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옥사나 페도로바는 프스코프에서 태어나 어머니와 외조부모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1.1. 어린 시절과 가족
페도로바는 1977년 12월 17일 러시아 프스코프에서 핵물리학자 겐나디 페도로프와 정신과 간호사 옐레나 페도로바(결혼 전 성: 트로피모비치)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가 세 살 때 부모님은 이혼했으며, 이후 아버지는 가족을 떠나 연락이 두절되었다가 2005년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녀는 어머니와 외조부모의 손에서 자랐으며, 외조부모는 그녀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고 한다. 외할아버지 알렉세이 트로피모비치 쿨리코프는 그녀가 경찰관이 되어 국가에 봉사하는 가족 전통을 이어가기를 격려했다. 외증조할아버지 미하일 그리고리예비치 바실리예프 역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경찰관으로 복무했으며, 이후 프스코프로 전근하여 경찰 활동으로 '프스코프 명예 시민' 칭호를 받았다.
1.2. 교육
페도로바는 1985년부터 1995년까지 프스코프의 리세움에 재학하며 배구팀 주장을 맡았고 기타를 배웠다. 고등학교 졸업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의 여러 모델 에이전시에서 모델 경력을 시작하려 했으나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녀는 십대 시절 경찰학교에 입학하여 학교의 군악대에서 색소폰을 연주했다. 경찰학교 졸업 후 프스코프에서 6개월간 수사관으로 일했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러시아 내무부 소속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생 시절에는 풀코보 교통경찰서에서 수사관으로 근무했다. 2000년에 대학교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으며, 어린 학생들에게 민법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녀는 "러시아 연방의 사설 탐정 및 보안 활동 규제"라는 주제로 논문을 작성했으며, 2002년에 박사 학위를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내무부 대학교에서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에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내무부 대학교에서 계속해서 교편을 잡았다.
2. 경력
옥사나 페도로바는 경찰관, 모델, 미인 대회 우승자, 방송인, 가수, 사업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채로운 경력을 쌓았다.
2.1. 경찰 경력
페도로바는 경찰학교를 졸업한 후 프스코프에서 6개월간 수사관으로 근무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재학 중에는 풀코보 교통경찰서에서 수사관으로 일했다. 2005년 박사 학위를 마친 후에도 경찰관 경력을 이어갔으며, 2002년 9월에는 대위로, 2005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했다.
2.2. 모델 및 미인 대회 참가
1999년, 페도로바는 전문 모델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미인 대회에 발을 들였다. 같은 해 그녀는 미스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미스 칼로카가티아로 선정되었다. 2001년에는 미스 러시아 대회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표로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모델로서 페도로바는 토니 워드와 율리아 야니나와 같은 디자이너들을 위해 런웨이를 걸었으며, 로마, 밀라노, 모스크바 패션 위크에도 참여했다.
2.2.1. 미스 러시아
페도로바는 2001년 미스 러시아에서 우승하며 러시아를 대표하는 미인이 되었다. 그녀는 학업으로 인해 2001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2.2.2. 미스 유니버스 2002

미스 러시아 2001로서 페도로바는 학업 문제로 2001년 미스 유니버스에 참가할 수 없었지만, 이듬해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열린 미스 유니버스 2002에 참가했다. 당시 러시아와 미국 간의 핵무기 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논의로 인해 그녀의 러시아 출국 비자가 지연되었고, 다른 참가자들보다 늦게 산후안에 도착했다. 미스 유니버스 조직의 소유주인 도널드 트럼프는 "올해는 이례적인 해이며, 이들 국가는 많은 혼란의 한가운데에 있다. 힘든 일이다. 일단 산후안에 도착하면 안전하다고 느끼지만, 그곳에 가는 것이 일부 참가자들에게는 걱정거리다"라고 언급했다.
페도로바는 수영복과 이브닝 가운 두 부문 모두에서 다른 아홉 명의 준결승 진출자들을 큰 점수 차이로 제치고 우승했다. 특히 수영복 부문에서 9.88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아 미스 유니버스 역사상 TV로 중계된 수영복 점수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미스 유니버스 2002로 선정된 후 페도로바는 여러 명예와 선물을 받았다. 러시아 디자이너 헬렌 야르마크는 그녀를 위한 인형을 제작하기도 했다. 페도로바는 미스 유니버스 2002로서 캐나다, 프랑스, 그리스,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케냐, 파나마, 푸에르토리코, 미국을 방문했다.

