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반 및 배경
대니얼 네스터는 1972년 9월 4일 Данијел Несторовић다니옐 네스토로비치세르비아어라는 이름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세르비아계 부모는 1976년 그가 네 살이 되기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하여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는 Elkhorn public school엘크혼 공립학교영어에 다녔고, 이후 Earl Haig Secondary School얼헤이그 제2학교영어에서 APGA (Academic Program for Gifted Athletes)APGA(영재 운동선수 학업 프로그램)영어라는 특별 스포츠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2. 테니스 경력
대니얼 네스터는 1991년 프로로 전향하여 2018년 은퇴하기까지 27년간의 긴 프로 경력을 이어갔다. 그는 왼손잡이이며, 두 손 백핸드를 구사했다.
2.1. 초기 경력 및 올림픽 금메달
네스터는 1994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마크 놀스와 함께 생애 첫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결승전에서 그들은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 챔피언인 Luke and Murphy Jensen루크와 머피 젠슨영어 형제를 꺾었다.
그는 1992년부터 2018년까지 캐나다 데이비스컵 팀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1992년 밴쿠버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스테판 에드베리를 접전 끝에 물리치며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3년에는 캐나다 팀이 오픈 시대 최초로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준결승에 진출하는 역사적인 순간에 함께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네스터는 세바스티앵 라로와 파트너를 이뤄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캐나다 테니스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었다. 이들은 이후 함께 4개의 타이틀을 더 획득했으며, 캐나다에서 열린 ATP Masters 1000ATP 마스터스 1000영어 대회 우승이 가장 큰 성과였다. 올림픽 이후 네스터는 2000년 11월 케빈 얼리엣과 1개, 2001년 샌든 스톨과 2개의 타이틀을 추가했다. 2006년 7월에는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6시간 9분 동안 진행된 역대 두 번째로 긴 경기에 참여하기도 했다.
2.2. 주요 파트너십 및 그랜드 슬램 성공
대니얼 네스터는 오랜 기간 다양한 복식 파트너들과 함께하며 수많은 그랜드 슬램과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을 획득했다.
가장 대표적인 파트너십은 바하마 출신의 마크 놀스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그들은 총 40개의 타이틀을 합작했는데, 여기에는 3개의 그랜드 슬램(2002년 호주 오픈, 2004년 US 오픈, 2007년 프랑스 오픈), 1개의 ATP 연말 파이널스, 그리고 15개의 ATP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이 포함된다. 또한 1995년 호주 오픈, 1998년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 2002년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 2003년 호주 오픈에서 그랜드 슬램 결승에 진출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2003년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와 함께 US 오픈 결승에 진출했고, 2006년 호주 오픈과 프랑스 오픈 결승에 올랐으며, 2007년에는 엘레나 리호프체바와 함께 호주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했다. 네스터와 놀스는 2007년 US 오픈 이후 헤어지기로 결정했으나, 그 해 ATP 연말 파이널스에서는 다시 파트너를 이뤄 우승하며 성공적인 파트너십의 마침표를 찍었다.
2007년 US 오픈 이후, 네스터는 네나드 지몬지치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네스터는 테니스 복식이 더욱 강력하고 신체적인 형태로 변모했다고 판단하여 지몬지치와의 협력을 택했는데, 이들은 Bob and Mike Bryan밥 브라이언과 마이크 브라이언영어 형제를 넘어서기 위해 전략적으로 팀을 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정식 파트너십 첫 우승은 200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오픈에서 나왔다. 2008년 첫 풀 시즌에서 그들은 함부르크 마스터스에서 첫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일주일 후 프랑스 오픈 결승에 진출했다. 이후 2008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요나스 비요르크만과 케빈 얼리엣을 꺾고 우승하며, 네스터는 생애 첫 윔블던 타이틀을 획득하고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이들은 같은 해 2008년 테니스 마스터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에는 윔블던에서 다시 우승했으며, 5개의 마스터스 1000 대회를 포함해 8개의 타이틀을 추가하여 두 선수 모두 개인 최다 단일 시즌 타이틀 기록을 세웠다. 2010년에는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하고 호주 오픈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10월, 이들은 2010 시즌을 끝으로 헤어질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2010년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에서 우승하며 파트너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이들은 총 21개의 ATP 타이틀과 9개의 결승 진출 기록을 세웠으며, 함께 3개의 그랜드 슬램, 2개의 ATP 연말 파이널스, 10개의 ATP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을 포함해 총 27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네스터는 막스 미르니와 파트너를 이뤘다. 미르니와의 첫 대회인 브리즈번 인터내셔널에서 네스터는 통산 783번째 복식 승리를 거두며 토드 우드브리지의 역대 최다 승리 기록을 넘어섰다. 2011년 프랑스 오픈과 2011년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특히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결승에서는 그의 1,148번째 경기를 치러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을 세웠다. 2012년에는 미르니와 함께 두 번째 프랑스 오픈 타이틀을 획득하며 또 하나의 그랜드 슬램을 추가했다. 미르니와 함께한 기간 동안 네스터는 2개의 그랜드 슬램, 1개의 ATP 연말 파이널스, 상하이 마스터스 1개를 포함해 총 8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2011년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두 번째 호주 오픈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3. 말년 경력 및 은퇴
2013년 1월, 네스터는 마헤쉬 부파티와 파트너십을 맺기로 결정했으나, 같은 해 중반에 로버트 린스테트로 파트너를 변경했다. 7월에는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결승에도 진출했다. 8월에는 새로운 파트너 리앤더 페이스와 Winston-Salem Open윈스턴세일럼 오픈영어에서 우승하며 통산 81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해 그는 ATP 역사상 최초로 복식 900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2013년은 복식 타이틀이 1개에 그쳐 1999년 이후 4개 미만의 타이틀을 획득한 첫 해였고, 1995년 이후 2개 미만의 타이틀을 획득한 첫 해였다. 6월에는 6년 만에 ATP 복식 랭킹 톱 5 밖으로 밀려났고, 2000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25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2014년 시즌 첫 대회인 브리즈번 인터내셔널에서 네스터는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와 함께 통산 82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피르스텐베르크는 네스터가 복식 타이틀을 획득한 8번째 파트너였다. 2013년 말에는 다시 네나드 지몬지치와 2014 시즌을 함께하기로 결정했고, 다음 주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 지몬지치와 함께 2주 연속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세 번째 호주 오픈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그들의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타이틀이었다. 2014년 5월 무투아 마드리드 오픈에서 통산 84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ATP 역사상 토드 우드브리지를 제치고 전체 3위에 올랐다. 이 우승은 2011년 상하이 이후 첫 ATP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이었으며, 그의 ATP 랭킹을 7위로 끌어올리며 약 1년 만에 톱 10에 재진입했다. 그 다음 주에는 BNL 이탈리아 국제 오픈에서 두 번째 연속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을 획득하며 2009년 이후 처음으로 다수의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을 따냈다. US 오픈에서는 아쉬운 성적을 거뒀지만, 네스터는 랭킹 3위로 올라섰고 지몬지치와 함께 ATP 투어 파이널스 진출권을 확보했다.
