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끼앗띠삭 세나므앙은 1973년 8월 11일 태국 우돈타니주 쿰파와피군에서 수리야와 리섬 세나므앙의 세 자녀 중 막내이자 외아들로 태어났다. 1982년경 부모님을 따라 콘깬주 남퐁군에 있는 본가로 이사하여 콘깬주 출신으로 여겨진다.
그는 반농댕 초등학교에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 교육을 받았고, 이후 남퐁 초등학교로 전학하여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6학년까지 졸업했다. 이후 방콕으로 옮겨 방콕 상업학교에서 회계학 준학사 과정을 마쳤다. 두라킷 푼딧 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학위를, 찬드라카셈 라차팟 대학교 대학원에서 스포츠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사 학위를 바탕으로 태국 왕립 경찰 소위 임관 시험에 합격하여 경찰관 자격을 얻었으나, 실제 근무보다는 축구 선수로서의 경력에 집중했다.
2. 선수 경력
끼앗띠삭 세나므앙은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약 18년간 프로 축구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태국 국내 리그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잉글랜드, 베트남 등 여러 해외 리그에서도 뛰며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였다.
2.1. 클럽 경력
끼앗띠삭은 1991년 끄룽타이은행 FC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1995년까지 4년간 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145경기에서 121골을 기록했고, 코르 로열컵 2회 우승(1989년, 1993년)에 기여했다.
1995년 라즈쁘라차 FC로 이적하여 27경기에서 32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이어갔다. 말레이시아 소스에 따르면 1996년 라즈쁘라차에서 71경기 127골을 기록하여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고 주장되나, 이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기록이다. 1997년에는 폴리스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하여 25경기 27골을 기록했다.
1998년 프를리스 FA로 이적하여 21경기 22골을 기록한 뒤, 1999년 잉글랜드의 허더즈필드 타운 AFC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으나, 당시 감독이었던 스티브 브루스는 그의 영입을 단순한 홍보 활동으로 여겼고, 그는 1군 경기에 단 한 차례도 출전하지 못한 채 2000년 라즈쁘라차 FC로 복귀하여 26경기 29골을 기록했다.
2001년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의 워리어스 FC로 이적하여 20경기 18골을 기록하며 2002 시즌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002년 베트남 V-리그의 호앙아인 잘라이 FC로 이적한 그는 75경기에서 102골을 터뜨리며 팀의 V-리그 2회 연속 우승(2003년, 2004년), 베트남 슈퍼컵 2회 연속 우승(2003년, 2004년)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2005년 아세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팀을 3위로 이끌기도 했다. 호앙아인 잘라이에서 선수 겸 코치, 이후 선수 겸 감독을 겸임했으며, 2003년과 2004년 V-리그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006 시즌을 끝으로 15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끼앗띠삭은 1990년부터 1992년까지 태국 U-20 대표팀에서 11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했다. 1993년 태국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된 이후 2007년 은퇴할 때까지 국제 A매치 134경기에 출전하여 71골을 기록하며 역대 태국 국가대표팀 선수 중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국가대표팀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달성했다.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4회 연속 금메달: 1993년, 1995년, 1997년, 1999년
- AFF 챔피언십 3회 우승: 1996년, 2000년, 2002년 (2007년 준우승)
- 킹스컵 3회 우승: 1994년, 2000년, 2006년
- 1994년 인도네시아 독립컵 우승
- 아시안 게임 축구 4위 2회: 1998년, 2002년
특히 1998년 방콕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 8강전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후반 35분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터뜨리며 2-1 승리를 이끌어내는 이변을 연출했다. 골을 넣은 후 그는 백플립 세리머니를 펼쳐 "백플립의 달인"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2000년 AFF 챔피언십 최우수 선수와 2000년 AFC 아시안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태국 축구의 영웅으로 찬사를 받았다.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끼앗띠삭 세나므앙은 성공적인 축구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3.1. 클럽 지도자 경력
2006년 선수 생활을 마감하며 호앙아인 잘라이 FC의 선수 겸 감독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08년 태국으로 돌아와 빅뱅 쭐라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을 맡아 팀을 리그 8위로 이끌었다. 2009년에는 촌부리 FC의 감독으로 자리를 옮겨 2009년 코르 로열컵 우승을 이끌었으나, 리그 우승에는 실패하며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010년 다시 베트남의 친정팀 호앙아인 잘라이 FC의 감독을 맡아 팀을 V-리그 7위로 이끌었고, 2010년 베트남 내셔널컵 준우승을 달성했다.
