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 USA), 통칭 미국(United States, U.S.) 또는 아메리카는 주로 북아메리카에 위치한 국가이다. 50개의 주와 연방 수도 지구인 워싱턴 D.C.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이다. 본토의 48개 주는 북쪽으로 캐나다, 남쪽으로 멕시코와 국경을 접하며, 북서쪽에는 반월경지인 알래스카주가, 태평양에는 군도인 하와이주가 있다. 약 574개의 연방 공인 부족 정부와 326개의 인디언 보호구역은 법적으로 부족 주권을 가진 국내 종속 국가로 분류된다. 미국은 5개의 주요 섬 영토와 다양한 무인도에 대한 주권을 주장한다. 미국은 생물다양성 거대국가이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은 육지 면적과 3억 4천만 명이 넘는 세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고대 인디언들은 12,000년 이상 전에 베링 육교를 건너 북아메리카로 이주하여 다양한 문명과 사회를 형성했다. 1513년 스페인의 탐험과 식민지화로 현재 미국 대륙에 최초의 유럽 식민지인 스페인령 플로리다가 설립되었다. 프랑스도 이 시기에 식민지화를 시작했지만, 주요 정착지는 훨씬 늦게 이루어졌다. 이후 영국의 식민지화로 1607년 버지니아에 13개 식민지 최초의 정착지가 건설되었다. 급속히 팽창하는 남부 식민지의 집약 농업은 노예화된 아프리카인의 강제 이주를 장려했다. 영국 왕실과의 세금 및 정치적 대표성을 둘러싼 충돌은 미국 독립 혁명을 촉발했고, 제2차 대륙 회의는 1776년 7월 4일 공식적으로 미국 독립 선언을 발표했다. 1775년~1783년 독립 전쟁에서 승리한 후, 미국은 북아메리카 전역으로 서부로 확장을 계속하며, 아메리카 원주민을 몰아내고 인디언 전쟁을 벌였다. 1803년 나폴레옹 프랑스로부터의 루이지애나 매입과 1848년 멕시코-미국 전쟁의 종식은 광대한 영토 확장을 제공했다. 더 많은 주가 연방에 편입되면서 노예제에 대한 남북 분열은 남부 연합국의 분리로 이어졌고, 이는 1861년~1865년 남북 전쟁에서 북부 연방과 싸웠다. 미국의 승리와 보존으로 노예제가 전국적으로 폐지되었다. 19세기 말까지 미국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의 승리로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그 지위가 확고해졌다. 1941년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그 여파로 미국과 소련은 세계의 초강대국이 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양국은 이념적 지배와 국제적 영향력을 위해 투쟁했다. 냉전의 종식과 1991년 소련의 붕괴는 미국을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남겼다.
미국 중앙 정부는 대통령제 헌법적 연방 공화국이자 세 개의 독립된 부서인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를 가진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 인구에 기반한 하원인 미국 하원과 각 주에 동등한 대표권을 부여하는 상원인 미국 상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국회을 가지고 있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1850년대 이후 미국 정치를 지배해왔다. 연방주의는 50개 주에 상당한 자치권을 제공하며, 미국적 가치는 유럽 계몽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은 정치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 미국 문화는 수세기에 걸친 이민으로 형성된 다양한 민족과 관습의 멜팅팟이며, 미국의 소프트 파워 영향력은 전 세계에 미친다.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국가 중 하나인 미국은 경제 경쟁력, 생산성, 혁신, 인권, 고등 교육 분야에서 최상위권에 속한다. 미국은 2024년 명목 세계 경제 생산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했으며, 미국 경제는 1890년경부터 명목 GDP 기준 세계 최대 경제였다.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훨씬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 1인당 가처분 가계 소득이 가장 높지만, 미국의 부의 불평등은 대부분의 다른 선진국보다 높다. 미국은 여러 국제 기구의 회원국이며 세계 정치, 문화, 경제, 군사 문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2. 국호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이라는 국호가 처음 기록된 것은 1776년 1월 2일자 편지이다. 조지 워싱턴 장군의 대륙군 보좌관이었던 스티븐 모일런은 워싱턴의 부관인 조지프 리드에게 편지를 보내 미국 독립 전쟁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미합중국으로부터 스페인으로 전권과 충분한 권한을 가지고" 가고 싶다고 밝혔다. 이 용어가 대중에게 처음 알려진 것은 1776년 4월 6일 윌리엄스버그 신문 버지니아 가제트에 실린 익명의 수필을 통해서였다. 1776년 6월까지 "미합중국"이라는 용어는 연합규약과 7월 독립 선언서에 등장했다. 제2차 대륙 회의는 1776년 7월 4일 독립 선언서를 채택했다.