2015년 1월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 네스터는 통산 86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오픈 시대 ATP 타이틀 부문에서 단독 11위에 올랐다. 이는 새로운 파트너 로한 보파나와 함께한 첫 타이틀이었다. 같은 달, 네스터는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함께 호주 오픈 혼합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 2월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 시즌 두 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8월 신시내티 마스터스에서는 새로운 파트너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과 함께 시즌 세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6년 1월, 네스터는 라덱 스테파네크와 함께 호주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하며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 결승에 진출한 최고령 팀이 되었다. 이들은 결승에서 제이미 머리와 브루노 소아레스에게 패했다. 6월 노팅엄 오픈에서 네스터는 11번째 다른 파트너인 도미닉 잉글롯과 함께 시즌 첫 타이틀을 획득하며 23년 연속 최소 1개의 남자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는 기록을 세웠다. 7월에는 로제르-바슬랭과 함께 시티 오픈에서 시즌 두 번째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10월 유러피언 오픈에서도 로제르-바슬랭과 함께 우승하며 시즌 세 번째이자 통산 91번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18년 6월 20일, 네스터는 28년간의 프로 경력을 마무리하고 9월에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46세의 나이로 그는 2018년 9월 15일 토론토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플레이오프 홈 경기에서 바섹 포스피실과 파트너를 이뤄 마지막 프로 경기를 치렀으나, Matwé Middelkoop마트베 미델코프영어와 Jean-Julien Rojer장-줄리앙 로제영어에게 6-4, 3-6, 4-6, 4-6으로 패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주요 기록
대니얼 네스터는 복식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데, 이는 그의 뛰어난 장수력과 최정상급에서의 꾸준한 성공 덕분이다. 그는 2002년 8월 19일에 ATP 복식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 총 108주 동안 이 순위를 유지하여 역대 다섯 번째로 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네스터는 총 95개의 ATP 투어 레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는 오픈 시대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그는 남자 복식에서 8개, 혼합 복식에서 4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파이널스에서도 4번 우승했다.
그는 오픈 시대에 복식 '빅 타이틀 스윕'을 달성한 최초의 남자 선수이다. 이 '빅 타이틀 스윕'은 경력 동안 모든 그랜드 슬램 대회, 모든 마스터스 1000 대회, ATP 투어 파이널스, 그리고 올림픽 금메달을 모두 우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업적은 브라이언 형제만이 유일하게 그와 함께 달성했다.
네스터는 2002년, 2004년(이상 마크 놀스와), 2008년(네나드 지몬지치와)에 ATP Doubles Team of the YearATP 올해의 복식 팀영어에 선정되었으며, 2002년과 2008년에는 ITF Doubles World ChampionITF 복식 월드 챔피언영어으로 선정되었다. 2016년 1월, 네스터는 ATP 역사상 최초로 복식 1000승을 달성하는 기념비적인 기록을 세웠다. 그는 1994년 4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총 1134주 연속으로 복식 랭킹 100위 안에 머무는 등 놀라운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네스터는 주로 복식 전문 선수였으나, 단식에서도 활동했다. 단식에서는 우승 타이틀 없이 총 85승 118패의 기록을 남겼으며, 1999년 8월 23일에는 개인 최고 단식 랭킹인 58위를 기록했다.
3.1. 탑 10 선수 상대 승리 기록
No. | 상대 | 랭킹 | 대회 | 표면 | 라운드 | 점수 | 네스터 랭킹 |
---|---|---|---|---|---|---|---|
1992 | |||||||
1. | 스테판 에드베리 (스웨덴) | 1 | 데이비스컵, 밴쿠버, 캐나다 | 카펫 (실내) | 1R | 4-6, 6-3, 1-6, 6-3, 6-4 | 238 |
1996 | |||||||
2. | 안드레 애거시 (미국) | 6 | 인디애나폴리스, 미국 | 하드 | 2R | 1-6, 3-2 기권 | 140 |
3. | 토마스 무스터 (오스트리아) | 2 | 토론토, 캐나다 | 하드 | 2R | 6-3, 7-5 | 123 |
1997 | |||||||
4. | 토마스 엔크비스트 (스웨덴) | 7 | 마이애미, 미국 | 하드 | 2R | 7-6(11-9), 6-3 | 115 |
4. 개인 생활
대니얼 네스터는 2005년 7월 2년간 교제해 온 Наташа Гавриловић나타샤 가브릴로비치세르비아어와 결혼했다. 이 부부는 2008년 12월 15일에 첫째 딸 Tiana Alexis티아나 알렉시스영어를 맞이했으며, 2013년 3월 2일에는 둘째 딸 Bianca Willow비앙카 윌로우영어가 태어났다. 네스터 가족은 현재 바하마에 거주하고 있다.
5. 수상 및 영예
대니얼 네스터는 테니스 경력을 통해 수많은 국가 및 스포츠 관련 수상과 영예를 받았다.
- 2010년 11월: 캐나다 훈장 (Member of the Order of Canada, CM)에 지명되었다.
- 2011년 6월 28일: 캐나다 명예의 거리 헌액이 발표되었고, 10월 1일 토론토 Elgin Theatre엘긴 극장영어에서 공식 헌액식이 열렸다.
- 2012년 8월: 요크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 2024년: Order of Sport스포츠 훈장영어을 수여받고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테니스 관련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 ATP Doubles Team of the YearATP 복식 올해의 팀영어: 2002년, 2004년(마크 놀스와 함께), 2008년(네나드 지몬지치와 함께).
- ITF Doubles World ChampionITF 복식 월드 챔피언영어: 2002년, 2008년.
- Tennis Canada male player of the year테니스 캐나다 올해의 남자 선수영어: 1997년, 2000년, 2001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 데이비스컵 헌신상(Commitment Award커미트먼트 어워드영어): 2012년.
6. 영향 및 유산
대니얼 네스터는 그의 탁월한 재능과 비할 데 없는 장수 경력을 통해 테니스 스포츠, 특히 복식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복식 경기가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파트너와의 완벽한 호흡과 전략적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몸소 증명했다. 특히 네나드 지몬지치와 같은 새로운 파트너와 함께 Bryan brothers브라이언 형제영어의 아성에 도전하고 성공을 거둔 사례는 복식 전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그의 경력은 캐나다 테니스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남겼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획득한 금메달은 캐나다 테니스의 첫 올림픽 메달이었으며, 이는 국내 테니스 선수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또한 그가 ATP 투어에서 세운 수많은 기록들, 특히 복식 1000승 달성 및 1100주 이상 세계 랭킹 100위권 유지 기록은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헌신을 보여준다.
