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Youth Career
음브와나 알리 사마타는 1992년 12월 23일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에서 태어났다. 그는 2008년 탄자니아 클럽인 아프리칸 리옹에서 유소년 선수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2. Club Career
음브와나 알리 사마타의 프로 축구 클럽 경력은 크게 아프리카 리그에서의 활약과 유럽 리그 진출 이후의 활동으로 나뉜다. 그는 각 클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였다.
2.1. African Clubs
사마타는 프로 경력을 탄자니아 자국 리그에서 시작하여 콩고 민주 공화국의 명문 구단 TP 마젬베에서 아프리카 축구의 스타로 발돋움했다.
2.1.1. Simba S.C.
사마타는 2010년 자국 리그인 탄자니아 프리미어리그의 심바 SC에 입단하며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2010-11 시즌 동안 27경기에서 15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소스에 따르면 이 시즌에 25경기 13골을 기록했다. 심바 SC에서의 활약은 그가 아프리카 축구계의 주요 팀으로 이적하는 발판이 되었다.
2.1.2. TP Mazembe
2011년, 사마타는 콩고 민주 공화국 리나푸트의 강호 TP 마젬베로 이적하여 5년간 활동했다. 그는 마젬베에서 총 133경기 출전하여 85골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였다. 일본 소스에 따르면 103경기 60골을 기록했다.
그는 TP 마젬베 소속으로 2011년, 2012년, 2013년, 2013-14 시즌 리나푸트 4연패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14-15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2013년 CAF 컨페더레이션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15년 CAF 챔피언스리그에서 사마타는 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하며 7골을 기록,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그는 조별리그 모그레브 테투안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을 준결승으로 이끌었고, 결승전에서는 USM 알제를 상대로 두 차례의 경기에서 모두 득점하며 팀의 총 4-1 승리를 이끌고 우승을 차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2012년과 2014년 CAF 챔피언스리그에서도 4강에 진출했다.
2015년 그의 활약을 인정받아 2016년 1월 7일 나이지리아 아부자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CAF 어워즈에서 아프리카 클럽 소속 올해의 선수 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그는 동아프리카 출신 선수로는 최초로 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사마타는 총 127점을 획득하여 팀 동료이자 콩고 민주 공화국 골키퍼인 로베르트 키디아바(88점)와 알제리의 바그다드 보우네자(63점)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TP 마젬베 소속으로 2013년과 2014년 콩고 민주 공화국 슈퍼컵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그는 2015년 FIFA 클럽 월드컵에도 출전했으나, 8강전에서 산프레체 히로시마에 0-3으로 패했다.

2.2. European Clubs
사마타는 TP 마젬베에서의 성공적인 활약을 바탕으로 2016년 벨기에 무대에 진출하며 유럽 클럽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잉글랜드, 튀르키예, 다시 벨기에, 그리고 그리스 리그까지 다양한 유럽 리그를 경험했다.
2.2.1. K.R.C. Genk (First Stint)
2016년 1월, 사마타는 아프리카 최고의 클럽 선수로 선정된 직후 벨기에 프로 리그의 KRC 헹크와 4년 6개월 계약을 체결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그는 2019-20 시즌 겨울 이적 시장 전까지 헹크에서 총 191경기에 출전하여 75골을 기록했다. 일본 소스에 따르면 143경기 56골을 기록했다.
그는 2016-17 시즌 팀의 UEFA 유로파리그 8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2017년 아방스 미디어(Avance Media)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탄자니아 젊은이로 뽑히기도 했다. 2018년 8월 23일,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브뢴뷔 IF와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5-2 승리를 이끌었다.
2018-19 시즌에는 벨기에 프로 리그에서 20골을 기록하여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헹크는 2010-11 시즌 이후 8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사마타가 크게 기여했다. 같은 해 5월, 그는 벨기에 리그 최고의 아프리카 선수에게 주어지는 에보니 슈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19년 벨기에 슈퍼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019-20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는 리버풀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팀의 동점골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경기는 1-2로 패했다. 그는 2017-18 시즌 벨기에 컵 준우승도 경험했다.