영어에서 명사 또는 형용사로 사용되는 "United States"와 그 두문자어 "U.S."는 미국의 일반적인 약칭이다. 명사인 두문자어 "USA"도 일반적이다. "United States"와 "U.S."는 미국 연방 정부 전반에 걸쳐 확립된 용어로, 규정된 규칙이 있다. "The States"는 특히 해외에서 사용되는 확립된 구어체 약칭이며, "stateside"는 이에 해당하는 형용사 또는 부사이다.
"America"는 이탈리아 탐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1454년~1512년)의 라틴어 이름인 Americus Vesputius아메리쿠스 베스푸티우스라틴어의 첫 단어를 여성형으로 바꾼 것으로, 1507년 독일 지도 제작자 마르틴 발트제뮐러와 마티아스 링만이 처음 지명으로 사용했다. 베스푸치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92년에 발견한 서인도 제도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육지의 일부이며 아시아 동쪽 끝의 인도 제도가 아니라고 처음 제안했다. 영어에서 "America"라는 용어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전체를 지칭하는 "the Americas"라는 용법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관련 없는 주제를 지칭하는 경우는 드물다.
3. 역사
미국의 역사는 선사 시대 원주민의 정착부터 시작하여 유럽인의 식민지 건설, 독립 혁명, 서부 확장, 남북 전쟁, 산업화, 세계 대전 참여, 냉전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다사다난한 과정을 거쳤다. 각 시대별 주요 사건과 발전 과정은 미국의 정체성과 국제 사회에서의 역할에 큰 영향을 미쳤다.
3.1.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인의 정착

북아메리카 최초의 거주민인 고대 인디언들은 12,000년 이상 전에 베링 육교를 건너거나 빙하기 해안선을 따라 시베리아에서 이주했다. 기원전 11,000년경에 나타난 클로비스 문화는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광범위한 문화로 여겨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북아메리카 원주민 문화는 점차 정교해졌고, 미시시피 문화와 같은 일부 문화는 농업, 건축, 복합 사회를 발전시켰다. 고대 후기에 미시시피 문화는 중서부, 동부, 남부 지역에 위치했고, 알곤킨족은 오대호 지역과 동부 해안에, 호호캄 문화와 고대 푸에블로족은 남서부에 거주했다. 유럽 이민자들이 도착하기 전 현재 미국의 원주민 인구 추정치는 약 50만 명에서 거의 1,000만 명에 이른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2년 스페인을 위해 카리브해 탐험을 시작했고, 이로 인해 푸에르토리코와 플로리다에서 뉴멕시코와 캘리포니아에 이르는 스페인어권 정착지와 선교단이 설립되었다. 현재 미국 대륙에 세워진 최초의 스페인 식민지는 1513년에 인가된 스페인령 플로리다였다. 기아와 질병으로 여러 정착지가 실패한 후, 스페인의 첫 영구 도시인 세인트오거스틴이 1565년에 설립되었다. 프랑스는 1562년 프랑스령 플로리다에 자체 정착지를 건설했으나, 버려지거나(샤를포르, 1578년) 스페인의 습격으로 파괴되었다(포르캐롤린, 1565년). 프랑스의 영구 정착지는 훨씬 나중에 오대호(포르디트로이트, 1701년), 미시시피강(세인트루이스, 1764년), 특히 멕시코만(뉴올리언스, 1718년)을 따라 설립되었다. 초기 유럽 식민지에는 번창했던 네덜란드 식민지 뉴네덜란드(1626년 정착, 현재의 뉴욕)와 작은 스웨덴 식민지 뉴스웨덴(1638년 정착, 현재의 델라웨어)도 포함되었다. 