로바키아 하라호프 (FIS 스키 플라잉 세계 선수권) | 체르타크 K180 | 플라잉힐 |
2 | 1992-93 | 1993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07 | 라지힐 |
3 | 1992-93 | 1993년 1월 23일 | 이탈리아 프레다초 | 트람폴리노 달 벤 K120 | 라지힐 |
4 | 1992-93 | 1993년 3월 6일 | 핀란드 라흐티 | 살파우셀카 K90 | 노멀힐 |
5 | 1993-94 | 1994년 1월 9일 | 오스트리아 무라우 | 한스 발란트 그로스샨체 K120 | 라지힐 |
6 | 1997-98 | 1998년 3월 22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블로우드코바 벨리칸카 K120 | 라지힐 |
7 | 1998-99 | 1999년 1월 3일 |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 베르기젤샨체 K120 | 라지힐 |
8 | 1998-99 | 1999년 1월 2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9 | 1998-99 | 1999년 1월 31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0 | 1998-99 | 1999년 3월 9일 | 노르웨이 트론헤임 | 그라나센 K120 | 라지힐 |
11 | 1998-99 | 1999년 3월 14일 | 노르웨이 오슬로 | 홀멘콜바켄 K115 | 라지힐 |
12 | 1998-99 | 1999년 3월 21일 | 슬로베니아 플라니차 | 벨리칸카 브라토브 고리셰크 K185 | 플라잉힐 |
13 | 2000-01 | 2001년 1월 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그로세 올림피아샨체 K115 | 라지힐 |
14 | 2002-03 | 2003년 2월 9일 | 독일 빌링겐 | 뮐렌코프스샨체 K120 | 라지힐 |
15 | 2003-04 | 2004년 2월 28일 | 미국 파크시티 | 유타 올림픽 파크 K120 | 라지힐 |
16 | 2013-14 | 2014년 1월 11일 | 오스트리아 타우플리츠/바트미터도르프 | 쿨름 HS200 | 플라잉힐 |
17 | 2014-15 | 2014년 11월 29일 | 핀란드 쿠사모 | 루카툰투리 HS142 | 라지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