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모하메드 이브라힘 모하메드 알살라위(مُحَمَّد إِبْرَاهِيم مُحَمَّد السَّهْلَاوِيّ무함마드 이브라힘 무함마드 알살라위아랍어; 1987년 1월 10일 출생)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프로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현재 알사파 소속이다. 그는 알나스르 FC에서 프로 경력의 대부분을 보내며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우승을 여러 차례 경험한 핵심 선수였고, 2018년 FIFA 월드컵에도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알살라위는 2009년 알나스르 이적 당시 사우디 축구 역사상 최고 이적료 기록을 세웠으며, 득점왕과 올해의 신인 선수상 등 다양한 개인 수상을 통해 뛰어난 득점력을 인정받았다.
2. 생애 초기 및 경력 시작
모하메드 알살라위는 축구 경력의 초기 단계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빠르게 프로 무대에 안착했다.
2.1. 어린 시절과 배경
모하메드 이브라힘 모하메드 알살라위는 1987년 1월 10일 사우디아라비아 동부주 후푸프에서 태어났다. 그의 재능은 17세 때 "카르키즈" 챔피언십에 참여하면서 드러나기 시작했으며, 당시 알카디시야 FC 핸드볼 팀의 행정 담당자였던 아델 보디의 권유로 알카디시야에 입단하게 되었다. 초기 계약 조건은 4.00 만 SAR와 자동차 한 대였다.
2.2. 초기 축구 경력
알카디시야에 입단한 알살라위는 단 두 시즌 만인 2006-07 시즌에 1군 팀에 합류했다. 이 시기는 야세르 알카타니가 당시 사우디 축구 사상 최고 이적료로 알힐랄로 이적하면서 주목받던 때였다. 알살라위는 팀 동료인 유세프 알살렘과 함께 알카디시야 공격의 책임을 맡아야 했다. 그러나 구단 내 행정 문제로 인해 그는 벤치로 밀려나는 어려운 시기를 겪기도 했으며, 동시에 사우디 올림픽 대표팀의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었다.
알카디시야가 1부 리그로 강등되고 대부분의 스타 선수들이 팀을 떠난 후, 알살라위는 알파테 FC로 임대되어 5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다른 팀들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그는 알카디시야로 복귀했다. 복귀 시즌에 그는 18골 8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시즌 종료 후, 그는 알카디시야와 3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 금액은 300.00 만 SAR에 달했다. 그는 2008 시즌에 사우디 1부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프로 경력의 시작 단계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었다.
3. 클럽 경력
알살라위는 알카디시야 FC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알나스르 FC에서 전성기를 보낸 후 다양한 클럽에서 활약했다.
3.1. 알카디시야 FC
알살라위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알카디시야에서 뛰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1군 팀에 빠르게 합류했으나, 구단의 행정 문제와 사우디 1부 리그로의 강등을 경험하기도 했다. 강등 후 알파테 FC로 잠시 임대되었지만, 1골을 기록한 뒤 알카디시야로 돌아와 2008-09 시즌에 18골 8도움의 맹활약을 펼치며 팀의 사우디 1부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이 시즌에 그는 리그 득점왕 타이틀도 획득했다.
3.2. 알나스르 FC
2009년 알살라위는 알나스르로 이적하며 사우디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의 이적료는 3200.00 만 SAR (약 800.00 만 USD)로, 당시 야세르 알카타니의 기록을 경신하는 사우디 축구 역사상 최고 이적료였다.

알나스르에서의 첫 시즌(2009-10)에 그는 36경기에서 21골을 터뜨리며 즉시 팀의 핵심 공격수로 자리매김했고, STC 올해의 신인 선수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IFFHS(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로부터 세계 최고의 득점원 중 한 명으로 선정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활약은 알나스르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그는 팀이 2013-14, 2014-15, 2018-19 시즌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에서 우승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2013-14 시즌에는 사우디 크라운 프린스컵 우승컵을 들어 올리기도 했다. 알나스르 소속으로 알살라위는 리그, 컵, 리그 컵 외에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컵, GCC 챔피언스 리그,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사우디 슈퍼컵 등 다양한 '기타' 대회에서도 출전하며 중요한 활약을 펼쳤다. 2018년 3월 29일, 그는 다가오는 2018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3주간 훈련에 참여하는 기회를 얻기도 했다.
3.3. 이후의 클럽 경력
알나스르를 떠난 후 알살라위는 여러 클럽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 2019년 8월 2일, 그는 알샤바브 FC에 자유 계약으로 이적했다.
- 2019-20 시즌 중반에는 알타아운 FC로 이적하여 2020-21 시즌까지 뛰었으며, 총 20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 2021년 8월 2일, 그는 카타르의 무아이자르 SC로 이적하며 해외 리그 경험을 했다.