영국의 동부 해안 식민지화는 버지니아 식민지(1607년)와 플리머스 식민지(매사추세츠, 1620년)로 시작되었다. 매사추세츠의 메이플라워 서약과 코네티컷 기본법은 아메리카 식민지 전역에 걸쳐 발전할 자치 정부와 입헌주의의 선례를 세웠다. 현재 미국에 정착한 유럽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과 갈등을 겪었지만, 유럽 도구를 식량 및 동물 가죽과 교환하는 무역도 했다. 15세기 말부터 콜럼버스의 교환은 아메리카 전역의 원주민 인구에게 재앙이었다. 유럽 식민지화 이후 수년 동안 전염병으로 인해 원주민 인구의 최대 95%, 특히 카리브해 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남은 인구는 종종 유럽의 팽창으로 인해 이주해야 했다. 관계는 긴밀한 협력에서 전쟁과 학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식민 당국은 종종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기독교로의 개종을 포함한 유럽 생활 방식을 채택하도록 강요하는 정책을 추구했다. 동부 해안을 따라 정착민들은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아프리카 노예를 거래했다.
훗날 미국을 건국하게 될 13개 식민지는 영국의 영토로 관리되었으며, 대부분의 백인 남성 재산 소유자에게 선거권이 있는 지방 정부를 가졌다. 식민지 인구는 메인에서 조지아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인구를 능가했다. 1770년대까지 인구의 자연 증가는 너무나 커서 해외에서 태어난 미국인은 소수에 불과했다. 영국과의 거리 때문에 자치 정부가 발전할 수 있었고, 제1차 대각성 운동이라는 일련의 기독교 부흥 운동은 종교적 자유에 대한 식민지 주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3.2. 독립 혁명과 공화국 초기

프랑스-인디언 전쟁에서 승리한 후, 영국은 식민지 지방 문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이는 식민지의 정치적 저항을 초래했다. 주요 식민지 불만 중 하나는 영국인으로서의 권리 거부, 특히 그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영국 정부에 대한 대표권 거부였다. 불만과 결의를 보여주기 위해 제1차 대륙 회의는 1774년에 열려 효과적이었던 영국 상품에 대한 식민지 보이콧인 대륙 연합을 통과시켰다. 이후 영국이 식민지 주민들을 무장 해제하려는 시도는 1775년 렉싱턴 콩코드 전투를 초래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불을 지폈다.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식민지들은 조지 워싱턴을 대륙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토머스 제퍼슨에게 독립 선언서 초안 작성을 맡길 위원회를 만들었다. 독립 국가를 만들기 위한 리 결의안 통과 이틀 후, 독립 선언서는 1776년 7월 4일에 채택되었다. 미국 혁명의 정치적 가치에는 자유, 양도할 수 없는 개인의 권리, 국민 주권이 포함되었으며, 공화주의를 지지하고 군주제, 귀족제, 모든 세습적 정치 권력을 거부했으며, 시민 덕성을 강조하고 정치 부패를 비난했다. 워싱턴, 제퍼슨, 존 애덤스, 벤저민 프랭클린, 알렉산더 해밀턴, 존 제이, 제임스 매디슨, 토머스 페인 등을 포함한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그리스-로마, 르네상스, 계몽주의 철학과 사상에서 영감을 받았다.