케냐에서는 나이로비와 그 주변의 HIV/에이즈 프로그램, 특히 에이즈 고아원을 방문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멜라니 푸트리아 데위타 사리 미스 인도네시아 2002와 함께 중앙자와의 보로부두르 사원을 방문했으며,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관저에서 만나기도 했다. 파리에서는 제131차 국제 박람회 기구 총회에 참석하여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조레스 알페로프를 만났다. 이탈리아에서는 미스 유니버스 이탈리아 2003 실비아 체콘의 왕관 수여를 도왔고, 캐나다 방문 중에는 2002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 참석했다. 파나마에서는 파나마가 미스 유니버스 2003 대회의 개최국이 되는 계약 서명식에 참석했으며, 2002년 9월에는 푸에르토리코로 돌아와 미스 푸에르토리코 유니버스 2003 카를라 트리콜리의 왕관 수여를 도왔다.
페도로바가 왕관을 쓴 지 몇 달 후, 그녀는 미스 유니버스 조직에 의해 자격이 박탈되었다. 그녀는 이후 인터뷰에서 하워드 스턴 쇼에서의 대우에 모욕감을 느껴 직무 수행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하워드 스턴이 자주 묻는 성적인 질문에 대해 대회 주최 측이 미리 경고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또한 임신설을 부인하며 개인적인 이유, 특히 법학 학위를 마치고 싶어 자발적으로 왕관을 포기했다고 진술했다. 미카모토 왕관은 1위 준우승자인 파나마의 저스틴 파섹에게 넘어갔으며, 그녀는 파나마 최초의 미스 유니버스가 되었다. 페도로바는 미스 유니버스 역사상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자격이 박탈된 미스 유니버스였다. (다만, 1974년 미스 유니버스였던 스페인의 암파로 무뇨스는 "비공식적으로" 자격이 박탈된 바 있다.)
자격 박탈에도 불구하고, 2011년 미인 대회 웹사이트 글로벌 뷰티스는 페도로바를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미스 유니버스"로 선정했으며, 2012년 전러시아 여론 조사 센터의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들이 페도로바를 "러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으로 꼽았다.
2.3. 방송 및 미디어 경력
2003년 미스 유니버스 자격 박탈 이후, 페도로바는 TV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채널 원 러시아의 '스타 팩토리' 진행 제안은 거절했지만, 2003년 1월부터 전러시아 국영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사의 장수 어린이 프로그램인 '잘 자라, 아가들아!'의 진행자로 선정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2003년 10월 테피상에서 최고 어린이 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러시아-1 채널의 '수보트니크'를 공동 진행했다.
페도로바는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0의 러시아 국가대표 선발전을 진행했으며, 2008년, 2010년, 201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러시아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스타일 및 패션 프로그램 '코롤레바 크라소티'의 진행을 맡기 시작했다.

2006년, 페도로바는 러시아판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2에 참가하여 5위를 차지했다. 그녀는 2011년 러시아판 '프로젝트 런웨이'에 게스트 심사위원으로 출연했으며, 2014년에는 러시아판 '네임 댓 튠'의 참가자로 출연했다.
성우로서 페도로바는 '토이 스토리 3'의 바비 러시아어 더빙과 '팅커벨' 영화 시리즈의 퀸 클라리온 러시아어 더빙을 맡았다.