- 2021년 12월 14일, 그는 알하젬 FC에 자유 계약으로 합류하며 다시 사우디아라비아 리그로 돌아왔다.
- 2023년 9월 16일, 그는 현재 소속팀인 사우디 1부 리그의 알사파에 입단했다.
4. 국가대표 경력
알살라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연령별 대표팀과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하며 국가대표팀의 주요 공격 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
4.1. 연령별 대표팀
알살라위는 U-20 대표팀과 U-23 대표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2006년 AFC U-19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이라크 U-20을 상대로 52분에 첫 골을 기록하며 2-2 무승부에 기여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U-20과의 경기에서는 13분 만에 득점하여 팀의 2-0 승리를 이끌었으나, 8강전에서는 일본 U-20에 1-2로 패하며 대회를 마쳤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U-23 대표팀 소속으로 요르단 U-23을 상대로 2골을 기록하며 팀의 4-1 승리에 일조했다.
4.2. 성인 국가대표팀
알살라위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그의 국가대표팀 데뷔골은 2010년 5월 29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스페인과의 친선 경기에서 기록되었으나, 팀은 2-3으로 패했다.
그는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뛰어난 득점력을 선보이며 팀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15년 9월 3일, 그는 동티모르와의 경기에서 첫 성인 대표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7-0 대승을 이끌었다. 이어서 같은 해 11월 17일, 다시 동티모르를 상대로 5골을 폭발시키며 10-0 대승에 기여했다. 그의 활약은 사우디아라비아가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2018년 5월, 그는 러시아에서 열리는 2018년 FIFA 월드컵의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고, 6월 4일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5. 경력 통계
모하메드 알살라위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출전 및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리그 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
디비전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
알카디시야 | 2005-06 | 프리미어리그 | 8 | 1 | - | 1 | 3 | - | 0 | 0 | 9 | 4 | ||
2006-07 | 11 | 2 | - | 0 | 0 | - | 5 | 2 | 14 | 4 | ||||
2007-08 | 13 | 3 | - | 1 | 1 | - | 4 | 1 | 17 | 5 | ||||
2008-09 | 1부 리그 | 20 | 15 | - | 3 | 3 | - | 0 | 0 | 23 | 18 | |||
총계 | 52 | 21 | 0 | 0 | 5 | 7 | 0 | 0 | 9 | 3 | 66 | 31 | ||
알파테 (임대) | 2007-08 | 1부 리그 | 5 | 1 | - | 0 | 0 | 5 | 1 | |||||
알나스르 | 2009-10 | 프로 리그 | 20 | 11 | 2 | 1 | 2 | 0 | - | 11 | 10 | 35 | 22 | |
2010-11 | 20 | 5 | 1 | 0 | 1 | 0 | 6 | 1 | - | 28 | 6 | |||
2011-12 | 22 | 15 | 5 | 1 | 2 | 1 | - | 29 | 17 | |||||
2012-13 | 25 | 10 | 2 | 1 | 4 | 3 | - | 4 | 2 | 35 | 16 | |||
2013-14 | 23 | 17 | 1 | 0 | 2 | 1 | - | 26 | 18 | |||||
2014-15 | 24 | 21 | 5 | 2 | 3 | 1 | 4 | 0 | 1 | 1 | 37 | 25 | ||
2015-16 | 20 | 5 | 1 | 2 | 3 | 3 | 4 | 0 | 1 | 0 | 29 | 10 | ||
2016-17 | 21 | 8 | 3 | 1 | 3 | 2 | - | 27 | 11 | |||||
2017-18 | 19 | 10 | 2 | 2 | - | 3 | 0 | 24 | 12 | |||||
2018-19 | 11 | 1 | 1 | 0 | - | 0 | 0 | 3 | 1 | 15 | 2 | |||
총계 | 205 | 103 | 23 | 10 | 20 | 11 | 14 | 1 | 23 | 14 | 279 | 131 | ||
알샤바브 | 2019-20 | 프로 리그 | 7 | 0 | 2 | 1 | - | 2 | 1 | 11 | 2 | |||
알타아운 | 2019-20 | 8 | 2 | 0 | 0 | - | 5 | 1 | - | 13 | 3 | |||
2020-21 | 12 | 0 | 1 | 0 | - | - | - | 13 | 0 | |||||
총계 | 20 | 2 | 1 | 0 | 0 | 0 | 5 | 1 | 0 | 0 | 26 | 3 | ||
커리어 총계 | 289 | 127 | 26 | 11 | 25 | 18 | 19 | 2 | 34 | 18 | 393 | 176 |
5.2. 국가대표팀 통계
사우디아라비아 | ||
---|---|---|
연도 | 출전 | 골 |
2010 | 1 | 1 |
2011 | 3 | 1 |
2012 | 5 | 2 |
2013 | 2 | 0 |
2014 | 2 | 0 |
2015 | 10 | 18 |
2016 | 3 | 2 |
2017 | 7 | 4 |
2018 | 9 | 0 |
총계 | 42 | 28 |
5.3.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사우디아라비아의 득점 기록이 먼저 제시된다.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 2005년 11월 23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 이라크 U-20 | 2-0 | 2-0 | 2006년 AFC U-19 챔피언십 예선 |
