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아흐메트 타주디노프는 2003년 러시아 다게스탄에서 태어난 바레인의 레슬링 선수이다. 2022년부터 바레인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빠르게 국제 무대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202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97NaN 경 kg급 세계 챔피언에 올랐고, 같은 해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24년에는 파리에서 열린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바레인 레슬링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의 올림픽 금메달은 바레인이 레슬링에서 획득한 첫 올림픽 금메달이자, 자유형 레슬링 헤비급에서 아시아 국적 선수가 획득한 최초의 금메달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2. Early life and background
아흐메트 마고메도비치 타주디노프는 2003년 1월 25일 러시아 다게스탄의 게르게빌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레슬링 훈련을 시작했으며, 다게스탄에서 PFP 최강의 레슬러로 평가받는 압둘라시드 사둘라예프와 같은 클럽에서 훈련을 받으며 기량을 갈고닦았다. 그의 코치는 샤밀 오마로프이다. 타주디노프의 신장은 1.89NaN 경 m이며, 경기 체중은 97NaN 경 kg이다.
3. Career
아흐메트 타주디노프의 레슬링 경력은 러시아에서의 초기 활동과 바레인 국적 전환 후 국제 무대에서의 눈부신 성과로 나눌 수 있다.
3.1. Early career and nationality transition
아흐메트 타주디노프는 2022년 러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97NaN 경 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러시아 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같은 해 가을부터 바레인 국가대표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그는 2022년 11월 초 카자흐스탄 타라즈에서 열린 딘무하메드 쿠나예프 기념 국제 토너먼트에서 바레인 대표로 데뷔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며칠 후에는 이집트에서 열린 아랍 선수권 대회에서 125NaN 경 kg급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3.2. Breakthrough and major titles
타주디노프는 2023년부터 국제 무대에서 본격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 2023년 4월 13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2023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97NaN 경 kg급에 참가하여 결승에서 중국의 하빌라 아우사위만을 꺾고 아시아 챔피언이 되었다.
- 2023년 9월 19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202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첫 시니어 세계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결승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마고메드칸 마고메도프에게 폴승을 거두었다. 특히 이 대회에서는 3회전에서 미국의 전 세계 챔피언 카일 스나이더를 11-0 테크니컬 폴로 압도적으로 제압했으며, 준준결승에서는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97NaN 경 kg급에서 모든 세계 또는 올림픽 타이틀을 양분해온 러시아의 압둘라시드 사둘라예프를 상대로 9-2로 크게 앞서던 중 상대의 목 부상으로 인한 기권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는 타주디노프를 세계 레슬링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2023년 10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실제 개최 2023년) 97NaN 경 kg급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4년 4월,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서 열린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97NaN 경 kg급에서 우승하며 아시아 챔피언 타이틀을 방어했다.
- 2024년 3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2024 야샤르 도구 토너먼트 97NaN 경 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3. 2024 Paris Olympics
아흐메트 타주디노프는 2024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자유형 레슬링 97NaN 경 kg급 경기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8강전에서 이란의 아미르 알리 아자르피라, 준결승에서 카자흐스탄의 알리셰르 예르갈리, 결승에서 미국의 카일 스나이더를 각각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조지아의 기비 마차라슈빌리를 상대로 2-0 폴승을 거두며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이 금메달은 바레인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이자, 자유형 레슬링 헤비급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아시아 국적 선수라는 점에서 레슬링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올림픽 경기를 마친 후, 그는 몇 주 전 벨라루스 훈련 캠프에서 입었던 오른쪽 어깨의 견봉쇄골 관절 분리 부상 수술을 받았다.
