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세이셸 공화국은 인도양 서부, 아프리카 대륙 동쪽에 위치한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이다. 수도는 마에섬에 위치한 빅토리아이다. 과거 무인도였으나 18세기 프랑스에 의해 처음으로 식민 정착이 이루어졌고, 이후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1976년 독립하였다. 독립 초기에는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으나, 1990년대 민주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대통령 중심제의 안정적인 다당제 공화국으로 발전하였다. 세이셸은 관광업과 어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며, 특히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해양 자원으로 유명하다. 아프리카 국가 중 인간 개발 지수(HDI)가 가장 높고, 1인당 명목 GDP 또한 최상위권에 속한다. 세이셸 크레올어, 영어,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며, 주민 대부분은 아프리카계, 유럽계, 아시아계의 혼혈인 크리올이다. 로마 가톨릭이 주요 종교이며, 독특한 크리올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알다브라 환초와 발레 드 메 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역사
세이셸의 역사는 고대 아랍 및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방문 가능성에서 시작하여 유럽 열강의 발견과 식민 통치를 거쳐 현대적인 독립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초기에는 무인도였으나, 프랑스와 영국의 지배를 받으며 플랜테이션 경제의 기반이 다져졌고, 1976년 독립 이후 사회주의 일당 통치 시기를 거쳐 1990년대 민주화 과정을 통해 다당제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되었다.
2.1. 초기 역사와 유럽인의 도래

세이셸은 기록된 역사의 대부분 동안 무인도였으나,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 패턴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아시아인들이 이 섬들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높다. 1910년까지 실루엣 섬의 앙스 라스카르에서 볼 수 있었던 무덤들은 후대의 몰디브인과 아랍인 무역상들이 이 군도를 방문했을 때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에서 8세기경 아랍인들이 처음으로 세이셸에 도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록상 유럽인이 세이셸을 처음 발견한 것은 1502년 3월 15일, 바스쿠 다 가마가 이끈 포르투갈의 제4차 인도 함대에 의해서였다. 첫 목격은 루이 멘데스 드 브리투(Rui Mendes de Brito포르투갈어) 호에 탑승했던 토메 로페스(Thomé Lopes포르투갈어)가 하였다. 다 가마의 함대는 높은 섬, 아마도 실루엣섬 근처를 지나갔고, 다음 날에는 데로슈섬을 지나갔다.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를 지도에 표시하고 '일곱 자매'(The Seven Sisters영어)라고 명명했다. 유럽인이 최초로 상륙한 기록은 1609년 1월, 영국 동인도 회사의 제4차 항해 중 알렉산더 샤페이(Alexander Sharpeigh영어) 선장이 이끄는 어센션(Ascension영어) 호의 선원들에 의해서였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간 무역의 경유지였던 이 섬들은 1756년 프랑스가 점유하기 전까지 종종 해적들의 근거지로 사용되었다. 당시 프랑스 왕 루이 15세의 재무장관이었던 장 모로 드 세셸(Jean Moreau de Séchelles)의 이름을 따서 섬 이름이 명명되었고, 마에섬에 니콜라 모르페이(Nicholas Morphey) 선장이 소유석을 설치하며 프랑스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2.2.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 통치

1756년 프랑스는 세이셸의 영유권을 주장했고, 1768년에는 프랑스령 프랑스섬(현 모리셔스섬)의 속령으로 초기 정착이 시작되었다. 1770년 8월, 르블랑 레코르(Leblanc Lécore프랑스어)가 지휘하는 프랑스 선박 텔레마크(Thélémaque프랑스어) 호가 생탄섬에 15명의 백인 남성과 아프리카 및 인도 출신의 노예 13명(남녀 포함) 등 총 28명을 상륙시키면서 본격적인 거주가 시작되었다.
영국은 1794년부터 1810년까지 프랑스와 세이셸의 통치권을 두고 경쟁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이던 1794년 5월 16일, 헨리 뉴컴(Henry Newcome영어) 선장이 지휘하는 영국 프리깃함 오르페우스(Orpheus영어) 호가 마에섬에 도착했다. 다음 날 항복 조건이 마련되어 세이셸은 영국에 항복했다. 당시 영국의 전쟁 기간 동안 세이셸의 프랑스 행정관이었던 장 바티스트 케오 드 퀸시(Jean Baptiste Quéau de Quincy프랑스어)는 무장한 적군 함대가 도착했을 때 저항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영국에 대한 항복 지위를 성공적으로 협상하여 정착민들에게 중립이라는 특혜적 지위를 부여했다.
결국 1810년 모리셔스가 항복하면서 영국이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했고, 이는 1814년 파리 조약에서 공식화되었다. 세이셸은 1814년부터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1903년에는 모리셔스로부터 분리되어 세이셸 직할 식민지가 되었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플랜테이션 농업이 발달했으며, 계피, 바닐라, 코프라 등이 주요 생산물이었다. 1948년에는 입법 평의회 선거가 실시되는 등 점진적으로 자치권이 확대되었다. 정치적으로는 1964년 독립을 주장하는 프랑스 알베르 르네가 사회주의 정당인 세이셸 인민 연합당(Seychelles People's United Party영어, SPUP)을, 영국령 잔류를 주장하는 제임스 만참이 보수 정당인 세이셸 민주당(Seychelles Democratic Party영어, SDP)을 창당했다. 1966년과 1970년에는 선거가 치러졌다.
2.3. 독립과 현대 국가로의 발전
1976년 6월 29일, 세이셸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공화국이 되었으며, 영연방에 가입했다. 독립 당시 영국령 인도양 지역에 속해 있던 데로슈섬, 알다브라 군도, 파커 군도가 영국으로부터 세이셸에 할양되었다. 초대 대통령으로는 민주당의 제임스 만참이, 초대 총리로는 인민 연합당의 프랑스 알베르 르네가 취임하여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그러나 1977년 르네 총리가 쿠데타를 일으켜 만참 대통령을 축출하고 실권을 장악했다. 르네는 관광 산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경계하며 "세이셸을 세이셸인을 위한 곳으로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1979년 제정된 헌법은 세이셸을 사회주의 일당제 국가로 규정했으며, 이 체제는 1991년까지 지속되었다. 인민 연합당은 1978년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Seychelles People's Progressive Front영어, SPPF)으로 개칭했다. 1980년대에는 르네 대통령에 대한 여러 차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며, 그중 일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다. 1981년에는 마이크 호어가 이끄는 43명의 남아공 용병들이 럭비 선수로 위장하여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공항에서 총격전 끝에 대부분이 납치한 에어 인디아 항공기를 타고 탈출했다. 1986년에는 세이셸 국방장관 오길비 벨루이(Ogilvy Berlouis영어)가 주도한 쿠데타 시도가 발생하자 르네 대통령은 인도에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 해군의 빈댜기리 호가 빅토리아 항에 도착하여 쿠데타를 막는 데 도움을 주었다 (작전명: Operation Flowers are Blooming꽃이 피고 있다영어).