2010년 12월 태국으로 돌아와 타이 리그 2의 빅뱅 쭐라 유나이티드 FC 감독을 다시 맡아 팀을 3위로 이끌며 2012년 타이 리그 1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2012년 타이 리그 1에서 10경기 동안 1승 4무 5패의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자 5월에 사임했다. 한 달 후, 방콕 FC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을 리그 10위로 이끌며 강등을 피하는 데 기여했다.
2017년에는 타이 리그 1의 포트 FC 감독을 맡았으나, 3개월 만에 부진한 성적(1승 3무 6패)으로 사임했다.
2020년 11월 20일, 10년 만에 호앙아인 잘라이 FC의 감독으로 복귀했다. 2021년 1월 17일 사이공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패하며 복귀전을 치렀으나, 1월 22일 송람 응에안 FC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첫 승을 기록했다. 2021년 V-리그에서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취소되기 전까지 12경기에서 9승 2무 1패로 리그 1위를 기록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으나, 시즌 무효로 우승 타이틀은 주어지지 않았다. 2022년에는 꽝쭝 황제컵 우승을 이끌었다. 2024년 1월 11일 호앙아인 잘라이 감독직을 사임했다.
2024년 1월 16일 꽁안 하노이 FC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부임 초 호찌민 시티 FC에 2-0, 송람 응에안 FC에 1-0, 탄호아 FC에 3-1 승리를 거두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하띤 FC와 무승부를 기록하고 비엣텔 FC에 0-3으로 대패하는 등 기복 있는 모습을 보였다. 후반기에는 탄호아 FC와 송람 응에안 FC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다시 좋은 흐름을 탔으나, 남딘 FC에 2-3으로 패하고 꽝남 FC에 0-2로 패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5월 14일, 부임 5개월 만에 꽁안 하노이 FC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끼앗띠삭은 2006년 호앙아인 잘라이를 떠난 후, 무앙통 유나이티드 FC와 아스널 JMG 아카데미의 훈련 모델을 방문하며 도안 응우옌 득에게 유소년 육성 투자를 제안하여 호앙아인 잘라이 - JMG 아카데미 설립에 기여하기도 했다.
3.2. 국가대표팀 지도자 경력

2013년 1월 태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1월 12일 아야타야 FC와의 친선 데뷔전에서 1-0으로 승리했다. 2013년 6월에는 빈프리트 셰퍼의 후임으로 태국 성인 대표팀의 임시 감독으로도 임명되었다. 성인 대표팀 감독 데뷔전은 2013년 6월 15일 중국과의 친선 경기였으며, 태국이 5-1로 승리했다.
태국 U-23 대표팀 감독으로서 2013년 미얀마 네피도에서 열린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그가 선수 시절 4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한 것에 이어 감독으로서도 금메달을 추가한 것이다. 또한 2014년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에서는 태국 U-23 대표팀을 4강에 진출시키며 4위를 기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2014년 태국 성인 대표팀의 정식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주로 이전 U-23 대표팀 선수들을 기용하여 2014년 AFF 챔피언십 결승에서 말레이시아를 총합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그는 AFF 챔피언십에서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인물이 되었다.
