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리나 마라토브나 카바예바(Алина Маратовна Кабаева알리나 마라토브나 카바예바러시아어, Älinä Marat qızı Qabayeva앨리나 마라트 크즈 카바예바타타르어, Әлинә Марат кызы Кабаева앨리나 마라트 크즈 카바예바타타르어)는 1983년 5월 12일 우즈베크 SSR의 타슈켄트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전직 리듬 체조 선수이자 현직 정치인, 미디어 경영인이다. 그녀는 리듬 체조 역사상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선수 중 한 명으로, 올림픽 메달 2개,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14개,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21개를 획득하며 러시아 리듬 체조의 위상을 높였다.
선수 은퇴 후 카바예바는 러시아 공공회의 위원, 국가 두마 의원 등 공직 활동을 수행했으며, 2014년부터 러시아 최대 미디어 기업인 내셔널 미디어 그룹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그녀의 정치 및 미디어 경영 활동은 경험 부족과 고액 연봉 등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그녀는 국가 두마 재직 시 디마 야코블레프 법 (미국인의 러시아 고아 입양 금지법)과 러시아 동성애 선전 금지법 등 인권 및 사회적 자유와 관련하여 논란이 된 법안에 찬성표를 던지기도 했다.
카바예바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오랜 관계 의혹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왔으며, 이와 관련된 자녀 출산 루머와 언론 보도 통제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푸틴 대통령과의 연관성 때문에 미국, 영국, 캐나다, 유럽 연합, 오스트레일리아 등 서방 국가들로부터 개인 제재를 받게 되었다.
2. 생애 초반
알리나 카바예바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유연성과 민첩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코치들은 그녀의 신체 조건이 리듬 체조 선수에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이리나 비네르 코치를 만나면서 전문적인 훈련을 시작하며 재능을 꽃피웠다.
2.1. 출생 및 가족 배경
알리나 카바예바는 1983년 5월 12일 우즈베크 SSR의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전문 축구 선수였던 마라트 카바예프(Marat Kabayev)이며, 어머니는 류보프 카바예바(Lyubov Kabaeva)이다. 마라트 카바예프는 무슬림 타타르인이며, 어머니 류보프 카바예바는 러시아인이어서 알리나 카바예바는 타타르-러시아 혼혈이다.
아버지의 직업 특성상 가족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 다양한 지역을 자주 오가며 생활했다. 그녀의 여동생 레이산 카바예바(Leysan Kabaeva)는 부동산 에이전시의 총괄 이사이며, 2016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타타르스탄의 알메티옙스크(Almetyevsk) 시 법원 판사로 임명되기도 했다.
2.2. 유년 시절 및 초기 훈련
카바예바는 3세에 리듬 체조를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마르가리타 사무일로브나(Margarita Samuilovna) 코치의 지도를 받았다. 1993년에는 카자흐스탄을 대표하여 일본에서 열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11세가 되던 해, 그녀는 어머니와 함께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러시아 리듬 체조 대표팀의 수석 코치인 이리나 비네르(Irina Viner)를 만났다. 비네르 코치는 카바예바의 뛰어난 유연성과 민첩성을 높이 평가하며 그녀를 모스크바의 올림픽 예비 학교에서 지도하기 시작했다. 비네르 코치는 카바예바를 처음 만났을 때 "두 가지 결정적인 요소인 유연성과 민첩성을 동시에 발견하고 눈을 믿을 수 없었다"고 회고했다.
3. 리듬 체조 경력
알리나 카바예바는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빠르게 세계 정상급 선수로 성장했다. 도핑 스캔들이라는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이를 극복하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며 리듬 체조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3.1. 주니어 및 초기 시니어 경력
카바예바는 1996년 러시아 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15세의 나이로 출전한 199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웠다. 당시 그녀는 아미나 자리포바, 야나 바티르시나, 이리나 차시나와 같은 유명 선수들 사이에서 러시아 대표팀의 최연소 멤버였다.
이후 1999년 헝가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고, 오사카에서 개최된 1999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했다. 그녀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총 5개의 개인 종합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에서 카바예바는 개인 종합 금메달이 유력한 후보로 꼽혔다. 그러나 경기 중 후프를 경기장 밖으로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며 총점 39.466점(줄 9.925, 후프 9.641, 볼 9.950, 리본 9.950)으로 동메달에 머물렀다. 당시 은메달은 벨라루스의 율리아 라스키나가, 금메달은 동료 러시아 선수인 율리아 바르수코바가 차지했다.
