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김동문은 1975년 9월 22일 전라남도 곡성군에서 태어났다.
1.1. 배드민턴 입문
김동문은 전주진북초등학교 4학년 시절 처음 배드민턴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훗날 남자 복식 파트너로 활약하게 될 하태권을 만나 배드민턴 선수로서의 인연을 시작했다.
1.2. 국가대표 선발
1991년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고, 고등학교 2학년이던 1992년 12월에는 유용성 및 하태권과 함께 나란히 성인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98년에는 삼성전기 배드민턴팀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선수 경력
김동문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 배드민턴의 간판 선수로 활약하며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두 종목에서 모두 세계 정상급 기량을 선보였다.
2.1. 주요 파트너십
김동문은 선수 경력 동안 여러 뛰어난 파트너들과 호흡을 맞추며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
남자 복식에서는 주로 하태권과 파트너를 이루어 활약했다. 이들은 1999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유용성과도 잠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혼합 복식에서는 길영아와 함께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국제 무대에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켰다. 길영아 은퇴 후에는 라경민과 새로운 혼합 복식조를 결성하여 전성기를 보냈다. 김동문과 라경민은 2003년 4월부터 11월까지 단 한 번의 패배도 없이 9개 연속 그랑프리 대회와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포함해 10개 대회 연속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며 세계 최강의 혼합 복식조로 군림했다. 이 외에도 김신영, 정소영, 박소연, 이경원, 황유미 등과도 혼합 복식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2.2. 올림픽 메달
김동문은 올림픽 배드민턴 종목에서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2.1. 올림픽 세부 기록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6 | 애틀랜타, 미국 | 혼합 복식 | 길영아 | 박주봉 / 라경민 (대한민국) | 13-15, 15-4, 15-12 | 금메달 |
2000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남자 복식 | 하태권 | 충탄푹 / 리완와 (말레이시아) | 15-2, 15-8 | 동메달 |
2004 | 아테네, 그리스 | 남자 복식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11, 15-4 | 금메달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 혼합 복식에서 길영아와 함께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당시 세계적인 선수였던 동료 한국팀 박주봉과 라경민을 상대로 13-15, 15-4, 15-12의 역전승을 거두며 이변을 연출했다.
- 남자 복식에서는 유용성과 출전했으나, 1회전에서 덴마크의 미카엘 쇠가르드-헨리크 스바레르 조에게 15-11, 5-15, 18-15로 패하며 예상 밖의 탈락을 했다.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남자 복식에서 하태권과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3-4위전에서 말레이시아의 충탄푹-리완와 조를 15-2, 15-8로 꺾었다.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남자 복식에서 하태권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했다. 1회전은 부전승으로 통과했으며, 2회전에서 폴란드의 로베르트 마테우시아크-미하우 워고시 조를 꺾었다. 8강에서 중국의 정보-상양 조를 15-7, 15-11로 제압했으며, 준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엥 히안-플랜디 림펠리 조를 15-8, 15-2로 물리쳤다. 결승전에서는 동료 한국팀인 이동수와 유용성 조를 15-11, 15-4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 혼합 복식에서는 라경민과 함께 출전했으나, 8강에서 덴마크의 요나스 라스무센-리케 올센 조에게 17-14, 15-8로 패하며 탈락했다.
2.3. 세계 선수권 대회
김동문은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총 6개의 메달(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을 획득했다.
2.3.1. 세계 선수권 대회 세부 기록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5 | 로잔, 스위스 | 남자 복식 | 유용성 | 욘 홀스트-크리스텐센 / 토마스 룬드 (덴마크) | 12-15, 2-15 | 동메달 |
1999 | 코펜하겐, 덴마크 | 남자 복식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5, 15-5 | 금메달 |
2001 | 세비야, 스페인 | 남자 복식 | 하태권 | 토니 구나완 / 할림 하리안토 (인도네시아) | 0-15, 13-15 | 은메달 |
1999 | 코펜하겐, 덴마크 | 혼합 복식 | 라경민 | 사이먼 아처 / 조앤 구드 (잉글랜드) | 15-10, 15-13 | 금메달 |
2001 | 세비야, 스페인 | 혼합 복식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0-15, 15-12, 16-17 | 은메달 |
2003 | 버밍엄, 영국 | 혼합 복식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7, 15-8 | 금메달 |
- 남자 복식
- 1995년 로잔에서 유용성과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99년 코펜하겐에서 하태권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에서 동료 한국팀인 이동수와 유용성 조를 15-5, 15-5로 꺾었다.