1991년 민주화 운동이 활발해지자 르네 정부는 다당제 도입을 발표했고, 만참을 비롯한 망명 정치 지도자들이 귀국했다. 1992년 새로운 헌법 초안이 국민투표에서 필요한 60%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나, 수정된 안이 1993년에 승인되어 민주적인 신헌법이 공포되었다. 같은 해 실시된 다당제 총선에서 여당인 SPPF는 경제 성과를 바탕으로 33석 중 25석을 차지했으며, 동시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도 르네가 승리했다. 르네는 2004년 은퇴하고 부통령이었던 제임스 미셸에게 대통령직을 이양했다. 미셸은 2006년, 2011년, 2015년 대선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 2016년 9월 28일, 미셸 대통령은 10월 16일부로 사임하고 대니 포르 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울 것이라고 발표했다.
1977년 쿠데타 이후 대통령은 항상 동일 정당(SPPF, 이후 United Seychelles로 개명) 출신이었으나, 2020년 10월 총선에서 역사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성공회 신부 출신인 야당 후보 웨이벨 람칼라완이 현직 대통령 대니 포르를 54.9% 대 43.5%로 누르고 당선되어, 통합 세이셸 소속이 아닌 첫 대통령이 되었다. 이는 44년 만의 야당 승리였다.
2012년 6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지속 가능 발전 회의에서 세이셸 정부는 자국 해양 보호 구역 내 135만 제곱킬로미터의 해양 수역 중 30%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했다. 2013년 1월, 세이셸은 열대성 사이클론 펠렝(Felleng영어)으로 인한 폭우, 홍수, 산사태로 수백 채의 가옥이 파괴되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2023년 1월, 세이셸은 해양 공간 계획을 거의 완성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해양 보호 구역(135.00 만 km2)이 되어 청색 경제를 지원할 것이다.
3. 정치
세이셸의 정치 체제는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며,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간의 권력 분립 원칙을 따른다. 국가는 다당제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주요 정치적 흐름은 독립 이후 사회주의 일당 통치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로 전환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1. 정부 구조
세이셸의 대통령은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으로서, 국민 직접 선거를 통해 5년 임기로 선출된다. 대통령은 내각을 주재하고 각료를 임명하며, 이는 의회 과반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023년 기준 현 대통령은 웨이벨 람칼라완이다.
세이셸 의회는 단원제인 국민의회(Assemblée Nationale아상블레 나시오날프랑스어)로 구성된다. 총 35명의 의원 중 26명은 국민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나머지 9석은 각 정당이 받은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로 임명된다. 모든 의원의 임기는 5년이다.
3.2. 정치 지형과 주요 정당

세이셸의 장기 집권 대통령이었던 프랑스 알베르 르네는 1977년 6월 5일 지지자들이 초대 대통령 제임스 만참을 쿠데타로 축출한 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당시 르네는 총리였다. 르네는 1993년 다당제를 도입하라는 압력을 받을 때까지 사회주의 일당제 하에서 강권 통치를 했다. 그는 2004년 부통령이었던 제임스 미셸에게 권력을 이양했고, 미셸은 2006년, 2011년, 그리고 2015년에 재선되었다. 2016년 9월 28일, 대통령실은 미셸이 10월 16일부로 사임하고 대니 포르 부통령이 미셸의 남은 임기를 채울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 10월 26일, 59세의 성공회 신부인 웨이벨 람칼라완이 세이셸 공화국 제5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람칼라완은 1993년부터 2011년까지, 그리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야당 의원이었다. 그는 1998년부터 2011년까지, 그리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야당 대표를 역임했다. 람칼라완은 현직 대통령 대니 포르를 54.9% 대 43.5%로 물리쳤다. 이는 야당이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최초의 사례였다.
주요 정당으로는 과거 장기 집권했던 사회주의 정당인 인민당(People's Party영어, PP, 2009년까지 세이셸 인민 진보 전선(SPPF)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통합 세이셸(US)로 개명)과 사회자유주의 정당인 세이셸 국민당(SNP)이 있다.
2020년 국회의원 선거는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치러졌다. 세이셸 국민당, 세이셸 사회정의민주당, 세이셸 연합당이 연합하여 리뇽 데모크라티크 세셀와(Linyon Demokratik Seselwa리뇽 데모크라티크 세셀와crs, LDS)를 결성했다. LDS는 국회 35석 중 25석을 차지했고, US는 10석을 얻었다.
3.3. 사법 제도
1903년에 설립된 세이셸 대법원은 세이셸의 최고 재판 법원이자 모든 하급 법원 및 재판소로부터의 첫 번째 항소 법원이다. 세이셸의 최고 법원은 세이셸 항소 법원으로, 국가의 최종 항소 법원이다.
세이셸은 과거 세계적으로 수감률이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였다. 2014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799명의 수감자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감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보다 15% 높은 수치였다. 그러나 당시 세이셸의 실제 인구는 10만 명 미만이었고, 2014년 9월 기준 실제 수감자 수는 735명(여성 6%)이었으며, 이들은 3개의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었다.
이후 세이셸의 수감률은 크게 감소했다. 2022년 기준 수감률은 인구 10만 명당 287명으로, 세계 31위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더 이상 수감률 상위 10개국에 포함되지 않는다.