3.2. 도핑 스캔들 및 복귀
2001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2001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카바예바는 볼, 곤봉, 후프, 줄, 개인 종합 및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맹활약했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개최된 2001년 굿윌 게임에서도 볼, 곤봉, 줄 종목에서 금메달을, 개인 종합과 후프 종목에서 은메달을 따냈다.
그러나 카바예바와 그녀의 동료 이리나 차시나는 금지 약물인 푸로세미드 (이뇨제) 양성 반응이 나와 모든 메달을 박탈당했다. 이로 인해 두 선수는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01년 8월부터 2002년 8월까지는 모든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고, 나머지 1년은 조건부 정지로 공식 대회에는 참가할 수 있었으나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당시 러시아 대표팀 감독이자 국제 체조 연맹(FIG) 리듬 체조 기술위원회 부회장이었던 이리나 비네르는 선수들이 월경전 증후군 때문에 약한 이뇨제가 포함된 "하이퍼(Hyper)"라는 영양 보충제를 섭취했다고 주장했다. 굿윌 게임 직전 보충제가 떨어져 팀 물리치료사가 지역 약국에서 재구매했는데, 비네르 감독에 따르면 이때 판매된 보충제가 위조품이었고 푸로세미드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FIG는 카바예바와 차시나의 마드리드 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 또한 무효화했으며,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타마라 예로피예바가 2001년 세계 챔피언으로 선언되었다. 출전 정지 처분 이후 카바예바는 2002년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3.3.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우승
카바예바는 200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03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녀는 개인 종합 금메달을 비롯해 리본과 볼 종목에서도 안나 베소노바를 제치고 금메달을 따냈다.
2004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종합 금메달을 차지했다. 그리고 같은 해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리듬 체조 개인 종합에서 총점 108.400점(후프 26.800, 볼 27.350, 곤봉 27.150, 리본 27.100)으로 마침내 금메달을 획득하며 숙원을 풀었다. 당시 은메달은 동료 선수인 이리나 차시나가 차지했다.
3.4. 선수 경력 마무리
2004년 10월, 카바예바는 선수 생활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2005년 6월, 러시아 대표팀 감독 이리나 비네르는 그녀의 복귀 가능성을 언급했다. 카바예바는 2005년 9월 10일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열린 이탈리아-러시아 친선 경기에서 다시 선수 활동을 시작했다. 2006년 3월 5일, 카바예바는 가스프롬 모스크바 그랑프리에서 우승했으며, 동료 선수인 베라 세시나와 올가 카프라노바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그녀는 2006년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세시나에 이어 개인 종합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7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는 카바예바, 세시나, 카프라노바가 러시아 대표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대회 전날 카바예바는 부상으로 기권했으며, 비네르 감독은 신예 선수인 예브게니야 카나예바를 대체 선수로 선발했다. 같은 해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종합 예선에서 4위를 기록했으나, 국가별 출전 선수 제한 규정(국가당 2명)으로 인해 세시나와 카프라노바에게 밀려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다만 리본 종목 결선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카바예바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출전 계획이 여러 차례 발표되었으나, 결국 최종 출전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2008년에 완전히 은퇴를 선언했다.
3.5. 리듬 체조에 대한 기여 및 혁신
카바예바는 리듬 체조에 새로운 기술과 요소를 도입하며 이 스포츠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녀가 선보인 기술 중에는 손으로 보조하는 백 스플릿 피벗(일명 "카바예바")과 느린 풀 턴이 포함된 링 포지션, 그리고 그녀가 처음 선보인 백스케일 피벗 등이 있다. 그녀의 파격적이고 유연성을 극대화한 연기는 당시 체조계에서 찬반양론을 불러일으켰으나, "리듬 체조를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드니 올림픽 이후 그녀는 이리나 차시나, 우크라이나의 안나 베소노바와 함께 '3강'으로 불렸으며, 올가 카프라노바와 베라 세시나는 '카바예바의 후계자'로 불렸다.
3.6. 주요 성과 및 기록
알리나 카바예바는 리듬 체조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기록된다.
- 15세의 나이로 1998년 포르투에서 열린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개인 종합에서 우승하며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웠다.
- 1999년 오사카에서 16세의 나이로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개인 종합에서 우승하며 옐레나 카르푸히나와 함께 최연소 세계 선수권 개인 종합 우승 기록을 세웠으나, 2013년 야나 쿠드랴프체바가 15세에 우승하며 이 기록을 깼다.
- 백스케일 피벗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 1998년, 1999년, 2000년, 2002년, 2004년에 걸쳐 유럽 선수권 개인 종합 타이틀 최다 획득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예브게니야 카나예바, 카테리나 세레브랸스카와 함께 리듬 체조의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세 명의 선수 중 한 명이다. 그랜드 슬램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FIG 월드컵 파이널, FIG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을 모두 포함한다.