2015년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이라크, 베트남, 중화 타이베이와 같은 조에 편성된 태국 대표팀을 이끌고 6경기에서 14점을 획득하며 조 1위로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2016년에는 2016년 AFF 챔피언십에서 태국 대표팀을 이끌고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결승 1차전에서 인도네시아에 1-2로 패했으나, 2차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총합 3-2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그는 피터 위스와 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에 이어 AFF 챔피언십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세 번째 감독이 되었다. 또한 2016년 킹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는 7경기에서 단 1점만을 획득하는 부진을 겪었다. 2017년 3월 28일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일본에 0-4로 패한 지 사흘 만인 3월 31일, 그는 4년간 맡았던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태국 축구 협회(FAT)가 태국이 최종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고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비판하며, "목표가 너무 높고 달성하기 어려웠다. 다른 사람이 이 일을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기 위해 사임했다. 축구에서는 항상 이길 수만은 없다. 이것이 FAT 회장과 연맹 집행부가 나를 평가할 때 간과한 부분이다"라고 밝혔다.
4. 수상 및 업적
4.1. 선수로서의 수상
- 팀 우승
- AFF 챔피언십: 1996, 2000, 2002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1993, 1995, 1997, 1999
- 킹스컵: 1994, 2000, 2006
- 인도네시아 독립컵: 1994
- 코르 로열컵: 1989, 1993
-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2002
- V-리그 1: 2003, 2004
- 베트남 슈퍼컵: 2003, 2004
- 아시안 게임 4위: 1998, 2002
- 개인 수상
- AFF 챔피언십 최우수 선수: 2000
- V-리그 1 최고의 외국인 선수: 2003, 2004
- AFC 아시안 올스타: 2000
- 태국 교육구 축구대회 득점왕: 1987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득점왕
- ESPN 올해의 선수: 2000
- ESPN 올해의 축구 선수: 2000
- 아시아 스타상: 2001
- 콤찻륵 어워즈 올해의 축구 선수: 2001
- 산요 우수 축구 선수: 2001
4.2. 지도자로서의 수상
- 팀 우승
- AFF 챔피언십: 2014, 2016
- 킹스컵: 2016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2013 (태국 U-23)
- 아시안 게임 4위: 2014 (태국 U-23)
- 코르 로열컵: 2009 (촌부리 FC)
- 베트남 내셔널컵 준우승: 2010 (호앙아인 잘라이 FC)
- 꽝쭝 황제컵: 2022 (호앙아인 잘라이 FC)
- 개인 코칭 수상
- 아세안 축구 연맹 올해의 감독: 2015, 2017
- V-리그 1 이달의 감독: 2021년 1월, 3월, 4월, 2022년 7월
- 시암 스포츠 어워즈 올해의 감독: 2014
- 국가 스포츠의 날 우수 아마추어 감독: 2014, 2015
- 시암 골든 어워즈 올해의 감독: 2014
- 네이션 미디어 그룹 올해의 인물: 2015
- M타이 톱 토크 어바웃 2015 최다 언급 남성 인물: 2015
- 피버 어워즈 2016 피버 선수: 2016
5. 개인사
끼앗띠삭 세나므앙은 태국의 대다수 국민과 마찬가지로 불교 신자이다. 그는 2002년 아스라파 우티웻과 결혼하여 퍼스, 프라우드, 펄이라는 세 딸을 두었다.
그는 베트남에서 선수 및 지도자로 활동하던 초기 몇 년 만에 베트남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에는 자신의 친필 사인 유니폼을 경매에 부쳐 2.10 억 VND를 모금했다. 이 중 1.30 억 VND는 경매 낙찰금이었고, 끼앗띠삭 개인도 1000.00 만 VND를 코로나19 백신 기금에 기부했다. 이전에 그는 자신의 사인 유니폼 경매를 통해 태국 방역 기금에 약 2.00 억 VND를 기부하기도 했다.