- 2001년 세비야에서 하태권과 함께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토니 구나완-할림 하리안토 조에게 0-15, 13-15로 패했다.
- 혼합 복식
2.4. 아시안 게임
김동문은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종목에서 총 4개의 메달(금메달 3개, 동메달 1개)을 획득했다.
2.4.1. 아시안 게임 세부 기록
2.5. 아시아 선수권 대회
김동문은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총 7개의 메달(금메달 6개, 동메달 1개)을 획득했다.
2.5.1. 아시아 선수권 대회 세부 기록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5 | 베이징, 중국 | 혼합 복식 | 김신영 | 류젠쥔 / 거페이 (중국) | 16-18, 11-15 | 동메달 |
1998 | 방콕, 태국 | 혼합 복식 | 라경민 | 쑨쥔 / 거페이 (중국) | 15-7, 15-8 | 금메달 |
1999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남자 복식 | 하태권 | 장쥔 / 장웨이 (중국) | 15-6, 15-4 | 금메달 |
1999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혼합 복식 | 라경민 | 류융 / 거페이 (중국) | 15-7, 15-13 | 금메달 |
2001 | 마닐라, 필리핀 | 혼합 복식 | 라경민 | 밤방 수프리안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1-15, 15-4, 15-3 | 금메달 |
2002 | 방콕, 태국 | 남자 복식 | 하태권 | 시기트 부디아르토 / 찬드라 위자야 (인도네시아) | 15-6, 15-8 | 금메달 |
2004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혼합 복식 | 라경민 | 수드켓 프라파카몰 / 사라리 퉁통캄 (태국) | 15-10, 17-16 | 금메달 |
2.6.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김동문은 배드민턴 월드컵에서 1개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2.6.1. 월드컵 세부 기록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5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혼합 복식 | 김신영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9-15, 18-13, 12-15 | 은메달 |
- 혼합 복식
- 1995년 자카르타에서 김신영과 함께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트리 쿠샤르얀토-미나르티 티무르 조에게 9-15, 18-13, 12-15로 패했다.
2.7.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김동문은 세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7.1.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세부 기록
연도 | 개최지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남자 복식 | 황선호 | 시기트 부디아르토 / 남리 수로토 (인도네시아) | 동메달 | |
199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혼합 복식 | 김신영 | 짐 라우게센 / 리케 올센 (덴마크) | 11-15, 17-18 | 은메달 |
- 1992년 자카르타
- 남자 복식에서 황선호와 함께 동메달을 획득했다.
- 혼합 복식에서 김신영과 함께 은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에서 덴마크의 짐 라우게센-리케 올센 조에게 11-15, 17-18로 패했다.
2.8. 수디르만 컵
김동문은 수디르만 컵에서 총 6개의 메달(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을 획득했다.
2.9. 토마스 컵
김동문은 토마스 컵에서 총 3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2.10. 아시아 컵
김동문은 배드민턴 아시아 컵에서 총 2개의 메달(금메달 1개, 은메달 1개)을 획득했다.
2.11. IBF 인터내셔널
김동문은 IBF 인터내셔널 대회에서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대회 | 종목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9 | 호주 인터내셔널 | 남자 복식 | 유용성 | 하태권 / 이동수 (대한민국) | 14-17, 15-9, 15-12 | 우승 |
2002 | 말레이시아 인터내셔널 | 남자 복식 | 하태권 | 제레미 간 / 간 테이크 차이 (말레이시아) | 15-4, 15-0 | 우승 |
2.12. 전영 오픈
김동문은 배드민턴의 권위 있는 대회인 전영 오픈에서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4회 우승을 차지했다.
