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파니스는 프랑스 리옹 서부의 울랭에서 태어나 모터스포츠에 깊은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1.1. 출생 및 가족
올리비에 장 드니 마리 파니스는 1966년 9월 2일 프랑스 리옹 울랭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장은 도넛 제빵사이자 모터스포츠 애호가로, 1960년대에는 클래식 페라리로 힐클라임 레이스에 참가하기도 했다. 아버지는 카트 레이스장과 카트 팀을 운영할 정도로 모터스포츠에 열정적이었으며, 이는 어린 파니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파니스는 1996년 1월, 12년간의 교제 끝에 안과 결혼했다. 안은 파니스를 카트장에서 처음 만났으며, 그녀 또한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4위에 오를 정도로 뛰어난 카트 레이서였다. 파니스 부부에게는 아들 오렐리앙 파니스를 포함하여 세 명의 자녀가 있으며, 아들 오렐리앙 또한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하고 있다.
1.2. 유년 시절 및 교육
파니스는 10세부터 아버지의 지도 아래 카트 레이싱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프로 축구 선수가 되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삼았으며, 300명의 지원자 중 9명의 합격자에 포함될 정도로 축구에도 재능을 보였다. 축구 외에도 사이클과 복싱 훈련을 병행하며 성장했다. 16세에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약 3년간 지역의 일반 정비소에서 정비공으로 일하며 기계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18세가 되었을 때, 파니스는 아버지에게 4륜 레이싱을 본격적으로 하고 싶다고 말했지만, 아버지는 그에게 125cc 카트로 1년 더 훈련하며 머신 컨트롤 능력을 완벽하게 익히도록 지도했다.
2. 주니어 경력
올리비에 파니스는 카트 레이싱에서 시작하여 포뮬러 르노, 포뮬러 3를 거쳐 국제 F3000 챔피언십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포뮬러 원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2.1. 카트 및 초기 경험
어린 시절부터 카트 레이싱에 뛰어든 파니스는 프랑스 카트 대회에서 60회 이상의 우승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그러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계적인 문제로 인해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레이싱을 포기하고 다른 직업을 고려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볼랑 엘프'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프랑스 오일 제조업체인 엘프 상을 수상한 것이 그의 경력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이 상을 계기로 엘프의 지원을 받으며 포뮬러 르노에 참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2.2. 포뮬러 르노 및 포뮬러 3
엘프의 지원을 받게 된 파니스는 주니어 포뮬러에서 순조롭게 단계를 밟아나갔다. 1989년에는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재능을 입증했다. 1990년에는 프랑스 포뮬러 3 챔피언십으로 스텝업하여 4번의 포디움을 기록하며 종합 4위에 올랐다. 이듬해인 1991년 프랑스 F3 챔피언십에서는 5승을 거두며 크리스토프 부슈에 이어 종합 2위를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3. 국제 F3000 챔피언십
1992년, 파니스는 국제 F3000 챔피언십에 에마뉘엘 콜라르의 팀메이트로 아포마톡스 팀에 합류했다. 당시 레이나드 섀시가 우세한 상황에서 그는 상대적으로 열세인 로라 T92 섀시로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의 포디움을 기록하며 종합 10위에 올랐다. 1993년에는 DAMS 팀으로 이적하여 레이나드 섀시를 사용하게 되면서 그의 잠재력이 만개했다. 이 해 그는 데이비드 쿨사드, 페드로 라미, 질 드 페란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시즌 3승을 거두며 국제 F3000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을 통해 그는 슈퍼 라이선스 자격을 획득하고,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모국의 포뮬러 원 팀인 리제에 합류하게 되었다.
3. 포뮬러 원 경력
올리비에 파니스는 1994년부터 2004년까지 포뮬러 원에서 활약하며 리제, 프로스트, BAR, 토요타 등 여러 팀을 거쳤다. 그의 경력은 1996년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이라는 빛나는 순간과 함께 부상, 그리고 팀의 경쟁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교차하는 과정이었다.
3.1. 리제 시절 (1994-1996)
파니스는 1994년 리제 팀 소속으로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포뮬러 원에 데뷔하여 11위로 완주했다. 그 해 리제 팀은 오너의 체포 등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인해 차량 개발이 정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파니스는 독일 그랑프리에서 팀 동료 에릭 베르나르를 제치고 깜짝 2위를 차지하며 첫 포디움에 올랐다. 그는 총 세 차례 포인트 피니시를 기록했으며, 16번의 레이스 중 15번을 완주하는 높은 안정감을 보여주었다. (다만 포르투갈 그랑프리에서는 스키드 블록 규정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당시 그는 영어가 능숙하지 않아 기자회견에 통역사와 동반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무겐 혼다 엔진을 장착한 리제 팀에서 활동했다. 시즌 최종전인 호주 그랑프리에서는 선두 데이먼 힐에 두 바퀴 뒤처진 상태에서 머신에서 흰 연기가 뿜어져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머신을 아끼며 주행하여 2위로 포디움에 올랐다. 이 외에도 두 차례 4위를 기록하는 등 총 16포인트를 획득하며 시즌 8위를 기록했다.
