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리나 올렉산드리우나 막시멘코(Алі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Максименко알리나 올렉산드리우나 막시멘코우크라이나어, 1991년 7월 10일 출생)는 우크라이나의 전직 리듬 체조 선수이다. 그녀는 소련 우크라이나 SSR의 자포리자에서 태어나 키이우에서 성장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데리우긴스 스쿨에서 훈련받으며 유망주로 두각을 나타냈다.
막시멘코는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단체전에 참가하며 시니어 무대에 데뷔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단체전 선수로 출전하여 8위를 기록했다. 2009년부터는 개인 선수로 전환하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으며,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다음 올림픽 출전 자격을 확보했다. 선수 경력의 정점은 2012년 런던 올림픽으로, 개인 종합 6위를 달성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기량을 선보였다. 2013년 키이우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곤봉 종목 동메달을 획득하며 은퇴 시즌을 마무리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코치로 전향하여 현재 영국 웨스트서식스주의 iSTAR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우크라이나어, 영어, 러시아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하며, 리듬 체조 선수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2. 유년기와 배경
알리나 올렉산드리우나 막시멘코는 1991년 7월 10일 소련 우크라이나 SSR 자포리자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고향은 키이우이며, 데리우긴스 스쿨에서 훈련을 받으며 리듬 체조 선수로서의 길을 걸었다. 그녀의 수석 코치는 알비나 데리우기나였고, 보조 코치는 이리나 데리우기나였다. 안무는 이리나 그리셴코가 담당했다. 막시멘코의 키는 174 cm이다.
3. 리듬 체조 경력
알리나 막시멘코는 주니어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기 시작했고, 시니어 선수로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리듬 체조 강국인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했다.
3.1. 주니어 경력
알리나 막시멘코는 주니어 선수 시절이던 2006년 데리우긴스 컵에 출전하여 개인 종합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다리아 쿠시네로바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유망주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3.2. 시니어 경력
막시멘코는 2007년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이후, 단체전에서 개인전으로 전환하며 기량을 발전시켰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최고의 성과를 거두는 등 지속적으로 세계 정상급 선수로 활약했다.
3.2.1. 시니어 초기 (2007-2008)
2007년, 막시멘코는 그리스 파트라스에서 열린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우크라이나 시니어 단체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단체 종합 8위를 기록했다. 당시 단체팀 구성원은 올레나 드미트라시, 폴리나 콘다우로바, 비에라 페레데리, 옥사나 페툴코, 비타 주브첸코였다.
2008년, 막시멘코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우크라이나 단체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단체 종합 결선에서 8위를 차지했다. 이 해 스페인 베니돔에서 열린 FIG 월드컵 파이널에서는 3개의 후프/4개의 곤봉 종목과 5개의 로프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니어 경력 초기부터 국제 대회 메달리스트로 이름을 올렸다.
3.2.2. 개인 경력 전환 및 도약 (2009-2011)

2009년,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서 열린 2009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선수로 첫 출전하여 개인 종합 결선에서 16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 대만 가오슝에서 열린 2009년 월드 게임에 참가하여 후프 5위, 리본 6위, 줄 7위, 볼 8위를 기록했다. 2009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팀 기여도를 높였다.
2010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2010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종합 결선 5위를 차지하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도약했다. 그녀는 이 대회에서 알리야 가라예바와 함께 모든 종목 결선에 진출한 단 두 명의 체조 선수 중 한 명이었다. 각 종목에서 줄 4위, 후프 5위, 볼 6위, 리본 8위를 기록하는 등 고른 기량을 선보였다.

2011년 데리우긴스 월드컵에서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며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같은 해 중국 선전에서 열린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후프 종목에서 은메달(28.100점)을, 곤봉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막시멘코는 또한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2011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우크라이나의 단체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 대회 개인 종합 결선에서 5위를 기록하며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1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열린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동메달과 곤봉 종목 동메달을 추가했다.
3.2.3. 올림픽 참가 및 최고 기량 (2012)
막시멘코는 2012년 시즌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LA 라이츠 대회로 시작했으나, 새로운 루틴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개인 종합에서 동료인 안나 리자트디노바에 뒤처졌다. 이후 2012년 데리우긴스 컵에 출전하여 러시아 체조 선수 다리아 드미트리에바에 이어 개인 종합 은메달을 획득했다.
알리나 막시멘코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 개인 종합에 참가했다. 그녀는 뛰어난 기량으로 결선에 진출했으며, 최종적으로 전체 6위라는 개인 최고 성적을 달성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3.2.4. 마지막 시즌 및 은퇴 (2013)
2013년 시즌은 막시멘코의 선수 경력 마지막 해였다. 그녀는 LA 라이츠 대회에서 팀 동료인 안나 리자트디노바에 이어 개인 종합 은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이후 이스라엘 홀론에서 열린 그랑프리에 참가하여 개인 종합 12위를 기록했고, 곤봉 종목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특정 종목에서의 강세를 보였다.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시즌 첫 월드컵 대회에서는 개인 종합 5위를 차지했다. 이리나 델레아누 컵에서는 개인 종합 은메달과 곤봉 종목 동메달을 추가했고, 페사로 월드컵에서는 후프 종목에서 또 하나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부상 악화로 불가리아 소피아 월드컵에는 불참했다.
