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피터 쿡은 1936년 10월 22일 잉글랜드 에식스주 사우스엔드온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많지 않지만, 건축가로서의 그의 삶은 학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1. 출생 및 어린 시절
쿡은 1936년 10월 22일 에식스주 사우스엔드온시에서 태어났다.
1.2. 학력
그는 1953년부터 1958년까지 본머스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이후 런던의 건축협회 건축학교(Architectural Association School of Architecture)에 입학하여 1960년에 졸업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2. 주요 활동 및 업적
피터 쿡은 건축가, 교육자, 작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건축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주요 활동은 급진적인 건축 그룹 '아키그램'에서의 역할부터 실제 건축 프로젝트, 학술 및 교육 활동, 그리고 전 세계적인 전시 및 큐레이터 활동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펼쳐진다.
2.1. 아키그램 활동
피터 쿡은 1960년대에 결성된 급진적인 건축 그룹 아키그램(Archigram)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다. 아키그램은 당시의 전통적인 건축 관념에 도전하며, 미래 지향적이고 실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그들은 '즉석 도시'(Instant City), '플러그인 도시'(Plug-in City)와 같은 개념을 통해 이동성, 유연성, 일시성 등을 강조하며 건축이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을 넘어선 사회적, 문화적 현상임을 역설했다. 아키그램의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건축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고, 이후의 하이테크 건축, 해체주의 건축 등 다양한 현대 건축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아키그램의 공헌은 2002년 왕립 영국 건축가 협회(RIBA)로부터 RIBA 골드 메달을 수상하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2. 건축 실무 및 주요 작품
피터 쿡은 이론과 교육 활동 외에도 실제 건축 실무를 통해 자신의 비전을 구현했다. 그는 오사카, 나고야, 베를린, 마드리드 등 여러 도시에 건물을 설계했다.
그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오스트리아 그라츠에 위치한 쿤스트하우스 그라츠이다. 2003년 콜린 푸르니에와 공동으로 설계한 이 건물은 '친근한 외계인'(The Friendly Alien)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그 독특하고 유기적인 형태로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 쿤스트하우스 그라츠는 2004년 스털링 상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2007년부터 2019년까지는 개빈 로보탐과 함께 CRAB 스튜디오(Cook Robotham Architectural Bureau Ltd)를 운영했다. CRAB 스튜디오의 주요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다.
- 2013년: 오스트리아 빈의 빈 경제대학교 신축 법학부 건물.
- 2013년: 오스트레일리아 골드코스트의 본드 대학교 아비디안 건축학부(Abedian School of Architecture). 이 건물은 호주에서 가장 최신 건축 학교 중 하나로, 브릿 안드레센과도 협력하여 설계되었다.
- 2016년 3월: 영국 내 첫 건축물인 본머스 예술대학교 드로잉 스튜디오. 이 스튜디오는 저명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개관했다.
- 2021년: 본머스 예술대학교 이노베이션 스튜디오. 이 건물은 오딜 데크가 개관했다.
현재 피터 쿡은 에를렌드 블락스타드 하프너와 브랑코 벨라체비치와 함께 CHAP(Cook Haffner Architecture Platform Ltd)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CHAP는 런던, 베오그라드, 오슬로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2.3. 학술 및 교육 활동
피터 쿡은 건축 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수많은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70년부터 1972년까지 런던의 현대미술연구소(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이사를 역임했다. 또한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바틀렛 건축대학원(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에서 건축학과장을 지냈다.
그는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의 선임 연구원이며, 로열 아카데미,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의 슈테델 미술대학(Hochschule fur Bildende Kunste)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현재 그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명예 교수이자 왕립예술원 건축학 교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슈테델 미술대학의 종신 교수,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의 선임 연구원, 본머스 예술대학교의 명예 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헤센 건축가 협회(Hessische Architektenkammer) 회원, RIBA 및 건축가 등록 위원회(Architects Registration Board, ARB) 회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펠로우이기도 하다.