1996년, 리제 팀은 재정난에 시달렸고, 전년도 머신의 개량형을 사용하는 등 어려운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파니스는 가혹한 서바이벌 레이스가 펼쳐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14번째 그리드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승을 차지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 그는 젖은 노면에서 다른 경쟁자들을 제치고, 슬릭 타이어로 교체하는 타이밍을 완벽하게 맞췄다. 특히 로우즈 헤어핀에서 에디 어바인을 추월했으며, 선두를 달리던 데이먼 힐과 장 알레시가 기술적인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우승 기회를 잡았다. 단 세 명만이 완주한 이 레이스에서 파니스는 데이비드 쿨사드의 맹렬한 추격을 막아내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이 승리는 리제 팀의 15년 만의 우승이자 마지막 우승이었으며, 프랑스 팀이 모나코에서 프랑스 머신으로 우승한 66년 만의 쾌거였다. 하지만 이 승리는 1996년 시즌의 유일한 하이라이트였고, 그는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5위를 기록한 것 외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3.2. 프로스트 그랑프리 시절 (1997-1999)
1997년, 리제 팀은 알랭 프로스트에게 매각되어 프로스트 그랑프리로 팀명이 변경되었고, 파니스는 팀의 에이스 드라이버로 잔류했다. 이 해부터 새로 참가한 브리지스톤 타이어 사용자 중 가장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이며, 시즌 2차전인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3위, 6차전인 스페인 그랑프리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는 백마커 차량에 7바퀴 동안 발목이 잡히며 선두 자크 빌뇌브에게 총 6초를 잃지 않았다면 우승도 가능했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캐나다 그랑프리 결승 레이스 도중 고속 사고로 콘크리트 벽에 충돌하여 양쪽 다리가 골절되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캐나다 그랑프리 개막 당시 그는 드라이버 챔피언십 3위에 올라 있었으나, 이 사고로 인해 그의 시즌은 사실상 종료되었다. 그의 공백은 야르노 트룰리가 메웠고, 파니스는 시즌 막바지 3개 레이스에 복귀했다. 룩셈부르크 그랑프리에서 6위를 기록하며 사고 이전의 기량을 완전히 회복했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시즌 절반을 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총 16포인트를 획득하며 종합 9위로 시즌을 마쳤다.

1998년에도 프로스트 팀에 잔류했지만, 새로 푸조 엔진을 장착한 머신의 낮은 경쟁력으로 인해 어려운 시즌을 보냈다. 파니스는 포뮬러 원 경력 중 유일하게 한 시즌 동안 단 한 포인트도 얻지 못했으며, 팀 전체적으로도 팀 동료 야르노 트룰리가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획득한 1포인트가 전부였다. 또한, 1997년 사고 후 다리에 남아있던 핀으로 인해 그의 잠재력이 완전히 발휘되지 못했다. 시즌의 하이라이트는 호주 그랑프리에서의 9위였으며, 캐나다 그랑프리에서도 강력한 주행을 보였으나 차량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
1999년에는 머신의 경쟁력이 다소 개선되었고, 예선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다.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예선 3위, 뉘르부르크링에서 5위, 스즈카 서킷에서 6위를 기록했으며, 일본 그랑프리 결승 초반에는 한때 3위를 달리기도 했다. 브라질 그랑프리와 독일 그랑프리에서 6위를 기록하며 포인트를 획득했다. 비록 1999년에 기량 회복의 조짐을 보였지만, 전략적 오류와 불운으로 인해 포인트 획득은 2점에 그쳤고, 결국 리제 시절을 포함해 6년간 몸담았던 프로스트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2000년 시즌에는 레이스 시트를 확보하지 못하고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
3.3. 맥라렌 테스트 드라이버 (2000)
파니스는 2000년 시즌을 앞두고 윌리엄스 팀으로부터 제안을 받았으나, 1년 단년 계약이라는 조건에 난색을 표하며 거절했다. 대신 맥라렌 팀이 늘어나는 테스트 업무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2000년 시즌에 세 번째 드라이버를 영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시트를 구하지 못한 파니스에게 테스트 드라이버 제안을 했다. 레이스 출전 기회는 사라지지만, 테스트 주행 기회가 많다는 점과 최고 수준의 팀에 소속된다는 이점을 고려하여 파니스는 맥라렌과 계약했다.
