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알렉산드르 루돌포비치 게인리흐(Александр Рудольфович Гейнрих알렉산드르 루돌포비치 게인리흐러시아어, Alexander Heinrich알렉산더 하인리히독일어, Aleksandr Rudolfovich Geynrix알렉산드르 루돌포비치 게인리흐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다. 공격수와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을 소화했으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하며 98번의 국제 A매치 출전과 31골을 기록했다. 그는 2002년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로 선정될 만큼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K리그,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다. 은퇴 후에는 FC 악퇴베 유스팀 코치로 활동하며 지도자 경력을 이어가고 있다.
2. Personal Information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그의 개인적인 배경과 선수로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2.1. Early life and background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1984년 10월 6일 소련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타슈켄트주 앙그렌에서 태어났다. 그의 성 '게인리흐'는 독일어 '하인리히(Heinrich)'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그가 독일계 혈통임을 시사한다. 그의 키는 183 cm이다.
2.2. Playing position
게인리흐는 주로 공격수로 활약했으나,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도 소화할 수 있었다. 그는 최전방에서 볼을 지키는 능력을 활용하여 공격 전개에 자주 참여했으며, 세트피스 상황에서는 프리킥과 코너킥을 전담하는 등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기술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주발은 오른발이다.
3. Club Career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2001년 프로 데뷔 이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카자흐스탄 등 여러 국가의 클럽을 거치며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다.
3.1. Early career (Dustlik, Pakhtakor, CSKA Moscow)
게인리흐는 2001년 자국 클럽인 FC 두스틀리크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2002년에는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하여 2002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와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기여했다. 18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리그에서 23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이 공로로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03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PFC CSKA 모스크바로 이적했으나, CSKA에서는 2경기 출전에 그쳤고 1골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친정팀인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임대 이적하여 다시 한번 리그와 컵 우승을 차지하는 데 일조했다.
3.2. Russian and Korean leagues
2005년 8월, 게인리흐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두 시즌 동안 21경기에 출전했다.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의 활동을 마친 후 2006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복귀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시즌 동안 공식전 94경기에 출전하여 49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2007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 2009년, 2010년에는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컵에서 2007년과 2009년에 우승을 경험했고, 2009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9년에는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에도 기여했다.
2011년에는 대한민국 K리그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1년 임대 이적했다. 그는 2011년 3월 6일 FC 서울과의 K리그 데뷔전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2대0 승리에 기여했다. 수원에서 총 19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으며, 2011년 K리그 4위, 2011년 리그컵 4강, 2011년 FA컵 준우승에 일조했으나,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한 시즌 만에 임대 계약이 해지되었다.
3.3. Kazakh and Uzbek leagues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떠난 후, 게인리흐는 UAE 프로리그의 에미리트 클럽에서 6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2012년 6월 14일, 그는 티무르 카파제와 함께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FC 악퇴베로 이적했다. 이적 이틀 후인 6월 16일 FC 순카르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2대1로 승리했다. 악퇴베에서 두 시즌 동안 공식전 73경기에 출전하여 18골을 기록하며 팀의 주요 공격수로 활약했다. 그는 2013년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우승, 2014년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2012년 리그 3위, 2014년 리그 준우승을 달성했다. 또한 카자흐스탄컵에서는 2012년과 2013년에 4강에 진출했고, 2014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4년 6월 11일, 악퇴베와의 계약이 상호 합의 하에 해지되었다.
악퇴베를 떠난 게인리흐는 2014년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로 이적하며 4년 만에 고국 리그로 복귀했다.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에서 11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준우승과 2014년 우즈베키스탄컵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15년 2월, 그는 다시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로 돌아와 FC 오르다바시와 계약했다. 오르다바시에서 2017년까지 세 시즌 동안 공식전 67경기에 출전하여 14골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팀은 2015년과 2016년 리그 4위, 2017년 리그 3위를 기록했으며, 3시즌 연속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또한 2017년 카자흐스탄컵 4강 진출에도 기여했다. 2017 시즌을 끝으로 16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은퇴했다.
4. International Career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오랜 기간 활약하며 중요한 순간마다 득점을 기록했다.
4.1. Debut and national team overview
게인리흐는 2002년 5월 14일 슬로바키아 프레쇼우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그는 네그마툴라 쿠티바예프와 교체 투입되었다. 이듬해인 2003년 4월 2일 벨라루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터뜨렸다. 그는 2017년까지 15년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총 98경기에 출전하여 31골을 기록했다. 그의 마지막 A매치 경기는 2017년 9월 5일 대한민국과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A조 최종전이었다.