- 러시아 국가 대표 개인 종합 선수권 대회에서 1999년, 2000년, 2001년, 2004년, 2006년, 2007년에 걸쳐 총 6회 우승을 차지했다.
연도 | 대회 설명 | 개최지 | 배경 음악 | 종목 | 결선 점수 | 예선 점수 |
---|---|---|---|---|---|---|
2004 | 올림픽 | 아테네 | 개인 종합 | 108.400 | 105.875 | |
Sphynx by Giampiero Ponte | 리본 | 27.100 | 26.100 | |||
Syrtaki by D. Moutsis | 볼 | 27.350 | 27.250 | |||
Carmen's entrance and Habanera by 조르주 비제 | 후프 | 26.800 | 26.050 | |||
Sphynx (Club Mix) by Giampiero Ponte, Moran | 곤봉 | 27.150 | 26.475 | |||
연도 | 대회 설명 | 개최지 | 배경 음악 | 종목 | 결선 점수 | 예선 점수 |
2000 | 올림픽 | 시드니 | 개인 종합 | 39.466 | 39.691 | |
Dilorom / Yor Yor by Yulduz Usmanova and Shahzod | 리본 | 9.950 | 9.925 | |||
Felicia by Luis Bravo | 볼 | 9.950 | 9.925 | |||
Les Toreadors by 조르주 비제 | 후프 | 9.651 | 9.925 | |||
치간노치카 | 줄 | 9.925 | 9.916 |
연도 | 종목 | 음악 제목 |
---|---|---|
2007 | 후프 (두 번째) | Allegro Vivo (발푸르기스의 밤) from Faust by 샤를 구노 |
후프 (첫 번째) | Payadora by Julian Plaza | |
줄 (두 번째) | Rio Rita by DJ Valer | |
줄 (첫 번째) | Sirtaki by 앙드레 류 | |
곤봉 (두 번째) | Rio Rita by DJ Valer | |
곤봉 (첫 번째) | Sardarabad by 아라 게보르기안 | |
리본 | Espana Cani music from Cincinnati by Pops Orchestra | |
2006 | 볼 (두 번째) | Sirtaki by David Moutsis |
볼 (첫 번째) | Introduction music from 스페이드의 여왕 (오페라) by Sofia Festival Orchestra | |
줄 | Clockwork (Shantel vs Mahala Rai Banda remix) by Mambayaga Project | |
곤봉 (두 번째) | Overture from The Seventh Voyage Of Sinbad by 버나드 허먼 | |
곤봉 (첫 번째) | White Darbouka by Hovannes K. | |
리본 | Granada by 앙드레 류 | |
2005 | 볼 | Fuga Y Misterio by Astor Piazzolla |
줄 | Clockwork (Shantel vs Mahala Rai Banda remix) by Mambayaga Project | |
곤봉 | White Darbouka by Hovannes K. | |
리본 | Suite - 1st Movement from 발렌시아의 과부 by 아람 하차투리안 | |
2004 | 후프 (두 번째) | Carmen's entrance and Habanera by 조르주 비제 |
후프 (첫 번째) | Finale / Dance / Prelude / Bolero from Carmen by Georges Bizet & Rodion Shchedrin | |
볼 | Syrtaki by D. Moutsis | |
곤봉 | Sphynx (Club Mix) by Giampiero Ponte, Moran | |
리본 | Sphynx by Giampiero Ponte | |
2003 | 후프 | Finale / Dance / Prelude / Bolero from Carmen by Georges Bizet & Rodion Shchedrin |
볼 | Polovtsian Dances music from Prince Igor by Alexander Borodin | |
곤봉 | Moliendo café by Fanfare Ciocarlia | |
리본 | Caravane / Der Bauch / Istikhbar by Radar / MC Sultan / Gnawa Diffusion | |
2002 | 후프 | Finale / Dance / Prelude / Bolero from Carmen by 조르주 비제 & Rodion Shchedrin |
줄 | Snakefood, Samba Adagio by Safri Duo | |
곤봉 | Hava Naquila by Party Animals | |
볼 | Weather Storm by 크레이그 암스트롱 | |
2001 | 후프 | Desert Rose (House Mix) by 스팅 feat. Cheb Mami |
줄 | Shark music from Full Sink by 로리에이트 | |
곤봉 | Lament To Birch Bark from The Best Of Russian Folk Music by Moscow Balalaika Quartet | |
볼 | Question of U by Classic Metropolitan Orchestra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