맥라렌 팀은 미카 해키넌이나 데이비드 쿨사드 중 한 명이 결장할 경우 우승 경험이 있는 파니스가 구원 드라이버로 레이스에 출전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 특히 쿨사드가 맥라렌 MP4-14 머신 다루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파니스의 성적에 따라 쿨사드와 교체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있었다. 파니스는 경험이 풍부하고 속도도 빠르며, 피드백과 개발 능력이 뛰어나 맥라렌 경영진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키넌과 쿨사드 모두 파니스의 팀 기여도를 칭찬하며 드라이버로서의 그의 가치가 다시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맥라렌 팀은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파니스의 잔류를 설득했지만, 파니스는 레이스 출전을 희망하여 이적을 결심했다.
3.4. B.A.R. 시절 (2001-2002)
맥라렌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파니스는 2001년부터 BAR 팀의 정규 드라이버로 계약했다. 그러나 머신의 경쟁력 부족으로 인해 2년간 총 4번의 포인트 피니시에 그쳤다. 최고 성적은 2001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기록한 4위였다. 2001년 호주 그랑프리 데뷔 레이스에서는 4위를 기록했지만, 황기 규정 위반으로 25초 페널티를 받아 7위로 강등되었고, 이로 인해 키미 래이쾨넨이 데뷔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다. 그는 2001년 시즌에 5포인트를 획득하며 종합 14위, 2002년 시즌에는 3포인트를 획득하며 역시 종합 14위를 기록한 후 BAR 팀을 떠났다.
3.5. 토요타 시절 (2003-2004)

2003년, 파니스는 토요타 레이싱 팀으로 이적했다. 그는 2년차 팀에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브라질 팀 동료인 크리스티아노 다 마타가 포뮬러 원에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맡았다. 초반에는 새로운 원-랩 예선 방식에 잘 적응하며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나, 연료 압력 문제, 기어박스 문제, 스핀 등 잦은 기계적 고장으로 인한 리타이어가 많았다.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8위를 기록하며 첫 포인트를 획득했고, 프랑스 그랑프리에서는 8위를 기록하며 자신의 첫 홈 그랑프리 포인트 피니시를 달성했다. 독일 그랑프리에서는 당시 팀 최고 성적인 5위를 기록하며 팀 동료 다 마타와 함께 더블 포인트 피니시를 달성했다.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예선 3위를 차지했으나, 결승에서 비로 인한 스핀으로 리타이어했다. 토요타의 홈 레이스인 일본 그랑프리에서는 비를 예상한 세팅으로 예선 4위를 기록했으나, 결승에서는 비가 오지 않아 10위로 완주했다. 2003년 시즌 그는 총 6포인트를 획득하며 드라이버 챔피언십 15위를 기록했다.
2004년은 파니스의 포뮬러 원에서의 10번째 시즌이었다. 시즌 초반부터 머신의 경쟁력 부족으로 인해 어려운 싸움을 이어갔다. 모나코 그랑프리에서는 클러치 문제로 인해 피트 출발을 할 수밖에 없었으나, 10대만이 완주한 서바이벌 레이스에서 시즌 첫 8위로 포인트를 획득했다.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세팅이 잘 맞아 시즌 최고 성적인 5위를 기록했다. 시즌 중반에 개량형 TF104B 머신이 투입되었지만, 성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았고,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8위를 기록한 것이 유일한 포인트 피니시였다. 2004년 10월 초, 그는 일본 그랑프리를 끝으로 레이싱에서 은퇴할 것이며, 2005년과 2006년에는 토요타의 테스트 드라이버로 계속 활동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은퇴 당시 그는 37세로 포뮬러 원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현역 드라이버였다. 2004년 시즌에도 총 6포인트를 획득했으며, 브라질 그랑프리에서는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인 히카르두 존타로 교체되었다.
2005년 프랑스 그랑프리에서는 토요타의 세 번째 드라이버로 지명되었으나, 이것이 그가 그랑프리 주말에 경쟁적으로 참가한 마지막이었다. 2006년 9월 18일, 파니스는 다른 종목에서 레이싱을 하기 위해 포뮬러 원에서 완전히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그의 마지막 포뮬러 원 테스트 주행은 2006년 12월 14일 헤레스 서킷에서 이루어졌다.
3.6. 포뮬러 원 주요 성과 및 평가
올리비에 파니스는 뛰어난 레이스 운영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또한 미카 해키넌과 같은 최고 드라이버들에게도 인정받는 최고의 테스트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꼽혔다. 해키넌은 파니스가 풀타임 드라이버로 복귀하기 위해 맥라렌 테스트 팀을 떠났을 때 특히 아쉬워했다고 전해진다. 파니스는 포뮬러 원 통산 158회 출전(157회 선발), 1회 우승, 5회 포디움, 0회 폴 포지션, 0회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했으며, 총 76포인트를 획득했다.