연합규약과 영구 연합은 1781년에 비준되어 1789년까지 운영된 분권형 정부를 수립했다. 1781년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영국이 항복한 후, 미국의 주권은 1783년 파리 조약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이를 통해 미국은 서쪽으로 미시시피강, 북쪽으로 현재의 캐나다, 남쪽으로 스페인령 플로리다까지 영토를 얻었다. 북서부 조례(1787년)는 기존 주의 확장이 아닌 새로운 주의 편입으로 국가 영토를 확장하는 선례를 세웠다. 미국 헌법은 연합규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787년 제헌 회의에서 초안이 작성되었다. 1789년에 발효되어 세 개의 독립된 부서가 통치하는 연방 공화국을 만들었고, 이들은 함께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보장했다. 조지 워싱턴은 헌법에 따라 최초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권리 장전은 더 중앙집권화된 정부의 권력에 대한 회의론자들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1791년에 채택되었다. 독립 전쟁 후 총사령관직 사임과 이후 최초의 대통령으로서 세 번째 임기 출마 거부는 미국에서 문민 통치의 우위와 평화적 권력 이양의 선례를 확립했다.
3.3. 서부 확장과 남북 전쟁

1803년 프랑스로부터의 루이지애나 매입은 미국 영토를 거의 두 배로 늘렸다. 영국과의 잔존 문제는 1812년 전쟁으로 이어졌고, 이는 무승부로 끝났다. 스페인은 1819년에 플로리다와 걸프 연안 영토를 할양했다. 18세기 후반, 미국 정착민들은 명백한 운명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서부로 확장하기 시작했다. 미주리 타협은 1820년 미주리를 노예주로, 메인을 자유주로 편입하면서, 새로운 영토로 노예제가 확장되는 것을 막으려는 북부 주들의 바람과 그곳에 노예제를 확장하려는 남부 주들의 바람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했다. 이 타협은 또한 북위 36도 30분선 북쪽의 루이지애나 매입지 모든 지역에서 노예제를 금지했다. 미국인들이 아메리카 원주민이 거주하는 땅으로 더욱 확장함에 따라, 연방 정부는 종종 인디언 이주 또는 동화 정책을 적용했다.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주 법안은 1830년 인디언 이주법이었다. 이는 눈물의 길(1830년~1850년)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 기간 동안 미시시피강 동쪽에 살던 약 6만 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이 강제로 이주되어 서쪽 먼 땅으로 옮겨졌고, 그 결과 13,200명에서 16,700명이 사망했다. 이러한 조직적인 이주와 그 이전의 이주는 미시시피강 서쪽에서 오랫동안 인디언 전쟁을 촉발했다. 텍사스 공화국은 1845년 병합되었고, 1846년 오리건 조약은 현재의 미국 북서부에 대한 미국의 지배로 이어졌다. 멕시코-미국 전쟁에서의 승리는 1848년 캘리포ニア, 네바다, 유타 및 현재 콜로라도와 미국 남서부 대부분을 포함하는 멕시코 할양을 초래했다. 1848년~1849년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는 태평양 연안으로 백인 정착민들의 대규모 이주를 촉발했고, 이는 원주민과의 더 많은 대립으로 이어졌다. 가장 폭력적인 사건 중 하나인 수천 명의 원주민을 학살한 캘리포니아 원주민 학살은 1870년대 초까지 지속되었으며, 바로 이 시기에 추가적인 서부 영토와 주가 만들어졌다.