네스터는 단순히 뛰어난 선수에 그치지 않고, 후대 선수들에게 본보기가 되었으며, 캐나다 테니스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오랜 경력과 변함없는 최정상급 기량은 테니스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그는 캐나다 스포츠의 아이콘 중 한 명으로 기억될 것이다. 그의 유산은 앞으로도 캐나다 테니스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7. 경력 통계
7.1. 그랜드 슬램 결승전
대니얼 네스터는 남자 복식에서 17번의 그랜드 슬램 결승에 진출하여 8번 우승하고 9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9번의 결승에 진출하여 4번 우승하고 5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995 | 호주 오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재러드 팔머 (미국) 리치 레네버그 (미국) | 3-6, 6-3, 3-6, 2-6 |
준우승 | 1998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야코 엘팅 (네덜란드)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3-6, 6-3, 3-6 |
준우승 | 1998 | US 오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시릴 숙 (체코) | 6-4, 6-7(6-8), 2-6 |
우승 | 2002 | 호주 오픈 (1)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7-6(7-4), 6-3 |
준우승 | 2002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러시아) | 5-7, 4-6 |
준우승 | 2002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잔디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1-6, 2-6, 7-6(8-6), 5-7 |
준우승 | 2003 | 호주 오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4-6, 6-3, 3-6 |
우승 | 2004 | US 오픈 (1)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다비트 리클 (체코) | 6-3, 6-3 |
우승 | 2007 | 프랑스 오픈 (1)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루카시 들루히 (체코) 파벨 비즈네르 (체코) | 2-6, 6-3, 6-2 |
준우승 | 2008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파블로 쿠에바스 (우루과이) 루이스 오르나 (페루) | 2-6, 3-6 |
우승 | 2008 | 윔블던 (1)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7-6(14-12), 6-7(3-7), 6-3, 6-3 |
우승 | 2009 | 윔블던 (2)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7-6(9-7), 6-7(3-7), 7-6(7-3), 6-3 |
준우승 | 2010 | 호주 오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7-6(7-5), 3-6 |
우승 | 2010 | 프랑스 오픈 (2)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루카시 들루히 (체코) 리앤더 페이스 (인도) | 7-5, 6-2 |
우승 | 2011 | 프랑스 오픈 (3)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콜롬비아) 에두아르도 슈방크 (아르헨티나) | 7-6(7-3), 3-6, 6-4 |
우승 | 2012 | 프랑스 오픈 (4)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4 |
준우승 | 2016 | 호주 오픈 | 하드 |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제이미 머리 (영국) 브루노 소아레스 (브라질) | 6-2, 4-6, 5-7 |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2003 | US 오픈 | 하드 |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 (러시아)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슬로베니아) 밥 브라이언 (미국) | 7-5, 5-7, [5-10] |
준우승 | 2006 | 호주 오픈 | 하드 | 엘레나 리호프체바 (러시아) | 마르티나 힝기스 (스위스) 마헤쉬 부파티 (인도) | 3-6, 3-6 |
준우승 | 2006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엘레나 리호프체바 (러시아)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슬로베니아)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3-6, 4-6 |
우승 | 2007 | 호주 오픈 (1) | 하드 | 엘레나 리호프체바 (러시아) | 빅토리아 아자렌카 (벨라루스)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6-4 |
우승 | 2011 | 호주 오픈 (2) | 하드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슬로베니아) | 잔융잔 (대만)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 6-3, 3-6, [10-7] |
준우승 | 2013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프랑스) | 루시 흐라데츠카 (체코) 프란티세크 체르마크 (체코) | 6-1, 4-6, [6-10] |
우승 | 2013 | 윔블던 (1) | 잔디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프랑스) | 리사 레이먼드 (미국) 브루노 소아레스 (브라질) | 5-7, 6-2, 8-6 |
우승 | 2014 | 호주 오픈 (3) | 하드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프랑스) | 사니아 미르자 (인도) 호리아 테커우 (루마니아) | 6-3, 6-2 |
준우승 | 2015 | 호주 오픈 | 하드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프랑스) | 마르티나 힝기스 (스위스) 리앤더 페이스 (인도) | 4-6, 3-6 |
7.2. 기타 주요 결승전
네스터는 그랜드 슬램 외에도 ATP 연말 파이널스, 마스터스 1000 대회,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998 | ATP 파이널스 (하트퍼드)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야코 엘팅 (네덜란드)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4-6, 2-6, 5-7 |
준우승 | 2006 | ATP 파이널스 (상하이)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2-6, 4-6 |
우승 | 2007 | ATP 파이널스 (상하이) (1)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시몬 아스펠린 (스웨덴) 줄리안 놀 (오스트리아) | 6-2, 6-3 |
우승 | 2008 | ATP 파이널스 (상하이) (2)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7-6(7-3), 6-2 |
우승 | 2010 | ATP 파이널스 (런던) (3)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7-6(8-6), 6-4 |
우승 | 2011 | ATP 파이널스 (런던) (4)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7-5, 6-3 |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995 | 신시내티 마스터스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2-6, 0-3 기권 |
준우승 | 1996 | 토론토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패트릭 갈브레이스 (미국)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6-7, 3-6 |
우승 | 1996 | 함부르크 (1)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기 포르제 (프랑스) 야코프 흘라세크 (스위스) | 6-2, 6-4 |
우승 | 1996 | 신시내티 (1)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시릴 숙 (체코) | 6-2, 7-5 |
우승 | 1997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1)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크 필리푸시스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래프터 (오스트레일리아) | 7-5, 6-4 |
준우승 | 1997 | 마이애미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4-6, 6-3, 3-6 |
우승 | 1997 | 로마 (1)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바이런 블랙 (짐바브웨) 알렉스 오브라이언 (미국) | 6-3, 4-6, 7-5 |
우승 | 1998 | 신시내티 (2)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올리비에르 들레트르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6-1, 2-1 기권 |
우승 | 2000 | 캐나다 오픈 (토론토) (1)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조슈아 이글 (오스트레일리아) 앤드루 플로렌트 (오스트레일리아) | 6-3, 7-6(7-3) |
준우승 | 2000 | 파리 마스터스 | 카펫 (실내) |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니클라스 쿨티 (스웨덴)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4-6, 5-7 |
준우승 | 2001 | 로마 | 클레이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웨인 페레이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러시아) | 4-6, 6-7(6-8) |
준우승 | 2001 | 함부르크 | 클레이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6-7(2-7), 6-3, 3-6 |
우승 | 2002 | 인디언웰스 (2)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로저 페더러 (스위스)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6-4 |
우승 | 2002 | 마이애미 (1)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도널드 존슨 (미국) 재러드 팔머 (미국) | 4-6, 7-6(8-6), 6-2 |
우승 | 2002 | 마드리드 (1)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6-3 |
준우승 | 2002 | 토론토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 |
우승 | 2003 | 함부르크 (2)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7-6(12-10) |
우승 | 2004 | 신시내티 (3)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7-6(7-5), 6-3 |