4. 포뮬러 원 이후 경력
포뮬러 원 은퇴 후 올리비에 파니스는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활동하며 레이싱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4.1. 스포츠카 레이싱
2008년, 파니스는 오레카 팀과 계약하여 르망 시리즈의 LMP1 클래스에 참가하며 레이싱에 복귀했다. 그는 2009년과 2011년 르망 24시 레이스에서 종합 5위를 기록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1년에는 세브링 12시간 레이스에서 푸조 908 HDi FAP 머신을 운전하여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16년에는 전직 축구선수이자 레이싱 드라이버인 파비앵 바르테즈와 함께 자신의 스포츠카 레이싱 팀인 '파니스 바르테즈 컴피티션'을 설립했다. 이 팀은 유러피언 르망 시리즈와 블랑팡 GT 시리즈에 참가했으며, 테크 1 레이싱의 지원을 받았다. 바르테즈가 2019년 말 팀을 떠난 후, '파니스 레이싱'으로 팀명을 변경한 이 팀은 2020년과 2021년 르망 24시 레이스 LMP2 클래스에서 2년 연속 포디움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했다. 2024년에는 TDS 레이싱이 운영 파트너로 합류했으며, 마크 VDS 레이싱 팀과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4.2. 기타 레이싱 활동
파니스는 스포츠카 레이싱 외에도 다양한 레이싱 시리즈에 참가했다. 2007년부터 2008년 시즌까지 A1 그랑프리 프랑스 팀의 스포츠 디렉터로 활동하며 팀을 지휘했다. 또한 안드로스 트로피 아이스 레이싱에도 참가하여 50대 중반의 나이에도 현역 활동을 이어갔다. 2018년에는 안드로스 트로피 역사상 최초로 전기차로 가솔린 차량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FFSA GT 챔피언십에서 2009년 4승을 거두며 종합 3위에 올랐고, 2012년에는 종합 2위를 기록했다. FIA GT 챔피언십과 블랑팡 GT 시리즈에도 참가했다.
4.3. 팀 운영 및 매니지먼트
파니스는 자신의 레이싱 팀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것 외에도, 후배 드라이버들을 육성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자신이 젊은 시절 배웠던 프랑스의 '윈필드 레이싱 스쿨'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프랑스 젊은 레이서들의 성장에 기여했다. 또한 2012년 포뮬러 원에 데뷔한 모국 후배 샤를 픽의 매니저로 활동하며 그의 경력을 지원하기도 했다.
5. 개인 생활
올리비에 파니스는 프랑스 리옹 서부의 울랭에서 태어났다. 그는 1996년 1월, 12년간의 교제 끝에 안과 결혼했다. 안은 파니스를 카트장에서 만났으며, 그녀 또한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4위에 오를 정도로 뛰어난 카트 레이서였다. 파니스 부부에게는 아들 오렐리앙 파니스를 포함하여 세 명의 자녀가 있으며, 아들 오렐리앙 또한 레이싱 드라이버로 활동하고 있다. 파니스는 자신의 고향이 산으로 둘러싸인 조용한 환경이라며, 도시 사람들이 그가 포뮬러 원 레이서임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어 편안하다고 말했다.
6. 에피소드
- 결혼과 가족**: 파니스는 12년간의 교제 끝에 아들 오렐리앙이 태어난 후 1996년 1월에야 아내 안과 정식으로 결혼했다. 안은 카트 레이서였으며, 파니스는 그녀의 주행이 "너무 광적이고 큰 충돌도 잦았다"고 회고했다.
- 팬과의 교류**: 1995년 시즌이 끝난 후, 파니스는 독일, 일본, 동유럽에서 많은 팬레터를 받아 기뻤지만, 정작 자신의 고향인 프랑스에서는 그 해 5통밖에 받지 못했다고 언급하며 웃었다. 그는 "일본이나 이탈리아 팬들의 열정은 프랑스에서는 상상하기 어렵다! 스즈카 서킷이나 몬차 서킷에서 팬들에게 둘러싸였을 때 정말 놀랐다. 프랑스에서는 그렇게 둘러싸이는 일이 없으니까."라고 각국 팬들의 열정에 대한 감상을 전했다.
- 영어 실력 향상**: 포뮬러 원 데뷔 초에는 영어가 서툴렀지만, 1995년부터 무겐 혼다 엔진 스태프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영어 실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한다. 파니스는 그 이유에 대해 "내 영어도 형편없었지만, 무겐의 일본인 스태프들의 영어도 모국어가 아니어서 천천히 들렸던 것 같다. 무슨 말을 하는지 완벽하게 알아들을 수 있었고, 서로 영어가 서툴렀기 때문에 오히려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 진지하게 들으려 했으니 재미있는 현상이었다."고 말했다.