식민지 시대 동안, 노예제는 아메리카 식민지, 특히 메릴랜드에서 조지아에 이르는 농업 집약적인 남부 식민지에서 합법이었다. 이 관행은 미국 독립 혁명 동안 심각하게 의문시되기 시작했다. 1830년대에 재등장한 활발한 노예제 폐지 운동에 자극받아, 북부 주들은 반노예법을 제정했다. 동시에, 조면기(1793년)와 같은 발명품으로 인해 남부 주에서는 노예제에 대한 지지가 강화되었는데, 이는 오랫동안 남부 엘리트들에게 이 제도를 수익성 있게 만들었다. 1850년대 내내 노예제에 관한 지역적 갈등은 의회의 입법과 대법원의 결정으로 더욱 격화되었다. 1850년 도망노예법은 노예가 아닌 주로 피신한 노예들을 남부의 주인에게 반환하도록 의무화했다.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은 1854년에 사실상 미주리 타협의 반노예 요건을 무력화했다. 마지막으로, 1857년 드레드 스콧 판결에서 대법원은 노예가 아닌 영토로 끌려온 노예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리고 미주리 타협이 위헌이라고 선언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북부와 남부 간의 긴장을 악화시켜 미국 남북 전쟁(1861년~1865년)으로 정점을 이루었다. 11개 노예주가 탈퇴하여 남부 연합국을 결성했고, 나머지 주들은 북부 연방에 남았다. 1861년 4월 남부 연합군이 섬터 요새를 포격한 후 전쟁이 발발했다. 1863년 1월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많은 해방된 노예들이 북부 연방군에 합류했다. 1863년 빅스버그 포위전과 게티즈버그 전투 이후 전쟁은 북부 연방에 유리하게 전개되기 시작했고, 애퍼매턱스 코트 하우스 전투에서 북부 연방이 승리한 후 1865년 남부 연합은 항복했다. 전쟁 후 재건 시대가 뒤따랐다.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 암살 후, 재건 수정헌법이 통과되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리를 보호했다. 대륙 횡단 전신과 철도를 포함한 국가 기반 시설은 미국 국경의 성장을 촉진했다.
3.4. 산업화와 제국주의 시대
1865년부터 1917년까지 유럽에서 2,440만 명을 포함하여 전례 없는 규모의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유입되었다. 대부분은 뉴욕항을 통해 들어왔고, 뉴욕시와 동부 해안의 다른 대도시들은 대규모 유대인, 아일랜드인, 이탈리아인 인구의 본거지가 되었으며, 많은 독일인과 중부 유럽인들은 중서부로 이주했다. 동시에 약 100만 명의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퀘벡에서 뉴잉글랜드로 이주했다. 대이주 기간 동안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남부 시골 지역을 떠나 북부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다. 알래스카는 1867년 러시아로부터 매입되었다.
1877년 타협은 사실상 재건 시대를 종식시켰고,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남부 정치의 지방 통제권을 장악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재건 시대 이후 종종 미국 인종 관계의 최저점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더욱 심화되고 공공연한 인종 차별을 겪었다. 플레시 대 퍼거슨을 포함한 일련의 대법원 판결은 14차 및 15차 수정헌법의 효력을 무력화시켜, 남부의 짐 크로우 법이 제약 없이 유지되고, 중서부의 선다운 타운이 생겨나며, 이후 연방 주택 소유자 대출 공사가 채택한 레드라이닝 정책으로 강화될 전국 공동체의 인종 분리를 허용했다.
기술 발전의 폭발적인 증가와 저렴한 이민 노동력 착취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급격한 경제 팽창을 이끌었고, 미국은 영국, 프랑스, 독일 경제를 합친 것보다 앞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소수의 저명한 산업가들이 트러스트와 독점을 형성하여 경쟁을 막음으로써 권력을 축적하는 것을 조장했다. 거물들은 철도, 석유, 철강 산업에서 국가 확장을 주도했다. 미국은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로 부상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불평등의 현저한 증가, 빈민가 상태, 사회 불안을 동반하여 노동 조합과 사회주의 운동이 번성하기 시작하는 환경을 조성했다. 이 시기는 결국 진보 시대의 도래로 끝났으며, 이는 상당한 개혁으로 특징지어졌다.
하와이의 친미 세력은 하와이 군주제를 전복시켰고, 섬들은 1898년 병합되었다. 같은 해, 푸에르토리코, 필리핀, 괌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한 후 미국에 할양되었다. (필리핀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6년 7월 4일에 미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얻었다. 푸에르토리코와 괌은 미국 영토로 남아 있다.) 미국령 사모아는 제2차 사모아 내전 이후 1900년에 미국에 의해 획득되었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는 1917년 덴마크로부터 구매되었다.