3.4. 행정 구역
세이셸은 모든 내부 섬을 포함하는 26개의 행정 구역(지방)으로 나뉜다. 이 중 8개 구역은 세이셸의 수도를 구성하며 그레이터 빅토리아라고 불린다. 다른 14개 구역은 주도인 마에섬의 농촌 지역으로 간주된다. 프라슬랭섬은 2개 구역으로 나뉘며, 라디그섬 및 주변 위성 섬들과 기타 내부 섬들이 하나의 구역을 이룬다. 나머지 외부 섬( Îles Eloignées일젤루아녜프랑스어 )들은 최근 관광부에 의해 신설된 마지막 구역을 구성한다.
- 그레이터 빅토리아
- 벨에어
- 라리비에르앙글레즈 (잉글리시 리버)
- 레마멜
- 몽뷔송
- 몽플뢰리
- 플레상스
- 로슈카이망
- 생루이
- 마에섬 농촌 지역
- 앙스오팽
- 앙스부알로
- 앙스에투알
- 오카프
- 앙스루아얄
- 베라자르
- 보발롱
- 벨옴브르
- 카스카드
- 글라시
- 그랑앙스마에
- 푸앵트라루
- 포르글로
- 타카마카
- 프라슬랭섬
- 베생탄 (앙스볼베르)
- 그랑앙스프라슬랭 (그랑앙스)
- 라디그섬 및 나머지 내부 섬
- 라디그섬 (앙스레위니옹)
- 외부 섬
- 외부 섬 (Îles Éloignées일젤루아녜프랑스어)
4. 대외 관계
세이셸은 유엔, 아프리카 연합, 인도양 위원회, 프랑코포니,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영연방의 회원국이다. 기본적인 외교 정책 노선은 비동맹주의를 표방하며, 주변 국가 및 주요 협력국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79년부터 1983년 사이에 프랑스 알베르 르네의 비동맹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여러 음모가 있었으며, 주요 관련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시도는 미국, 프랑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시도의 일반적인 이유로는 르네의 사회주의 정책, 서방 및 동구권에 대한 비동맹적 입장, 그리고 1990년에 만료될 예정이었던 미국의 군사 임대 계약 등이 거론된다. 이 시기의 모든 쿠데타 시도는 실패했다. 오바마 행정부 하에서 미국은 세이셸에서 드론 작전을 시작했다. 2013년 봄, 미국 해병대 아프리카 위기 대응 특수 목적 해병 공지 기동 부대(Special-Purpose Marine Air-Ground Task Force Africa영어)는 세이셸을 비롯한 여러 아프리카 국가의 군대를 멘토링했다.
4.1. 주요 국가와의 관계
세이셸은 인도, 중국, 프랑스, 영국 등 주요 국가들과 긴밀한 양자 관계를 맺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특히 인도와는 국방 및 안보 분야에서 중요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과는 경제 및 기반 시설 건설 분야에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와 영국은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4.1.1. 대한민국과의 관계
세이셸은 1976년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동시에 수교했다. 그러나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정치적, 군사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1979년 10·26 사건, 12·12 군사 반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을 이유로 대한민국과 단교했다. 당시 세이셸은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하지 않았다. 냉전 종식 후 1995년 대한민국과 재수교하였다. 2009년에는 한-세이셸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며, 대전광역시의 오월드에 멸종 위기 동물인 세이셸 육지거북 두 마리를 기증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특별시에 세이셸 명예 영사관과 세이셸 관광청 사무소가 있다.
5. 국방과 안보
세이셸의 국방은 세이셸 인민 방위군(SPDF)이 담당하며, 국방 정책은 영토 보전과 해양 안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변 해역에서의 해적 문제와 불법 어업 단속 등도 주요 안보 과제이다.
5.1. 군사 조직
세이셸 인민 방위군(Seychelles People's Defence Force영어, SPDF)은 보병 부대, 해안 경비대, 공군, 대통령 경호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는 세이셸 군사력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도 지속하고 있다. GRSE가 건조한 SDB Mk5 초계정 2척, INS 타라사와 INS 타르무글리를 세이셸 해안 경비대에 인도한 후, 이들은 각각 PS 콘스탄트와 PS 토파즈로 개명되었다. 또한 인도는 힌두스탄 항공이 제작한 도르니에 228 항공기를 증여했다.
인도는 세이셸의 어섬션섬 개발 협정도 체결했다. 약 11 km2 면적의 이 섬은 인도양의 전략적 요충지로, 마다가스카르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은 인도의 전략 자산 개발을 위해 임대되었다. 2018년, 세이셸은 유엔 핵무기금지조약에 서명했다.
5.2. 해양 안보 및 해적 문제
세이셸은 주로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자행되는 인도양 해적 행위 퇴치에 핵심적인 참여국이다. 전 대통령 제임스 미셸은 해적 행위로 인해 국제 사회가 연간 700.00 만 USD에서 1200.00 만 USD의 비용을 치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적들은 세이셸 GDP의 4%에 해당하는 비용을 발생시키며, 이는 선박 손실, 어업 및 관광업 손실, 그리고 해상 안보를 위한 간접 투자 비용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요인들은 세이셸의 주요 국가 자원 중 하나인 지역 어업에 영향을 미쳐, 2008-2009년에 46%의 손실을 입었다. 세이셸의 해적 퇴치 노력을 돕기 위해 순찰선, 항공기 또는 드론 등 국제적인 지원이 제공되고 있다.
6. 지리

세이셸은 인도양의 소말리아해 부분에 위치한 섬나라로, 마다가스카르 북동쪽, 케냐에서 동쪽으로 약 1600 km 떨어져 있다. 군도는 화강암질 내부 섬들과 산호초 외부 섬들로 구성되며, 독특한 지형과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6.1. 지형과 섬 구성

세이셸 헌법에는 155개의 명명된 섬이 등재되어 있으며, 헌법 공포 이후 추가로 7개의 매립섬이 만들어졌다. 대부분의 섬은 무인도이며, 많은 섬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세이셸에서 가장 큰 섬인 마에섬은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에서 약 1546 km 떨어져 있다.
44개의 섬(화강암질 42개, 산호섬 2개)으로 이루어진 그룹은 세이셸 암초의 얕은 바다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집합적으로 내부 섬(Inner Islands이너 아일랜즈영어)이라고 불린다. 이 섬들의 총면적은 244 km2로, 세이셸 전체 육지 면적의 54%와 전체 인구의 98%를 차지한다.