2.2.2. Aston Villa F.C.
2020년 1월 20일, 사마타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애스턴 빌라 FC와 4년 6개월 계약을 체결했다. 이적료는 약 850.00 만 GBP (약 144.00 억 KRW)로 알려졌다. 이로써 그는 프리미어리그에 진출한 최초의 탄자니아 선수라는 역사를 썼다.
그는 이적 8일 후인 1월 28일 EFL컵 준결승 2차전 레스터 시티 FC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2-1로 승리하며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2020년 2월 1일, AFC 본머스와의 리그 데뷔전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탄자니아 선수 최초의 프리미어리그 득점자라는 기록도 세웠으나, 경기는 2-1로 패했다. 2020년 3월 1일, 맨체스터 시티 FC와의 EFL컵 결승전에서 만회골을 터뜨리며 팀의 10년 만의 EFL컵 준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올리 왓킨스의 이적과 케이넌 데이비스의 합류로 주전 경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팀 내 입지가 좁아지기 시작했다.
2.2.3. Fenerbahçe S.K.
2020년 9월 25일, 사마타는 튀르키예 쉬페르리그의 페네르바흐체 SK로 한 시즌 임대 이적했다. 이 계약에는 임대 종료 후 2021년 7월 완전 이적하는 4년 계약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페네르바흐체에서의 2020-21 시즌 동안 사마타는 30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3위 성적에 기여했다. 그러나 2021-22 시즌에도 팀 내 입지가 크게 줄어들면서 결국 다시 임대 이적을 모색하게 되었다.
2.2.4. Royal Antwerp F.C.
2021년 9월 1일, 사마타는 벨기에로 돌아와 로열 앤트워프 FC로 한 시즌 임대 이적했다. 이 임대 계약에는 완전 이적 옵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로열 앤트워프에서 그는 2021-22 시즌 동안 39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했다. 그의 활약은 팀이 리그 4위를 차지하고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2차 예선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2.2.5. K.R.C. Genk (Second Stint)
2022년 8월 16일, 사마타는 친정팀인 KRC 헹크로 임대 복귀했다. 이번 임대 계약 역시 완전 이적 옵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2022-23 시즌 동안 헹크에서 36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으며, 팀의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2.2.6. PAOK FC
2023년 7월 17일, 사마타는 그리스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PAOK와 1년 연장 옵션을 포함한 2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현재 PAOK의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2023-24 시즌 팀의 수페르리가 엘라다 우승에 기여했다.
3. International Career
사마타는 2011년 2월 9일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한 달 뒤인 3월 26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신고했다.
2013년 3월 24일, 홈에서 열린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경기에서 멀티골을 터뜨리며 팀의 3-1 완승을 이끌었다. 같은 해에 열린 CECAFA컵에서도 2골을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을 이끌었다.
2019년 6월 13일, 이매뉴얼 아무니케 감독에 의해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3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6월 23일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대회 데뷔전을 치렀다.
현재까지 그는 A매치 통산 83경기에 출전하여 22골을 기록하며 탄자니아 국가대표팀의 핵심 공격수이자 주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4. Personal Life
음브와나 알리 사마타는 이슬람교도이다. 2018년, 그는 KRC 헹크 시절 팀 동료이자 현재 감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인 오마르 콜리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로 움라 성지순례를 다녀왔다.
5. Honours and Achievements
사마타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개인 차원에서 다양한 영예를 안았다.