2.4. 전시 및 큐레이터 활동
피터 쿡은 전 세계에서 전시를 기획하고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자신의 작품과 건축적 아이디어를 대중에게 선보였다. 그는 런던의 아트넷(Art Net) 이사를 역임했으며, 2004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영국관 큐레이터, 2006년 키프로스관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아키그램 관련 전시는 1994년부터 빈, 파리, 뉴욕, 런던, 파사데나, 시카고, 밀라노, 함부르크, 서울, 미토, 타이베이, 위니펙, 취리히, 크라쿠프, 사라고사, 브뤼셀, 로테르담 등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순회 전시되었다.
그의 개인 작품 전시 또한 로스앤젤레스, 도쿄, 오슬로, 베를린, 오사카, 프랑크푸르트 등 다양한 도시에서 여러 차례 개최되었다. 그는 또한 조르주 퐁피두 센터, 디자인 박물관,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 등 유명 미술관뿐만 아니라 성, 창고, 차고 등 비전통적인 공간에서도 전시를 기획하고 참여했다.
3. 수상 및 영예
피터 쿡은 건축가이자 교육자로서 수많은 수상과 영예를 얻으며 그의 업적을 인정받았다.
- 1960년: 헨리 플로렌스 학생상 (AA 스쿨, 빌딩 센터 연구 장학생)
- 1961년: 피카딜리 서커스 공모전 (가작)
- 1962년: 가스 공사 주택 설계 (1등상)
- 1965년: 선데이 타임스 전시회 '젊은 영국 디자이너' 선정
- 1969년: 그레이엄 재단으로부터 '인스턴트 시티' 프로젝트 연구비 지원
- 1996년: 국제 건축가 연맹(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 장 춤미 메달(Jean Tschumi Medal)
- 2002년: RIBA 애니 스핑크 상 (데이비드 그린과 공동 수상, 건축 교육에 대한 공헌)
- 2002년: RIBA RIBA 골드 메달 (아키그램과 공동 수상)
- 2003년: 프랑스 공화국 예술문화훈장 코망되르(Commandeur de l'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 2004년: 쿤스트하우스 그라츠로 스털링 상 최종 후보 (콜린 푸르니에와 공동)
- 2007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생일 서훈 명단에 올라 기사 작위 수여 (건축 분야 공로)
- 2008년: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 선임 연구원
- 2010년: 멕시코시티 마리오 파니 건축상(Mario Pani Award for Architecture)
- 2010년: 스웨덴 룬드 대학교 명예 공학 박사
그는 또한 여러 건축 공모전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1970년: 몬테카를로 엔터테인먼트 센터 (아키그램과 공동)
- 1990년: 독일 란트슈툴 태양열 주택 (크리스틴 홀리와 공동)
- 1992년: 오스트리아 고대 유물 박물관 (크리스틴 홀리와 공동)
- 2000년: 쿤스트하우스 그라츠 (콜린 푸르니에와 공동)
- 2006년: 이탈리아 베르바니아 신극장 (개빈 로보탐과 공동)
- 2009년: 빈 경제대학교 법학부(D3) 및 중앙 행정부(AD) 건물 (개빈 로보탐과 공동)
- 2010년: 타이완 타워 국제 공모전 2등상 (개빈 로보탐과 공동)
-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골드코스트 본드 대학교 아비디안 건축학부 (개빈 로보탐, 브릿 안드레센과 공동)
- 2013년: 이스라엘 국립 경기장 공모전 최종 후보 (CRAB + POPULOUS)
- 2013년: 골드 코스트 문화 지구 공모전 최종 후보
4. 저술 활동
피터 쿡은 건축에 관한 다양한 서적, 논문, 전시 카탈로그 등을 저술하며 자신의 건축 철학과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그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1967년: Architecture: Action and Plan. 런던: 스튜디오 비스타.
- 1970년: Experimental Architecture. 런던/뉴욕: 스튜디오 비스타/유니버설 북스.
- 1972년: Archigram. 런던: 스튜디오 비스타/라인홀드, 비르크하우저.