6. 영향력 및 대중문화
끼앗띠삭 세나므앙은 태국 축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그는 FIFA 98 로드 투 월드컵과 월드 사커 지키오 위닝 일레븐 2000: U-23 메달 헤노 초센에 태국 U-23 대표팀 선수로 출연하며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 최초의 태국 축구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위닝 일레븐에서는 "세나무란"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2000년에는 스포츠 장비 및 교육 자료를 농촌 지역 학생들에게 기부하는 "지코 팁스 순회"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1년에는 자서전 "백플립 인생 세나므앙"을 출간했으며, 2006년에는 베트남어판 "KIATISUK"도 출간했다. 2003년 11월 19일에는 아내 아스라파와 함께 스포츠 경기 주최 및 미디어 광고 사업을 영위하는 "스포츠 히어로 유한회사"를 설립했다. 2004년부터는 유소년 축구 인재 발굴을 위한 "스폰서 지코 유스 토너먼트"를 매년 개최하며 시린톤 왕녀의 로열컵을 수여하고 있다.
그는 베트남 축구에 대한 논평으로도 주목받았다. 2018년 AFF 챔피언십 조 추첨을 앞두고 "태국은 월드컵 진출을 꿈꾸지만, 베트남은 태국을 이기기만을 원한다. 베트남 축구는 유소년 대회에서 강하지만, 성인 국가대표팀 수준에서는 태국을 따라잡는 데 약 10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 태국은 이미 아시아 수준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태국이 베트남보다 강하다"고 발언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2018년 베트남 축구의 비약적인 성공을 목격한 후, 그는 "이전에 베트남이 태국을 따라잡는 데 10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지만, 이제 그 말을 철회한다. 양국 축구는 이제 동등한 수준이다. 다가오는 AFF 스즈키컵에서 양 팀의 경기력을 기대한다"고 발회하며 발언을 철회했다. 2021년 초에는 "그것은 선수들에게 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태국과 베트남 축구에 대해 말한 것이 아니라, 선수들이 22세라면 앞으로 10년간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오해였을 수 있다. 나는 선수들이 노력하면 10년 안에 어떤 팀도 그들을 이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싶었다. 나는 베트남을 정말 사랑한다. 여러분은 축구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7. 경력 통계
7.1. 국제 경기 득점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93년 4월 11일 | 고베, 일본 | 스리랑카 | 1-0 | 승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2. | 1993년 5월 5일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방글라데시 | 4-1 | 승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3. | 1993년 6월 7일 | 싱가포르 | 미얀마 | 2-0 | 승 | 199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4. | 1993년 6월 13일 | 싱가포르 | 라오스 | 4-1 | 승 | 199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5. | 1993년 6월 20일 | 싱가포르 | 미얀마 | 4-3 | 승 | 199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6. | 1994년 10월 9일 | 히로시마, 일본 | 말레이시아 | 1-1 | 무 | 1994년 아시안 게임 |
7. | 1995년 12월 12일 | 치앙마이, 태국 | 캄보디아 | 9-0 | 승 | 199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8. | 1995년 12월 12일 | 치앙마이, 태국 | 캄보디아 | 9-0 | 승 | 199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9. | 1996년 2월 16일 | 방콕, 태국 | 핀란드 | 5-2 | 승 | 1996년 킹스컵 |
10. | 1996년 6월 27일 | 방콕, 태국 | 몰디브 | 8-0 | 승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1. | 1996년 6월 27일 | 방콕, 태국 | 몰디브 | 8-0 | 승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2. | 1996년 6월 29일 | 방콕, 태국 | 미얀마 | 5-1 | 승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3. | 1996년 7월 7일 | 싱가포르 | 미얀마 | 7-1 | 승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4. | 1996년 7월 7일 | 싱가포르 | 미얀마 | 7-1 | 승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5. | 1996년 7월 9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2 | 무 | 1996년 아시안컵 예선 |
16. | 1996년 9월 2일 | 싱가포르 | 필리핀 | 5-0 | 승 | 1996년 타이거컵 |
