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렉산드라 워즈니악(Woźniak보즈니아크폴란드어)은 1987년 9월 7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난 전직 테니스 선수이다. 2005년 11월 프로로 전향했으며, 2009년 6월 22일에는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21위를 달성하여 역대 캐나다 여자 단식 선수 중 다섯 번째로 높은 랭킹을 기록했다. 워즈니악은 WTA 투어에서 1개의 단식 타이틀과 ITF 서킷에서 11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특히 2008년 뱅크 오브 더 웨스트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20년 만에 WTA 단식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캐나다 선수이자, 퀘벡주 출신 선수로는 역사상 최초의 우승자가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알렉산드라 워즈니악은 몬트리올에서 태어나 폴란드 이민자 가정에서 성장하며 어린 시절부터 테니스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2.1. 가족 및 어린 시절
워즈니악의 가족은 그녀가 태어나기 전인 1983년에 폴란드에서 캐나다로 이민 왔다. 그녀는 폴란드어, 영어,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언니인 도로타(Dorota) 역시 테니스 선수로 활동했다.
2.2. 테니스 입문
알렉산드라는 세 살 때부터 아버지인 안토니(Antoni)의 지도로 테니스를 시작했다. 그녀는 언니와 어린 시절 우상이었던 모니카 셀레스에게서 라켓을 잡을 영감을 받았다.
3. 프로 경력
워즈니악은 주니어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프로 무대에 데뷔했고, 이후 캐나다 테니스의 주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3.1. 주니어 및 프로 초창기 (2002-2007)
2002년, 14세의 나이로 워즈니악은 캐나다 실내 16세 이하 및 18세 이하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4년에는 켄터키 국제 주니어 테니스 더비에서 우승했으며, 2005년 1월 31일에는 주니어 랭킹 3위에 올랐다. 또한, 2005년에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테블린 챌린저 2.50 만 USD 대회와 해밀턴 챌린저 2.50 만 USD 대회, 멕시코 빅토리아 챌린저 2.50 만 USD 대회 및 주니어 카사블랑카 컵(복식 포함), 코스타리카 주니어 델 카페 컵(복식 포함)에서 우승했다.
2006년에는 미국 피츠버그 챌린저에서 빅토리야 아자란카를 꺾고 우승했으며, 애슐랜드 챌린저에서는 아그네스 사바이를 누르고 우승했다. 같은 해 해밀턴 챌린저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월에는 태국에서 세계 랭킹 63위였던 리나를 꺾으며 처음으로 톱 100위권 선수를 이겼다. 2006년 11월 피츠버그에서는 세계 랭킹 40위 올가 푸치코바를 꺾으며 처음으로 톱 50위권 선수를 이겼다. 2007년 5월, 워즈니악은 모로코 페즈에서 열린 Grand Prix SAR La Princesse Lalla Meryem 대회에서 생애 첫 WTA 투어 결승에 진출했으나, 밀라그로스 세케라에게 1-6, 3-6으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3.2. 돌파구 및 첫 WTA 타이틀 (2008)
2008년 프랑스 오픈에서 워즈니악은 생애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대회 3회전에 진출했으나, 11번 시드였던 베라 즈보나레바에게 패했다. 이로써 그녀는 2002년 이후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3회전에 진출한 퀘벡 출신 단식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워즈니악은 스탠퍼드 클래식에서 생애 첫이자 유일한 WTA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했으며, 세계 랭킹 20위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세계 랭킹 29위 시빌 밤머, 그리고 세계 랭킹 5위 세레나 윌리엄스(경기 도중 기권)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올라 6번 시드 마리옹 바르톨리를 물리쳤다. 워즈니악은 9일 동안 3번의 예선 경기와 5번의 본선 경기를 포함해 총 8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은 20년 만에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캐나다 선수이자, 퀘벡 출신 여성 선수로는 역사상 최초의 업적이었다. 이 우승으로 워즈니악의 WTA 랭킹은 85위에서 45위로 40계단 상승했다.
