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존 R. 모트(John Raleigh Mott)는 1865년 5월 25일에 태어나 1955년 1월 31일에 사망한 미국의 저명한 전도자이자 기독교 운동 지도자이다. 그는 기독교청년회(YMCA)와 세계학생기독연맹(WSCF)에서 오랜 기간 봉사하며 국제적인 기독교 학생 조직을 설립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그는 기독교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 인물로, 1910년 에든버러 세계선교대회를 주재하고 1948년 세계교회협의회(WCC) 창설에 깊이 관여하여 평생 명예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모트는 국제적인 평화와 이해 증진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1946년 에밀리 그린 볼치(Emily Greene Balch)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의 광범위한 세계 여행과 선교 활동은 국제 협력과 사회적 이해를 넓히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를 "당대 가장 널리 여행하고 보편적으로 신뢰받는 기독교 지도자"로 평가하는 역사가들도 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이 세대에서 세계 복음화영어』는 20세기 초 선교 운동의 슬로건이 되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존 R. 모트의 초기 생애와 교육은 그의 신앙과 사회적 활동의 토대를 마련했다.
2.1. 출생 및 유년기
존 R. 모트는 1865년 5월 25일 미국 뉴욕주 설리번 카운티의 리빙스턴 매너 (Livingston Manor영어)에서 태어났다. 그해 9월, 그의 가족은 아이오와주 포스트빌(Postville)로 이주했다. 그는 13세에 감리교회에 입교했다. 그의 아버지의 이름은 존 스티트 모트(John Stitt Moot)였다.
2.2. 교육 및 초기 영향
모트는 1881년 어퍼 아이오와 대학교(Upper Iowa University)에 입학하여 역사를 공부했으며, 수상 경력이 있는 토론자였다. 이후 그는 코넬 대학교로 편입하여 1888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 코넬 대학교 재학 중이던 1885년, 그는 코넬 대학교의 기독교청년회(YMCA) 부회장으로 선출되면서 복음주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아서 태펀 피어선(Arthur Tappan Pierson)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피어슨은 1886년 창립된 학생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이 운동은 매사추세츠주 마운트 하몬(Mount Hermon)에서 열린 대학생 여름 학교에서 드와이트 라이먼 무디(Dwight Lyman Moody)와 A. T. 피어슨의 설교를 듣고 감화받은 모트가 헌신을 표명하면서, 세계 선교를 위한 기도 모임이 '해외 선교를 위한 학생 자원 운동'의 모체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정치인이 되겠다는 꿈을 포기하고 기독교 사역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3. 경력 및 에큐메니컬 활동
존 R. 모트는 광범위한 경력과 함께 다양한 기독교 및 국제 조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세계 기독교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1. 초기 기독교 리더십
모트는 1881년부터 1915년까지 국제 기독교청년회(YMCA)의 학생부 책임자를 지냈으며, 이후 YMCA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1926년에는 YMCA 국제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895년부터 1920년까지 세계학생기독연맹(WSCF)의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1920년부터 1928년까지는 WSCF의 의장직을 수행했다. 그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대학과 전문 대학들을 방문하며 학생 운동의 확산에 기여했다.
3.2. 세계 선교대회에서의 역할

1910년, 모트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1910년 세계선교대회를 주재했다. 이 대회는 현대 개신교 선교 운동과 기독교 에큐메니컬 운동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대회 폐회 후, 모트는 지속위원회를 조직하고 그 위원장으로서 대회의 정신과 성과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썼다. 이 위원회는 훗날 세계교회협의회(WCC)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3.3.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기여
모트는 기독교 교파 간의 단합을 육성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1948년 세계교회협의회(WCC) 창설에 깊이 관여했으며, WCC는 그를 평생 명예 회장으로 선출하며 그의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공헌을 인정했다. 그는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정교회와 티혼 총대주교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로버트 할로우웰 가드너 3세(Robert Hallowell Gardiner III)와도 협력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그는 당대 기독교 지도자 중 "가장 널리 여행하고 보편적으로 신뢰받는 인물"로 여겨졌다.