2.13. 월드 그랑프리 시리즈
김동문은 IBF 월드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총 59개의 우승 타이틀과 9개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2003년에는 라경민과 혼합 복식에서 9개 연속 그랑프리 대회 우승을 포함하여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2.13.1. 남자 복식 그랑프리 기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5 | 스웨덴 오픈 | 강경진 | 페터 악셀손 / 페르-군나르 욘손 (스웨덴) | 5-15, 9-15 | 준우승 |
1995 | 캐나다 오픈 | 유용성 | 하태권 / 강경진 (대한민국) | 15-12, 6-15, 8-15 | 준우승 |
1997 | U.S. 오픈 | 하태권 | 류융 / 장웨이 (중국) | 15-3, 6-15, 15-12 | 우승 |
1997 | 홍콩 오픈 | 하태권 | 엥 히안 / 헤르모노 유워노 (인도네시아) | 15-4, 15-12 | 우승 |
1999 | 스웨덴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11, 15-5 | 우승 |
1999 | 재팬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6, 15-4 | 우승 |
1999 | 차이나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7-16, 15-8 | 우승 |
1999 |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하태권 | 토니 구나완 / 찬드라 위자야 (인도네시아) | 7-15, 15-8, 11-15 | 준우승 |
2000 | 전영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4, 13-15, 17-15 | 우승 |
2000 | 스위스 오픈 | 하태권 | 옌스 에릭센 / 예스페르 라르센 (덴마크) | 15-12, 15-2 | 우승 |
2001 | 코리아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9, 15-4 | 우승 |
2002 | 전영 오픈 | 하태권 | 엥 히안 / 플랜디 림펠리 (인도네시아) | 7-2, 7-2, 1-7, 7-3 | 우승 |
2002 | 코리아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7-0, 7-4, 7-0 | 우승 |
2002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하태권 | 밤방 수프리안토 / 찬드라 위자야 (인도네시아) | 15-9, 13-15, 15-3 | 우승 |
2002 | 싱가포르 오픈 | 하태권 | 엥 히안 / 플랜디 림펠리 (인도네시아) | 8-15, 15-11, 14-17 | 준우승 |
2002 | 네덜란드 오픈 | 하태권 | 옌스 에릭센 / 마르틴 룬고르 한센 (덴마크) | 15-8, 15-8 | 우승 |
2002 | 덴마크 오픈 | 하태권 | 찬 총밍 / 추 춘엥 (말레이시아) | 15-4, 15-8 | 우승 |
2003 | 코리아 오픈 | 하태권 | 이동수 / 유용성 (대한민국) | 15-11, 15-6 | 우승 |
2003 | 말레이시아 오픈 | 하태권 | 차이윈 / 푸하이펑 (중국) | 17-15, 15-11 | 우승 |
2003 | 네덜란드 오픈 | 하태권 | 김용현 / 임방은 (대한민국) | 15-2, 15-2 | 우승 |
2003 | 덴마크 오픈 | 하태권 | 할림 하리안토 / 찬드라 위자야 (인도네시아) | 16-17, 15-6, 15-8 | 우승 |
2003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하태권 | 엥 히안 / 플랜디 림펠리 (인도네시아) | 15-4, 15-1 | 우승 |
2004 | 재팬 오픈 | 하태권 | 차이윈 / 푸하이펑 (중국) | 15-7, 6-15, 15-6 | 우승 |
2.13.2. 혼합 복식 그랑프리 기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1995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김신영 | 옌스 에릭센 / 리케 올센 (덴마크) | 10-15, 5-15 | 준우승 |
1995 | 스웨덴 오픈 | 길영아 | 천싱둥 / 왕샤오위안 (중국) | 13-18, 15-5, 9-15 | 준우승 |
1995 | 말레이시아 오픈 | 길영아 | 타오샤오창 / 왕샤오위안 (중국) | 15-7, 15-9 | 우승 |
1995 | 싱가포르 오픈 | 길영아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2-15, 15-9, 10-15 | 준우승 |
1995 | U.S. 오픈 | 길영아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5-5, 10-15, 15-13 | 우승 |