2008년 8월, 그녀의 업적을 기념하여 퀘벡주 블랭빌 시장은 그녀에게 도시의 열쇠를 수여했으며, 24시간 동안 도시 이름을 "워즈니악빌"(Wozniakville)로 변경하기도 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퀘벡 주 의회로부터 개인 최고 랭킹 37위 달성과 첫 WTA 단식 타이틀 획득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을 받았다.
3.3. 커리어 하이 및 그랜드 슬램 성적 (2009)

2009년 호주 오픈에서 워즈니악은 30번 시드를 받아 헬렌 케레시 이후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여자 단식 시드를 받은 캐나다 선수가 되었으나, 1회전에서 폴란드계 독일 선수인 자비네 리시키에게 패배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동포 대니얼 네스터와 팀을 이뤄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사니아 미르자와 마헤시 부파티에게 패했다.
3월에는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에서 세계 랭킹 48위 루시 샤파르조바를 꺾었다. 이 달 그녀는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29위로 상승했다. 4월에는 폰테 베드라 비치에서 세 번째 WTA 투어 단식 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에서 세계 랭킹 10위 나디아 페트로바를 꺾었으나, 결승에서 세계 랭킹 12위 카롤리네 보즈니아키에게 패했다. 5월에는 마드리드 오픈에서 세계 랭킹 13위 마리옹 바르톨리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2009년 프랑스 오픈에서 워즈니악은 24번 시드를 받아 롤랑 가로스에서 시드를 받은 최초의 퀘벡 선수가 되었다. 16강에 진출했으나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의 성공으로 워즈니악은 17년 만에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 4회전에 진출한 캐나다 선수이자, 1992년 패트리샤 하이-불레 이후 프랑스 오픈 2주차에 진출한 최초의 캐나다 여자 선수가 되었다. 또한, 모린 드레이크가 1999년 호주 오픈 16강에 진출한 이후 그랜드 슬램 4회전에 진출한 최초의 캐나다 선수가 되었다. 워즈니악은 "캐나다에게 정말 멋진 일이며 계속 나아가고 싶다"고 말했다.
6월에는 이스트본 국제 대회에서 잔디 코트 시즌을 시작하여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카롤리네 보즈니아키에게 패했다. 이 대회 이후 워즈니악의 랭킹은 2계단 상승하여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21위를 기록했다. 윔블던에서는 20년 만에 단식 시드를 받은 캐나다 선수(23번 시드)가 되었으나, 1회전에서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에게 패했다.
2009년 US 오픈에서는 3회전에 진출했으나, 10번 시드 플라비아 페네타에게 패했다. 도쿄 팬 퍼시픽 오픈에 참가하여 3회전에 진출했으나, 마그달레나 리바리코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워즈니악은 3년 만에 두 번째로 테니스 퀘벡 엑설런스 어워드에서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녀의 아버지 안토니와 피트니스 트레이너 앙드레 페런트(André Parent)는 퀘벡 선수들을 위한 '올해의 국제 코치상'을 공동 수상했다. 또한 그녀는 캐나다 언론이 선정한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며 뛰어난 시즌을 인정받았다.
3.4. 부상 투혼 및 복귀 (2010-2014)

2010년 1월 호주 오픈에서 카롤리네 보즈니아키에게 여섯 번째로 패했다. 마이애미 오픈과 인디언 웰스 오픈에서 일찍 탈락한 후, 전년도 준우승을 차지했던 폰테 베드라 비치 대회에 출전했으나, 8강에서 도미니카 시불코바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3시간 이상 진행된 경기 끝에 5번 시드 엘레나 데멘티에바에게 3회전에서 패했다. 윔블던에서는 2회전에 진출했으나, 4번 시드 옐레나 얀코비치에게 패했다. 고향 퀘벡에서 열린 로저스 컵 1회전에서 티메아 바친스키에게 패한 뒤, US 오픈 1회전에서도 세계 랭킹 202위 샐리 피어스에게 48분 만에 패했다. 이로 인해 팔뚝 부상으로 시즌 잔여 일정을 소화하지 못했다.