17. | 1996년 9월 6일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6-0 | 승 | 1996년 타이거컵 |
18. | 1996년 9월 13일 | 싱가포르 | 베트남 | 4-2 | 승 | 1996년 타이거컵 |
19. | 1996년 9월 15일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1-0 | 승 | 1996년 타이거컵 |
20. | 1996년 12월 8일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이란 | 1-3 | 패 | 1996년 아시안컵 |
21. | 1997년 3월 15일 | 방콕, 태국 | 일본 | 3-1 | 승 | 친선 경기 |
22. | 1997년 3월 15일 | 방콕, 태국 | 일본 | 3-1 | 승 | 친선 경기 |
23. | 1997년 10월 7일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브루나이 | 6-0 | 승 | 199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4. | 1997년 10월 7일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브루나이 | 6-0 | 승 | 199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5. | 1997년 10월 12일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4-0 | 승 | 199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6. | 1997년 10월 16일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베트남 | 2-1 | 승 | 199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7. | 1997년 10월 16일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베트남 | 2-1 | 승 | 199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28. | 1998년 3월 22일 | 방콕, 태국 | 카자흐스탄 | 1-0 | 승 | 친선 경기 |
29. | 1998년 10월 21일 | 방콕,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3-3 | 무 | 친선 경기 |
30. | 1998년 12월 2일 | 방콕, 태국 | 홍콩 | 5-0 | 승 | 1998년 아시안 게임 |
31. | 1998년 12월 2일 | 방콕, 태국 | 홍콩 | 5-0 | 승 | 1998년 아시안 게임 |
32. | 1998년 12월 14일 | 방콕, 태국 | 대한민국 | 2-1 | 승 | 1998년 아시안 게임 |
33. | 1999년 6월 16일 | 방콕, 태국 | 뉴질랜드 | 2-2 | 무 | 친선 토너먼트 |
34. | 1999년 6월 16일 | 방콕, 태국 | 뉴질랜드 | 2-2 | 무 | 친선 토너먼트 |
35. | 1999년 7월 30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필리핀 | 9-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36. | 1999년 7월 30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필리핀 | 9-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37. | 1999년 7월 30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필리핀 | 9-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38. | 1999년 7월 30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필리핀 | 9-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39. | 1999년 8월 1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라오스 | 4-1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40. | 1999년 8월 8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미얀마 | 7-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41. | 1999년 8월 8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 미얀마 | 7-0 | 승 | 199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42. | 2000년 11월 6일 | 치앙마이, 태국 | 미얀마 | 3-1 | 승 | 2000년 타이거컵 |
43. | 2000년 11월 10일 | 치앙마이, 태국 | 인도네시아 | 4-1 | 승 | 2000년 타이거컵 |
44. | 2000년 11월 12일 | 치앙마이, 태국 | 필리핀 | 2-0 | 승 | 2000년 타이거컵 |
45. | 2000년 11월 16일 | 치앙마이, 태국 | 말레이시아 | 2-0 | 승 | 2000년 타이거컵 |
46. | 2001년 1월 23일 | 방콕, 태국 | 쿠웨이트 | 5-4 | 승 | 친선 경기 |
47. | 2001년 1월 23일 | 방콕, 태국 | 쿠웨이트 | 5-4 | 승 | 친선 경기 |
48. | 2001년 1월 23일 | 방콕, 태국 | 쿠웨이트 | 5-4 | 승 | 친선 경기 |
49. | 2001년 2월 17일 | 방콕, 태국 | 카타르 | 2-0 | 승 | 2001년 킹스컵 |
50. | 2001년 2월 17일 | 방콕, 태국 | 카타르 | 2-0 | 승 | 2001년 킹스컵 |