2000 | 후프 | Les Toreadors by 조르주 비제 |
줄 | Tsiganochka (Traditional Gipsy folk) | |
볼 | 펠리시아 from Forever Tango by Luis Bravo | |
리본 | Dilorom / Yor Yor by Yulduz Usmanova / Shahzod | |
1999 | 후프 | Spirit of Taiko by Kitaro |
줄 | Release the Dubs from 쉘로우 그레이브 by Leftfield | |
볼 | 펠리시아 from Forever Tango by Luis Bravo | |
리본 | Dilorom / Yor Yor by Yulduz Usmanova / Shahzod | |
1998 | 후프 | Symphonica by DJ Quicksilver |
곤봉 | Korobejniki from 카마린스카야 by 미하일 글린카 | |
볼 | ? | |
리본 (두 번째) | Kitri, Entrance, Coda music from 돈 키호테 by 레온 민쿠스 | |
리본 (첫 번째) | Lo Sciecco Bianco by 니노 로타 | |
1997 | 후프 | Paradisio / Canton Express / I dream of Santiago by Gypsy |
곤봉 | ? | |
볼 | Finale (Carnival of the Animals) from Charles by Camille Saint-Saëns | |
리본 | Lo Sceicco Bianco by 니노 로타 |
3.7. 은퇴 후 리듬 체조 관련 활동
2004년 선수 생활을 마친 카바예바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당시 그녀가 푸틴 대통령과 가깝다는 루머 때문에 국제 언론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2015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 명예 초청 인사로 참석했으며, 2017년 이탈리아 페자로에서 열린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국제 체조 연맹(FIG)의 공식 리듬 체조 홍보대사로 활동했다.
4. 정치 및 미디어 경력
카바예바는 선수 은퇴 이후 러시아의 정치 및 미디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새로운 경력을 쌓았다.
4.1. 공직 활동
2005년부터 카바예바는 러시아 공공회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는 통합 러시아당 소속으로 니즈네캄스크를 대표하는 국가 두마 (러시아 연방 하원) 의원을 역임했다.
4.2. 언론사 경영 활동
2008년 2월부터 카바예바는 국영 미디어 그룹인 내셔널 미디어 그룹(Национальная Медиа Группа러시아어)의 공공위원회 의장으로 재직했다. 이 미디어 그룹은 이즈베스티아, 채널 원, 렌 TV 등을 산하에 두고 있다. 2014년 9월, 카바예바는 국가 두마 의원직을 사임하고 러시아 최대 미디어 대기업인 내셔널 미디어 그룹의 이사회 의장직을 수락하며 미디어 경영 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녀는 정치 및 미디어 직책에 임명될 당시 경험 부족과 고액 연봉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2024년 9월 기준, 중앙 유럽 대학의 미디어 및 저널리즘 연구 센터는 내셔널 미디어 그룹을 '국가 통제 또는 소유 미디어'로 평가했다.
4.3. 논란이 된 법안 지지
국가 두마 의원 재직 시절인 2012년과 2013년에 카바예바는 여러 논란이 된 법안들에 찬성표를 던졌다. 여기에는 미국인들의 러시아 고아 입양을 금지하는 디마 야코블레프 법, 미성년자에게 "비전통적 성관계 선전"을 금지하는 러시아 동성애 선전 금지법, 저작권 위반 자료를 호스팅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 대한 사법 외적 접근 금지 법안, 그리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개편 법안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법안들은 인권 및 사회적 자유와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5. 기타 활동
카바예바는 리듬 체조 선수, 정치인, 미디어 경영인으로서의 경력 외에도 다양한 대중 활동에 참여하며 이름을 알렸다.
5.1. 엔터테인먼트 및 대중 활동
2001년, 카바예바는 일본 영화인 레드 섀도우에 출연하여 리듬 체조 루틴을 선보였다. 이 영화의 DVD는 2005년에 출시되었다. 1999년에는 일본 UHA 미카쿠토의 '초코뷰'라는 과자 광고에 출연하기도 했다 (칸사이 지역 한정).
2005년 1월에는 아테네 올림픽 리듬 체조 금메달리스트로서 사진집 "Alina Kabaeva photo book"을 출판했으며, 2005년 3월에는 "신体操의 요정 알리나 카바예바 HOLIDAY in JAPAN"과 "2004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알리나 카바예바의 신体操 교실"이라는 제목의 DVD가 출시되었다.
2011년 1월에는 보그 러시아의 표지 모델로 등장했으며, 같은 달에는 가수로서 무대에 서며 노래 경력을 시작하기도 했다.