부상 복귀 후 첫 그랜드 슬램 대회인 2011년 프랑스 오픈 예선을 통과했다. 1회전에서 나미가타 준리를 꺾었으나, 2회전에서 세계 랭킹 1위 보즈니아키에게 패했다. 윔블던 예선도 통과했지만 1회전에서 바르보라 스트리초바에게 패했다. 8월 초에는 밴쿠버 오픈에서 제이미 햄프턴을 결승에서 꺾고 개인 경력에서 두 번째로 큰 10.00 만 USD 규모의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US 오픈 예선을 통과하여 세 번째 그랜드 슬램 본선에 진출했으나, 1회전에서 신예 미국 선수 크리스티나 맥헤일에게 패했다.

2012년 시즌 첫 그랜드 슬램인 호주 오픈 1회전에서 장솨이를 꺾고 생애 처음으로 2회전에 진출했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27번 시드 마리야 키릴렌코에게 패했다. 3월에는 바하마스 오픈에서 알리제 코르네를 결승에서 꺾고 10.00 만 USD 규모의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마이애미 오픈에서는 엘레니 다니일리두와 세계 랭킹 28위 모니카 니쿨레스쿠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으나, 3세트에서 매치 포인트를 잡고도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5년 만에 네 번째로 3회전에 진출했으나, 세계 랭킹 1위 빅토리야 아자란카에게 패했다. 윔블던에서는 세계 랭킹 27위 정제에게 2회전에서 패했다.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2회전에서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로저스 컵에서는 개인 경력 최초로 프리미어 5 등급 대회 8강에 진출했으며, 카롤리네 보즈니아키에게 패했다. 이는 1992년 패트리샤 하이-불레 이후 20년 만에 캐나다 선수가 로저스 컵 8강에 진출한 기록이었다. US 오픈에서는 세계 랭킹 17위 루시 샤파르조바에게 2회전에서 패했다. 9월 챌린지 벨 대회에서 오른쪽 어깨 관절 염좌를 겪으며 시즌을 조기에 마감해야 했다.
2013년 3월 마이애미 오픈에서 부상 복귀 후 첫 경기를 치렀으나,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에게 1회전에서 패했다. 이후 어깨 부상이 완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3개월간 두 번째 휴식을 취해야 했다. 8월 중순 뉴 헤이븐 오픈에서 복귀했으나, 1회전에서 세계 랭킹 26위 예카테리나 마카로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이어서 출전한 US 오픈에서는 세계 랭킹 2위 빅토리야 아자란카에게 2회전에서 탈락했다.
9월 챌린지 벨 1회전에서 8번 시드 카롤린 가르시아에게 패했다. 9월 말 프리미어 5 등급 대회인 팬 퍼시픽 오픈에서는 보호 랭킹을 사용하여 2회전에 진출했다. 1회전에서 세계 랭킹 47위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를 꺾었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2번 시드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에게 패했다. 다음 주에는 프리미어 의무 대회인 차이나 오픈 1회전에서 세계 랭킹 13위 슬론 스티븐스에게 패했다. 10월 초 시즌 마지막 대회인 HP 오픈 1회전에서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에게 패했다.
2014년 시즌은 새로운 코치인 나탈리 토지아와 함께 선전 오픈에서 시작했으나, 1회전에서 빅토리야 골루비치에게 패했다. 호주 오픈에서는 예선 1회전에서 안나 타티슈빌리에게 패했다. 2월에는 페드컵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에서 베스나 돌론츠를 3세트 접전 끝에 꺾으며 캐나다가 2004년 이후 처음으로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2월 말 멕시코 오픈 2회전에 진출했으나, 장솨이에게 패했다.
3월 프리미어 의무 대회인 인디언 웰스 오픈 1회전에서 우르술라 라드반스카를 꺾고 세계 랭킹 15위 자비네 리시키와 맞붙게 되었다.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2-5로 뒤지고 상대가 두 번의 매치 포인트를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3세트 접전 끝에 승리했다. 3회전에서는 아나스타샤 파블류첸코바를 꺾고 두 번째 톱 30위권 선수를 물리쳤다. 16강에서 세계 랭킹 2위 리나에게 패했다. 3월 중순, 마이애미 오픈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1회전에서 카롤린 가르시아에게 탈락했다. 3월 말 몬테레이 오픈 본선에 진출하여 1회전에서 마르셀라 사카리아스를 꺾었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세계 랭킹 13위 아나 이바노비치에게 막혔다.