1995 | 캐나다 오픈 | 길영아 | 강경진 / 김미향 (대한민국) | 15-7, 15-8 | 우승 |
1996 | 재팬 오픈 | 길영아 | 박주봉 / 라경민 (대한민국) | 7-15, 1-15 | 준우승 |
1996 | U.S. 오픈 | 정소영 | 크리스 헌트 / 헬레네 키르케고르 (잉글랜드/덴마크) | 15-5, 15-7 | 우승 |
1997 | 싱가포르 오픈 | 박소연 | 밤방 수프리안토 / 로살리나 리세우 (인도네시아) | 13-15, 9-15 | 준우승 |
1997 | U.S. 오픈 | 라경민 | 밤방 수프리안토 / 로살리나 리세우 (인도네시아) | 15-1, 15-3 | 우승 |
1997 | 홍콩 오픈 | 라경민 | 하태권 / 정재희 (대한민국) | 15-12, 15-3 | 우승 |
1997 | 차이나 오픈 | 라경민 | 류융 / 거페이 (중국) | 15-10, 15-6 | 우승 |
1998 | 재팬 오픈 | 라경민 | 옌스 에릭센 / 말레네 톰센 (덴마크) | 15-12, 15-9 | 우승 |
1998 | 스웨덴 오픈 | 라경민 | 천강 / 탕융수 (중국) | 15-3, 15-3 | 우승 |
1998 | 전영 오픈 | 라경민 | 미카엘 쇠가르드 / 리케 올센 (덴마크) | 15-2, 11-15, 15-5 | 우승 |
1998 |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라경민 | 사이먼 아처 / 조앤 구드 (잉글랜드) | 15-6, 15-9 | 우승 |
1999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류융 / 거페이 (중국) | 15-6, 15-8 | 우승 |
1999 | 스웨덴 오픈 | 라경민 | 하태권 / 정재희 (대한민국) | 15-1, 15-4 | 우승 |
1999 | 싱가포르 오픈 | 라경민 | 미카엘 쇠가르드 / 리케 올센 (덴마크) | 15-4, 15-8 | 우승 |
1999 |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라경민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5-5, 15-7 | 우승 |
2000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5-13, 15-3 | 우승 |
2000 | 전영 오픈 | 라경민 | 류융 / 거페이 (중국) | 15-10, 15-2 | 우승 |
2000 | 스위스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8, 15-9 | 우승 |
2000 | 말레이시아 오픈 | 라경민 | 트리 쿠샤르얀토 / 미나르티 티무르 (인도네시아) | 15-7, 15-8 | 우승 |
2001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8, 15-11 | 우승 |
2001 | 홍콩 오픈 | 라경민 | 쿠나콘 수디소디 / 사라리 퉁통캄 (태국) | 3-7, 7-0, 7-2, 7-2 | 우승 |
2002 | 전영 오픈 | 라경민 | 옌스 에릭센 / 메테 스콜다게르 (덴마크) | 7-3, 7-3, 7-0 | 우승 |
2002 | 스위스 오픈 | 라경민 | 요나스 라스무센 / 야네 F. 브람센 (덴마크) | 7-3, 7-5, 1-7, 7-4 | 우승 |
2002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미카엘 쇠가르드 / 리케 올센 (덴마크) | 7-1, 7-3, 7-5 | 우승 |
2002 | 재팬 오픈 | 라경민 | 노바 위디안토 / 비타 마리사 (인도네시아) | 7-3, 7-2, 7-2 | 우승 |
2002 | 싱가포르 오픈 | 라경민 | 네이선 로버트슨 / 게일 엠스 (잉글랜드) | 11-2, 13-10 | 우승 |
2002 | 네덜란드 오픈 | 이경원 | 하태권 / 황유미 (대한민국) | 11-9, 11-2 | 우승 |
2002 | 덴마크 오픈 | 황유미 | 노바 위디안토 / 비타 마리사 (인도네시아) | 11-6, 4-11, 11-7 | 우승 |
2003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김용현 / 이효정 (대한민국) | 11-5, 11-4 | 우승 |
2003 | 싱가포르 오픈 | 라경민 | 정보 / 장제원 (중국) | 15-5, 15-9 | 우승 |
2003 | 인도네시아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0-15, 15-11, 15-6 | 우승 |
2003 | 말레이시아 오픈 | 라경민 | 네이선 로버트슨 / 게일 엠스 (잉글랜드) | 15-6, 15-5 | 우승 |
2003 | 네덜란드 오픈 | 라경민 | 김용현 / 이효정 (대한민국) | 15-4, 15-2 | 우승 |
2003 | 덴마크 오픈 | 라경민 | 김용현 / 이효정 (대한민국) | 17-16, 15-10 | 우승 |
2003 | 독일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12, 11-15, 15-8 | 우승 |
2003 | 홍콩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7, 15-10 | 우승 |