3.4. 국제 평화 노력과 노벨 평화상

존 R. 모트는 국제 평화와 이해 증진을 위해 광범위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1912년 타이타닉호가 침몰하기 전, 한 화이트 스타 라인 관계자로부터 무료 승선을 제안받았으나, 동료와 함께 보다 소박한 여객선인 SS 라플란드호(Lapland)를 택하여 화를 피했다. 이들은 뉴욕에서 타이타닉호의 사고 소식을 듣고 "선한 주님께서 우리에게 할 일이 더 있으신가 봅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평화 증진에 대한 헌신은 1946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으로 이어졌다. 그는 국제 개신교 기독교 학생 조직을 설립하고 강화하여 평화를 증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에밀리 그린 볼치(Emily Greene Balch)와 함께 이 영예를 안았다.
3.5. 전 세계적 활동 및 아시아 지역 활동
모트는 국제적으로 광범위한 여행을 다니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특히 1912년 10월부터 1913년 5월까지 스리랑카(당시 실론),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국가를 방문하여 18차례의 지역 및 국가별 회의를 개최했다.
한국과 관련하여, 모트는 1907년에 한국을 방문하여 윤치호의 통역으로 6,000명의 성도들 앞에서 설교하며, 장차 한국이 동양의 기독교 국가이자 "동방의 예루살렘"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또한 한국의 NCC 창설을 돕는 등 한국 교회의 협력과 발전에 기여했다.
일본에서는 1913년 에든버러 선교대회의 지속위원장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교회 지도자들에게 협동 전도 계획을 제안하고 2.00 만 JPY를 기부했다. 이에 일본 교회는 교파 간 협력하여 1914년부터 3년간 전국적인 대규모 전도 집회인 "전국 협동 전도"를 시행했다. 이 집회는 777,000명의 회중을 동원하고 27,000명의 회심자를 배출하며 다이쇼 시대 일본 교회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모트는 일본을 총 10차례 방문했으며, 특히 1925년과 1926년 방문 시에는 일본의 재계와 정계 지도자들을 초청한 여러 모임에서 강연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 1929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훈일등 서보장 (Order of the Sacred Treasure, 1st Class영어)을 수여받았다.
4. 철학 및 저술
존 R. 모트의 철학은 그의 생애 전반에 걸친 활동의 동기가 되었으며, 그의 저술은 이러한 비전을 명확히 전달했다.
4.1. 핵심 신념 및 비전
모트의 중심 사상은 세계 복음화, 에큐메니컬 운동, 그리고 국제 문제에서 기독교의 역할에 집중되었다. 그는 기독교가 세계 평화와 화합에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를 위해 교파 간의 협력과 국제적 연대를 강조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슬로건은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이 세대에서 세계 복음화영어』로, 이는 20세기 초 선교 운동의 강력한 추진력이 되었다. 그는 모든 인류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기독교적 가치를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독교인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4.2. 주요 저서
존 R. 모트는 자신의 비전과 사상을 담은 여러 권의 중요한 저서를 남겼으며, 이 저서들은 기독교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이 세대에서 세계 복음화영어』 (1900년)
- 『The Future Leadership of the Church교회의 미래 리더십영어』 (1909년)
- 『The Decisive Hour of Christian Missions기독교 선교의 결정적인 시간영어』 (1910년)
-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세계학생기독연맹영어』 (1920년)
- 『Cooperation and the World Mission협력과 세계 선교영어』 (1935년)
- 『Five decades and a forward view오십 년과 미래를 위한 전망영어』 (1939년, 자서전)
- 『Methodists United for Action행동을 위해 단합한 감리교도들영어』 (1939년)
- 『The Larger Evangelism더 큰 복음주의영어』 (1945년)
5. 개인 생활
존 R. 모트의 개인 생활은 그의 공적인 삶과 함께 그의 인격과 가치관을 엿볼 수 있게 한다.
5.1. 가족 및 관계
모트는 두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부인은 교사인 레일라 에이다 화이트(Leila Ada White)로, 1891년에 결혼하여 두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 그들의 자녀 중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이렌 모트 보스(Irene Mott Bose): 인도에서 사회 복지사로 활동했으며, 인도 대법원 판사인 비비안 보스(Vivian Bose)의 아내였다.