4.2. Participation in major tournaments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여러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2004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 2011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했으며, 특히 2011년 대회에서는 팀의 AFC 아시안컵 역대 최고 성적인 4위 달성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FIFA 월드컵 예선에도 꾸준히 참여하여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에 공헌하는 등 팀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노력했다.
4.3. International goals
알렉산드르 게인리흐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기록한 득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우즈베키스탄의 득점이 먼저 표기된다.)
# | 날짜 | 장소 | 상대 국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 2003년 4월 2일 | 벨라루스, 민스크, 디나모 스타디움 | 벨라루스 | 2-2 | 2-2 | 친선 경기 |
2. | 2003년 8월 20일 | 라트비아, 리가, 스콘토 스타디움 | 라트비아 | 3-0 | 3-0 | 친선 경기 |
3. | 2004년 7월 22일 | 중국, 청두, 청두 룽취안이 축구장 | 사우디아라비아 | 1-0 | 1-0 | 2004년 AFC 아시안컵 |
4. | 2004년 7월 30일 | 중국, 청두, 청두 룽취안이 축구장 | 바레인 | 1-0 | 2-2 (승부차기 3-4) | 2004년 AFC 아시안컵 |
5. | 2004년 10월 13일 | 요르단, 암만,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 이라크 | 2-0 | 2-1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6. | 2004년 11월 17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중화 타이베이 | 1-0 | 6-1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7. | 2005년 3월 25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 쿠웨이트 | 1-2 | 1-2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8. | 2005년 3월 30일 | 대한민국,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대한민국 | 1-2 | 1-2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9. | 2006년 2월 22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방글라데시 | 1-0 | 5-0 |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0. | 4-0 | |||||
11. | 2007년 3월 11일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카지무칸 무나이트파소프 스타디움 | 카자흐스탄 | 1-1 | 1-1 | 친선 경기 |
12. | 2007년 7월 18일 | 말레이시아, 샤알람, 샤알람 스타디움 | 중국 | 3-0 | 3-0 | 2007년 AFC 아시안컵 |
13. | 2007년 8월 22일 | 우크라이나, 키이우, 발레리 로바노프스키 디나모 스타디움 | 우크라이나 | 1-2 | 1-2 | 친선 경기 |
14. | 2008년 6월 7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MHSK 스타디움 | 싱가포르 | 1-0 | 1-0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5. | 2009년 11월 14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JAR 스타디움 | 말레이시아 | 2-0 | 3-1 |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6. | 3-0 | |||||
17. | 2010년 5월 25일 | 아르메니아, 예레반,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 아르메니아 | 1-3 | 1-3 | 친선 경기 |
18. | 2010년 9월 7일 | 에스토니아, 탈린, A. 레 코크 아레나 | 에스토니아 | 2-1 | 3-3 | 친선 경기 |
19. | 2010년 10월 12일 | 바레인, 마나마, 바레인 국립경기장 | 바레인 | 2-0 | 4-2 | 친선 경기 |
20. | 2010년 12월 25일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자빌 스타디움 | 바레인 | 1-0 | 1-1 | 친선 경기 |
21. | 2011년 1월 16일 | 카타르, 도하, 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 중국 | 2-1 | 2-2 | 2011년 AFC 아시안컵 |
22. | 2011년 1월 28일 | 카타르,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대한민국 | 1-3 | 2-3 | 2011년 AFC 아시안컵 |
23. | 2-3 | |||||
24. | 2011년 7월 23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키르기스스탄 | 1-0 | 4-0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5. | 2011년 11월 1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양각도경기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1-0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6. | 2011년 11월 15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타지키스탄 | 3-0 | 3-0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7. | 2012년 9월 7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쿠웨이트 | 2-0 | 3-0 | 친선 경기 |
28. | 3-0 | |||||
29. | 2015년 9월 3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예멘 | 1-0 | 1-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30. | 2015년 11월 12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 | 3-1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31. | 2016년 9월 1일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분요드코르 스타디움 | 시리아 | 1-0 | 1-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5. Playing Style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공격수로서 전방에서 볼을 소유하고 지키는 능력이 뛰어났다. 이러한 볼 키핑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공격 전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빌드업에 기여하는 플레이를 선호했다. 그는 또한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프리킥이나 코너킥과 같은 세트피스 상황의 키커를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6. Post-playing Career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2017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한 후, 2018년 3월부터 이전에 선수로 활약했던 카자흐스탄의 FC 악퇴베에서 유스팀 코치로 활동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7. Honours and Awards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선수 경력 동안 다양한 클럽 및 개인 영예를 획득했다.