2. | 2005년 11월 25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 아랍에미리트 U-20 | 0-0 | 3-1 | 2006년 AFC U-19 챔피언십 예선 |
3. | 2005년 11월 25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 아랍에미리트 U-20 | 1-0 | 3-1 | 2006년 AFC U-19 챔피언십 예선 |
4. | 2006년 6월 22일 | 스리 칸티라바 스타디움, 방갈로르 | 시리아 U-20 | 1-0 | 1-1 | 2006년 AFC U-19 챔피언십 |
5. | 2006년 6월 22일 | 스리 칸티라바 스타디움, 방갈로르 | 싱가포르 U-20 | 0-0 | 1-0 | 2006년 AFC U-19 챔피언십 |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 2007년 5월 17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 요르단 U-23 | 2-0 | 4-1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
2. | 2007년 5월 17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 요르단 U-23 | 4-0 | 4-1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
# | 날짜 | 장소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1. | 2010년 5월 29일 | 티볼리 노이, 인스브루크, 오스트리아 | 스페인 | 2-2 | 2-3 | 친선 경기 |
2. | 2011년 7월 28일 | 사이사이완 스포츠 그라운드, 홍콩 | 홍콩 | 4-0 | 5-0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3. | 2012년 6월 22일 | 킹 파흐드 스타디움, 타이프, 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1-0 | 4-0 | 2012년 아랍 네이션스컵 |
4. | 4-0 | |||||
5. | 2015년 1월 14일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 | 4-1 | 2015년 AFC 아시안컵 |
6. | 3-1 | |||||
7. | 2015년 1월 18일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우즈베키스탄 | 1-1 | 1-3 | |
8. | 2015년 3월 30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사우디아라비아 | 요르단 | 1-0 | 2-1 | 친선 경기 |
9. | 2-1 | |||||
10. | 2015년 6월 11일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사우디아라비아 | 팔레스타인 | 2-0 | 3-2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
11. | 3-2 | |||||
12. | 2015년 9월 3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동티모르 | 2-0 | 7-0 | |
13. | 3-0 | |||||
14. | 6-0 | |||||
15. | 2015년 9월 8일 | 샤 알람 스타디움, 샤 알람,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 2-1 | 2-1 | |
16. | 2015년 10월 8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1-1 | 2-1 | |
17. | 2-1 | |||||
18. | 2015년 11월 17일 | 딜리 국립경기장, 딜리, 동티모르 | 동티모르 | 1-0 | 10-0 | |
19. | 4-0 | |||||
20. | 5-0 | |||||
21. | 6-0 | |||||
22. | 8-0 | |||||
23. | 2016년 3월 24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말레이시아 | 1-0 | 2-0 | |
24. | 2016년 8월 24일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라오스 | 2-0 | 4-0 | 친선 경기 |
25. | 2017년 1월 14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카메룬 | 4-2 | 7-2 | 친선 경기 |
26. | 6-2 | |||||
27. | 2017년 3월 23일 | 라자망갈라 스타디움, 방콕, 태국 | 태국 | 1-0 | 3-0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28. | 2017년 6월 8일 | 애들레이드 오벌,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2-2 | 2-3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6. 수상 및 영예
모하메드 알살라위는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다양한 개인 및 팀 타이틀을 획득했다.
6.1. 클럽 수상
- 알카디시야
- 사우디 1부 리그: 우승 (2008-09)
- 알나스르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우승 (2013-14, 2014-15, 2018-19), 3위 (2009-10, 2016-17, 2017-18)
- 사우디 크라운 프린스컵: 우승 (2013-14), 준우승 (2012-13, 2016-17)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컵: 준우승 (2012, 2015, 2016)
- 사우디 슈퍼컵: 준우승 (2014, 2015)
6.2. 개인 수상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올해의 선수: 2013-14, 2014-15
- STC 올해의 신인 선수: 2009
- 사우디 1부 리그 득점왕: 2008-09
- 베스트 걸프 플레이어: 2015
6.3. 국가대표팀 영예
- FIFA 아랍컵: 4위 (2012)
7. 같이 보기
- 알나스르 FC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FIFA 월드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