4. Championships and achievements
아흐메트 타주디노프가 달성한 주요 대회 수상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시니어 레벨
- 2022년 러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3위
- 202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위 (금메달)
- 2023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위 (금메달)
-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위 (금메달)
- 2024년 하계 올림픽 - 1위 (금메달)
; 주니어 레벨
- 2021년 다게스탄 주 선수권 대회 - 2위
- 2021년 베식 쿠두호프 국제 대회 - 3위
5. Freestyle match record
아흐메트 타주디노프의 시니어 자유형 레슬링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니어 자유형 경기 | ||||||
---|---|---|---|---|---|---|
결과 | 기록 | 상대 | 점수 | 날짜 | 대회 | 장소 |
2024년 하계 올림픽 - 97NaN 경 kg급 | ||||||
32-2 | 조지아의 기비 마차라슈빌리 | 폴 2-0 | 2024년 8월 10-11일 | 2024년 하계 올림픽 | 프랑스 파리 | |
31-2 | 미국의 카일 스나이더 | 6-4 | ||||
30-2 | 카자흐스탄의 알리셰르 예르갈리 | TF 14-2 | ||||
29-2 | 이란의 아미르 알리 아자르피라 | 4-3 | ||||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97NaN 경 kg급 | ||||||
28-2 | 카자흐스탄의 리자베크 아이트무한 | 4-2 | 2024년 4월 11일 |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
27-2 | 이란의 모하마드 호세인 모하마디안 | 8-2 | ||||
26-2 | 일본의 이토 히비키 | TF 10-0 | ||||
2024년 야샤르 도구 기념 대회 - 97NaN 경 kg급 | ||||||
25-2 | 미국의 조너선 아이엘로 | TF 10-0 | 2024년 3월 9일 | 2024년 야샤르 도구 기념 국제 대회 | 튀르키예 안탈리아 | |
24-2 | 카자흐스탄의 리자베크 아이트무한 | 폴 9-3 | ||||
23-2 | 미국의 콜린 무어 | TF 11-0 | ||||
22-2 | 몽골의 간바타르 간후야그 | 7-1 | ||||
2022년 아시안 게임 (2023년 개최) - 97NaN 경 kg급 | ||||||
21-2 | 이란의 모즈타바 골레이지 | 6-1 | 2023년 10월 6일 | 2022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 중국 린안 | |
20-2 | 대한민국의 서주환 | 6-1 | ||||
19-2 | 키르기스스탄의 카니베크 압둘하히로프 | 폴 9-0 | ||||
18-2 | 중국의 하빌라 아우사위만 | 7-3 | ||||
202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97NaN 경 kg급 | ||||||
17-2 | 아제르바이잔의 마고메드칸 마고메도프 | 폴 8-1 | 2023년 9월 18-19일 | 2023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
16-2 | 러시아의 압둘라시드 사둘라예프 | INJ (9-2) | ||||
15-2 | 미국의 카일 스나이더 | TF 11-0 | ||||
14-2 | 코스타리카의 맥스웰 레이시 | TF 10-0 | ||||
13-2 | 우즈베키스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 | TF 10-0 | ||||
2023년 카바 울루 코좀쿨 & 라트베크 사나트바예프 토너먼트 - 97NaN 경 kg급 | ||||||
12-2 | 중국의 하빌라 아우사위만 | 10-1 | 2023년 6월 3일 | 2023년 카바 울루 코좀쿨 & 라트베크 사나트바예프 토너먼트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
11-2 | 우즈베키스탄의 마고메드 이브라기모프 | 5-2 | ||||
10-2 | 카자흐스탄의 벡잣 우르킴바이 | 5-2 | ||||
9-2 | 카자흐스탄의 세리크 바키트하노프 | TF 10-0 | ||||
2023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97NaN 경 kg급 | ||||||
8-2 | 중국의 하빌라 아우사위만 | TF 11-0 | 2023년 4월 13일 | 2023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
7-2 | 이란의 모즈타바 골레이지 | 13-8 | ||||
6-2 | 카자흐스탄의 벡잣 우르킴바이 | 폴 7-0 | ||||
2023년 이브라힘 무스타파 기념 대회 - 97NaN 경 kg급 7위 | ||||||
5-2 | 헝가리의 블라디슬라프 바이차예프 | 4-6 | 2023년 2월 25일 | 2023년 이브라힘 무스타파 기념 대회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
5-1 | 중국의 하빌라 아우사위만 | 8-5 | ||||
2022년 아랍 선수권 대회 - 125NaN 경 kg급 | ||||||
이집트의 디아엘딘 카말 | INJ | 2022년 11월 8일 | 2022년 아랍 선수권 대회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
4-1 | 이라크의 아메드 알자미에 | TF 11-0 | ||||
쿠웨이트의 압델아지즈 엘사바 | INJ | |||||
2022년 러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97NaN 경 kg급 | ||||||
3-1 | 러시아의 다비트 주가예프 | 9-3 | 2022년 6월 24-26일 | 2022년 러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러시아 키질 | |
2-1 | 러시아의 아슬란베크 소티예프 | 5-9 | ||||
2-0 | 러시아의 막심 톨마초프 | 13-6 | ||||
1-0 | 러시아의 아스합 볼투카예프 | 4-1 |
6. Legacy and influence
아흐메트 타주디노프는 짧은 경력에도 불구하고 레슬링 역사에 중요한 유산과 영향력을 남겼다. 그는 2023년 세계 챔피언십에서 카일 스나이더와 압둘라시드 사둘라예프와 같은 베테랑이자 올림픽 챔피언을 연달아 꺾으며 레슬링계에 충격을 안겼다. 이는 그의 탁월한 기량과 잠재력을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
특히,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바레인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는 바레인의 스포츠 역사에 기록될 만한 쾌거이며, 바레인 레슬링의 위상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자유형 레슬링 헤비급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아시아 국적 선수로서 아시아 레슬링계에도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타주디노프의 성공은 젊은 레슬링 선수들에게 큰 영감을 주며, 미래의 아시아 레슬링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의 뛰어난 기술과 강력한 정신력은 그를 현대 레슬링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