4월 페드컵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에서 세계 랭킹 52위 야나 체펠로바를 꺾는 중요한 승리를 거두며 캐나다가 1995년 새로운 월드 그룹 형식이 도입된 이후 처음으로 월드 그룹 I에 진출하는 데 일조했다. 5월 프랑스 오픈 본선에 진출했으나, 2세트에서 매치 포인트를 잡고도 1회전에서 세계 랭킹 26위 소라나 크르스테아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윔블던 워밍업 대회인 프리미어 등급 버밍엄 클래식 본선에 진출하여 3회전까지 올랐으나, 세계 랭킹 25위 키르스텐 플립켄스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윔블던에서도 두 번째 그랜드 슬램 본선에 진출했으나, 1회전에서 세계 랭킹 10위 도미니카 시불코바에게 패했다. 8월 로저스 컵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1회전에서 세계 랭킹 20위 슬론 스티븐스에게 탈락했다. 8월 말 US 오픈 1회전에서 세계 랭킹 33위 나라 구루미에게 패했다. 워즈니악은 어깨 수술을 받기 위해 시즌을 조기에 마감해야 했다.
3.5. 후기 경력 (2015-2017)
어깨 수술 후 11개월간의 공백기를 거쳐 2015년 8월 말 위니펙에서 열린 2.50 만 USD 규모의 대회로 복귀했다. 8강에 진출했으나 미카엘라 크라이첵에게 패했다. 2015년 9월 쿠페 방크 나시오날 예선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1회전에서 맨디 미넬라에게 패했다. 일주일 후 열린 7.50 만 USD 규모의 콜먼 비전 챔피언십에서도 예선 최종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2015년 10월에는 시즌 마지막 두 대회인 탐피코 오픈 5.00 만 USD와 사가네이 챌린저 5.00 만 USD에서 1회전에서 패했다.
2016년 2월 애리조나 서프라이즈에서 열린 2.50 만 USD 규모의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보호 랭킹을 사용하여 2014년 US 오픈 이후 첫 그랜드 슬램 본선인 프랑스 오픈에 출전했으나, 1회전에서 율리아 푸틴체바에게 패했다. 7월 말에는 보호 랭킹을 다시 사용하여 워싱턴 오픈 단식 본선에 진출했으나, 1회전에서 제시카 페굴라에게 패했다. 다음 주에는 로저스 컵 본선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1회전에서 사라 에라니에게 패했다. 이어서 5.00 만 USD 규모의 그랜비 챌린저에 출전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9월 쿠페 방크 나시오날 본선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두 달 만에 다시 페굴라에게 1회전에서 패했다. 다음 주 열린 7.50 만 USD 규모의 콜먼 비전 챔피언십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3세트 접전 끝에 맨디 미넬라에게 패했다. 9월에는 오클라호마주 스틸워터에서 열린 2.50 만 USD 규모의 대회 8강에 진출했다. 10월 사가네이 챌린저에서는 8강에 진출했으나, 1번 시드 시시 벨리스에게 패했다.
2017년 1월 호주 오픈 예선 1회전에서 패했다. 다음 달에는 버니 인터내셔널 6.00 만 USD 대회 8강에 진출했다. 5월 프랑스 오픈 예선 와일드카드를 받았으나, 1회전에서 패했다. 여름 대부분을 ITF 서킷에서 활동했다. 2017년 7월 말 가티노 챌린저 2.50 만 USD 대회에서 엘렌 페레스에게 승리하며 2012년 이후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7년 10월, 오클라호마주 스틸워터에서 열린 2.50 만 USD 규모의 대회에서 마리 부즈코바를 꺾고 시즌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4. 은퇴
알렉산드라 워즈니악은 2018년 12월, 31세의 나이로 프로 테니스 선수에서 은퇴했다.