3.5. 초강대국으로의 부상 (1917년~1945년)

미국은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과 함께 참전하여 중앙 열강에 대한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20년, 헌법 수정안은 전국적으로 여성 참정권을 부여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대중 통신을 위한 라디오와 초기 텔레비전이 전국적으로 통신을 변화시켰다.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대공황을 촉발시켰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뉴딜 정책, 즉 광범위한 프로그램과 공공 사업 프로젝트에 금융 개혁과 규제를 결합하여 대응했다. 이 모든 것은 미래의 경제 불황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처음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중립을 지켰던 미국은 1941년 3월 연합국에 군수품을 공급하기 시작했고, 12월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전쟁에 참전했다. 미국은 최초의 핵무기를 개발하여 1945년 8월 일본 도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사용하여 전쟁을 종식시켰다. 미국은 영국, 소련, 중국과 함께 전후 세계를 계획하기 위해 만난 "네 명의 경찰관" 중 하나였다. 미국은 전쟁에서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은 채로 나왔으며, 훨씬 더 큰 경제력과 국제 정치적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3.6. 냉전 시대와 민권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냉전에 돌입했고, 미국과 소련 간의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양국은 세계 정세를 주도하게 되었다. 미국은 소련의 세력권을 제한하기 위해 봉쇄 정책을 사용했고, 모스크바와 동맹을 맺은 것으로 인식되는 정부에 대한 정권 교체에 관여했으며, 1969년 최초의 유인 달 착륙으로 정점에 달한 우주 경쟁에서 승리했다. 국내적으로 미국은 경제 성장, 도시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 증가를 경험했다. 민권 운동이 등장했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60년대 초에 저명한 지도자가 되었다. 대통령 린든 B. 존슨 행정부의 위대한 사회 계획은 제도적 인종차별의 최악의 영향 일부를 상쇄하기 위한 획기적이고 광범위한 법률, 정책 및 헌법 수정안을 만들었다. 미국의 반문화 운동은 향정신성 약물 사용과 성에 대한 태도 자유화를 포함한 상당한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이는 징병에 대한 공개적인 반항(1973년 징병제 종료로 이어짐)과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대한 광범위한 반대(1975년 미군 완전 철수로 이어짐)를 장려했다.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변화는 1970년대 여성 유급 노동 참여의 대폭적인 증가에 크게 기여했으며, 1985년까지 16세 이상 미국 여성의 대다수가 고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공산주의의 몰락과 소련의 붕괴는 냉전의 종식을 알렸고, 미국을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만들었다.
3.7. 현대사

1990년대는 미국 역사상 가장 긴 경제 확장기, 미국 범죄율의 극적인 감소, 기술 발전을 보였다. 이 10년 동안 월드 와이드 웹, 무어의 법칙에 따른 펜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진화,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 최초의 유전자 치료 실험, 복제와 같은 기술 혁신이 미국에서 등장하거나 개선되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1990년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고, 나스닥은 1998년에 미국 최초로 온라인 거래를 시작한 증권 시장이 되었다.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미국 주도의 국제 연합군은 이웃 쿠웨이트를 점령한 이라크 침공군을 축출했다. 2001년 범이슬람주의 무장 단체 알카에다에 의한 미국에 대한 9·11 테러는 테러와의 전쟁과 그에 따른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에 대한 군사 개입으로 이어졌다.
미국 주택 거품은 2007년 대침체로 정점에 달했으며, 이는 대공황 이후 가장 큰 경제 위축이었다. 2010년대에 이르러 미국의 정치 양극화는 진보와 보수 진영 간에 심화되었다. 이러한 양극화는 2021년 1월 국회의사당 습격 사건에서 이용되었는데, 폭도들이 미국 국회의사당에 진입하여 자신의 쿠데타 시도로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막으려 했다. 2021년 5월~8월, 2021년 탈레반 공세는 미국-탈레반 협정 1년 후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종식시켰다.
4. 지리
미국은 지리적 위치, 면적, 주요 지형적 특징, 그리고 국토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북아메리카 대륙 중앙부에 주로 위치하며, 광대한 영토는 다양한 기후대와 생태계를 포함한다. 알래스카와 하와이 같은 본토 외 영토는 독특한 지리적 특성을 더한다.