막시멘코는 이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2013년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 안나 리자트디노바, 빅토리야 마주르와 함께 팀을 이루어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국제 트로피 "시우타트 데 바르셀로나"에서는 러시아 체조 선수 알렉산드라 메르쿨로바에 이어 개인 종합 은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팀 동료 안나 리자트디노바에 이어 개인 종합 4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후프 종목 은메달(리자트디노바와 공동)과 곤봉 종목 동메달(리자트디노바와 공동)을 획득했다. 2013년 8월호 우크라이나판 보그지에서는 리자트디노바, 마주르와 함께 화보에 등장하기도 했다.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린 2013년 월드 게임에서는 볼과 곤봉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다재다능함을 보여주었다. 선수 경력의 마지막 대회였던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2013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곤봉 종목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개인 종합에서는 7위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막시멘코는 2013년 시즌을 끝으로 선수 경력을 마무리했으며, 그녀의 모교인 데리우긴스 스쿨 코치들의 제안을 수락하여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4. 코칭 경력
알리나 막시멘코는 2013년 선수 생활을 마친 후, 그녀의 모교인 데리우긴스 스쿨의 초청을 받아 리듬 체조 코치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그녀는 은퇴 직후부터 리듬 체조 꿈나무들을 지도하며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해왔다.
2023년부터는 영국 웨스트서식스주에 위치한 iSTAR 아카데미에서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2024년 유럽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시니어 국가대표 그룹팀의 코치를 맡고 있다. 그녀는 지도자로서 우크라이나 리듬 체조의 미래를 이끌어갈 재능 있는 선수들을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5. 개인 생활
알리나 막시멘코는 우크라이나어, 영어, 러시아어의 세 가지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그녀는 선수 생활 은퇴 후 코치로 전향하여 현재 영국 웨스트서식스주에 거주하며 iSTAR 아카데미에서 리듬 체조 코치로 일하고 있다.
6. 경기 세부 정보
알리나 막시멘코는 대회에서 다양한 음악과 루틴을 선보였으며, 특히 올림픽에서 상세한 점수를 기록하며 그녀의 기술적 역량을 입증했다.
6.1. 루틴 음악
막시멘코가 주요 대회에서 사용했던 루틴 음악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종목 | 음악 제목 |
---|---|---|
2013 | 후프 | "Taken 2 (Main Theme)", "Murad Arrives", "In The Van", "Love The Way You Lie" by 내서니얼 메칼리, 에미넴, 리한나 |
볼 | "Gratta Keka" by Appart | |
곤봉 | "Fever" by A Fine Frenzy | |
리본 | "Taiko Music", "African Djembe Drums", "Chinese Music of Beijing", "Loud Taiko Drumming of Japan", "Sogoni Coun" by Drums Of The World, Madou Djembe | |
2012 | 후프 | "Mercy In Darkness", "Archangel", "Titan Dune" by 투 스텝스 프롬 헬 |
볼 | "Mission Impossible Theme" by 데이비드 개럿 | |
곤봉 (새 루틴) | "Tamacun", "Diablo Rojo" by 로드리고 이 가브리엘라 | |
곤봉 (이전 루틴) | "Angry Birds Main Theme" by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앤드류 스키트 | |
리본 | "Asturias" by Joja Wendt | |
2011 | 후프 | "Technologique Park" by Orbital |
볼 | "Private Investigation" by 다이어 스트레이츠 | |
곤봉 | "No Hay Problema" by 핑크 마티니 | |
리본 | "España Caní", "España Caní" by Manhattan Pops Orchestra, Trio Norté |
6.2. 올림픽 상세 결과
알리나 막시멘코의 올림픽 경기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설명 | 장소 | 음악 | 종목 | 결선 점수 | 예선 점수 |
---|---|---|---|---|---|---|
2012 | 올림픽 | 런던 | 개인 종합 | 109.625 | 110.025 | |
Asturias by Joja Wendt | 리본 | 27.450 | 26.800 | |||
Mission Impossible Theme by 데이비드 개럿 | 볼 | 26.675 | 28.125 | |||
Mercy In Darkness, Archangel, Titan Dune by 투 스텝스 프롬 헬 | 후프 | 27.950 | 27.300 | |||
Tamacun, Diablo Rojo by 로드리고 이 가브리엘라 | 곤봉 | 27.550 | 27.800 | |||
2008 | 올림픽 | 베이징 | 단체 종합 | 31.100 | 31.625 | |
Summer by 안토니오 비발디 | 5 로프 | 15.975 | 15.800 | |||
Theme music from Avrora by Valeri Tishler | 3 후프 / 2 곤봉 | 15.125 | 15.825 |
7. 함께 보기
- 한나 베즈소노바
- 안나 리자트디노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