51. | 2001년 5월 13일 | 베이루트, 레바논 | 스리랑카 | 4-2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2. | 2001년 5월 13일 | 베이루트, 레바논 | 스리랑카 | 4-2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3. | 2001년 5월 17일 | 베이루트, 레바논 | 레바논 | 2-1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4. | 2001년 5월 26일 | 방콕, 태국 | 스리랑카 | 3-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5. | 2001년 5월 26일 | 방콕, 태국 | 스리랑카 | 3-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6. | 2001년 5월 28일 | 방콕, 태국 | 파키스탄 | 6-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7. | 2001년 5월 28일 | 방콕, 태국 | 파키스탄 | 6-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8. | 2001년 5월 28일 | 방콕, 태국 | 파키스탄 | 6-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59. | 2001년 5월 28일 | 방콕, 태국 | 파키스탄 | 6-0 | 승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60. | 2001년 8월 13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5-0 | 승 | 친선 경기 |
61. | 2001년 8월 13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5-0 | 승 | 친선 경기 |
62. | 2001년 9월 6일 | 마나마, 바레인 | 바레인 | 1-1 | 무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63. | 2002년 12월 18일 | 싱가포르 | 라오스 | 5-1 | 승 | 2002년 타이거컵 |
64. | 2002년 12월 18일 | 싱가포르 | 라오스 | 5-1 | 승 | 2002년 타이거컵 |
65. | 2002년 12월 18일 | 싱가포르 | 라오스 | 5-1 | 승 | 2002년 타이거컵 |
66. | 2004년 3월 31일 | 사나, 예멘 | 예멘 | 3-0 | 승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67. | 2004년 6월 9일 | 방콕, 태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4 | 패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68. | 2006년 12월 26일 | 방콕, 태국 | 싱가포르 | 2-0 | 승 | 2006년 킹스컵 |
69. | 2006년 12월 26일 | 방콕, 태국 | 싱가포르 | 2-0 | 승 | 2006년 킹스컵 |
70. | 2007년 10월 3일 | 방콕, 태국 | 아랍에미리트 | 1-1 | 무 | 친선 경기 |
71. | 2007년 10월 3일 | 방콕, 태국 | 아랍에미리트 | 1-1 | 무 | 친선 경기 |
7.2. 지도자 경력 통계
2024년 5월 14일 기준
팀 | 국적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
호앙아인 잘라이 | 베트남베트남어 | 2006년 1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25 | 10 | 6 | 9 | 25 | 24 | +1 | 40.00 |
쭐라 신타나 | 태국태국어 | 2008년 1월 1일 | 2008년 11월 30일 | 18 | 7 | 7 | 4 | 36 | 22 | +14 | 38.89 |
촌부리 | 태국태국어 | 2009년 1월 1일 | 2009년 11월 30일 | 46 | 28 | 11 | 7 | 87 | 42 | +45 | 60.87 |
호앙아인 잘라이 | 베트남베트남어 | 2010년 1월 1일 | 2010년 11월 30일 | 31 | 12 | 9 | 10 | 39 | 32 | +7 | 38.71 |
쭐라 유나이티드 | 태국태국어 | 2010년 12월 9일 | 2012년 5월 21일 | 49 | 21 | 14 | 14 | 54 | 44 | +10 | 42.86 |
방콕 | 태국태국어 | 2012년 6월 20일 | 2012년 12월 31일 | 21 | 7 | 5 | 9 | 31 | 33 | -2 | 33.33 |
태국 U-23 | 태국태국어 | 2013년 1월 12일 | 2016년 12월 22일 | 40 | 28 | 7 | 5 | 83 | 28 | +55 | 70.00 |
태국 (임시) | 태국태국어 | 2013년 5월 1일 | 2013년 6월 30일 | 1 | 1 | 0 | 0 | 5 | 1 | +4 | 100.00 |
태국 | 태국태국어 | 2014년 2월 10일 | 2017년 3월 31일 | 42 | 21 | 7 | 14 | 66 | 53 | +13 | 50.00 |
포트 | 태국태국어 | 2017년 6월 23일 | 2017년 9월 20일 | 10 | 1 | 3 | 6 | 12 | 19 | -7 | 10.00 |
호앙아인 잘라이 | 베트남베트남어 | 2020년 11월 20일 | 2024년 1월 11일 | 74 | 24 | 28 | 22 | 82 | 79 | +3 | 32.43 |
꽁안 하노이 | 베트남베트남어 | 2024년 1월 16일 | 2024년 5월 14일 | 11 | 6 | 1 | 4 | 16 | 12 | +4 | 54.55 |
경력 총합 | 368 | 166 | 98 | 104 | 536 | 389 | +147 | 4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