- 특수 헬멧 훈련**: 포뮬러 원 데뷔가 확정되자, 그의 아버지 장은 특수하게 제작된 무게추가 달린 헬멧으로 파니스의 목을 훈련시켰다. 이 훈련은 낡은 헬멧 양쪽에 무게추를 매달고 그것을 착용한 채 카트 트랙을 몇 시간씩 달리는 방식이었다. 이 혹독한 훈련 덕분에 파니스는 포뮬러 원 데뷔전에서도 목에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 페드로 디니스에 대한 평가**: 1996년, 당시 '700.00 만 USD를 가진 남자'로 불리며 막대한 스폰서 자금으로만 주목받던 페드로 디니스가 리제 팀에 합류했을 때, 파니스는 첫 테스트를 마친 후 "그(디니스)는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형편없는 드라이버가 아니라고 오늘 보면서 생각했다. 모두(기자들)가 생각하는 것보다 좋은 드라이버이고, 포뮬러 원에서 포인트를 얻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대부분의 기자들은 디니스의 포인트 획득을 불가능하다고 여겼지만, 파니스의 말대로 디니스는 그 해 두 차례 6위 안에 들며 포인트를 획득했고, 이를 계기로 레이서로서의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파니스는 공정한 시선으로 이를 일찍이 지적했던 것이다.
- 나카노 신지와의 우정**: 1997년 프로스트 그랑프리가 출범했을 때, 팀의 중요한 논의가 모두 프랑스어로 진행되는 등 팀 동료 나카노 신지는 팀 내에서 냉대를 받았다. (나카노는 영어는 능숙했지만 프랑스어는 그렇지 못했다.) 파니스는 비록 라이벌이었지만, 나카노에 대한 지나친 냉대에 팀 동료로서 마음 아파하며 알랭 프로스트에게 "신지에게도 그가 편안하게 달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러나 끝까지 대우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나카노가 프로스트 그랑프리를 떠나게 된 시즌 최종전 종료 후, 파니스는 "힘이 되어주지 못해 정말 미안했다"고 눈물을 흘리며 나카노에게 사과했다고 전해진다. 2019년 10월, WTCR에 참가하는 아들 오렐리앙을 응원하기 위해 스즈카 서킷을 방문했을 때 나카노와 재회했다.
- 맥라렌의 환영**: 맥라렌에서의 첫 테스트 당시, 파니스의 시트에는 미리 레드 와인과 카망베르 치즈가 놓여 있었다. 스태프들의 재치 있는 환영에 파니스는 매우 기뻐했다.
- 일본 엔진 경험**: 파니스는 포뮬러 원에서 세 개의 일본 엔진 제조사(무겐 혼다, 혼다, 토요타)를 모두 경험한 몇 안 되는 드라이버 중 한 명이다. (다른 한 명은 프로스트 시절 팀 동료였던 야르노 트룰리와 미카 살로이다.)
- 프랑스 드라이버 우승 가뭄**: 1996년 파니스의 우승 이후, 프랑스 드라이버의 포뮬러 원 우승은 2020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피에르 가슬리가 우승하기 전까지 24년간 없었다.
7. 평가 및 영향
올리비에 파니스는 포뮬러 원에서 1996년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이라는 인상적인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리제 팀의 마지막 우승이자 무겐 혼다 엔진의 첫 우승이기도 했다. 그는 뛰어난 레이스 운영 능력과 노련한 판단력으로 '레이스 크래프트'에 능한 드라이버로 평가받았다. 맥라렌의 테스트 드라이버 시절에는 미카 해키넌과 데이비드 쿨사드 등 당대 최고 드라이버들과 대등한 테스트 기록을 보여주며 최고 수준의 개발 능력을 인정받았다.
포뮬러 원 은퇴 후에도 그는 모터스포츠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르망 24시와 같은 주요 스포츠카 레이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자신의 레이싱 팀인 '파니스 레이싱'을 설립하여 젊은 드라이버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육성하는 데 힘썼다. 그는 젊은 시절 자신이 배웠던 '윈필드 레이싱 스쿨'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프랑스 모터스포츠의 미래를 위한 인재 양성에도 기여했다. 또한 팀 동료였던 나카노 신지에게 보여준 인간적인 배려와 페드로 디니스에 대한 공정한 평가 등은 그가 단순한 레이서 이상의 인품을 지녔음을 보여주는 일화로 남아있다. 파니스는 프랑스 드라이버의 포뮬러 원 우승 가뭄을 깨뜨린 상징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후대 프랑스 레이서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8. 경력 통계
8.1. 경력 요약
| 시즌 | 시리즈 | 팀 | 레이스 | 우승 | 폴 포지션 | 패스티스트 랩 | 포디움 | 포인트 | 순위 |
|---|---|---|---|---|---|---|---|---|---|
| 1988 | 프랑스 포뮬러 르노 터보 챔피언십 | 에퀴프 엘프 | 12 | 0 | 1 | 3 | 4 | 87 | 4위 |
| 1989 | 프랑스 포뮬러 르노 챔피언십 | 에퀴프 엘프 | 13 | 5 | 4 | 2 | 9 | 127 | 1위 |
| 1990 | 프랑스 포뮬러 3 챔피언십 | 엘프 지탄 | 12 | 0 | 0 | 1 | 4 | 70 | 4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몬타구트 레이싱 | 1 | 0 | 0 | 0 | 0 | N/A | 12위 | |
| 1991 | 프랑스 포뮬러 3 챔피언십 | 라 필리에르 엘프 | 12 | 5 | 6 | 1 | 6 | 103 | 2위 |
| 1992 | 국제 F3000 | 아포마톡스 | 10 | 0 | 0 | 0 | 2 | 10 | 10위 |
| 1993 | 국제 F3000 | DAMS | 9 | 3 | 2 | 2 | 4 | 32 | 1위 |