우승 | 2004 | 마드리드 (2)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3, 6-4 |
우승 | 2005 | 인디언웰스 (3)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웨인 아서스 (오스트레일리아)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 7-6(8-6), 7-6(7-2) |
우승 | 2005 | 마드리드 (3)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3-6, 6-3, 6-2 |
준우승 | 2005 | 파리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4-6, 7-6(7-3), 4-6 |
우승 | 2006 | 인디언웰스 (4)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4 |
우승 | 2006 | 로마 (2)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앤디 람 (이스라엘) | 4-6, 6-4, [10-6] |
준우승 | 2006 | 마드리드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5-7, 4-6 |
준우승 | 2006 | 함부르크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6-4, 6-7(5-7), [4-10] |
준우승 | 2007 | 파리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6-7(4-7) |
준우승 | 2008 | 인디언웰스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앤디 람 (이스라엘) | 4-6, 4-6 |
준우승 | 2008 | 로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3, 4-6, [8-10] |
우승 | 2008 | 함부르크 (3)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5-7, [10-8] |
우승 | 2008 | 토론토 (2)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2, 4-6, [10-6] |
우승 | 2009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1)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 |
우승 | 2009 | 로마 (3)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 |
우승 | 2009 | 마드리드 (4)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시몬 아스펠린 (스웨덴) 웨슬리 무디 (남아프리카 공화국) | 6-4, 6-4 |
우승 | 2009 | 신시내티 (4)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7-6(7-2), [15-13] |
우승 | 2009 | 파리 (1)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스페인) 토미 로브레도 (스페인) | 6-3, 6-4 |
준우승 | 2010 | 인디언웰스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크 로페스 (스페인) 라파엘 나달 (스페인) | 6-7(8-10), 3-6 |
우승 | 2010 | 몬테카를로 (2)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3, 2-0 기권 |
준우승 | 2010 | 마드리드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4-6 |
준우승 | 2011 | 마이애미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리앤더 페이스 (인도) | 7-6(7-5), 2-6, [5-10] |
우승 | 2011 | 상하이 (1)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3-6, 6-1, [12-10] |
준우승 | 2012 | 마이애미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6-3, 1-6, [8-10] |
준우승 | 2012 | 몬테카를로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2-6, 3-6 |
우승 | 2014 | 마드리드 (5)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2 |
우승 | 2014 | 로마 (4)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로빈 하세 (네덜란드) 펠리시아노 로페스 (스페인) | 6-4, 7-6(7-2) |
준우승 | 2015 | 몬트리올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7(5-7), 6-3, [6-10] |
우승 | 2015 | 신시내티 (5)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6-2, 6-2 |
결과 | 연도 | 대회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금메달 | 2000 | 시드니 올림픽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5-7, 6-3, 6-4, 7-6(7-2) |
4위 | 2016 |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하드 | 바섹 포스피실 (캐나다) | 스티브 존슨 (미국) 잭 소크 (미국) | 2-6, 4-6 |
7.3. ATP 경력 결승전
네스터는 ATP 경력 복식에서 총 151번의 결승에 진출하여 91번 우승하고 60번 준우승했다.
범례 |
---|
그랜드 슬램 (8-9) |
올림픽 (1-0) |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4-2) |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28-19) |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20-11) |
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 (30-19) |
표면별 결승전 |
---|
하드 (56-38) |
클레이 (23-13) |
잔디 (8-4) |
카펫 (4-5) |
환경별 결승전 |
---|
야외 (67-43) |
실내 (24-17) |
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티어 | 표면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우승 | 1-0 | 1994년 9월 | 반콜롬비아 오픈 (콜롬비아) (1) | 25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루크 젠슨 (미국) 머피 젠슨 (미국) | 6-4, 7-6(7-5) |
준우승 | 1-1 | 1995년 1월 |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그랜드 슬램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재러드 팔머 (미국) 리치 레네버그 (미국) | 3-6, 6-3, 3-6, 2-6 |
준우승 | 1-2 | 1995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2-6, 0-3 기권 |
우승 | 2-2 | 1995년 8월 | 인디애나폴리스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1) | 50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스코트 데이비스 (미국) 토드 마틴 (미국) | 6-3, 7-5 |
우승 | 3-2 | 1996년 1월 | ATP 카타르 오픈 (카타르) (1)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야코 엘팅 (네덜란드)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7-6(7-3), 6-3 |
우승 | 4-2 | 1996년 2월 | U.S. 내셔널 실내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1)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6-4, 7-5 |
우승 | 5-2 | 1996년 5월 | 함부르크 마스터스 (독일) (1)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기 포르제 (프랑스) 야코프 흘라세크 (스위스) | 6-2, 6-4 |
준우승 | 5-3 | 1996년 6월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네덜란드) | 250 시리즈 | 잔디 | 안데르스 야리드 (스웨덴) | 폴 킬데리 (오스트레일리아) 파벨 비즈네르 (체코) | 5-7, 3-6 |
우승 | 6-3 | 1996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시릴 숙 (체코) | 6-2, 7-5 |
준우승 | 6-4 | 1996년 8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패트릭 갈브레이스 (미국)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6-7, 3-6 |
준우승 | 6-5 | 1997년 2월 | 퍼시픽 코스트 챔피언십 (미국)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브라이언 맥피 (미국) 게리 뮐러 (남아프리카 공화국) | 6-4, 6-7, 5-7 |
우승 | 7-5 | 1997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크 필리푸시스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래프터 (오스트레일리아) | 7-5, 6-4 |
준우승 | 7-6 | 1997년 3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4-6, 6-3, 3-6 |
우승 | 8-6 | 1997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1)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바이런 블랙 (짐바브웨) 알렉스 오브라이언 (미국) | 6-3, 4-6, 7-5 |
준우승 | 8-7 | 1998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 250 시리즈 | 하드 | 야코 엘팅 (네덜란드)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3-6, 5-7 |
우승 | 9-7 | 1998년 4월 | 재팬 오픈 (일본) (1) | 500 시리즈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올리비에르 들레트르 (프랑스) 스테파노 페스코솔리도 (이탈리아) | 6-4, 3-6, 6-4 |
준우승 | 9-8 | 1998년 5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야코 엘팅 (네덜란드)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3-6, 6-3, 3-6 |
준우승 | 9-9 | 1998년 6월 | 노팅엄 오픈 (영국) | 250 시리즈 | 잔디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저스틴 기멜스토브 (미국) 바이런 탈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 5-7, 7-6, 4-6 |
우승 | 10-9 | 1998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2)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올리비에르 들레트르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6-1, 2-1 기권 |