5. 플레이 스타일
워즈니악은 효율적인 첫 서브와 강력한 양손 백핸드를 기반으로 하는 올 코트 게임을 구사했다. 그녀는 또한 뛰어난 오버헤드 샷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가 가장 선호하는 코트 유형은 클레이 코트였다.
6. 국가대표팀 활약
워즈니악은 캐나다 국가대표팀으로서 국제 팀 대회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6.1. 페드컵
워즈니악은 2004년 페드컵 데뷔전에서 스위스의 티메아 바친스키를 꺾고 승리를 기록했다. 그녀는 2016년 4월 기준으로 페드컵에서 40승 12패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녀의 총 40승은 캐나다 페드컵 대표팀 역대 최고 기록이며, 단식 32승 또한 최고 기록이다. 그녀는 총 36번의 페드컵 경기에 출전했는데, 이는 또한 역대 최고 기록이다.
6.2. 올림픽
워즈니악은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 종목에 출전하여 단식 2회전에서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1-6, 3-6으로 패했다.
7. 경력 통계
7.1. WTA 투어 결승 기록
7.1.1. 단식: 3회 (1회 우승, 2회 준우승)
7.2. ITF 서킷 결승 기록
7.2.1. 단식: 14회 (11회 우승, 3회 준우승)
결과 | W-L | 날짜 | 대회 | 등급 | 코트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우승 | 1-0 | 2002년 6월 | ITF 라신, 캐나다 | 1.00 만 USD | 하드 | 비에르 코 | 6-0, 6-3 |
우승 | 2-0 | 2005년 7월 | ITF 해밀턴, 캐나다 | 2.50 만 USD | 클레이 | 마리아 호세 아르게리 | 6-1, 6-2 |
준우승 | 2-1 | 2005년 10월 | ITF 펠럼, 미국 | 2.50 만 USD | 클레이 | 솔레다드 에스페론 | 5-7, 2-6 |
우승 | 3-1 | 2005년 10월 | ITF 빅토리아, 멕시코 | 2.50 만 USD | 하드 | 올가 블라호토바 | 2-6, 6-0, 6-4 |
준우승 | 3-2 | 2005년 10월 | ITF 멕시코시티, 멕시코 | 2.50 만 USD | 하드 | 마리아 호세 아르게리 | 4-6, 0-4 ret. |
우승 | 4-2 | 2005년 11월 | 토론토 챌린저, 캐나다 | 2.50 만 USD | 실내 하드 | 올레나 안티피나 | 6-4, 6-3 |
우승 | 5-2 | 2006년 7월 | ITF 해밀턴, 캐나다 | 2.50 만 USD | 클레이 | 발레리 테트로 | 6-1, 6-7(5-7), 6-2 |
우승 | 6-2 | 2006년 10월 | ITF 애슐랜드, 미국 | 5.00 만 USD | 하드 | 아그네스 사바이 | 6-1, 7-6(7-2) |
우승 | 7-2 | 2006년 11월 | ITF 피츠버그, 미국 | 7.50 만 USD | 실내 하드 | 빅토리야 아자란카 | 6-2, ret. |
준우승 | 7-3 | 2008년 3월 | ITF 레딩, 미국 | 2.50 만 USD | 하드 | 바르보라 스트리초바 | 6-7(4-7), 3-6 |
우승 | 8-3 | 2011년 8월 | 밴쿠버 오픈, 캐나다 | 10.00 만 USD | 하드 | 제이미 햄프턴 | 6-3, 6-1 |
우승 | 9-3 | 2012년 3월 | 나사우 오픈, 바하마 | 10.00 만 USD | 하드 | 알리제 코르네 | 6-4, 7-5 |
우승 | 10-3 | 2017년 7월 | 가티노 챌린저, 캐나다 | 2.50 만 USD | 하드 | 엘렌 페레스 | 7-6(7-4), 6-4 |
우승 | 11-3 | 2017년 10월 | ITF 스틸워터, 미국 | 2.50 만 USD | 하드 | 마리 부즈코바 | 7-5, 6-4 |
7.2.2. 복식: 2회 (2회 준우승)
결과 | W-L | 날짜 | 대회 | 등급 | 코트 | 파트너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준우승 | 0-1 | 2002년 6월 | ITF 토론토, 캐나다 | 1.00 만 USD | 하드 | 다이애나 스레브로비치 | 로렌 청 크리스티나 호리아토풀로스 | 3-6, 1-6 |
준우승 | 0-2 | 2006년 7월 | ITF 해밀턴, 캐나다 | 2.50 만 USD | 클레이 | 솔레다드 에스페론 | 니콜 크리츠 스토리 트위디-예이츠 | 4-6, 1-6 |
7.3. 그랜드 슬램 성적표
7.3.1. 단식
대회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SR | 승-패 | 승률 |
---|---|---|---|---|---|---|---|---|---|---|---|---|---|---|---|---|---|---|---|---|---|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 |||||||||||||||||||||