| 1994 | 포뮬러 원 | 리제 지탄 블론데스 | 16 | 0 | 0 | 0 | 1 | 9 | 11위 |
| 1995 | 포뮬러 원 | 리제 지탄 블론데스 | 17 | 0 | 0 | 0 | 1 | 16 | 8위 |
| 1996 | 포뮬러 원 | 리제 골루아즈 블론데스 | 14 | 1 | 0 | 0 | 1 | 13 | 9위 |
| 1997 | 포뮬러 원 | 프로스트 골루아즈 블론데스 | 10 | 0 | 0 | 0 | 2 | 16 | 9위 |
| 1998 | 포뮬러 원 |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 15 | 0 | 0 | 0 | 0 | 0 | NC |
| 1999 | 포뮬러 원 |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 16 | 0 | 0 | 0 | 0 | 2 | 15위 |
| 2000 | 포뮬러 원 | 웨스트 맥라렌 메르세데스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1 | 포뮬러 원 |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 17 | 0 | 0 | 0 | 0 | 5 | 14위 |
| 2002 | 포뮬러 원 |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 17 | 0 | 0 | 0 | 0 | 3 | 14위 |
| 2003 | 포뮬러 원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17 | 0 | 0 | 0 | 0 | 6 | 15위 |
| 2004 | 포뮬러 원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17 | 0 | 0 | 0 | 0 | 6 | 14위 |
| 2005 | 포뮬러 원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6 | 포뮬러 원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테스트 드라이버 | ||||||
| 2008 | 르망 시리즈 | 팀 오레카-마트무트 | 5 | 0 | 0 | 0 | 1 | 6 | 12위 |
| 포르쉐 카레라 컵 프랑스 | 포르쉐 프랑스 | 2 | 0 | 0 | 0 | 0 | 0 | NC | |
| 르망 24시 | 팀 오레카-마트무트 | 1 | 0 | 0 | 0 | 0 | N/A | DNF | |
| 2009 | FFSA GT 챔피언십 | DKR 엔지니어링 | 12 | 4 | 0 | 3 | 8 | 243 | 3위 |
| 르망 시리즈 | 팀 오레카-마트무트 AIM | 4 | 1 | 0 | 0 | 1 | 22 | 3위 |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N/A | 5위 | ||
| FIA GT 챔피언십 | 솔루션 F | 1 | 0 | 0 | 0 | 0 | 2 | 24위 | |
| 2010 | FFSA GT 챔피언십 | DKR 엔지니어링 | 9 | 0 | 0 | 0 | 1 | 32 | 14위 |
| 르망 시리즈 | 팀 오레카-마트무트 | 4 | 1 | 0 | 0 | 1 | 39 | 8위 | |
| FIA GT1 월드 챔피언십 | 마테크 컴피티션 | 2 | 0 | 0 | 0 | 0 | 0 | 60위 | |
| 르망 24시 | 팀 오레카-마트무트 | 1 | 0 | 0 | 0 | 0 | N/A | DNF | |
| 2011 | FFSA GT 챔피언십 | 그라프 레이싱 | 14 | 0 | 1 | 1 | 1 | 75 | 7위 |
| 인터컨티넨탈 르망 컵 | 팀 오레카-마트무트 | 3 | 1 | 0 | 0 | 1 | 0 | NC | |
|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 | 1 | 1 | 0 | 0 | 1 | 0 | NC |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N/A | 5위 | ||
| 블랑팡 내구 시리즈 | 그라프 레이싱 | 1 | 0 | 0 | 0 | 0 | 9 | 20위 | |
| 2012 | FFSA GT 챔피언십 | 소프레브-ASP | 14 | 1 | 1 | 2 | 8 | 182 | 2위 |
| 블랑팡 내구 시리즈 | 1 | 0 | 0 | 0 | 1 | 15 | 25위 | ||
| 2013 | FFSA GT 챔피언십 | 헥시스 레이싱 | 14 | 0 | 0 | 0 | 1 | 40 | 15위 |
| 블랑팡 내구 시리즈 | 1 | 0 | 0 | 0 | 0 | 0 | NC | ||
| 2014 | FFSA GT 챔피언십 | 소프레브-ASP | 14 | 0 | 0 | 0 | 3 | 125 | 5위 |
| 2015 | FFSA GT 챔피언십 | 팀 아카 ASP | 14 | 0 | 0 | 0 | 1 | 109 | 6위 |
| 2020 | FFSA GT 챔피언십 | CMR | 2 | 1 | 0 | 0 | 2 | 43 | 8위 |
8.2. 프랑스 포뮬러 3 챔피언십
| 년 | 엔트란트 | 섀시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순위 | 포인트 |
|---|---|---|---|---|---|---|---|---|---|---|---|---|---|---|---|---|---|
| 1990년 | 에퀴리 엘프-지탄 | 달라라 F390 | 알파 로메오 | LED 2 | NOG 7 | MAG 3 | PAU 2 | CHA 7 | ROU 18 | LEC 3 | DIJ 11 | ALB 4 | MAG 4 | BUG Ret | CET 10 | 4위 | 70 |
| 1991년 | 라 필리에르 엘프 | 달라라 F391 | NOG Ret | LED 8 | MAG 1 | PAU 1 | DIJ 8 | CHA | ROU 2 | MAG 7 | ALB 1 | BUG 6 | CET 1 | ARN 1 | 2위 | 103 |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인 글씨는 패스티스트 랩을 나타낸다.