섬들은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 화강암질 섬 (42개): 마에섬, 프라슬랭섬, 실루엣섬, 라디그섬, 퀴리외즈섬, 펠리시테섬, 프레가트섬, 생탄섬, 노스섬, 세르프섬, 마리안섬, 그랑쇠르섬, 테레즈섬, 아리드섬, 콘셉시옹섬, 프티트쇠르섬, 쿠쟁섬, 쿠진섬, 롱섬, 레시프섬, 라운드섬(프라슬랭), 아노님섬, 마멜섬, 무아옌섬, 일오바슈마린, 리슬레트, 비컨섬(일세슈), 카셰섬, 코코섬, 라운드섬(마에), 릴로프레가트, 부비섬, 쇼브수리(마에), 쇼브수리(프라슬랭), 일라푸슈, 오둘섬, 릴로, 라트섬, 수리섬, 생피에르(프라슬랭), 자베섬, 해리슨록스(그랑로셰).


- 북부 산호 모래톱 섬 (2개, 화강암질 섬 북쪽 세이셸 암초 가장자리): 데니스섬과 버드섬.
- 남부 산호섬 (2개, 화강암질 섬 남쪽): 코에티비섬과 플라트섬.
- 아미란테스 군도 (29개 산호섬, 화강암질 섬 서쪽): 데로슈섬, 푸아브르 환초(푸아브르, 플로랑탱, 사우스섬 등 3개 섬), 알퐁스, 다로스, 생조제프 환초(생조제프, 일오푸케, 리소스, 프티카르카사이, 그랑카르카사이, 벤자민, 방크페라리, 시앵, 펠리캉, 바르, 일폴, 방드사블, 방코코, 일오풀 등 14개 섬), 마리루이즈, 데뇌프, 아프리칸뱅크스(아프리칸뱅크스, 사우스섬 등 2개 섬), 레미르, 생프랑수아, 부되즈, 에투알, 비주티에.
- 파커 군도 (13개 산호섬, 아미란테스 남남서쪽): 파커 환초(방드사블, 데포제, 일오고엘레트, 라팽, 일뒤밀리외, 노스마나하, 사우스마나하, 미들마나하, 노스섬, 사우스섬 등 10개 섬), 프로비덩스 환초(프로비덩스, 방크프로비덩스 등 2개 섬), 생피에르.
- 알다브라 군도 (67개 융기 산호섬, 파커 군도 서쪽): 알다브라 환초(그랑테르, 피카르, 폴림니, 말라바르, 일미셸, 일에스프리, 일오무스티크, 일로파르크, 일로에밀, 일로양그, 일로마냥, 일라니에, 샹피뇽데조스, 외프라트, 그랑멘토르, 그랑일로, 그로일로지오네, 그로일로세잠, 에롱록, 하이드섬, 일오에그레트, 일오세드르, 일샬랑, 일팡감, 일에롱, 일미셸, 일스콰코, 일실베스트르, 일베르트, 일로데데르, 일로뒤쉬드, 일로뒤밀리외, 일로뒤노르, 일로뒤부아, 일로마코아, 일로마르쿠아, 일로니수아, 일로살라드, 미들로섬, 노디록, 노스로섬, 프티멘토르, 프티멘토르앙당, 프티일로, 핑크록, 타블롱드 등 46개 섬), 어섬션섬, 아스토브, 코스몰레도 환초(메나이, 일뒤노르(웨스트노스), 일노르데스트(이스트노스), 일뒤트루, 고엘레트, 그랑폴리트, 프티폴리트, 그랑일(위저드), 파고드, 일뒤쉬드웨스트(사우스), 일오무스티크, 일발렌, 일오쇼브수리, 일오마카크, 일오라트, 일뒤노르웨스트, 일옵세르바시옹, 일쉬데스트, 일로라크루아 등 19개 섬).
- 매립섬 (7개): 일페르세베랑스, 일오로르, 로맹빌섬, 에덴섬, 이브, 일뒤포르, 일솔레유.
아프리칸뱅크스의 사우스섬은 바다에 의해 침식되었다. 생조제프 환초에서는 방드사블과 펠리컨섬도 침식되었으며, 그랑카르카사이와 프티카르카사이는 합쳐져 하나의 섬이 되었다. 알다브라, 생조제프 환초, 코스몰레도에는 이름 없는 섬들도 여러 개 있다. 프티아스토브는 이름이 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헌법에 포함되지 못했다. 방크프로비덩스는 단일 섬이 아니라 역동적인 섬 그룹으로, 2016년 기준 4개의 큰 섬과 약 6개의 매우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6.2. 기후
섬이 작기 때문에 기후는 매우 습하며, 쾨펜-가이거 시스템에 의해 열대 우림 기후(Af)로 분류된다. 연중 기온 변화는 거의 없다. 마에섬의 기온은 24 °C에서 30 °C 사이이며, 연간 강수량은 빅토리아에서 2900 mm에서 산악 경사면에서는 3600 mm에 이른다. 다른 섬들의 강수량은 다소 적다.