호주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3R | 1R | 예선1R | 1R | 1R | 불참 | 2R | 불참 | 예선1R | 불참 | 예선1R | 예선1R | 불참 | 0 / 4 | 1-4 | 20% |
프랑스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2R | 1R | 3R | 4R | 3R | 2R | 3R | 불참 | 1R | 불참 | 1R | 예선1R | 불참 | 0 / 8 | 10-8 | 56% |
윔블던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1R | 1R | 2R | 1R | 2R | 1R | 2R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7 | 3-7 | 30% |
US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2R | 1R | 1R | 3R | 1R | 1R | 2R | 2R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8 | 4-8 | 33% |
승-패 | 0-0 | 0-0 | 0-0 | 0-0 | 0-0 | 0-0 | 0-4 | 3-3 | 5-4 | 3-4 | 1-3 | 5-4 | 1-1 | 0-3 | 0-0 | 0-1 | 0-0 | 0-0 | 0 / 27 | 18-27 | 40% |
국가대표 활약 | |||||||||||||||||||||
하계 올림픽 테니스 | 미개최 | 불참 | 미개최 | 불참 | 미개최 | 2R | 미개최 | 불참 | 미개최 | 0 / 1 | 1-1 | 50% | |||||||||
페드컵 | 불참 | 불참 | 불참 | 플레이오프 | 아메리카존1 | 월드그룹2 | 월드그룹2 | 아메리카존1 | 월드그룹2 플레이오프 | 월드그룹2 플레이오프 | 월드그룹2 플레이오프 | 아메리카존1 | 불참 | 플레이오프 | 불참 | 월드그룹2 | 불참 | 불참 | 0 / 0 | 32-11 | 74% |
프리미어 의무 / 프리미어 5 토너먼트 | |||||||||||||||||||||
카타르 여자 오픈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1 | 0-1 | 0%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1R | 예선2R | 3R | 2R | 예선1R | 1R | 불참 | 4R | 불참 | 예선2R | 불참 | 불참 | 0 / 5 | 4-5 | 44% |
마이애미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1R | 불참 | 1R | 2R | 2R | 2R | 불참 | 3R | 1R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7 | 3-7 | 30% |
마드리드 오픈 | 미개최 | 2R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2 | 1-2 | 33% | |||||||
이탈리아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2R | 불참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2 | 1-2 | 33% |
캐나다 | 불참 | 불참 | 예선1R | 1R | 1R | 1R | 2R | 2R | 1R | 1R | 2R | QF | 불참 | 1R | 불참 | 1R | 예선1R | 불참 | 0 / 11 | 6-11 | 35% |
신시내티 마스터스 | 티어 I 아님 | 2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1 | 1-1 | 50% | |||||||
팬 퍼시픽 오픈 / 우한 오픈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예선1R | 불참 | 1R | 3R | 불참 | 불참 | 불참 | 2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3 | 3-3 | 50% |
베이징 | 티어 I 아님 | 3R | 불참 | 불참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2 | 2-2 | 50% | |||||||
승-패 | 0-0 | 0-0 | 0-0 | 0-1 | 0-1 | 0-1 | 1-3 | 2-3 | 8-8 | 0-4 | 1-1 | 5-5 | 1-3 | 3-3 | 0-0 | 0-1 | 0-0 | 0-0 | 0 / 34 | 21-34 | 38% |
경력 통계 |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SR | 승-패 | 승률 | |
참가 대회 수 | 1 | 4 | 4 | 6 | 14 | 26 | 27 | 23 | 25 | 18 | 14 | 21 | 7 | 17 | 5 | 17 | 20 | 3 | 252 | ||
우승 타이틀 수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
