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데일 미첼은 북미 축구 리그(NASL)와 캐나다 축구 리그(CSL), 미국 프로 축구 리그(APSL) 등 여러 리그에서 클럽 선수로 활약했으며, 국제적으로는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FIFA 월드컵과 올림픽에 참가하여 중요한 득점을 기록했다.
1.1. 클럽 경력
데일 미첼은 밴쿠버 화이트캡스에서 1977년과 1978년 두 시즌 동안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포틀랜드 팀버스에서 1979년부터 1982년까지 4년간 뛰었고, 1983년에는 몬트리올 매닉 소속으로 활약했다.
그는 CSL와 APSL에 속한 밴쿠버 86ers의 창단 멤버로, 1988년부터 1990년, 그리고 1992년부터 1994년 시즌 동안 37골을 기록했다. 1991년 시즌에는 토론토 블리자드에서 뛰었다.
또한 미첼은 메이저 인도어 사커 리그(MISL)에서 9시즌 동안 인도어 사커 선수로도 활동했다. 그는 타코마 스타즈, 캔자스시티 코메츠, 그리고 볼티모어 블래스트에서 뛰었다. 그는 MISL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골(406골)을 기록했으며, 총 686포인트(406골, 280어시스트)로 포인트 부문에서 네 번째에 올랐다.
1.2. 국가대표 경력
데일 미첼은 1980년 9월 15일 밴쿠버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친선전에서 캐나다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는 1993년 8월 15일 시드니에서 열린 호주와의 월드컵 예선 경기였다.
그는 FIFA 월드컵 예선에 22경기 출전했으며, 캐나다가 유일하게 본선에 진출했던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소련과의 조별 리그 세 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이 월드컵 대표팀에는 칼 밸런타인, 조지 파코스, 브랑코 세고타 등 캐나다 축구의 주요 인물들이 함께했다.
미첼은 또한 1984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 캐나다 대표팀의 모든 경기에 출전했으며, 3골을 기록했다. 특히 브라질과의 8강전에서는 동점골을 넣어 경기를 연장전으로 이끌었고, 결국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패배했다. 이 팀에는 밥 레나르두치, 데이비드 노먼, 폴 제임스 등 주요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1.2.1.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데일 미첼이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기록한 국제 경기 득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 날짜 | 경기장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1980년 9월 15일 | 엠파이어 스타디움, 밴쿠버, 캐나다 | 뉴질랜드 | 2-0 | 4-0 | 친선전 |
2 | 1980년 9월 15일 | 엠파이어 스타디움, 밴쿠버, 캐나다 | 뉴질랜드 | 3-0 | 4-0 | 친선전 |
3 | 1980년 11월 11일 | 에스타디오 마테오 플로레스, 과테말라시, 과테말라 | 과테말라 | 1-0 | 1-0 | 친선전 |
4 | 1981년 10월 12일 | 스키너 파크, 산 페르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0 | 4-2 | 친선전 |
5 | 1981년 10월 12일 | 스키너 파크, 산 페르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 4-1 | 4-2 | 친선전 |
6 | 1985년 4월 20일 | 로열 애슬레틱 파크, 빅토리아, 캐나다 | 과테말라 | 1-0 | 2-1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7 | 1985년 4월 20일 | 로열 애슬레틱 파크, 빅토리아, 캐나다 | 과테말라 | 2-0 | 2-1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8 | 1985년 5월 5일 | 에스타디오 마테오 플로레스, 과테말라시, 과테말라 | 과테말라 | 1-0 | 1-1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9 | 1985년 5월 8일 | 스타드 실비오 카토르, 포르토프랭스, 아이티 | 아이티 | 1-0 | 2-0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10 | 1985년 6월 2일 | 동대문운동장, 서울, 대한민국 | 가나 | 2-1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
11 | 1988년 10월 2일 | 퀸즈 파크 오벌,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 2-1 | 2-1 | 친선전 |
12 | 1988년 10월 15일 | 스왕가드 스타디움, 버나비, 캐나다 | 과테말라 | 1-2 | 3-2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13 | 1988년 10월 15일 | 스왕가드 스타디움, 버나비, 캐나다 | 과테말라 | 2-2 | 3-2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14 | 1991년 6월 28일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온두라스 | 1-4 | 2-4 | 1991년 CONCACAF 골드컵 |
15 | 1991년 6월 28일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온두라스 | 2-4 | 2-4 | 1991년 CONCACAF 골드컵 |
16 | 1991년 7월 3일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로스앤젤레스, 미국 | 자메이카 | 1-0 | 3-2 | 1991년 CONCACAF 골드컵 |
17 | 1992년 10월 18일 | 내셔널 스타디움, 킹스턴, 자메이카 | 자메이카 | 1-1 | 1-1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18 | 1992년 11월 1일 | 바시티 스타디움, 토론토, 캐나다 | 자메이카 | 1-0 | 1-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19 | 1992년 11월 8일 | 스왕가드 스타디움, 버나비, 캐나다 | 엘살바도르 | 2-2 | 2-3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2.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데일 미첼은 밴쿠버 86ers의 리저브 팀 감독과 1군 코치를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역임했다. 1999년 팀이 밴쿠버 화이트캡스로 재편되면서 칼 밸런타인의 뒤를 이어 클럽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는 캐나다 U-20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다. 2004년에는 프랭크 얄롭 감독을 보좌하여 성인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예선전에서 수석 코치로 활동했다. 2007년 5월, 그는 캐나다 남자 성인 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200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캐나다는 멕시코와 온두라스와 함께 소위 '죽음의 조'에 속하며 CONCACAF 3차 예선에서 더 이상 진출하지 못했다. 결국 2009년 3월 27일, 미첼은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
3. 영예 및 유산
데일 미첼은 캐나다 축구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으며, 여러 중요한 영예를 안았다. 2002년에는 캐나다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캐나다 축구 역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12년에는 캐나다 축구 협회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선정된 올 타임 캐나다 남자 XI 팀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그가 캐나다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14년 3월에는 인도어 사커에서의 뛰어난 활약을 인정받아 인도어 사커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그는 한때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19골)을 보유했던 선수로서, 캐나다 축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선수와 감독으로서 캐나다 축구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