가장 시원한 달인 7월과 8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약 24 °C이다. 남동 무역풍은 5월부터 11월까지 규칙적으로 불며, 이 시기가 연중 가장 쾌적한 시기이다. 더운 달은 12월부터 4월까지이며, 습도가 더 높다(80%). 3월과 4월이 가장 더운 달이지만, 기온이 31 °C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섬은 사이클론 벨트 외곽에 위치해 있어 강풍은 드물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기온 기록 (°C) | 33.3 | 33.4 | 33.7 | 34.8 | 33.5 | 32.7 | 31.3 | 31.4 | 31.6 | 32.5 | 34.4 | 33.4 | 34.8 |
평균 최고기온 (°C) | 30.1 | 30.6 | 31.3 | 31.7 | 30.9 | 29.5 | 28.7 | 28.8 | 29.4 | 30.1 | 30.4 | 30.5 | 30.2 |
일평균 기온 (°C) | 27.1 | 27.8 | 28.2 | 28.5 | 28.2 | 27.1 | 26.3 | 26.3 | 26.8 | 27.2 | 27.3 | 27.3 | 27.3 |
평균 최저기온 (°C) | 24.6 | 25.3 | 25.4 | 25.6 | 25.9 | 25.1 | 24.3 | 24.4 | 24.7 | 24.9 | 24.7 | 24.6 | 25.0 |
최저기온 기록 (°C) | 21.5 | 21.1 | 22.1 | 22.0 | 21.6 | 20.9 | 20.4 | 19.6 | 20.2 | 20.5 | 21.5 | 20.0 | 19.6 |
강수량 (mm) | 426.6 | 250.8 | 204.5 | 196.3 | 171.4 | 121.8 | 79.9 | 114.9 | 183.6 | 191.2 | 214.9 | 298.1 | 2454.1 |
평균 상대 습도 (%) | 82.7 | 80.0 | 79.4 | 78.9 | 78.6 | 79.0 | 79.5 | 79.5 | 79.3 | 78.5 | 79.4 | 80.8 | 79.6 |
월평균 일조 시간 (시간) | 155.1 | 177.8 | 217.4 | 239.0 | 250.4 | 215.7 | 234.4 | 235.3 | 210.2 | 223.7 | 203.1 | 176.1 | 2538.2 |
일평균 일조 시간 (시간) | 5.0 | 6.2 | 6.9 | 7.7 | 8.2 | 7.5 | 7.5 | 7.5 | 7.3 | 7.3 | 6.8 | 5.7 | 6.97 |
6.3. 생태계와 야생 생물


세이셸은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영토의 42%를 보전 지역으로 할당하는 등 세계적으로 앞서가는 국가 중 하나이다. 많은 취약한 섬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세이셸도 인간이 처음 정착했을 때 생물 다양성 손실을 겪었다. 여기에는 화강암질 섬에서 대부분의 거북이가 사라지고, 해안 및 중산간 숲이 벌채되었으며, 밤색 옆구리 흰눈새, 세이셸앵무 및 바다악어와 같은 종들이 멸종한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모리셔스나 하와이와 같은 섬들에 비해 멸종 사례는 훨씬 적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인간 점유 기간이 짧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세이셸은 동식물 보호 성공 사례로 알려져 있다. 희귀한 세이셸검은앵무는 국가의 새로, 현재 보호받고 있다.
민물 게 속인 세이셸룸은 화강암질 세이셸 고유종이며, 추가로 26종의 게와 5종의 집게가 이 섬들에 서식한다. 1500년부터 1800년대 중반까지(대략) 당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알다브라코끼리거북은 해적과 선원들에 의해 식용으로 살해되어 거의 멸종 위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건강하지만 취약한 15만 마리의 거북이 개체군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알다브라 환초에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 고대 파충류는 전 세계 여러 동물원, 식물원 및 개인 소장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밀렵 및 밀수로부터의 보호는 CITES에 의해 감독되며, 포획 사육은 남아있는 야생 개체군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줄였다. 화강암질 세이셸 섬들은 현존하는 세 종의 세이셸자이언트거북을 지원한다.
세이셸은 알다브라와 코스몰레도와 같은 외부 섬에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바닷새 군집지 중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 화강암질 세이셸에서 가장 큰 군집지는 아리드섬에 있으며, 두 종의 세계 최대 개체수를 포함한다. 검댕제비갈매기도 이 섬들에서 번식한다. 다른 흔한 새로는 황로(Bubulcus ibis)와 흰제비갈매기(Gygis alba)가 있다. 1,000종 이상의 어류가 기록되어 있다.
화강암질 세이셸 섬들은 약 268종의 속씨식물의 서식지이며, 이 중 70종(28%)이 고유종이다. 특히 잘 알려진 것은 프라슬랭섬과 인근 퀴리외즈섬에만 자라는 야자수의 일종인 코코 드 메르이다. 때때로 "사랑의 견과"(그 "이중" 코코넛의 모양이 엉덩이를 닮았기 때문에)라는 별명을 가진 코코 드 메르는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씨앗을 생산한다. 해파리나무는 마에섬의 몇몇 장소에서만 발견된다. 이 이상하고 고대 식물은 자체 속인 메두사기네에 속하며, 야생에서는 번식하지 않고 재배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독특한 식물 종으로는 아리드섬 특별 보호 구역에서만 발견되는 라이트가르데니아(Rothmannia annae)가 있다. 이 섬들에는 여러 독특한 종의 난초가 있다.
세이셸에는 화강암질 세이셸 숲과 알다브라섬 건조 관목지라는 두 개의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 2019년 산림 경관 보전 지수 평균 점수는 10/10으로, 172개국 중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6.4. 환경 문제와 보전 노력
1960년대 지역 환경 보호론자들의 노력으로 작살총과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 어업이 금지된 이후, 야생 동물들은 스노클링객과 스쿠버 다이빙객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1998년 산호 백화 현상으로 대부분의 암초가 손상되었지만, 실루엣섬과 같이 일부 암초는 건강하게 회복되고 있다.
국가 간 큰 격차에도 불구하고, 세이셸은 새천년 개발 목표를 거의 모두 달성했다고 주장한다. 17개의 새천년 개발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가 달성되었다. 환경 보호는 문화적 가치가 되고 있다.
세이셸 정부의 세이셸 기후 안내서는 국가의 기후를 우기이며, 건기가 있고 해양 지역에 해양 경제가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남동 무역풍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히 강하다. 그곳의 날씨 패턴은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보고된다.
세이셸은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국제사회는 자연보호구역 지정 확대, 외래종 관리, 해양 공간 계획 수립 등 다양한 보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7. 경제

세이셸 경제는 관광업과 어업(특히 참치)을 중심으로 하며, 과거 플랜테이션 농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독립 이후 1인당 생산량은 크게 증가했으며, 정부는 경제 다변화와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7.1. 경제 구조와 주요 산업
플랜테이션 시대에는 계피, 바닐라, 코프라가 주요 수출품이었다. 1965년 섬들을 3개월간 방문한 미래학자 도널드 프렐은 왕실 식민지 총독을 위해 경제의 미래 시나리오를 담은 경제 보고서를 준비했다. 그의 보고서에 따르면, 1960년대에는 노동 인구의 약 33%가 플랜테이션에서 일했고, 20%는 공공 또는 정부 부문에서 일했다. 미국 공군 위성 통제망이 사용하던 마에섬의 인도양 추적 기지는 세이셸 정부가 임대료를 연간 1000.00 만 USD 이상으로 인상하려 하자 1996년 8월에 폐쇄되었다.