- TP 마젬베
- 리나푸트: 2011, 2012, 2013, 2013-14 우승; 2014-15 준우승
- 콩고 민주 공화국 슈퍼컵: 2013, 2014 우승
- CAF 챔피언스리그: 2015 우승; 2012, 2014 4강
- CAF 컨페더레이션컵: 2013 준우승
- KRC 헹크
- 벨기에 프로 리그: 2018-19 우승; 2022-23 준우승
- 벨기에 컵: 2017-18 준우승
- 벨기에 슈퍼컵: 2019 우승
- PAOK FC
- 수페르리가 엘라다: 2023-24 우승
- 심바 SC
- 탄자니아 프리미어리그: 2010-11 준우승
- 애스턴 빌라 FC
- EFL컵: 2019-20 준우승
- 페네르바흐체 SK
-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2020-21 3위
- 개인
- 리나푸트 득점왕: 2012, 2013-14
- CAF 어워즈 아프리카 클럽 소속 올해의 선수: 2015
- CAF 올해의 팀: 2015
- CAF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2015 (7골)
- 에보니 슈: 2019
- 벨기에 프로 리그 골든슈: 2018-19 (23골)
6. Career Statistics
음브와나 알리 사마타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통계는 다음과 같다.
6.1. Club
2025년 2월 17일 기준
| 클럽 | 시즌 | 리그 | 내셔널컵 | 리그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 심바 SC | 2010-11 | 탄자니아 프리미어리그 | 25 | 13 | - | 2 | 2 | - | 27 | 15 | ||||||||
| TP 마젬베 | 2011 | 리나푸트 | 8 | 2 | - | - | 8 | 2 | ||||||||||
| 2012 | 리나푸트 | 29 | 23 | - | 6 | 6 | - | 35 | 29 | |||||||||
| 2013 | 리나푸트 | 37 | 20 | - | 6 | 6 | 2 | 2 | 45 | 28 | ||||||||
| 2013-14 | 리나푸트 | 29 | 15 | - | 9 | 3 | - | 38 | 18 | |||||||||
| 2014-15 | 리나푸트 | - | 7 | 8 | - | 7 | 8 | |||||||||||
| 2015-16 | 리나푸트 | - | 0 | 0 | - | 0 | 0 | |||||||||||
| 총계 | 103 | 60 | 28 | 23 | 2 | 2 | 133 | 85 | ||||||||||
| 헹크 | 2015-16 | 벨기에 프로 리그 | 18 | 5 | 0 | 0 | - | - | - | 18 | 5 | |||||||
| 2016-17 | 벨기에 프로 리그 | 37 | 13 | 4 | 2 | - | 18 | 5 | - | 59 | 20 | |||||||
| 2017-18 | 벨기에 프로 리그 | 31 | 8 | 4 | 0 | - | - | - | 35 | 8 | ||||||||
| 2018-19 | 벨기에 프로 리그 | 38 | 23 | 1 | 0 | - | 12 | 9 | - | 51 | 32 | |||||||
| 2019-20 | 벨기에 프로 리그 | 20 | 7 | 1 | 0 | - | 6 | 3 | 1 | 0 | 28 | 10 | ||||||
| 총계 | 144 | 56 | 10 | 2 | 36 | 17 | 1 | 0 | 191 | 75 | ||||||||
| 애스턴 빌라 | 2019-20 | 프리미어리그 | 14 | 1 | 0 | 0 | 2 | 1 | - | - | 16 | 2 | ||||||
| 페네르바흐체 (임대) | 2020-21 | 쉬페르리그 | 27 | 5 | 3 | 1 | - | - | - | 30 | 6 | |||||||
| 페네르바흐체 | 2021-22 | 쉬페르리그 | 3 | 0 | 0 | 0 | - | 0 | 0 | - | 3 | 0 | ||||||
| 로열 앤트워프 (임대) | 2021-22 | 벨기에 프로 리그 | 32 | 5 | 1 | 1 | - | 6 | 3 | - | 39 | 9 | ||||||
| 헹크 (임대) | 2022-23 | 벨기에 프로 리그 | 33 | 6 | 3 | 0 | - | - | - | 36 | 6 | |||||||
| PAOK | 2023-24 | 수페르리가 엘라다 | 29 | 2 | 3 | 0 | - | 12 | 1 | - | 44 | 3 | ||||||
| 2024-25 | 수페르리가 엘라다 | 7 | 3 | 4 | 0 | - | 3 | 1 | - | 14 | 4 | |||||||
| 총계 | 36 | 5 | 7 | 0 | 15 | 2 | 0 | 0 | 58 | 7 | ||||||||
| 커리어 총계 | 417 | 150 | 24 | 4 | 2 | 1 | 91 | 50 | 3 | 2 | 535 | 205 | ||||||
6.2. International
2024년 11월 19일 기준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 탄자니아 | 2011 | 9 | 2 |
| 2012 | 5 | 0 | |
| 2013 | 10 | 6 | |
| 2014 | 3 | 1 | |