- 존 리빙스턴 모트(John Livingstone Mott): 인도 YMCA에서의 활동으로 1931년 카이저-이-힌드 은메달(Kaisar-i-Hind silver medal)을 수상했다.
- 프레더릭 닷지 모트(Frederick Dodge Mott): 캐나다에서 의료 계획 분야에 종사했으며, 세계 보건 기구(WHO)의 캐나다 대표를 지냈다.
1952년 첫 번째 부인 레일라가 사망한 후, 모트는 1953년 아그네스 피터(Agnes Peter)와 재혼했다. 아그네스 피터는 마사 워싱턴(Martha Custis Washington)의 후손이었다.
5.2. 주목할 만한 사건
모트의 인품과 삶의 경험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일화로 1912년 타이타닉호 사건이 있다. 모트와 그의 동료는 타이타닉호의 무료 승선을 제안받았으나 이를 거절하고 좀 더 소박한 여객선인 SS 라플란드호(Lapland)를 탔다. 이 선택으로 그들은 타이타닉호의 비극적인 침몰을 피할 수 있었다. 그들은 뉴욕에서 타이타닉호의 사고 소식을 듣고 "선한 주님께서 우리에게 할 일이 더 있으신가 봅니다"라고 말하며, 그들의 생존이 신의 섭리임을 고백했다고 전해진다.
6. 말년 및 사망
존 R. 모트의 말년과 사망은 그의 길고도 영향력 있는 삶의 마무리를 보여준다.
6.1. 은퇴 및 말년
모트는 공식적인 직책에서 은퇴한 후에도 계속해서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문서는 예일 대학교 예일 신학대학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는 그의 광범위한 활동과 영향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954년 에반스턴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WCC)에 89세의 나이로 참석하여 "존 모트가 죽는다면, 그를 전도자로 기억하라"고 발언한 것은 그의 마지막 공적 발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6.2. 사망
존 R. 모트는 1955년 1월 31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7. 유산 및 평가
존 R. 모트의 삶과 업적은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 운동, 그리고 국제 평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역사적, 사회적 평가를 받고 있다.
7.1. 역사적 중요성
모트는 20세기 초 가장 영향력 있는 종교인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그는 기독교 선교 운동의 세계적인 확장을 주도했으며, 특히 1910년 에든버러 세계선교대회와 세계교회협의회(WCC) 창립에 기여함으로써 기독교 교파 간의 단합을 추구하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초석을 다졌다. 그의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이 세대에서 세계 복음화영어"라는 슬로건은 전 세계 선교사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국제 평화와 협력을 위한 그의 노력은 1946년 노벨 평화상 수상으로 결실을 맺었다. 그의 활동은 기독교의 사회적 책임과 국제적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7.2. 긍정적 평가
존 R. 모트는 기독교 선교와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그의 지칠 줄 모르는 헌신으로 널리 칭송받았다. 그는 YMCA와 WSCF의 지도자로서 전 세계의 학생들을 결집시키고 기독교적 가치에 기반한 국제적 연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광범위한 세계 여행과 각국 지도자들과의 교류는 문화와 국경을 초월한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켰다. 그는 특히 국제 분쟁 해결과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기여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며 평화 운동가로서의 면모를 인정받았다.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의 그의 활동은 현지 교회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래지향적인 비전과 리더십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8. 추모 및 기념
존 R. 모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명예, 기념물 및 기관들이 설립되었다.
8.1. 영예 및 수상
- 노벨 평화상: 1946년, 국제 평화 증진에 대한 공로로 에밀리 그린 볼치와 함께 공동 수상했다.
- 훈일등 서보장: 1929년, 일본 정부로부터 일본 교회와 사회에 대한 그의 기여를 인정받아 수여되었다.
8.2. 기념물 및 기관
- 미국 성공회의 성인력(liturgical calendar): 2022년 존 R. 모트의 이름이 공식적으로 추가되었으며, 10월 3일이 그의 축일로 지정되었다.
- 포스트빌 공동체 교육구 고등학교(Postville Community School District high school): 그의 유년기를 보낸 아이오와주 포스트빌에 위치한 이 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q=Postville Community School District high school|positio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