1976년 독립 이후 1인당 생산량은 과거 거의 자급자족 수준의 약 7배로 확대되었다. 성장은 관광 부문이 주도했으며, 관광 부문은 노동력의 약 30%를 고용하고 있는 반면, 오늘날 농업은 노동력의 약 3%를 고용하고 있다. 관광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농업과 어업은 여전히 일부 인구를 고용하고 있으며, 코코넛과 바닐라를 가공하는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2013년 기준 주요 수출품은 가공 어류(60%)와 비필렛 냉동 어류(22%)이다.
현재 세이셸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에는 고구마, 바닐라, 코코넛, 계피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지역 주민들의 경제적 지원의 많은 부분을 제공한다. 냉동 및 통조림 어류, 코프라, 계피, 바닐라가 주요 수출 상품이다.
7.2. 관광 산업

1971년 세이셸 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관광업은 중요한 산업이 되었고, 경제를 플랜테이션과 관광업으로 본질적으로 나누었다. 관광 부문은 보수가 더 좋았고, 플랜테이션 경제는 그만큼 확장될 수 없었다. 경제의 플랜테이션 부문은 중요성이 감소했고, 관광업이 세이셸의 주요 산업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1970년대 거의 내내 호텔 건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여기에는 1972년 코랄 스트랜드 스마트 초이스, 비스타 도 마르, 부겐빌 호텔의 개장이 포함된다.
최근 몇 년 동안 정부는 호텔 및 기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를 장려해 왔다. 이러한 인센티브는 세계은행이 배포한 TIME 프로젝트와 그 이전 프로젝트인 MAGIC과 같은 부동산 프로젝트 및 새로운 리조트 자산에 막대한 투자를 유치했다.
그 이후 정부는 금융 서비스 당국 설립 및 여러 법률(국제 기업 서비스 제공자법, 국제 사업 회사법, 증권법, 뮤추얼 펀드 및 헤지 펀드법 등) 제정을 통해 농업, 어업, 소규모 제조업 및 최근에는 역외 금융 부문의 발전을 촉진하여 관광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움직였다. 2015년 3월, 세이셸은 인도가 개발할 어섬션섬을 할당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세이셸은 2020년 국제 관광객에 대한 국경을 폐쇄했다. 국가 예방 접종 프로그램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외교 관광부는 2021년 3월 25일 국제 관광객에게 국경을 다시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7.3. 경제 정책과 과제
세이셸 정부는 재정 적자 억제를 우선시하며, 여기에는 사회 복지 비용 억제와 공기업의 추가적인 민영화가 포함된다. 정부는 경제 활동에 광범위하게 관여하며, 공기업은 석유 제품 유통, 은행업, 기본 제품 수입, 통신 및 기타 광범위한 사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제한된 정부, 시장 개방성, 규제 효율성, 법치주의 및 기타 요소를 측정하는 2013년 경제자유지수에 따르면, 경제 자유는 2010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세이셸의 국가 통화는 세이셸 루피이다. 처음에는 국제 통화 바스켓에 연동되었으나, 2008년 세이셸 경제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를 기대하며 평가절하되고 자유 변동되도록 허용되었다.
세이셸은 2020년 1월 국제 투명성 기구가 발표한 최신 부패 인식 지수 보고서에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부패가 적은 국가로 부상했다.
7.4. 에너지 자원
다국적 석유 회사들이 섬 주변 해역을 탐사했지만 석유나 가스는 발견되지 않았다. 2005년 미국 회사 페트로퀘스트(Petroquest영어)와 계약을 체결하여 콘스탄트, 토파즈, 파커, 코에티비 섬 주변 약 3.00 만 km2 지역에 대해 2014년까지 탐사권을 부여했다. 세이셸은 페르시아만에서 정제된 석유 파생물 형태로 하루 약 910 m3의 석유를 수입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쿠웨이트와 바레인에서 석유를 수입했다. 세이셸은 마에섬에 기항하는 선박과 항공기를 위한 벙커유 형태로 잉여 석유를 재수출하기 때문에 내부 사용에 필요한 양보다 세 배 더 많은 석유를 수입한다. 섬에는 정제 시설이 없다. 석유 및 가스 수입, 유통 및 재수출은 세이셸 석유공사(Seychelles Petroleum Company영어, Sepec)가 담당하며, 석유 탐사는 세이셸 국영 석유 회사(Seychelles National Oil Company영어, SNOC)가 책임지고 있다.
정부는 석유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8. 사회와 주민
세이셸은 다양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어우러져 사는 다문화 사회이다. 크리올 문화가 사회 전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높은 문해율과 양호한 보건 및 복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8.1. 인구 구성

영국이 나폴레옹 전쟁 중 섬들을 장악했을 때, 그들은 프랑스 상류층이 토지를 유지하도록 허용했다. 프랑스와 영국 정착민 모두 아프리카 노예를 사용했고, 영국이 1835년 노예제를 금지했지만 아프리카 노동자들은 계속해서 들어왔다. 프랑스 출신의 그랑 블랑("위대한 백인")들이 경제와 정치 생활을 지배했다. 영국 행정부는 모리셔스와 마찬가지로 인도인을 계약 노동자로 고용하여 소규모 인도인 인구를 형성했다. 인도인들은 중국인 소수 민족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상인 계층에 속했다.
오늘날 세이셸은 민족과 문화의 융합체로 묘사된다. 수많은 세이셸인은 다인종으로 간주되며,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혈통이 섞여 현대적인 크리올 문화를 창조했다. 이러한 혼합의 증거는 프랑스, 중국, 인도, 아프리카 요리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한 세이셸 음식에서도 드러난다.
세이셸 섬에는 원주민이 없었기 때문에 현재의 세이셸인은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가장 큰 민족 집단은 아프리카, 프랑스, 인도, 중국 출신이었다. 세이셸인의 중앙값 연령은 34세이다. 2022년 추정 인구는 100,600명이다.
