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멜룰리는 튀니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프랑스로 이주하여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미국에서 학업과 선수 생활을 병행했다.
1.1. 출생 및 성장 배경
우사마 멜룰리는 1984년 2월 16일 튀니지의 라 마르사에서 태어났다. 그는 15세의 나이에 튀니지를 떠나 프랑스로 이주하여 학업과 수영 훈련을 병행했다. 프랑스 마르세유에 위치한 리세 테크놀로지크 뒤 랑파르(Lycee Technologique du Rempart)를 졸업했다.
1.2. 학업 및 미국 대학 생활
멜룰리는 2003년 미국의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SC)에 입학하여 컴퓨터 과학 학사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2007년에 컴퓨터 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는 USC의 수영팀인 USC 트로잔스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올림픽 솔리다리티 프로그램의 장학금을 받았다. 그는 또한 튀니지의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 수영 클럽 소속으로도 활동했다.
2. 수영 경력
멜룰리는 2000년대 초반부터 국제 무대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도핑 징계 이후에도 꾸준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며 다양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기록했다.
2.1. 초기 경력 및 국제 대회 데뷔 (2000-2005)
멜룰리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43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무대에 데뷔했다. 이듬해인 2001년 튀니지 튀니스에서 열린 지중해 게임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 첫 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3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이 대회에서 그는 라슬로 체흐와 당시 마이클 펠프스의 세계 기록 수립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5위를 기록하며 아프리카 신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FINA 쇼트 코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튀니지 수영 역사상 최초의 국제 대회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대회에서 그는 2위와 3위 선수들을 1초 이상 앞서며 우승했으며, 200 m 개인혼영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2005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400 m 개인혼영과 400 m 자유형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스페인 알메리아에서 열린 지중해 게임에서는 남자 800 m 자유형, 200 m 개인혼영, 400 m 개인혼영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다.
2.2. 도핑 규정 위반 및 징계
2006년 12월 1일 미국 웨스트 라피엣에서 열린 미국 오픈 수영 대회 남자 400 m 개인혼영에서 4분 15.61초의 기록으로 마이클 펠프스를 제치고 우승했으나, 이 대회에서 실시된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이 나왔다. 약물 검출 사실은 2007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후에 알려졌다.
멜룰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D) 치료제인 애더럴(Adderall)을 복용했다고 인정했다. 애더럴은 암페타민 계열의 흥분제로, 금지 약물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그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다른 학생으로부터 약물을 받았으며, 수영 실력 향상이 아닌 학업(기말 보고서 작성)에 도움을 받기 위해 복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암페타민은 수영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로 분류된다.
튀니지 당국은 멜룰리의 양성 반응 사실을 인지하고도 경고 조치만 내렸으나, 국제 수영 연맹(FINA)은 금지 약물 양성 반응 시 2년 출전 정지를 규정하고 있었기에 더 강력한 제재를 요구하며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제소했다.
2007년 9월 11일, CAS는 멜룰리에게 2006년 11월 30일부터 소급 적용되는 18개월의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다. 이로 인해 2006년 미국 오픈 대회부터 2007년까지 그가 출전한 모든 대회의 기록이 무효화되었다. 여기에는 2007년 멜버른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남자 400 m 자유형 은메달, 800 m 자유형 금메달(당시 아프리카 신기록), 400 m 개인혼영 4위 기록 등이 포함되었다. 징계 기간은 2008년 올림픽 출전 자격 획득 기간의 대부분을 포함했으나, 멜룰리는 징계 해제 후 남은 짧은 기간 동안 올림픽 출전 자격을 다시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2.3. 주요 대회 성과 (2008-2013)
도핑 징계 복귀 이후 멜룰리는 다시 한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선보이며 주요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2.3.1. 2008 베이징 올림픽
멜룰리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남자 400 m 자유형과 1500 m 자유형 두 종목에 출전했다. 400 m 자유형에서는 아프리카 신기록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5위에 그쳤다. 그러나 1500 m 자유형에서는 당시 세계 기록 보유자이자 3연패를 노리던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랜트 해킷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아프리카 남자 수영 선수로는 최초로 올림픽 개인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사례이며, 튀니지 역사상으로는 육상 선수 모하메드 감무디 이후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이었다.
2.3.2. 2009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09년 이탈리아 페스카라에서 열린 지중해 게임에서 멜룰리는 200 m 개인혼영, 400 m 개인혼영, 200 m 자유형, 400 m 자유형, 1500 m 자유형에서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같은 해 여름 로마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1500 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400 m 자유형과 800 m 자유형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1500 m 자유형에서 기록한 14분 37.28초는 당시 역대 두 번째로 빠른 기록이었다.
2.3.3. 2012 런던 올림픽
멜룰리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남자 10 km 오픈 워터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1500 m 자유형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그는 단일 올림픽에서 수영 경영 종목과 오픈 워터 수영 종목 모두에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올림픽 선수가 되었다.