8.3. 국제 F3000 챔피언십
| 년 | 팀 | 섀시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DC | 포인트 |
|---|---|---|---|---|---|---|---|---|---|---|---|---|---|---|---|
| 1992 | 아포마톡스 | 레이나드/92D | 포드 코스워스 | SIL 3 | PAU Ret | CAT 7 | PER Ret | HOC 20 | NÜR Ret | SPA Ret | ALB Ret | NOG Ret | MAG 2 | 10위 | 10 |
| 1993 | DAMS | 레이나드/93D | 포드 코스워스 | DON 3 | SIL 6 | PAU Ret | PER Ret | HOC 1 | NÜR 1 | SPA 1 | MAG 10 | NOG Ret | 1위 | 32 |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인 글씨는 패스티스트 랩을 나타낸다.
8.4. 포뮬러 원
| 년 | 엔트란트 | 섀시 | 엔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WDC | 포인트 |
|---|---|---|---|---|---|---|---|---|---|---|---|---|---|---|---|---|---|---|---|---|---|---|---|---|
| 1994 | 리제 지탄 블론데스 | 리제 JS39B | 르노 RS6 3.5 V10 | BRA 11 | PAC 9 | SMR 11 | MON 9 | ESP 7 | CAN 12 | FRA Ret | GBR 12 | GER 2 | HUN 6 | BEL 7 | ITA 10 | POR DSQ | EUR 9 | JPN 11 | AUS 5 | 11위 | 9 | |||
| 1995 | 리제 지탄 블론데스 | 리제 JS41 | 무겐 혼다 MF301 3.0 V10 | BRA Ret | ARG 7 | SMR 9 | ESP 6 | MON Ret | CAN 4 | FRA 8 | GBR 4 | GER Ret | HUN 6 | BEL 9 | ITA Ret | POR Ret | EUR Ret | PAC 8 | JPN 5 | AUS 2 | 8위 | 16 | ||
| 1996 | 리제 골루아즈 블론데스 | 리제 JS43 | 무겐 혼다 MF301HA 3.0 V10 | AUS 7 | BRA 6 | ARG 8 | EUR Ret | SMR Ret | MON 1 | ESP Ret | CAN Ret | FRA 7 | GBR Ret | GER 7 | HUN 5 | BEL Ret | ITA Ret | POR 10 | JPN 7 | 9위 | 13 | |||
| 1997 | 프로스트 골루아즈 블론데스 | 프로스트 JS45 | 무겐 혼다 MF301HA/B 3.0 V10 | AUS 5 | BRA 3 | ARG Ret | SMR 8 | MON 4 | ESP 2 | CAN 11† | FRA | GBR | GER | HUN | BEL | ITA | AUT | LUX 6 | JPN Ret | EUR 7 | 9위 | 16 | ||
| 1998 |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 프로스트 AP01 | 푸조 A16 3.0 V10 | AUS 9 | BRA Ret | ARG 15† | SMR 11† | ESP 16† | MON Ret | CAN Ret | FRA 11 | GBR Ret | AUT Ret | GER 15 | HUN 12 | BEL DNS | ITA Ret | LUX 12 | JPN 11 | NC | 0 | |||
| 1999 | 골루아즈 프로스트 푸조 | 프로스트 AP02 | 푸조 A18 3.0 V10 | AUS Ret | BRA 6 | SMR Ret | MON Ret | ESP Ret | CAN 9 | FRA 8 | GBR 13 | AUT 10 | GER 6 | HUN 10 | BEL 13 | ITA 11† | EUR 9 | MAL Ret | JPN Ret | 15위 | 2 | |||
| 2001 |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 BAR 003 | 혼다 RA001E 3.0 V10 | AUS 7 | MAL Ret | BRA 4 | SMR 8 | ESP 7 | AUT 5 | MON Ret | CAN Ret | EUR Ret | FRA 9 | GBR Ret | GER 7 | HUN Ret | BEL 11 | ITA 9 | USA 11 | JPN 13 | 14위 | 5 | ||
| 2002 | 럭키 스트라이크 BAR 혼다 | BAR 004 | 혼다 RA002E 3.0 V10 | AUS Ret | MAL Ret | BRA Ret | SMR Ret | ESP Ret | AUT Ret | MON Ret | CAN 8 | EUR 9 | GBR 5 | FRA Ret | GER Ret | HUN 12 | BEL 12† | ITA 6 | USA 12 | JPN Ret | 14위 | 3 | ||