8.2. 언어
프랑스어와 영어는 세이셸 크레올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세이셸 크레올어는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로, 모리셔스와 레위니옹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관련이 있다. 세이셸 크레올어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국어이며 사실상 국가의 국어이다. 세이셸 크레올어는 종종 영어 단어와 구문이 섞여 사용된다. 인구의 약 91%가 세이셸 크레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5.1%는 영어, 0.7%는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사업 및 공식 회의는 영어로 진행되며 거의 모든 공식 웹사이트는 영어로 되어 있다. 국회 업무는 크레올어로 진행되지만 법률은 영어로 통과되고 공포된다.
타밀어 또한 세이셸에서 두드러진 언어로, 주로 인도-세이셸 공동체에서 사용되며, 이들은 국가의 다국어 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8.3. 종교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세이셸인은 기독교인이다. 61.3%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이들은 포르빅토리아 면제 교구의 사목을 받는다. 5.0%는 성공회 신자이고, 8.6%는 다른 기독교 종파를 따른다.
힌두교는 두 번째로 큰 종교로, 인구의 5.4% 이상이 믿고 있다. 힌두교는 주로 인도-세이셸인 공동체에서 신봉된다.
이슬람교는 인구의 1.6%가 믿고 있다. 기타 신앙은 인구의 1.1%를 차지하며, 나머지 5.9%는 무종교이거나 종교를 명시하지 않았다.
8.4. 교육
세이셸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문해율을 자랑한다. 미국 중앙정보국의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18년 기준 15세 이상 인구의 95.9%가 세이셸에서 읽고 쓸 수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세이셸에서는 정규 교육이 거의 제공되지 않았다. 가톨릭과 성공회 교회는 1851년에 선교 학교를 열었다. 가톨릭 선교부는 이후 정부가 1944년에 책임을 맡은 후에도 해외에서 온 수사들과 수녀들과 함께 남학교와 여학교 중등 학교를 운영했다.
교사 양성 대학은 1959년에 문을 열었고, 현지에서 훈련된 교사 공급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새로운 학교가 설립되었다. 1981년부터 무상 교육 제도가 시행되어 6세부터 시작하여 1학년부터 9학년까지 모든 아동의 출석이 의무화되었다. 모든 아동의 94%가 초등학교에 다닌다.
학령기 아동의 문해율은 1980년대 후반까지 90% 이상으로 상승했다. 많은 나이든 세이셸인들은 어린 시절에 읽고 쓰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성인 교육 수업은 성인 문해율을 60%에서 2020년에는 96%로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된다.
세이셸에는 총 68개의 학교가 있다. 공립 학교 시스템은 23개의 유치원, 25개의 초등학교, 13개의 중등학교로 구성된다. 이 학교들은 마에섬, 프라슬랭섬, 라디그섬, 실루엣섬에 위치해 있다. 또한, 에콜 프랑세즈, 국제 학교, 독립 학교 등 3개의 사립 학교가 있다. 모든 사립 학교는 마에섬에 있으며, 국제 학교는 프라슬랭섬에 분교가 있다. 7개의 고등 교육 기관(비고등 교육)이 있다: 세이셸 폴리테크닉, 고급 과정 학교, 세이셸 관광 아카데미, 세이셸 교육 대학교, 세이셸 기술 연구소, 해양 훈련 센터, 세이셸 농업 및 원예 훈련 센터, 국립 보건 및 사회 연구소.
정부는 두뇌 유출을 늦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학 설립 계획을 시작했다. 런던 대학교와 협력하여 시작된 세이셸 대학교는 2009년 9월 17일 세 곳에서 문을 열었으며, 런던 대학교의 자격을 제공한다.
8.5. 사회적 현안

가정에서는 어머니가 지배적인 경향이 있으며, 대부분의 지출을 통제하고 자녀의 이익을 돌본다. 미혼모는 사회적 규범이며, 법은 아버지가 자녀를 부양하도록 요구한다. 남성은 소득 능력 때문에 중요하지만, 가정에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주변적이다.
LGBT 권리와 관련하여, 동성애는 2016년부터 합법화되었다. 동성애를 비범죄화하는 법안은 14-0의 투표로 승인되었다. 성적 지향에 근거한 고용 차별은 세이셸에서 금지되어 있으며, 이는 LGBT 사람들을 위한 이러한 보호 조치를 갖춘 몇 안 되는 아프리카 국가 중 하나이다. 과거 높았던 수감률은 현재 크게 개선되었으며, 교정 제도의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9. 문화
세이셸 문화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의 영향이 혼합된 독특한 크리올 문화를 특징으로 한다. 전통 음악과 춤, 다채로운 음식 문화,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을 주제로 한 예술 활동이 활발하다.
9.1. 예술과 음악
국립 미술관은 1994년 국립 문화 센터 개관과 함께 문을 열었으며, 이 센터에는 국립 도서관과 국립 기록 보관소 및 기타 문화부 사무실이 있다. 개관식에서 문화부 장관은 세이셸 예술가, 화가, 조각가들의 작품 전시는 창의적인 표현 형태로서 세이셸 예술 발전의 증거이며, 국가 현대 미술의 현황을 보여준다고 선언했다. 화가들은 전통적으로 세이셸의 자연적 특징에서 영감을 받아 수채화에서 유화, 아크릴, 콜라주, 금속, 알루미늄, 목재, 직물, 구아슈, 바니시, 재활용 재료, 파스텔, 목탄, 엠보싱, 에칭, 지클리 인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로 광범위한 작품을 제작해 왔다. 현지 조각가들은 목재, 석재, 청동, 카르토나주로 훌륭한 작품을 제작한다. 빅토리아의 국립 미술관, 빅토리아의 전통 목조 주택 갤러리인 켄윈 하우스 갤러리와 카즈 자나나 미술관, 셀윈 클라크 시장 근처 세이셸 중국 문화 센터의 파고다 예술 디자인 갤러리, 에덴섬의 에덴 갤러리 등 섬 주변에는 여러 미술관이 있다.