2.3.4. 2013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13년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5 km 오픈 워터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0 km 오픈 워터 마라톤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같은 해 튀르키예 메르신에서 열린 지중해 게임에서는 400 m 개인혼영과 1500 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200 m 자유형, 200 m 개인혼영, 400 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4. 후기 경력 및 올림픽 참가 (2016-2021)
멜룰리는 선수 생활 후반기에도 올림픽에 꾸준히 참가하며 활약했다.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는 두 종목에 출전했으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남자 1500 m 자유형에서는 예선에서 15분 07.78초를 기록하며 조 1위를 차지했으나 전체 21위에 머물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10 km 오픈 워터 마라톤에서는 12위로 경기를 마쳤다. 이 대회에서 그는 튀니지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2021년 7월, 멜룰리는 2017년부터 튀니지 수영 연맹과의 위조 혐의 관련 분쟁으로 인해 도쿄 올림픽 출전을 철회하기로 결정했었다. 그러나 튀니지 올림픽 위원회 회장이 분쟁 해결을 약속하면서 그는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기로 마음을 바꿨다. 2021년 8월 4일, 멜룰리는 도쿄 올림픽 남자 10 km 오픈 워터 마라톤에서 20위를 기록하며 6번째 올림픽 출전에서 메달을 추가하지 못했다.
3. 주요 메달 및 수상
멜룰리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지중해 게임, 팬아랍 게임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대회 | 종목 | 메달 |
---|---|---|
올림픽 | 1500 m 자유형 | 금 | |
10 km 마라톤 | 금 | ||
1500 m 자유형 | 동 |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롱 코스) | 400 m 개인혼영 | 동 | |
400 m 자유형 | 동 | ||
400 m 개인혼영 | 동 | ||
400 m 자유형 | 은 (기록 무효) | ||
800 m 자유형 | 금 (기록 무효) | ||
400 m 자유형 | 은 | ||
800 m 자유형 | 은 | ||
1500 m 자유형 | 금 | ||
5 km 오픈 워터 | 금 | ||
10 km 오픈 워터 | 동 | ||
FINA 쇼트 코스 세계 선수권 대회 | 200 m 개인혼영 | 동 | |
400 m 개인혼영 | 금 | ||
200 m 자유형 | 동 | ||
400 m 자유형 | 동 | ||
400 m 개인혼영 | 은 | ||
1500 m 자유형 | 금 | ||
1500 m 자유형 | 은 | ||
지중해 게임 | 400 m 개인혼영 | 은 | |
200 m 개인혼영 | 금 | ||
400 m 개인혼영 | 금 | ||
800 m 자유형 | 금 | ||
200 m 자유형 | 금 | ||
400 m 자유형 | 금 | ||
1500 m 자유형 | 금 | ||
200 m 개인혼영 | 금 | ||
400 m 개인혼영 | 금 | ||
200 m 자유형 | 은 | ||
400 m 자유형 | 은 | ||
200 m 개인혼영 | 은 | ||
1500 m 자유형 | 금 | ||
400 m 개인혼영 | 금 | ||
팬아랍 게임 | 50 m 자유형 | 금 | |
100 m 자유형 | 금 | ||
200 m 자유형 | 금 | ||
400 m 자유형 | 금 | ||
1500 m 자유형 | 금 | ||
100 m 배영 | 금 | ||
200 m 배영 | 금 | ||
200 m 평영 | 금 | ||
50 m 접영 | 금 | ||
100 m 접영 | 금 | ||
200 m 접영 | 금 | ||
200 m 개인혼영 | 금 | ||
400 m 개인혼영 | 금 | ||
4x100 m 자유형 | 금 | ||
4x200 m 자유형 | 금 | ||
4x100 m 혼계영 | 은 |
멜룰리는 또한 여러 개인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올해의 아프리카 수영 선수: 2008년, 2009년
- 올해의 오픈 워터 수영 선수: 2012년
- FINA 올해의 오픈 워터 수영 선수: 2012년
4. 영향 및 평가
우사마 멜룰리는 아프리카 수영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자 개인 종목 최초로 올림픽 수영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프리카 대륙에 큰 영감을 주었다. 그는 아프리카 수영의 한계를 깨고 세계 정상에 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의 경력에서 가장 독특한 업적 중 하나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경영 종목(1500 m 자유형 동메달)과 오픈 워터 종목(10 km 마라톤 금메달) 모두에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올림픽 선수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수영 종목 내에서도 매우 드문 다재다능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그의 뛰어난 지구력과 다양한 수영 기술을 입증한다.
멜룰리의 경력은 2006년 도핑 사건으로 인해 큰 전환점을 맞았으나, 그는 이 시련을 극복하고 다시 국제 무대에서 성공적인 복귀를 이루어냈다. 도핑 징계로 인해 일부 기록이 무효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2008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에도 꾸준히 메달을 추가하며 강한 정신력과 회복 탄력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도핑 사건은 스포츠계의 엄격한 규제와 선수의 책임감을 상기시키는 사례로 남았지만, 동시에 그가 이를 극복하고 재기한 과정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5. 관련 항목
- 도핑
- 튀니지 올림픽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