준우승 | 10-10 | 1998년 8월 | 인디애나폴리스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 50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이르지 노바크 (체코) 다비트 리클 (체코) | 2-6, 6-7 |
준우승 | 10-11 | 1998년 8월 | US 오픈 (미국) | 그랜드 슬램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시릴 숙 (체코) | 6-4, 6-7, 2-6 |
준우승 | 10-12 | 1998년 11월 | ATP 파이널스 (미국) | 투어 파이널스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야코 엘팅 (네덜란드)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4-6, 2-6, 5-7 |
우승 | 11-12 | 1999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1) | 250 시리즈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패트릭 갈브레이스 (미국)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6-3, 6-4 |
우승 | 12-12 | 1999년 10월 | 킹피셔 항공 테니스 오픈 (중국) (1) | 250 시리즈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7-5, 6-3 |
우승 | 13-12 | 2000년 8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조슈아 이글 (오스트레일리아) 앤드루 플로렌트 (오스트레일리아) | 6-3, 7-6(7-3) |
우승 | 14-12 | 2000년 10월 |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1) | 올림픽 | 하드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우드포드 (오스트레일리아) | 5-7, 6-3, 6-4, 7-6(7-2) |
우승 | 15-12 | 2000년 11월 | 상트페테르부르크 오픈 (러시아) (1)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토마스 시마다 (일본) 마일스 웨이크필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 7-6(7-5), 7-5 |
준우승 | 15-13 | 2000년 11월 | 파리 마스터스 (프랑스) | 마스터스 1000 | 카펫 (실내) |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니클라스 쿨티 (스웨덴)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4-6, 5-7 |
우승 | 16-13 | 2000년 11월 | 스톡홀름 오픈 (스웨덴) (1)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페트르 팔라 (체코) 파벨 비즈네르 (체코) | 6-3, 6-2 |
우승 | 17-13 | 2001년 1월 | 카타르 오픈 (카타르) (2)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후안 발셀스 (스페인) 안드레이 올호프스키 (러시아) | 6-3, 6-1 |
우승 | 18-13 | 2001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2) | 250 시리즈 | 하드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2-6, 7-6(7-4), 7-6(7-5) |
준우승 | 18-14 | 2001년 3월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 50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유고슬라비아) | 조슈아 이글 (오스트레일리아)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4-6, 4-6 |
준우승 | 18-15 | 2001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웨인 페레이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러시아) | 4-6, 6-7(6-8) |
준우승 | 18-16 | 2001년 5월 | 함부르크 마스터스 (독일)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6-7(2-7), 6-3, 3-6 |
우승 | 19-16 | 2001년 6월 | 할레 오픈 (독일) (1) | 250 시리즈 | 잔디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패트릭 래프터 (오스트레일리아) | 6-4, 6-7(5-7), 6-1 |
우승 | 20-16 | 2001년 10월 | 오픈 쉬드 드 프랑스 (프랑스) (1)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유고슬라비아) | 아르노 클레망 (프랑스) 세바스티앵 그로장 (프랑스) | 6-1, 6-2 |
우승 | 21-16 | 2002년 1월 |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1) | 그랜드 슬램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7-6(7-4), 6-3 |
준우승 | 21-17 | 2002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로저 페더러 (스위스)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3-6, [4-10] |
우승 | 22-17 | 2002년 3월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1) | 50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조슈아 이글 (오스트레일리아)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3-6, 6-3, [13-11] |
준우승 | 22-18 | 2002년 3월 | 테니스 채널 오픈 (미국)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5-7, 6-7(6-8) |
우승 | 23-18 | 2002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2)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로저 페더러 (스위스)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6-4 |
우승 | 24-18 | 2002년 4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도널드 존슨 (미국) 재러드 팔머 (미국) | 4-6, 7-6(8-6), 6-2 |
준우승 | 24-19 | 2002년 5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러시아) | 5-7, 4-6 |
준우승 | 24-20 | 2002년 6월 | 윔블던 (영국) | 그랜드 슬램 | 잔디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1-6, 2-6, 7-6(8-6), 5-7 |
준우승 | 24-21 | 2002년 7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7(1-7), 3-6 |
우승 | 25-21 | 2002년 8월 | 인디애나폴리스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2) | 50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4-6, 7-6(7-3), 6-4 |
준우승 | 25-22 | 2002년 10월 | 오픈 쉬드 드 프랑스 (프랑스)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웨인 블랙 (짐바브웨)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4-6, 6-3, 6-7(3-7) |
우승 | 26-22 | 2002년 10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6-3 |
준우승 | 26-23 | 2002년 10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7(1-7), 5-7 |
준우승 | 26-24 | 2003년 1월 | 카타르 오픈 (카타르)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르틴 담 (체코) 시릴 숙 (체코) | 4-6, 6-7(8-10) |
준우승 | 26-25 | 2003년 1월 |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그랜드 슬램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파브리스 상토로 (프랑스) | 4-6, 6-3, 3-6 |
우승 | 27-25 | 2003년 2월 | U.S. 내셔널 실내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2)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2, 7-6(7-3) |
우승 | 28-25 | 2003년 3월 | 멕시코 오픈 (멕시코) (1) | 50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다비트 페레르 (스페인) 페르난도 비센테 (스페인) | 6-3, 6-3 |
우승 | 29-25 | 2003년 4월 | U.S. 남자 클레이 코트 챔피언십 (미국) (1) | 25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얀-마이클 감빌 (미국) 그레이던 올리버 (미국) | 6-4, 6-3 |
우승 | 30-25 | 2003년 5월 | 함부르크 마스터스 (독일) (2)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4, 7-6(12-10) |
우승 | 31-25 | 2003년 6월 | 퀸즈 클럽 챔피언십 (영국) (1) | 250 시리즈 | 잔디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3, 6-4 |
우승 | 32-25 | 2003년 10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1)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루카스 아르놀드 케르 (아르헨티나) 마리아노 후드 (아르헨티나) | 6-4, 6-2 |
우승 | 33-25 | 2004년 3월 | 오픈 13 (프랑스) (1)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르틴 담 (체코) 시릴 숙 (체코) | 7-5, 6-3 |
우승 | 34-25 | 2004년 5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1) | 50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리아노 후드 (아르헨티나) 세바스티안 프리에토 (아르헨티나) | 6-3, 6-2 |
준우승 | 34-26 | 2004년 6월 | 퀸즈 클럽 챔피언십 (영국) | 250 시리즈 | 잔디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4-6, 4-6 |
우승 | 35-26 | 2004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3)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토드 우드브리지 (오스트레일리아) | 7-6(7-5), 6-3 |
우승 | 36-26 | 2004년 9월 | US 오픈 (미국) (1) | 그랜드 슬램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다비트 리클 (체코) | 6-3, 6-3 |
우승 | 37-26 | 2004년 10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2)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3, 6-4 |
