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교육
설경은 1990년 6월 8일 평양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유도 훈련을 시작했으며, 평양기계대학에서 학업과 선수 생활을 병행했다.
1.1. 출생과 초기 훈련
설경은 1990년 6월 8일 평양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11세 때부터 유도 훈련을 시작했으며, 평양기계대학 여자 유도팀 감독인 조일승에게 지도를 받았다. 조일승 감독은 그녀의 유도 실력을 조기에 발견하고 체계적인 훈련을 제공했다.
q=평양시|position=right
1.2. 교육과 초기 소속
은사인 조일승 감독의 지도 아래 설경은 평양기계대학에 입학했다. 이 대학에서 그녀는 식품공학을 전공했다. 동시에 평양기계대학의 스포츠팀 소속으로 유도 선수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는 그녀의 초기 선수 경력의 기반이 되었다.
2. 선수 경력
설경의 유도 경력은 국제 대회 데뷔부터 세계 선수권 우승, 그리고 올림픽 참가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성장을 보여준다.
2.1. 국제 대회 데뷔와 초기 성과
설경은 201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같은 해 10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2010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며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데뷔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여자 70kg급 결승에 진출했으나, 대한민국의 황예슬 선수와의 경기 도중 업어치기를 시도하다 머리가 바닥에 닿는 반칙을 범하여 실격패 판정을 받고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또한 이 대회 무제한급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q=광저우시|position=left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준결승에서 프랑스의 뤼시 도코스에게 대외꺾기 (오우치 가리)로 패배했고, 패자부활전에서도 일본의 구니하라 요리코에게 안뒤축후리기 (우치 마타) 유효(와자아리)로 패배하며 최종 7위에 머물렀다. 이어서 2011년 그랑프리 칭다오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2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월드컵 바르샤바에서 네덜란드의 킴 폴링을 배대뒤치기 (다니 오토시)로 꺾고 개인 첫 국제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아시아 선수권 대회 70kg급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하지만 당시 세계 랭킹 14위 안에 들지 못했기 때문에 2012년 런던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q=바르샤바|position=right
2.2. 세계 선수권 우승과 전성기
2013년에 설경은 체급을 78kg급으로 올려 경기에 임했다. 같은 해 아시아 선수권 대회 78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새로운 체급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2013년 8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201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인상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결승까지 진출했다. 준준결승에서는 일본의 사토 루카를 소매들어메치기 (소데 쓰리코미 고시) 유효(와자아리)로 꺾었다. 결승에서는 2009년 세계 챔피언인 네덜란드의 마르힌더 페르커르크와 맞붙었으며, 경기 초반 지도 2개를 먼저 내주며 불리한 상황에 처했으나, 업어치기 (세오이 나게) 유효(와자아리)를 성공시키며 역전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설경의 유도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같은 해 유니버시아드에서 7위,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q=리우데자네이루|position=right
2014년에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그랑프리 울란바토르 78kg급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8월에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프랑스의 오드리 최메오에게 패하며 최종 5위에 머물렀다.
2.3. 후기 경력과 올림픽 참가
2014년 9월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78kg급 결승에서 개최국 대한민국의 정경미에게 지도 2개 차이로 패배하며 두 번째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이 대회 여자 단체전 종목에서는 팀 동료들과 함께 동메달을 따냈다. 같은 해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 동메달을,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그랑프리 칭다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q=인천광역시|position=left
2015년에는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그랑프리 트빌리시 78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3월 튀르키예 삼순에서 열린 그랑프리 삼순에서는 준결승에서 영국의 내털리 파월에게 빠른 한판을 거두었으나, 기술 도중 상대의 관절을 꺾는 듯한 동작으로 소매들어메치기를 시도했다는 이유로 경기장 밖에서 실격 판정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녀는 이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
q=삼순 (도시)|position=right
2015년 5월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에서 열린 아시아 선수권 대회 78kg급 결승에서는 일본의 우메키 마미에게 골든 스코어 상황에서 굳히기 기술 중 하나인 삼각굳히기로 패배하며 은메달을 추가했다. 같은 해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그랑프리 타슈켄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4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16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의 다카야마 리카에게 패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6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출전했다. 이 대회는 설경의 첫 올림픽 출전이자 마지막 국제 대회였으며, 첫 경기에서 프랑스의 오드리 최메오에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3. Major competitive results
설경 선수가 출전했던 주요 국제 대회에서의 구체적인 성적과 순위를 목록 형태로 정리하여 제시합니다.
연도 | 대회 | 체급 | 성적 |
---|---|---|---|
2009 | 유니버시아드 | 무제한급 | 5위 |
2010 | 아시안 게임 | 70kg급 | 은메달 |
2010 | 아시안 게임 | 무제한급 | 7위 |
2011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70kg급 | 7위 |
2011 | 그랑프리 칭다오 | 70kg급 | 5위 |
2012 | 월드컵 바르샤바 | 70kg급 | 금메달 |
2012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70kg급 | 동메달 |
2013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78kg급 | 은메달 |
2013 | 유니버시아드 | 78kg급 | 7위 |
2013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78kg급 | 금메달 |
2013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78kg급 | 은메달 |
2014 | 그랑프리 울란바토르 | 78kg급 | 금메달 |
2014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78kg급 | 5위 |
2014 | 아시안 게임 | 78kg급 | 은메달 |
2014 | 아시안 게임 | 여자 단체전 | 동메달 |
2014 |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 78kg급 | 동메달 |
2014 | 그랑프리 칭다오 | 78kg급 | 금메달 |
2015 | 그랑프리 트빌리시 | 78kg급 | 동메달 |
2015 | 그랑프리 삼순 | 78kg급 | 5위 |
2015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78kg급 | 은메달 |
2015 | 그랑프리 타슈켄트 | 78kg급 | 동메달 |
2016 | 그랑프리 삼순 | 78kg급 | 동메달 |
2016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78kg급 | 동메달 |
4. Legacy
설경은 북한 유도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특히 201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북한 여성 유도 선수로서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달성했다. 이는 그녀의 강인한 정신력과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녀의 선수 생활 중 몇 차례 논란이 된 경기들이 있었지만, 이는 국제 유도 규정의 복잡성과 치열한 경쟁 상황에서 발생한 것으로, 그녀의 전반적인 기량과 메달 획득 능력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아시안 게임과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의 꾸준한 메달 획득은 그녀가 아시아 지역에서도 꾸준히 최상위권의 기량을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설경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지만, 그녀의 이름은 북한 유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후배 선수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그녀의 업적은 북한의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의 존재감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여성 유도 분야에서 북한의 기량과 잠재력을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