음악과 춤은 항상 세이셸 문화와 지역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유럽 문화에 뿌리를 둔 음악은 특징적으로 탐부르와 탐탐과 같은 드럼과 간단한 현악기를 특징으로 한다. 바이올린과 기타는 비교적 최근에 들어온 외래 악기로 현대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기 있는 춤으로는 엉덩이를 흔들고 발을 끄는 세가와 노예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춤인 무티아가 있으며, 무티아는 종종 강한 감정과 불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세이셸 음악은 역사를 통해 문화가 융합된 것을 반영하여 다양하다. 섬의 민속 음악은 여러 영향을 혼합적인 방식으로 통합한다. 여기에는 아프리카 리듬, 미학 및 악기(예: 제즈 및 봄(브라질에서는 베림바우로 알려짐)), 유럽 콩트르당스, 폴카 및 마주르카, 프랑스 민속 및 팝, 모리셔스 및 레위니옹의 세가 음악, 타랍, 수쿠스 및 기타 범아프리카 장르, 그리고 폴리네시아, 인도 및 아르카디아 음악이 포함된다.
콘톰블리는 인기 있는 타악기 음악 형태이며, 케냐 벵가와 토착 민속 리듬이 융합된 무티아도 마찬가지이다. 유럽 콩트르당스에 기반한 콘트르단스도 특히 연례 크레올 축제(국제 크레올 축제) 기간 동안 지역 및 학교 대회에서 인기가 있다. 무티아 연주와 춤은 종종 해변 시장에서 열린다. 음악은 프랑스어의 세이셸 크레올어와 프랑스어 및 영어로 불린다.
2021년, 노예 무역 시대의 춤인 무티아는 고난, 빈곤, 예속 및 사회 부정의에 대한 저항의 역할에서 심리적 위안의 상징으로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9.2. 음식

세이셸의 주식에는 생선, 해산물, 조개류 요리가 포함되며 종종 쌀과 함께 제공된다. 생선 요리는 찌거나, 그릴에 굽거나, 바나나잎에 싸거나, 굽거나,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리된다. 쌀과 함께 제공되는 카레 요리도 이 나라 요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다른 주식으로는 코코넛, 빵나무 열매, 망고, 코르도니엔 생선이 있다. 요리는 종종 신선한 꽃으로 장식된다.
- 닭고기 요리, 예: 닭고기 카레와 코코넛 밀크.
- 코코넛 카레
- 달 (렌틸콩)
- 생선 카레
- 사프란 밥
- 신선한 열대 과일
- 라돕: 짭짤한 요리나 디저트로 먹는다. 디저트 버전은 보통 익은 플랜틴과 고구마 (그러나 카사바, 빵나무 열매 또는 심지어 코로솔을 포함할 수도 있음)를 코코넛 밀크, 설탕, 육두구, 꼬투리 형태의 바닐라와 함께 과일이 부드러워지고 소스가 크림처럼 될 때까지 끓여 만든다. 짭짤한 요리는 보통 소금에 절인 생선을 디저트 버전과 비슷한 방식으로 플랜틴, 카사바, 빵나무 열매와 함께 조리하지만, 설탕 대신 소금을 사용한다 (바닐라는 생략).
- 상어 처트니: 일반적으로 삶아서 껍질을 벗긴 상어를 잘게 으깨어 짜낸 빌림비 주스와 라임과 함께 조리한다. 양파와 향신료와 섞고, 양파는 기름에 볶아 조리한다.
- 채소
9.3. 대중 매체
주요 일간 신문은 세이셸 네이션으로, 지방 정부의 견해와 현재 주제를 다룬다. 다른 신문으로는 르 누보 세이셸 위클리(Le Nouveau Seychelles Weekly프랑스어), 더 피플(The People영어), 레가르(Regar프랑스어), 투데이 인 세이셸(Today in Seychelles영어) 등이 있다. 외국 신문과 잡지는 대부분의 서점과 신문 가판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신문은 주로 세이셸 크레올어, 프랑스어, 영어로 발행된다.
세이셸 방송 공사가 운영하는 주요 텔레비전 및 라디오 네트워크는 평일 오후 3시부터 11시 30분까지, 주말에는 더 긴 시간 동안 세이셸 크레올어로 현지 제작 뉴스 및 토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세이셸 지상파 텔레비전에는 수입된 영어 및 프랑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국제 위성 텔레비전이 빠르게 성장했다.
9.4. 스포츠
세이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며, 지난 10년 동안 인기가 크게 증가했다. 2015년 세이셸은 아프리카 비치 사커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10년 후, 세이셸은 2025년 FIFA 비치 사커 월드컵을 개최하여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FIFA 비치 사커 월드컵이 될 것이다.
크리켓 또한 인기 있는 스포츠로, 20세기에 영국인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1983년 세이셸 크리켓 협회가 설립되었고, 2010년 국제 크리켓 평의회에 가입했다.
9.5. 세계유산
세이셸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두 곳의 자연유산이 있다.
- 알다브라 환초: 1982년에 등재되었으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환초이다. 이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알다브라코끼리거북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으며, 다양한 조류와 해양 생물의 중요한 서식지이다.
- 발레 드 메 국립공원: 1983년에 등재되었으며, 프라슬랭섬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씨앗인 코코 드 메르 야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유 동식물이 서식하는 원시림이 잘 보존되어 있다.
10. 주요 인물
- 프랑스 알베르 르네: 세이셸의 제2대 대통령으로, 독립 이후 장기간 집권하며 국가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후 민주화와 시장 경제 도입을 이끌었다.
- 제임스 만참: 세이셸의 초대 대통령으로, 독립 당시 민주당을 이끌었으나 쿠데타로 실각했다. 이후 민주화 과정에서 다시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 웨이벨 람칼라완: 세이셸의 현직 대통령으로, 2020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43년 만의 정권 교체를 이루었다. 성공회 신부 출신으로 오랫동안 야당 지도자로 활동했다.
- 제임스 미셸: 세이셸의 제3대 대통령으로, 르네 대통령의 뒤를 이어 집권했으며, 경제 발전과 관광 산업 육성에 기여했다.
- 산드라 에스파론: 세이셸의 가수 겸 공연가.
- 소니아 그랑쿠르: 세이셸의 작가.
- 레지나 멜라니: 세이셸의 작가.
- 로렌스 노라: 세이셸의 여행 사진작가, 작가, 블로거.
- 장마르크 볼시: 세이셸의 음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