준우승 | 37-27 | 2005년 2월 | 오픈 13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르틴 담 (체코)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6-7(4-7), 6-7(5-7) |
우승 | 38-27 | 2005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3)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웨인 아서스 (오스트레일리아)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 7-6(8-6), 7-6(7-2) |
우승 | 39-27 | 2005년 4월 | U.S. 남자 클레이 코트 챔피언십 (미국) (2) | 25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르틴 가르시아 (아르헨티나) 루이스 오르나 (페루) | 6-3, 6-4 |
우승 | 40-27 | 2005년 10월 | 비엔나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1)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앤디 람 (이스라엘) | 5-3, 5-4(7-2) |
우승 | 41-27 | 2005년 10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3)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3-6, 6-3, 6-2 |
준우승 | 41-28 | 2005년 10월 | 파리 마스터스 (프랑스) | 마스터스 1000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4-6, 7-6(7-3), 4-6 |
우승 | 42-28 | 2006년 2월 | 델레이 비치 오픈 (미국) (1)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크리스 해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슬리 무디 (남아프리카 공화국) | 6-2, 6-3 |
준우승 | 42-29 | 2006년 2월 | 오픈 13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르틴 담 (체코)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2-6, 7-6(7-4), [3-10] |
준우승 | 42-30 | 2006년 3월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 50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6-1, 2-6, [1-10] |
우승 | 43-30 | 2006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4)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4 |
우승 | 44-30 | 2006년 5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2) | 50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6-7(5-7), 6-3, [10-5] |
우승 | 45-30 | 2006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2)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앤디 람 (이스라엘) | 4-6, 6-4, [10-6] |
준우승 | 45-31 | 2006년 5월 | 함부르크 마스터스 (독일)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6-4, 6-7(5-7), [4-10] |
준우승 | 45-32 | 2006년 10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5-7, 4-6 |
우승 | 46-32 | 2006년 10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2)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4-6, 6-4, [10-8] |
준우승 | 46-33 | 2006년 11월 | ATP 파이널스 (중국)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2-6, 4-6 |
준우승 | 46-34 | 2007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 250 시리즈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4-6, 7-6(7-3), [6-10] |
준우승 | 46-35 | 2007년 2월 | 오픈 13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마크 놀스 (바하마) | 아르노 클레망 (프랑스)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 5-7, 6-4, [8-10] |
준우승 | 46-36 | 2007년 4월 | U.S. 남자 클레이 코트 챔피언십 (미국) | 250 시리즈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7(3-7), 4-6 |
우승 | 47-36 | 2007년 6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1)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마크 놀스 (바하마) | 루카시 들루히 (체코) 파벨 비즈네르 (체코) | 2-6, 6-3, 6-4 |
우승 | 48-36 | 2007년 6월 | 퀸즈 클럽 챔피언십 (영국) (2) | 250 시리즈 | 잔디 | 마크 놀스 (바하마)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7-6(7-4), 7-5 |
우승 | 49-36 | 2007년 10월 | 상트페테르부르크 오픈 (러시아) (2) | 250 시리즈 | 카펫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위르겐 멜처 (오스트리아) 토드 페리 (오스트레일리아) | 6-1, 7-6(7-3) |
준우승 | 49-37 | 2007년 11월 | 파리 마스터스 (프랑스)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6-7(4-7) |
우승 | 50-37 | 2007년 11월 | ATP 파이널스 (중국) (1)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 마크 놀스 (바하마) | 시몬 아스펠린 (스웨덴) 줄리안 놀 (오스트리아) | 6-2, 6-3 |
준우승 | 50-38 | 2008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앤디 람 (이스라엘) | 4-6, 4-6 |
준우승 | 50-39 | 2008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3, 4-6, [8-10] |
우승 | 51-39 | 2008년 5월 | 함부르크 마스터스 (독일) (3)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5-7, [10-8] |
준우승 | 51-40 | 2008년 5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파블로 쿠에바스 (우루과이) 루이스 오르나 (페루) | 2-6, 3-6 |
우승 | 52-40 | 2008년 6월 | 퀸즈 클럽 챔피언십 (영국) (3) | 250 시리즈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셀로 멜로 (브라질) 앙드레 사 (브라질) | 6-4, 7-6(7-3) |
우승 | 53-40 | 2008년 7월 | 윔블던 (영국) (1) | 그랜드 슬램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요나스 비요르크만 (스웨덴)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7-6(14-12), 6-7(3-7), 6-3, 6-3 |
우승 | 54-40 | 2008년 7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2)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2, 4-6, [10-6] |
우승 | 55-40 | 2008년 11월 | ATP 파이널스 (중국) (2)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7-6(7-3), 6-2 |
준우승 | 55-41 | 2009년 1월 | 카타르 오픈 (카타르) | 25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크 로페스 (스페인) 라파엘 나달 (스페인) | 6-4, 4-6, [8-10] |
준우승 | 55-42 | 2009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 25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1-6, 6-7(3-7) |
우승 | 56-42 | 2009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1)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루카시 들루히 (체코) 리앤더 페이스 (인도) | 6-2, 7-5 |
우승 | 57-42 | 2009년 4월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모나코) (1)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1 |
우승 | 58-42 | 2009년 4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3) | 500 시리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마크 놀스 (바하마) | 6-3, 7-6(11-9) |
우승 | 59-42 | 2009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3)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 |
우승 | 60-42 | 2009년 5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4)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시몬 아스펠린 (스웨덴) 웨슬리 무디 (남아프리카 공화국) | 6-4, 6-4 |
우승 | 61-42 | 2009년 7월 | 윔블던 (영국) (2) | 그랜드 슬램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7-6(9-7), 6-7(3-7), 7-6(7-3), 6-3 |
우승 | 62-42 | 2009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4)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7-6(7-2), [15-13] |
우승 | 63-42 | 2009년 11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3)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2, 6-3 |
우승 | 64-42 | 2009년 11월 | 파리 마스터스 (프랑스)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스페인) 토미 로브레도 (스페인) | 6-3, 6-4 |
우승 | 65-42 | 2010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3) | 25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로스 허친스 (영국) 조던 케르 (오스트레일리아) | 6-3, 7-6(7-5) |
준우승 | 65-43 | 2010년 1월 |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그랜드 슬램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7-6(7-5), 3-6 |