2.4. 음악 경력
페도로바는 2009년 니콜라이 바스코프와 함께 싱글 "프라바 류보프"를 발매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이 곡은 2010년 골든 그라모폰 어워드에서 '올해의 듀엣' 상을 수상했다. 이후 2010년 솔로 싱글 "나 샤그 오딘"을 발매했으며, 2011년에는 데뷔 스튜디오 앨범 '나 크라유 우 류보비'를 발매했다. 2013년에는 싱글 "모야 도크트리나"를 발표했다. 2019년에는 러시아 테너 드미트리 갈리힌과 함께 스페인어 듀엣곡 "히스토리아 데 운 아모르"의 공식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2.5. 기타 사업
2008년, 페도로바는 첫 번째 저서 '스타일의 공식'을 출판했다. 이 책에는 미용 및 스타일 조언과 함께 페도로바의 자서전적 정보가 담겨 있다. 2010년에는 'MODA TOPICAL' 잡지의 편집장이 되었다. 2014년에는 자신의 패션 브랜드 'OFERA'를 론칭했으며, 이 브랜드는 2015년 봄/여름 메르세데스-벤츠 패션 위크 모스크바에서 데뷔했다.
3. 자선 활동 및 사회 공헌
페도로바는 수많은 자선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 그녀는 2006년부터 유니세프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2007년에는 유니세프 친선대사가 되었다. 또한 러시아 아동 복지 사회의 자문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09년 10월에는 러시아 국방부의 지원을 받아 자선 단체 '스페시테 델라트 도브로!' (서둘러 선을 행하라!)를 설립했다. 이 재단은 고아 및 어려운 상황에 처한 아동을 지원하며, 특히 러시아 내무부 또는 러시아군 복무 중 사망한 부모의 고아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2011년에는 우파에 10세에서 16세 사이의 소녀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
4. 사생활

페도로바는 러시아 정교회의 독실한 신자이다. 그녀는 세 살 때부터 아버지와 연락이 끊겼으며, 2005년에 아버지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007년, 페도로바는 독일 모델 필립 토프트와 뮌헨에서 결혼했으나, 2010년에 이혼했다. 2011년에는 KGB 장교이자 러시아 대통령 행정부 일원, 그리고 러시아 복싱 연맹 부회장인 안드레이 보로딘과 결혼했다. 페도로바와 보로딘 사이에는 두 자녀가 있다. 2012년에 아들 (이름: 표도르)을, 2013년에 딸 (이름: 옐리자베타)을 낳았다. 그녀는 개를 좋아하며 테리어, 마스티프, 두 마리의 셰퍼드견을 키우고 있다.
5. 정치 활동
페도로바는 과거 러시아 생명당의 선거 운동에 참여한 바 있다. 2003년 12월 국가 두마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2005년 3월 보로네시 지역 두마 선거에도 출마했으나 이전보다 더 큰 격차로 낙선했다. 2005년 8월에는 툴라 지역을 대표하는 상원 의원직에 출마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그녀는 정치 경력을 일시적으로 보류한다고 발표하며 출마를 거부했다.
6. 수상 및 영예
페도로바가 받은 주요 상, 타이틀 및 인정은 다음과 같다.
- 1999년 - 미스 상트페테르부르크
- 2001년 - 미스 러시아
- 2002년 - 미스 유니버스 2002
- 2012년 - BIAF 자선 공헌상 (레바논, 베이루트)
- 2024년 -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 연도 | 시상식 | 부문 | 후보작 | 결과 |
|---|---|---|---|---|
| 2010 | ZD 어워드 | 올해의 듀엣 | 프라바 류보프 (니콜라이 바스코프와 함께) | 수상 |
| 골든 그라모폰 어워드 |
7. 평가 및 유산
옥사나 페도로바는 러시아와 동유럽 출신 최초의 미스 유니버스라는 역사적인 타이틀을 획득했다. 비록 119일 만에 자격이 박탈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지만, 그녀는 여전히 대중에게 미스 유니버스 우승자로 기억되고 있다. 2011년 미인 대회 웹사이트 글로벌 뷰티스는 그녀를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미스 유니버스"로 선정하며 그녀의 미모를 높이 평가했다. 또한 2012년 전러시아 여론 조사 센터의 설문 조사에서는 그녀가 "러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으로 꼽히기도 했다. 그녀는 미인 대회를 넘어 방송인, 가수, 사업가, 자선 활동가, 그리고 경찰관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특히 유니세프 친선대사 및 자선 재단 설립을 통해 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중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