2003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라경민 | 노바 위디안토 / 비타 마리사 (인도네시아) | 15-7, 15-5 | 우승 |
2004 | 스위스 오픈 | 라경민 | 장쥔 / 가오링 (중국) | 15-2, 15-8 | 우승 |
2004 | 전영 오픈 | 라경민 | 김용현 / 이효정 (대한민국) | 15-8, 17-15 | 우승 |
2004 | 코리아 오픈 | 라경민 | 김용현 / 이효정 (대한민국) | 15-5, 15-11 | 우승 |
- 남자 복식
- 1997년 U.S. 오픈
- 1997년 홍콩 오픈
- 1999년 스웨덴 오픈
- 1999년 재팬 오픈
- 1999년 차이나 오픈
- 2000년 전영 오픈
- 2000년 스위스 오픈
- 2001년 코리아 오픈
- 2002년 전영 오픈
- 2002년 코리아 오픈
- 2002년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2002년 네덜란드 오픈
- 2002년 덴마크 오픈
- 2003년 코리아 오픈
- 2003년 말레이시아 오픈
- 2003년 네덜란드 오픈
- 2003년 덴마크 오픈
- 2003년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2004년 재팬 오픈
- 혼합 복식
- 1995년 말레이시아 오픈
- 1995년 U.S. 오픈
- 1995년 캐나다 오픈
- 1996년 U.S. 오픈
- 1997년 U.S. 오픈
- 1997년 홍콩 오픈
- 1997년 차이나 오픈
- 1998년 재팬 오픈
- 1998년 스웨덴 오픈
- 1998년 전영 오픈
- 1998년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1999년 코리아 오픈
- 1999년 스웨덴 오픈
- 1999년 싱가포르 오픈
- 1999년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2000년 코리아 오픈
- 2000년 전영 오픈
- 2000년 스위스 오픈
- 2000년 말레이시아 오픈
- 2001년 코리아 오픈
- 2001년 홍콩 오픈
- 2002년 전영 오픈
- 2002년 스위스 오픈
- 2002년 코리아 오픈
- 2002년 재팬 오픈
- 2002년 싱가포르 오픈
- 2002년 네덜란드 오픈 (파트너 이경원)
- 2002년 덴마크 오픈 (파트너 황유미)
- 2003년 코리아 오픈
- 2003년 싱가포르 오픈
- 2003년 인도네시아 오픈
- 2003년 말레이시아 오픈
- 2003년 네덜란드 오픈
- 2003년 덴마크 오픈
- 2003년 독일 오픈
- 2003년 홍콩 오픈
- 2003년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2004년 스위스 오픈
- 2004년 전영 오픈
- 2004년 코리아 오픈
3. 개인사
김동문은 오랜 혼합 복식 파트너였던 라경민과 2005년 12월 25일 결혼했다. 2007년 7월에는 아들 한울을 얻었다. 현재는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에 거주하고 있다.
3.1. 현재 활동
선수 은퇴 후 김동문은 원광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한배드민턴협회 회장직을 맡아 한국 배드민턴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수상 및 명예
김동문은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여러 상훈과 명예를 얻었다.
4.1. 배드민턴 명예의 전당
김동문은 2009년 BWF 배드민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는 그가 배드민턴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선수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4.2. 세계 배드민턴 연맹 올해의 선수
김동문은 BWF 올해의 선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2002년에는 단독으로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에는 혼합 복식 파트너인 라경민과 함께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5. 지도자 및 행정 경력
김동문은 선수 은퇴 후에도 배드민턴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대한배드민턴협회 회장으로서 한국 배드민턴 행정 분야를 이끌고 있다.
6. 해설 활동
김동문은 주요 스포츠 행사에서 배드민턴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팬들에게 경기를 생생하게 전달하기도 했다. 특히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SBS 배드민턴 해설위원을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