우승 | 66-43 | 2010년 2월 |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2)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시몬 아스펠린 (스웨덴)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 4-6, 6-4, [7-10] |
준우승 | 66-44 | 2010년 3월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르크 로페스 (스페인) 라파엘 나달 (스페인) | 6-7(8-10), 3-6 |
우승 | 67-44 | 2010년 4월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모나코) (2)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6-3, 2-0 기권 |
우승 | 68-44 | 2010년 4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4) | 500 시리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레이튼 휴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놀스 (바하마) | 4-6, 6-3, [10-6] |
준우승 | 68-45 | 2010년 5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4-6 |
우승 | 69-45 | 2010년 6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2)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루카시 들루히 (체코) 리앤더 페이스 (인도) | 7-5, 6-2 |
우승 | 70-45 | 2010년 10월 | 비엔나 오픈 (오스트리아) (2)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7-5, 3-6, [10-5] |
준우승 | 70-46 | 2010년 11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3-6, 6-3, [3-10] |
우승 | 71-46 | 2010년 11월 | ATP 파이널스 (영국) (3)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7-6(8-6), 6-4 |
우승 | 72-46 | 2011년 2월 | U.S. 내셔널 실내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3)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에릭 부터락 (미국) 장-줄리앙 로제 (퀴라소) | 6-2, 6-7(6-8), [10-3] |
준우승 | 72-47 | 2011년 3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마헤쉬 부파티 (인도) 리앤더 페이스 (인도) | 7-6(7-5), 2-6, [5-10] |
우승 | 73-47 | 2011년 6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3)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콜롬비아) 에두아르도 슈방크 (아르헨티나) | 7-6(7-3), 3-6, 6-4 |
우승 | 74-47 | 2011년 10월 | 상하이 마스터스 (중국) (1)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3-6, 6-1, [12-10] |
준우승 | 74-48 | 2011년 10월 | 비엔나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7(10-12), 3-6 |
준우승 | 74-49 | 2011년 11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미카엘 로드라 (프랑스)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4-6, 5-7 |
우승 | 75-49 | 2011년 11월 | ATP 파이널스 (영국) (4)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7-5, 6-3 |
우승 | 76-49 | 2012년 1월 | 브리즈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1) | 250 시리즈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위르겐 멜처 (오스트리아) 필립 페츠슈너 (독일) | 6-1, 6-2 |
우승 | 77-49 | 2012년 2월 | U.S. 내셔널 실내 테니스 챔피언십 (미국) (4)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이반 도디그 (크로아티아) 마르셀로 멜로 (브라질) | 4-6, 7-5, [10-7] |
준우승 | 77-50 | 2012년 3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리앤더 페이스 (인도)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6-3, 1-6, [8-10] |
준우승 | 77-51 | 2012년 4월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모나코)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2-6, 3-6 |
우승 | 78-51 | 2012년 6월 | 프랑스 오픈 (프랑스) (4) | 그랜드 슬램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4 |
우승 | 79-51 | 2012년 6월 | 퀸즈 클럽 챔피언십 (영국) (4) | 250 시리즈 | 잔디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3, 6-4 |
우승 | 80-51 | 2012년 10월 | 스위스 인도어스 (스위스) (4)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트리트 콘라드 휴이 (필리핀) 도미닉 잉글롯 (영국) | 7-5, 6-7(4-7), [10-5] |
준우승 | 80-52 | 2013년 4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 500 시리즈 | 클레이 | 로버트 린스테트 (스웨덴) | 알렉산더 페야 (오스트리아) 브루노 소아레스 (브라질) | 7-5, 6-7(7-9), [4-10] |
우승 | 81-52 | 2013년 8월 | 윈스턴세일럼 오픈 (미국) (1) | 250 시리즈 | 하드 | 리앤더 페이스 (인도) | 트리트 콘라드 휴이 (필리핀) 도미닉 잉글롯 (영국) | 7-6(12-10), 7-5 |
준우승 | 81-53 | 2013년 10월 | 비엔나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줄리안 놀 (오스트리아) | 플로린 메르기아 (루마니아) 루카시 로솔 (체코) | 5-7, 4-6 |
우승 | 82-53 | 2014년 1월 | 브리즈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2) | 250 시리즈 | 하드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콜롬비아) 로버트 파라 (콜롬비아) | 6-7(4-7), 6-4, [10-7] |
우승 | 83-53 | 2014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4) | 25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로한 보파나 (인도)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파키스탄) | 7-6(7-3), 7-6(7-3) |
준우승 | 83-54 | 2014년 3월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 500 시리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로한 보파나 (인도)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파키스탄) | 4-6, 3-6 |
준우승 | 83-55 | 2014년 4월 | 바르셀로나 오픈 (스페인) | 500 시리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제세 후타 갈룽 (네덜란드) 스테판 로베르 (프랑스) | 3-6, 3-6 |
우승 | 84-55 | 2014년 5월 | 마드리드 오픈 (스페인) (5)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4, 6-2 |
우승 | 85-55 | 2014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이탈리아) (4)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로빈 하세 (네덜란드) 펠리시아노 로페스 (스페인) | 6-4, 7-6(7-2) |
우승 | 86-55 | 2015년 1월 |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5) | 250 시리즈 | 하드 | 로한 보파나 (인도) | 장-줄리앙 로제 (네덜란드) 호리아 테커우 (루마니아) | 6-4, 7-6(7-5) |
우승 | 87-55 | 2015년 2월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2) | 500 시리즈 | 하드 | 로한 보파나 (인도) |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파키스탄)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6-4, 6-1 |
준우승 | 87-56 | 2015년 8월 | 캐나다 오픈 (캐나다) | 마스터스 1000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밥 브라이언 (미국)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 6-7(5-7), 6-3, [6-10] |
우승 | 88-56 | 2015년 8월 | 신시내티 마스터스 (미국) (5) | 마스터스 1000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네나드 지몬지치 (세르비아) | 6-2, 6-2 |
준우승 | 88-57 | 2015년 10월 | 차이나 오픈 (중국) | 500 시리즈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바섹 포스피실 (캐나다) 잭 소크 (미국) | 6-3, 3-6, [6-10] |
준우승 | 88-58 | 2016년 1월 |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 그랜드 슬램 | 하드 |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제이미 머리 (영국) 브루노 소아레스 (브라질) | 6-2, 4-6, 5-7 |
우승 | 89-58 | 2016년 6월 | 노팅엄 오픈 (영국) (1) | 250 시리즈 | 잔디 | 도미닉 잉글롯 (영국) | 이반 도디그 (크로아티아) 마르셀로 멜로 (브라질) | 7-5, 7-6(7-4) |
준우승 | 89-59 | 2016년 7월 | 독일 오픈 테니스 챔피언십 (독일) | 500 시리즈 | 클레이 |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파키스탄) | 앙리 콘티넨 (핀란드) 존 피어스 (오스트레일리아) | 5-7, 3-6 |
우승 | 90-59 | 2016년 7월 | 워싱턴 오픈 (미국) (1) | 500 시리즈 | 하드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루카시 쿠보트 (폴란드) 알렉산더 페야 (오스트리아) | 7-6(7-3), 7-6(7-4) |
우승 | 91-59 | 2016년 10월 | 유러피언 오픈 (벨기에) (1)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피에르-위그 에르베르 (프랑스) 니콜라 마위 (프랑스) | 6-4, 6-4 |
준우승 | 91-60 | 2017년 2월 | 오픈 쉬드 드 프랑스 (프랑스)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파브리스 마르탱 (프랑스) | 알렉산더 즈베레프 (독일) 미샤 즈베레프 (독일) | 4-6, 7-6(7-3), [7-10] |
7.4. 파트너십
대니얼 네스터가 경력 동안 함께한 남자 복식 및 혼합 복식 파트너 목록이다.
