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레오넬 수아레즈 파하르도는 1987년 9월 1일 쿠바 산티아고데쿠바에서 출생했다. 그는 2006년부터 가비노 아조를라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을 시작했고, 이때부터 육상 경력의 기반을 다졌다. 초기 훈련을 통해 그는 10종경기에 필요한 다방면의 기술과 체력을 연마하며 데카트론 선수로서의 잠재력을 보였다.
2. Athletic career
레오넬 수아레즈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쿠바를 대표하는 데카트론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팬아메리칸 게임 등 다양한 규모의 대회에 참가하여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2.1. Debut and early successes
수아레즈는 2005년 ALBA 게임 10종경기에서 7048점으로 4위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2007년에는 NACAC 복합경기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7843점의 기록을 세웠고, 같은 해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도 4위를 차지하며 7936점을 기록했다.
2008년 하이포 미팅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인 8366점을 세우며 4위에 올랐고, 그 해 IAAF 복합경기 챌린지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9년 아바나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종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8654점이라는 개인 최고 기록과 함께 국가 기록 및 대륙 기록을 경신했다.
2.2. Olympic and World Championship achievements
레오넬 수아레즈는 올림픽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급 선수임을 입증했다.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10종경기에서 8527점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당시 새로운 국가 기록이었다.
- 2009년 베를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8640점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차지하며 세계 무대에서의 입지를 굳혔다.
- 2011년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종경기에서는 8501점의 점수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 대회 연속 세계 대회 메달 획득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 2012년 런던 올림픽 10종경기에서는 8523점을 기록하며 두 번째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3년 모스크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위를 기록했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상위권 기량을 유지했다.
- 2017년 런던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DNF).
2.3. Regional and continental championships
수아레즈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외에도 지역 및 대륙 대회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 2007년 NACAC 복합경기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09년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가 기록이자 대륙 기록을 세웠다.
- 2011년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게임 10종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8374점을 기록했다.
- 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DNF).
- 2018년 바랑키야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게임 10종경기에서 8026점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9년 리마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4. IAAF Combined Events Challenge
레오넬 수아레즈는 IAAF 복합경기 챌린지 시리즈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2011년에는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2008년에는 IAAF 복합경기 챌린지에서 종합 2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 2010년 시즌에는 이탈리아 데젠차노델가르다에서 열린 멀티스타스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8112점을 기록했다. 같은 해 5월 하이포 미팅에서는 3위를 기록했고, 프랑스 탈랑스에서 열린 데카스타 대회에서는 총점 8328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 2011년 하이포 미팅에서 그는 창던지기에서 대회 기록인 75.49 m를 던지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록 종합 점수 8440점으로 2위에 머물렀지만, 이는 그의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 2011년 클라드노에서 열린 TNT-포르투나 미팅에서는 첫날 부진했으나, 둘째 날 장대높이뛰기에서 개인 최고 기록인 5 m를 세우는 등 막판 스퍼트를 발휘하여 총점 8231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 이러한 일관된 고득점 덕분에 그는 2011년 IAAF 복합경기 챌린지 시즌에서 최종 우승자가 되었다.

2.5. Later career and injuries
2013년 이후 수아레즈의 경력은 부상과 함께 점차 변화를 겪었다.
- 2010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종경기에서 7위를 기록하며 5764점을 얻었다.
- 2013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 2015년 오타와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복합경기 컵과 토론토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모두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DNF). 이는 부상으로 인한 어려움을 시사한다.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세계적인 수준의 기량을 선보였다.
- 2017년 런던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부상으로 인해 완주하지 못하는 등 후기 경력에서는 부상이 잦아들었음을 보여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게임에서 금메달을 추가하고 2019년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5위를 기록하며 은퇴 전까지 꾸준히 활동했다.
3. Personal bests and records
레오넬 수아레즈의 개인 최고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데카트론: 8654점 - 2009년 7월 4일, 아바나 (당시 국가 기록 및 대륙 기록 달성)
- 창던지기: 75.49 m (2011년 하이포 미팅에서 기록)
- 장대높이뛰기: 5 m (2011년 TNT-포르투나 미팅에서 기록)
4. Major competition results
레오넬 수아레즈가 참가한 주요 국제 대회의 연도별 최종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기록 |
---|---|---|---|---|---|
2005 | ALBA 게임 | 아바나, 쿠바 | 4위 | 데카트론 | 7048점 |
2007 | NACAC 복합경기 선수권 대회 | 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 | 2위 | 데카트론 | 7843점 |
팬아메리칸 게임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4위 | 데카트론 | 7936점 | |
2008 | 올림픽 | 베이징, PRC | 3위 | 데카트론 | 8527점 (국가 기록) |
2009 |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선수권 대회 | 아바나, 쿠바 | 1위 | 데카트론 | 8654점 (국가 기록, 대륙 기록) |
세계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2위 | 데카트론 | 8640점 | |
2010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도하, 카타르 | 7위 | 7종경기 | 5764점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3위 | 데카트론 | 8501점 |
팬아메리칸 게임 | 과달라하라, 멕시코 | 1위 | 데카트론 | 8374점 | |
2012 | 올림픽 | 런던, 영국 | 3위 | 데카트론 | 8523점 |
2013 | 세계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러시아 | 10위 | 데카트론 | 8317점 |
2015 | 팬아메리칸 복합경기 컵 | 오타와, 캐나다 | - | 데카트론 | DNF |
팬아메리칸 게임 | 토론토, 캐나다 | - | 데카트론 | DNF | |
2016 | 올림픽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6위 | 데카트론 | 8460점 |
2017 | 세계 선수권 대회 | 런던, 영국 | - | 데카트론 | DNF |
2018 |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게임 | 바랑키야, 콜롬비아 | 1위 | 데카트론 | 8026점 |
2019 | 팬아메리칸 게임 | 리마, 페루 | 5위 | 데카트론 | 7799점 |
5. Legacy and impact
레오넬 수아레즈 파하르도는 쿠바 육상계와 10종경기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여러 차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쿠바의 10종경기 위상을 높였고, 젊은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꾸준한 국제 대회 활약과 기록 경신은 쿠바 육상 역사에 중요한 업적으로 남았으며, 특히 2009년 아바나에서 세운 8654점의 국가 기록은 그의 뛰어난 기량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기록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