- 1975년: Melting Architecture. 런던: 피터 쿡 (아트넷 전시회 동반 출판).
- 1976년: Art Net The Rally: Forty London Architects. 런던: 아트넷/피터 쿡 (아트넷 전시회 동반 출판).
- 1976년: Arcadia: The Search for the Perfect Suburb. 런던: 아트넷/피터 쿡.
- 1980년: Six Houses (크리스틴 홀리와 공동). 런던: AA 출판 (건축협회 전시회 동반 출판).
- 1983년: Los Angeles Now (바바라 골드스타인과 공동). 런던: AA 출판 (건축협회 전시회 동반 출판).
- 1985년: Peter Cook - 21 Years, 21 Ideas. 크리스틴 홀리; 서문: 레이너 밴햄. 건축협회 전시 카탈로그. 런던: AA 출판.
- 1985년: Lebbeus Woods (편집; 올리브 브라운과 공동); 건축협회 전시 카탈로그. 런던: AA 출판.
- 1987년: Cities (크리스틴 홀리와 공동); 전시 카탈로그. 런던: 피셔 파인 아트.
- 1989년: Peter Cook 1961-89. A+U.
- 1991년: New Spirit in Architecture (로지 르웰린-존스와 공동). 뉴욕: 리졸리.
- 1993년: Six Conversations. 런던: 아카데미 에디션, Architectural Monographs Special Issue, No. 28.
- 1996년: Primer. 런던: 아카데미 에디션.
- 1999년: Archigram. 런던/뉴욕: 프린스턴 건축 출판 (일본어, 독일어, 중국어 번역판 포함).
- 1999년: Zvi Hecker, House of the Book (기여자, 존 헤이둑, 헬렌 비네와 공동). 런던: 블랙 독.
- 1999년: The Power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닐 스필러와 공동). 런던: 아카데미 에디션.
- 2000년: Bartlett Book of Ideas. 런던: 바틀렛 건축대학원.
- 2001년: The Paradox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기여자). 치체스터: 와일리-아카데미.
- 2003년: The City, Seen As A Garden Of Ideas. 뉴욕: 모나첼리.
- 2008년: Drawing: The Motive Force of Architecture. 치체스터: 와일리. 2판은 2014년에 출판되었다.
- 2016년: Architecture Workbook: Design through Motive. 치체스터: 와일리.
- 2021년: Lives in Architecture: Peter Cook. 런던: RIBA 퍼블리싱.
5. 개인사
피터 쿡은 이스라엘의 건축가 야엘 레이즈너와 결혼했다. 그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의 건축 활동과 학술적 기여가 그의 삶의 중심을 이루었다.
6. 평가 및 영향
피터 쿡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 건축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혁신적인 건축 철학과 교육 방식은 후대 건축가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으며, 건축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6.1. 긍정적 평가
피터 쿡은 특히 아키그램 활동을 통해 건축이 단지 기능적인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미래를 상상하는 도구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의 '즉석 도시'나 '플러그인 도시'와 같은 개념들은 건축이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하는 유기체일 수 있다는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이후의 하이테크 건축, 해체주의 건축, 그리고 지속 가능한 건축 등 다양한 현대 건축 사조에 영향을 미쳤다.
교육자로서의 그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바틀렛 건축대학원 학과장 재임 시절, 그는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과정을 도입하여 많은 젊은 건축가들이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사고하도록 독려했다. 그의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건축을 예술적 표현이자 사회적 비판의 수단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실제 건축 작품에서도 그의 혁신성은 드러난다. 쿤스트하우스 그라츠는 그 독특한 형태와 주변 환경과의 대비를 통해 건축이 도시의 랜드마크이자 문화적 아이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건물은 '친근한 외계인'이라는 별명처럼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서면서도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된다.
그는 건축을 드로잉, 글쓰기, 전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탐구하고 소통했으며, 이는 건축가로서의 그의 다층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피터 쿡은 단순한 건축가를 넘어, 건축의 미래를 끊임없이 질문하고 탐구하는 선구자이자 비전가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