No. | 파트너 | 연도 |
---|---|---|
1. | 로버트 야네첵 (캐나다) | 1989, 1990 |
2. | 크리스 프리덤 (캐나다) | 1989, 1991, 1992 |
3. | 그렉 루세드스키 (캐나다) | 1991, 1994 |
4. | 세바스티앵 라로 (캐나다) | 1991-1994, 1998-2000 |
5. | 크리스티안 사세아누 (독일) | 1992 |
6. | 글렌 미치바타 (캐나다) | 1992 |
7. | 피터 트라마치 (오스트레일리아) | 1992 |
8. | 마르틴 로런도 (캐나다) | 1992, 1993 |
9. | 폴 웨케사 (케냐) | 1992 |
10. | 안드레아 가우덴치 (이탈리아) | 1992 |
11. | 닐 브로드 (영국) | 1993 |
12. | 마이클 테부트 (오스트레일리아) | 1994 |
13. | 더그 플라흐 (미국) | 1994 |
14. | 앨버트 창 (캐나다) | 1994 |
15. | 모리스 루아 (베네수엘라) | 1994 |
16. | 리앤더 페이스 (인도) | 1994, 2013, 2015 |
17. | 마이크 바우어 (미국) | 1994 |
18. | 알렉스 오브라이언 (미국) | 1994 |
19. | 존 설리번 (미국) | 1994 |
20. | 그랜트 스태퍼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4 |
21. | 마크 놀스 (바하마) | 1994-2007 |
22. | 케니 손 (미국) | 1994 |
23. | 그랜트 코넬 (캐나다) | 1995-1997 |
24. | 안데르스 야리드 (스웨덴) | 1996 |
25. | 브라이언 맥피 (미국) | 1997 |
26. | 저스틴 기멜스토브 (미국) | 1997 |
27. | 시릴 숙 (체코) | 1997 |
28. | 야코 엘팅 (네덜란드) | 1998 |
29. | 폴 하르하위스 (네덜란드) | 1999, 2000 |
30. | 조셀린 로비쇼 (캐나다) | 1999 |
31. | 막스 미르니 (벨라루스) | 2000, 2011, 2012, 2017 |
32. | 케빈 얼리엣 (짐바브웨) | 2000 |
33. | 샌든 스톨 (오스트레일리아) | 2001 |
34. | 네나드 지몬지치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 2001, 2007-2010, 2012, 2014 |
35. | 프레데릭 니마이어 (캐나다) | 2002-2005, 2007-2009 |
36. | 사이먼 라로스 (캐나다) | 2002, 2003 |
37. | 웨인 블랙 (짐바브웨) | 2005 |
38. | 프랭크 댄세비치 (캐나다) | 2006, 2010, 2014 |
39. | 폴 핸리 (오스트레일리아) | 2008 |
40. | 밀로스 라오니치 (캐나다) | 2010, 2012, 2017 |
41. | 바섹 포스피실 (캐나다) | 2011-2018 |
42. | 마헤쉬 부파티 (인도) | 2013 |
43. | 루카시 쿠보트 (폴란드) | 2013, 2015 |
44. | 로버트 린스테트 (스웨덴) | 2013, 2018 |
45. | 줄리안 놀 (오스트리아) | 2013, 2015 |
46. | 마리우스 피르스텐베르크 (폴란드) | 2014 |
47. | 아딜 샤마스딘 (캐나다) | 2014, 2015 |
48. | 로한 보파나 (인도) | 2014-2016 |
49. | 알렉산더 페야 (오스트리아) | 2015 |
50. | 앤디 머리 (영국) | 2015 |
51. | 에두아르 로제르-바슬랭 (프랑스) | 2015-2017 |
52. | 라덱 스테파네크 (체코) | 2016 |
53. | 마르셀로 멜로 (브라질) | 2016 |
54. | 제이미 머리 (영국) | 2016 |
55. | 아이삼-울-하크 쿠레시 (파키스탄) | 2016, 2017 |
56. | 도미닉 잉글롯 (영국) | 2016, 2017 |
57. | 파브리스 마르탱 (프랑스) | 2017 |
58. | 브라이언 베이커 (미국) | 2017 |
59. |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폴란드) | 2017 |
60. | 스티브 존슨 (미국) | 2017, 2018 |
61. | 존 이스너 (미국) | 2017 |
62. | 필립 오스왈드 (오스트리아) | 2018 |
63. | 도널드 영 (미국) | 2018 |
64. | 조나단 얼리히 (이스라엘) | 2018 |
65. | 닐 스컵스키 (영국) | 2018 |
66. | 플로린 메르기아 (루마니아) | 2018 |
67. | 데니스 이스토민 (우즈베키스탄) | 2018 |
68. | 마르셀로 데몰리너 (브라질) | 2018 |
69. | 이보 카를로비치 (크로아티아) | 2018 |
70. | 제임스 세레타니 (미국) | 2018 |
71. | 제레미 샤르디 (프랑스) | 2018 |
72. | 필립 콜슈라이버 (독일) | 2018 |
73. | 데니스 샤포발로프 (캐나다) | 2018 |
74. | 위르겐 멜처 (오스트리아) | 2018 |
75. | 매켄지 맥도널드 (미국) | 2018 |
76. | 브래들리 클란 (미국) | 2018 |
No. | 파트너 | 연도 |
---|---|---|
1. | 르네 심슨 (캐나다) | 1996, 1997 |
2. | 나탈리 타우지아 (프랑스) | 1997, 1998 |
3. | 엘레나 타타르코바 (우크라이나) | 1998 |
4. | 크리스티 부게르트 (네덜란드) | 2003 |
5. | 재닛 리 (대만) | 2003 |
6. | 소냐 제야셀란 (캐나다) | 2003 |
7. |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 (러시아) | 2003, 2004 |
8.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스페인) | 2004 |
9. | 레네이 스텁스 (오스트레일리아) | 2004, 2005 |
10. | 엘레나 리호프체바 (러시아) | 2005-2008 |
11. | 정제 (중국) | 2008 |
12. | 좡자룽 (대만) | 2008, 2016 |
13. | 알렉산드라 보즈니아크 (캐나다) | 2009 |
14. | 엘레나 베스니나 (러시아) | 2009 |
15. | 사니아 미르자 (인도) | 2009 |
16. | 다니엘라 한투코바 (슬로바키아) | 2010 |
17. | 패티 슈니더 (스위스) | 2010 |
18. | 베서니 매틱-샌즈 (미국) | 2010 |
19.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슬로베니아) | 2011 |
20. | 바니아 킹 (미국) | 2011 |
21. | 잔융잔 (대만) | 2011 |
22. | 나디아 페트로바 (러시아) | 2012 |
23. | 율리아 괴르게스 (독일) | 2012 |
24.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프랑스) | 2013-2015 |
25. | 알라 쿠드랴프체바 (러시아) | 2017 |
26. | 안드레야 클레파치 (슬로베니아) | 2017 |
볼드체 표기된 파트너와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