| 2003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토요타 TF103 | 토요타 RVX-03 3.0 V10 | AUS Ret | MAL Ret | BRA Ret | SMR 9 | ESP Ret | AUT Ret | MON 13 | CAN 8 | EUR Ret | FRA 8 | GBR 11 | GER 5 | HUN Ret | ITA Ret | USA Ret | JPN 10 | 15위 | 6 | |||
| 2004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토요타 TF104 | 토요타 RVX-04 3.0 V10 | AUS 13 | MAL 12 | BHR 9 | SMR 11 | ESP Ret | MON 8 | EUR 11 | CAN DSQ | USA 5 | FRA 15 | GBR Ret | 14위 | 6 | ||||||||
| 토요타 TF104B | GER 14 | HUN 11 | BEL 8 | ITA Ret | CHN 14 | JPN 14 | BRA | |||||||||||||||||
| 2005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 | 토요타 TF105 | 토요타 RVX-05 3.0 V10 | AUS | MAL | BHR | SMR | ESP | MON | EUR | CAN | USA | FRA TD | GBR | GER | HUN | TUR | ITA | BEL | BRA | JPN | CHN | - | - |
† 완주하지 못했으나, 레이스 거리의 90% 이상을 주행하여 순위에 포함되었다.
- 굵은 글씨는 폴 포지션, 기울인 글씨는 패스티스트 랩을 나타낸다.
8.5. 르망 24시 레이스 결과
| 년 | 팀 | 코-드라이버 | 차량 | 클래스 | 랩 | 종합 순위 | 클래스 순위 |
|---|---|---|---|---|---|---|---|
| 2008 | Team Oreca팀 오레카프랑스어-마트무트 | Marcel Fässler마르셀 페슬러독일어 Simon Pagenaud시몽 파제노프랑스어 | 쿠라주-오레카 LC70-저드 | LMP1 | 147 | DNF | DNF |
| 2009 | Team Oreca팀 오레카프랑스어-마트무트 AIM | Nicolas Lapierre니콜라 라피에르프랑스어 Soheil Ayari소헤일 아야리프랑스어 | 오레카 01-AIM | LMP1 | 370 | 5위 | 5위 |
| 2010 | Team Oreca팀 오레카프랑스어-마트무트 | Nicolas Lapierre니콜라 라피에르프랑스어 Loïc Duval로익 듀발프랑스어 | 푸조 908 HDi FAP | LMP1 | 373 | DNF | DNF |
| 2011 | Team Oreca팀 오레카프랑스어-마트무트 | Nicolas Lapierre니콜라 라피에르프랑스어 Loïc Duval로익 듀발프랑스어 | 푸조 908 HDi FAP | LMP1 | 339 | 5위 | 5위 |
8.6. GT1 월드 챔피언십 결과
| 년 | 팀 | 차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순위 | 포인트 |
|---|---|---|---|---|---|---|---|---|---|---|---|---|---|---|---|---|---|---|---|---|---|---|---|---|
| 2010 | 마테크 컴피티션 | 포드 GT1 | ABU QR | ABU CR | SIL QR | SIL CR | BRN QR | BRN CR | PRI QR 18 | PRI CR Ret | SPA QR | SPA CR | NÜR QR | NÜR CR | ALG QR | ALG CR | NAV QR | NAV CR | INT QR | INT CR | SAN QR | SAN CR | 60위 | 0 |
8.7. 인터컨티넨탈 르망 컵
| 년 | 팀 | 사용 차량 | 클래스 | 1 | 2 | 3 | 4 | 5 | 6 | 7 |
|---|---|---|---|---|---|---|---|---|---|---|
| 2011년 | 팀 오레카-마트무트 | 푸조 908 HDi FAP | LMP1 | SEB 1 | SPA 10 | LMN 5 | IMO | SIL | PET | ZHU |
9. 관련 항목
- 프랑스의 포뮬러 원 드라이버 목록
-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자 목록
- 국제 F3000 챔피언십
- 르망 2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