6. 개인 생활 및 루머
알리나 카바예바의 개인적인 삶은 특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관계 의혹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6.1. 블라디미르 푸틴과의 관계 의혹
2008년 4월, 러시아 타블로이드 신문 『모스코프스키 코레스폰덴트』는 카바예바가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블라디미르 푸틴과 약혼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 직후 푸틴 대통령은 이를 부인했고, 해당 신문사는 갑작스러운 자금난을 이유로 폐간되었다가 일주일 만에 재개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후 몇 년간 카바예바와 푸틴의 관계는 계속해서 언론과 대중의 추측 대상이 되었으며, 두 사람 사이에 여러 명의 자녀가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6.2. 자녀 및 가족 생활
2013년 7월, 카바예바는 자신에게 자녀가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2015년 3월, 스위스 티치노주의 생트 안느(Saint Ann) VIP 병원에서 딸을 출산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19년에는 모스크바의 쿨라코프 산부인과에서 쌍둥이 아들을 출산했다는 보도가 뒤를 이었다. 2022년 스위스 신문 『존탁스차이퉁』(SonntagsZeitung)은 러시아계 스위스인 산부인과 의사가 두 출산 모두를 도왔으며, 2015년 출생아는 아들이었고 2019년 출생아도 아들이었는데, 이들 모두 푸틴의 아들이었다고 보도했다.
2015년 이후 카바예바는 루가노와 콜로니 등 스위스 내 거주지에서 장기간 머물렀다고 미국 및 유럽 안보 당국자들은 밝혔다. 한편, 일부 정치 분석가들은 그녀가 푸틴의 가족으로서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핵 방공호에 숨어 지낸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22년 4월 24일, 카바예바는 모스크바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리듬 체조 페스티벌에 참석하며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언론에서는 그녀가 소치에 거주하고 있으며, 푸틴 대통령이 그녀의 생일(5월 12일)을 앞두고 소치의 엘리트 교육 센터를 방문했다는 소식이 보도되기도 했다.
6.3. 종교
공개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카바예바는 2002년까지 이슬람교를 믿었으나, 2003년에 기독교로 개종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7. 국제 제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카바예바는 러시아의 여러 정치 및 비즈니스 리더들과 함께 국제 사회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
2022년 4월, 미국 재무부는 카바예바에 대한 제재를 준비했으나,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러시아와 미국 간의 긴장 고조를 우려해 제재를 보류했다. 그러나 2022년 8월 3일,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카바예바를 특별 지정 국가 및 차단 대상 명단에 추가하며 그녀의 자산을 동결하고 미국인들과의 거래를 금지했다.
이에 앞서 2022년 5월 13일 영국은 카바예바와 그녀의 할머니 안나 자체플리나(Anna Zatseplina)에게 제재를 부과했다. 같은 해 5월 27일에는 캐나다가, 6월 3일에는 유럽 연합이 카바예바를 제재 대상에 올렸다. 그리고 7월 1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도 카바예바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이러한 제재와 더불어, Change.org 등에서는 그녀가 스위스에 숨어 있다는 보도와 관련하여 스위스에서 러시아로 강제 송환을 요구하는 청원과 그녀의 올림픽 메달을 박탈해야 한다는 청원 운동이 제기되기도 했다.
8. 수상 및 영예
알리나 카바예바는 선수 및 공직 생활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명예로운 칭호와 훈장을 받았다.
- 러시아 체육 유공자 (1999)
- 우정 훈장 (2001)
- 4급 조국 공헌 훈장 (2005)
- 러시아 연방 대통령 명예 증서 (2013)
- 남오세티야 명예 훈장 (2015)
9. 종합적 평가
알리나 카바예바는 리듬 체조 선수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을 남겼다. 그녀는 15세의 나이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러시아 리듬 체조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그녀의 혁신적인 기술과 표현력은 리듬 체조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선수 은퇴 후 그녀의 행보는 정치적 논란과 사생활 관련 루머로 얼룩져 있다. 국가 두마 의원으로서 인권과 사회적 자유를 제한하는 법안에 찬성표를 던진 이력은 그녀의 공적 이미지에 비판적인 시각을 더했다. 또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 의혹은 지속적인 국제적 관심과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언론 통제와 자녀 출산 루머 등 다양한 논란이 불거졌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국가들이 그녀에게 부과한 제재는 그녀의 정치적, 개인적 입장이 국제 사회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카바예바는 러시아 사회에서는 여전히 스포츠 영웅이자 영향력 있는 미디어 경영인으로 인식되지만, 국제적으로는 그 업적과 함께 논란의 중심에 선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