결승 진출 횟수 | 0 | 0 | 0 | 0 | 0 | 0 | 1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
하드 코트 승-패 | 0-0 | 11-3 | 0-1 | 5-3 | 19-5 | 34-15 | 16-18 | 29-14 | 13-14 | 3-9 | 19-10 | 23-10 | 2-6 | 14-11 | 4-4 | 21-14 | 21-12 | 1-2 | 1 / 158 | 235-151 | 61% |
클레이 코트 승-패 | 0-0 | 0-0 | 1-2 | 6-3 | 25-7 | 7-6 | 5-3 | 6-5 | 10-7 | 6-6 | 5-2 | 8-6 | 0-0 | 8-4 | 0-0 | 0-3 | 2-5 | 1-1 | 0 / 60 | 90-60 | 60% |
잔디 코트 승-패 | 0-0 | 0-0 | 0-0 | 0-0 | 0-0 | 0-1 | 0-3 | 2-2 | 4-3 | 5-3 | 3-1 | 3-3 | 0-0 | 7-2 | 0-0 | 0-0 | 0-0 | 0-0 | 0 / 18 | 24-18 | 57% |
카펫 코트 승-패 | 2-1 | 0-0 | 1-1 | 0-0 | 0-1 | 2-2 | 1-5 | 3-1 | 3-1 | 0-0 | 1-1 | 1-0 | 0-1 | 0-0 | 0-1 | 0-1 | 0-1 | 0-0 | 0 / 16 | 14-17 | 45% |
총 승-패 | 2-1 | 11-3 | 2-4 | 11-6 | 44-13 | 43-24 | 22-29 | 40-22 | 30-25 | 14-18 | 28-14 | 35-19 | 2-7 | 29-17 | 4-5 | 21-18 | 23-18 | 2-3 | 1 / 252 | 363-246 | 60% |
승률 | 67% | 79% | 33% | 65% | 79% | 64% | 43% | 65% | 55% | 44% | 67% | 65% | 22% | 63% | 44% | 54% | 56% | 40% | 59.61% | ||
연말 랭킹 | |||||||||||||||||||||
569 | 878 | 491 | 190 | 91 | 130 | 34 | 35 | 126 | 105 | 43 | 280 | 132 | 844 | 299 | 300 | 202.88 만 USD |
7.3.2. 복식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SR | 승-패 | 승률 |
---|---|---|---|---|---|---|---|---|---|---|---|---|---|---|---|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 |||||||||||||||
호주 오픈 | 불참 | 불참 | 1R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2 | 0-2 | 0% |
프랑스 오픈 | 1R | 불참 | 1R | 2R | 불참 | 2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4 | 2-4 | 33% |
윔블던 | 불참 | 불참 | 2R | 2R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3 | 2-3 | 40% |
US 오픈 | 불참 | 1R | 1R | 불참 | 불참 | 1R | 2R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0 / 4 | 1-4 | 20% |
승-패 | 0-1 | 0-1 | 1-4 | 2-3 | 0-0 | 1-3 | 1-1 | 0-0 | 0-0 | 0-0 | 0-0 | 0-0 | 0 / 13 | 5-13 | 28% |
7.4. 경력 총 상금
연도 | 타이틀 | 상금 | |||
---|---|---|---|---|---|
연도 | 그랜드 슬램 | WTA | 총계 | USD | WTA 랭킹 |
2007 | 0 | 0 | 0 | 2.01 만 USD | n/a |
2008 | 0 | 1 | 1 | 27.75 만 USD | 60 |
2009 | 0 | 0 | 0 | 44.33 만 USD | 51 |
2010 | 0 | 0 | 0 | 21.87 만 USD | 85 |
2011 | 0 | 0 | 0 | 11.24 만 USD | n/a |
2012 | 0 | 0 | 0 | 33.60 만 USD | 65 |
2013 | 0 | 0 | 0 | 10.45 만 USD | n/a |
2014 | 0 | 0 | 0 | 20.66 만 USD | 123 |
2015 | 0 | 0 | 0 | 2841 USD | 1010 |
2016 | 0 | 0 | 0 | 6.16 만 USD | 228 |
2017 | 0 | 0 | 0 | 3.07 만 USD | 337 |
2018 | 0 | 0 | 0 | - | - |
경력 | 0 | 1 | 1 | 202.79 만 USD | 201 |
7.5. 상위권 선수 상대 전적
워즈니악의 세계 랭킹 20위 이상 선수들과의 승-패 기록은 11승 37패(승률 23%)이다. 세계 랭킹 1위였던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되어 있다.