7.1. Club honours
- PFC CSKA 모스크바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 2003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2002, 2005, 2007
-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2002, 2005, 2007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준우승: 2008, 2009, 2010
- 우즈베키스탄컵 준우승: 200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코리아컵 준우승: 2011
- K리그1 4위: 2011
- 대한민국 리그컵 4강: 2011
- FC 악퇴베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우승: 2013
- 카자흐스탄 슈퍼컵 우승: 2014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준우승: 2014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3위: 2012
- 카자흐스탄컵 준우승: 2014
- 카자흐스탄컵 4강: 2012, 2013
-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2014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준우승: 2014
- FC 오르다바시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3위: 2017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4위: 2015, 2016
- 카자흐스탄컵 4강: 2017
7.2. Individual awards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 2002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 2위: 2004, 2006
7.3. International team honours
- AFC 아시안컵 4위: 2011
8. Statistics
알렉산드르 게인리흐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통계는 다음과 같다.

8.1. Club
클럽 | 시즌 | 리그 | 내셔널컵 | 리그컵 | 대륙 대회 | 기타 | 총합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두스틀리크 | 2001 | 우즈베크 리그 | 12 | 0 | - | - | - | 12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2 | 우즈베크 리그 | 23 | 9 | - | - | 23 | 9 | ||||||
CSKA 모스크바 | 2003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2004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2005 | 0 | 0 | 0 | 0 | - | 0 | 0 | - | 0 | 0 | ||||
합계 | 2 | 1 | 1 | 0 | 1 | 0 | 0 | 0 | 1 | 0 | 5 | 1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임대) | 2005 | 우즈베크 리그 | 12 | 5 | - | - | 12 | 5 | ||||||
토르페도 모스크바 | 2005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 11 | 0 | - | - | - | 11 | 0 | |||||
2006 | 10 | 0 | - | - | - | 10 | 0 | |||||||
합계 | 21 | 0 | - | - | - | - | - | - | 21 | 0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07 | 우즈베크 리그 | 26 | 16 | - | - | 26 | 16 | ||||||
2008 | 25 | 12 | - | - | 25 | 12 | ||||||||
2009 | 21 | 13 | - | 2 | 0 | - | 23 | 13 | ||||||
2010 | 22 | 11 | 1 | 1 | - | 3 | 1 | - | 26 | 13 | ||||
합계 | 94 | 49 | - | - | - | - | 94 | 49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1 | K리그 | 19 | 3 | 1 | 0 | - | 3 | 0 | - | 23 | 3 | ||
에미리트 클럽 | 2011-12 | UAE 프로리그 | 6 | 2 | 1 | 1 | - | - | - | 7 | 3 | |||
FC 악퇴베 | 2012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13 | 6 | 4 | 1 | - | 5 | 1 | - | 22 | 8 | ||
2013 | 26 | 6 | 3 | 0 | - | 7 | 1 | - | 36 | 7 | ||||
2014 | 13 | 3 | 2 | 0 | - | 0 | 0 | - | 15 | 3 | ||||
합계 | 52 | 15 | 9 | 1 | - | - | 12 | 2 | - | - | 73 | 18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2014 | 우즈베크 리그 | 11 | 7 | 1 | 0 | - | 0 | 0 | - | 11 | 7 | ||
FC 오르다바시 | 2015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22 | 3 | 1 | 0 | - | 2 | 0 | - | 25 | 3 | ||
2016 | 20 | 10 | 2 | 0 | - | 2 | 1 | - | 24 | 11 | ||||
2017 | 16 | 0 | 2 | 0 | - | 0 | 0 | - | 18 | 0 | ||||
합계 | 58 | 13 | 5 | 0 | - | - | 4 | 1 | - | - | 67 | 14 | ||
커리어 총합 | 310 | 104 | - | - | - | - | 310 | 104 |
8.2. International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득점 |
2002 | 2 | 0 |
2003 | 5 | 2 |
2004 | 7 | 4 |
2005 | 6 | 2 |
2006 | 6 | 2 |
2007 | 9 | 3 |
2008 | 8 | 1 |
2009 | 4 | 2 |
2010 | 7 | 4 |
2011 | 14 | 6 |
2012 | 9 | 2 |
2013 | 7 | 0 |
2014 | 0 | 0 |
2015 | 3 | 2 |
2016 | 7 | 1 |
2017 | 4 | 0 |
총합 | 98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