| 2015 | 7 | 2 | |
| 2016 | 4 | 1 | |
| 2017 | 4 | 3 | |
| 2018 | 5 | 2 | |
| 2019 | 10 | 4 | |
| 2020 | 1 | 0 | |
| 2021 | 6 | 0 | |
| 2022 | 5 | 1 | |
| 2023 | 6 | 0 | |
| 2024 | 8 | 0 | |
| 총계 | 83 | 22 | |
득점 기록은 탄자니아의 득점이 먼저이며, 점수 열은 사마타의 각 득점 후 점수를 나타낸다.
|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 1 | 2011년 3월 26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1 | 2-1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2 | 2011년 9월 3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알제리 | 1-0 | 1-1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3 | 2013년 1월 11일 |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 1-1 | 1-2 | 친선 경기 |
| 4 | 2013년 2월 6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카메룬 | 1-0 | 1-0 | 친선 경기 |
| 5 | 2013년 3월 24일 | 모로코 | 2-0 | 3-1 |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 |
| 6 | 3-0 | |||||
| 7 | 2013년 12월 4일 | 아프라하 스타디움, 나쿠루, 케냐 | 부룬디 | 1-0 | 1-0 | 2013 CECAFA컵 |
| 8 | 2013년 12월 12일 | 냐요 국립 경기장, 나이로비, 케냐 | 잠비아 | 1-1 | 1-1 | 2013 CECAFA컵 |
| 9 | 2014년 8월 3일 | 에스타디우 두 짐페투, 마푸투, 모잠비크 | 모잠비크 | 1-1 | 1-2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10 | 2015년 10월 7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말라위 | 1-0 | 2-0 | 201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1차 예선 |
| 11 | 2015년 11월 14일 | 알제리 | 2-0 | 2-2 | 201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 |
| 12 | 2016년 3월 23일 | 이드리스 마하마트 우야 스타드 옴니스포르, 은자메나, 차드 | 차드 | 1-0 | 1-0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13 | 2017년 3월 25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보츠와나 | 1-0 | 2-0 | 친선 경기 |
| 14 | 2-0 | |||||
| 15 | 2017년 6월 10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레소토 | 1-0 | 1-1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16 | 2018년 3월 27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콩고 민주 공화국 | 1-0 | 2-0 | 친선 경기 |
| 17 | 2018년 10월 16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카보베르데 | 2-0 | 2-0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18 | 2019년 6월 16일 | 올림픽 스포츠 센터, 카이로, 이집트 | 짐바브웨 | 1-1 | 1-1 | 친선 경기 |
| 19 | 2019년 6월 27일 | 6월 30일 경기장, 카이로, 이집트 | 케냐 | 2-1 | 2-3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20 | 2019년 9월 8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부룬디 | 1-0 | 1-1 (승부차기 3-0) |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1차 예선 |
| 21 | 2019년 11월 19일 | 스타드 무스타파 벤 잔네트, 모나스티르, 튀니지 | 리비아 | 1-0 | 1-2 |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22 | 2022년 3월 23일 | 국립 경기장, 다르에스살람, 탄자니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0 | 3-1 | 친선 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