- Marion Bartoli마리옹 바르톨리프랑스어 2-1
- Amélie Mauresmo아멜리 모레스모프랑스어 1-0
- Svetlana Kuznetsova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러시아어 1-0
- Francesca Schiavone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이탈리아어 1-0
- Sabine Lisicki자비네 리시키독일어 1-0
- Zheng Jie정제중국어 1-0
- Serena Williams세레나 윌리엄스영어 1-1
- Nadia Petrova나디아 페트로바러시아어 1-1
- Jelena Janković옐레나 얀코비치세르비아어 1-4
- Caroline Wozniacki카롤리네 보즈니아키덴마크어 1-7
- Ana Ivanović아나 이바노비치세르비아어 0-1
- Dinara Safina디나라 사피나러시아어 0-1
- Vera Zvonareva베라 즈보나레바러시아어 0-1
- Samantha Stosur사만다 스토서영어 0-1
- Patty Schnyder패티 슈니더독일어 0-1
- Dominika Cibulková도미니카 시불코바슬로바키아어 0-1
- Flavia Pennetta플라비아 페네타이탈리아어 0-1
- Alizé Cornet알리제 코르네프랑스어 0-1
- Shahar Pe'er샤하르 페르히브리어 0-1
- Lucie Šafářová루시 샤파르조바체코어 0-1
- Sybille Bammer시빌 밤머독일어 0-1
- Victoria Azarenka빅토리야 아자란카벨라루스어 0-2
- Li Na리나중국어 0-2
- Elena Dementieva엘레나 데멘티예바러시아어 0-2
- Sloane Stephens슬론 스티븐스영어 0-2
- Agnieszka Radwańska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폴란드어 0-4
7.5.1. 세계 랭킹 톱 10 선수 상대 승리 기록
워즈니악은 경기 당시 세계 랭킹 톱 10에 속했던 선수들을 상대로 4승 21패(승률 16%)를 기록했다.
시즌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총계 |
승리 | 0 | 0 | 0 | 0 | 0 | 0 | 0 | 1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No. | 상대 선수 | 랭킹 | 대회 | 코트 | 라운드 | 스코어 | 워즈니악 랭킹 | |
---|---|---|---|---|---|---|---|---|
2008년 | ||||||||
1. | Serena Williams세레나 윌리엄스영어 | 5 | 스탠퍼드 클래식, 미국 | 하드 | 준결승 | 6-2, 3-1 ret. | 85 | |
2009년 | ||||||||
2. | Nadia Petrova나디아 페트로바러시아어 | 10 | 폰테 베드라 비치, 미국 | 클레이 | 준결승 | 6-4, 4-6, 6-2 | 35 | |
3. | Svetlana Kuznetsova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러시아어 | 5 | 이스트본 국제 대회, 영국 | 잔디 | 1회전 | 6-0, 6-3 | 23 | |
4. | Caroline Wozniacki카롤리네 보즈니아키덴마크어 | 5 | 팬 퍼시픽 오픈, 일본 | 하드 | 2회전 | 5-0 ret. | 35 |
8. 수상 및 영예
- 2004년 - 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여자 선수
- 2006년 - 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여자 선수
- 2008년 - 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여자 선수
- 2009년 - 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여자 선수
- 2009년 - 바비 로젠펠트 어워드
- 2012년 - 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여자 선수
- 2012년 -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다이아몬드 희년 메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