4.1. 지형과 국토


미국은 러시아와 캐나다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나라이다. 본토 48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는 총면적이 808050391 만 m2 (311.99 만 mile2)이다. 대서양 해안 평야는 내륙으로 피드먼트 고원 지역의 숲과 완만한 구릉지로 이어진다.
애팔래치아산맥과 애디론댁 산괴는 동부 해안을 오대호 및 중서부 초원 지대와 분리한다.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긴 강인 미시시피강 수계는 주로 남북으로 국토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평탄하고 비옥한 프레리인 대평원은 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남동쪽의 고지대에 의해 중단된다.
대평원 서쪽에 있는 로키산맥은 남북으로 국토를 가로지르며, 콜로라도에서 0.4 만 m (1.40 만 ft) 이상으로 솟아 있다. 더 서쪽에는 바위투성이의 그레이트베이슨과 치와와, 소노라, 모하비 사막이 있다. 애리조나 북서쪽 모퉁이에는 콜로라도강이 수백만 년에 걸쳐 깎아 만든 그랜드 캐니언이 있으며, 이는 가파른 협곡이자 압도적인 시각적 규모와 복잡하고 다채로운 풍경으로 유명한 인기 관광지이다.
시에라네바다산맥과 캐스케이드 산맥은 태평양 연안 가까이에 뻗어 있다. 미국 본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은 캘리포니아주에 있으며, 약 135185 m (84 mile) 떨어져 있다. 해발 2.03 만 1의 알래스카 데날리산은 미국과 대륙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활화산은 알래스카의 알렉산더 및 알류샨 열도 전역에서 흔하며, 하와이는 화산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로키산맥의 옐로스톤 국립공원 지하에 있는 초화산인 옐로스톤 칼데라는 대륙에서 가장 큰 화산 지형이다. 2021년 기준으로 미국은 전 세계 영구 목초지와 목장의 8%, 농경지의 10%를 차지했다.
4.2. 기후

미국은 넓은 면적과 다양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기후 유형을 포함한다. 서경 100도선 동쪽으로는 북쪽의 습윤 대륙성 기후에서 남쪽의 습윤 아열대 기후에 이른다. 서부 대평원은 반건조 기후이다. 미국 서부의 많은 산악 지역은 고산 기후를 나타낸다. 남서부는 건조 기후, 캘리포니아 해안은 지중해성 기후, 오리건, 워싱턴, 남부 알래스카 해안은 해양성 기후이다. 알래스카 대부분은 아극 기후 또는 극지 기후이다. 하와이, 플로리다 남단, 카리브해 및 태평양의 미국 영토는 열대 기후이다.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영향력이 큰 극한 기상 현상을 더 많이 겪는다. 멕시코만에 접한 주들은 허리케인에 취약하며, 세계 대부분의 토네이도가 미국에서 발생하는데, 주로 토네이도 앨리 지역에서 발생한다. 21세기에 미국에서는 극한 기상 현상이 더 잦아졌으며, 보고된 폭염의 수는 1960년대보다 세 배나 많아졌다. 미국 남서부에서는 가뭄이 더 지속적이고 심각해졌다.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간주된다.
4.3. 생태와 환경

미국은 17개의 생물 다양성 거대 국가 중 하나로, 수많은 고유종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본토와 알래스카에는 약 17,000종의 관다발식물이 서식하며, 하와이에는 1,800종 이상의 현화식물이 발견되는데, 이 중 본토에서 발견되는 종은 거의 없다. 미국에는 428종의 포유류, 784종의 조류, 311종의 파충류, 295종의 양서류, 약 91,000종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
63개의 국립공원과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및 기타 기관에서 관리하는 수백 개의 다른 연방 관리 공원, 森林, 야생 지역이 있다. 국토의 약 28%가 공공 소유이며 연방 정부에서 관리하며, 주로 서부 주에 집중되어 있다. 이 토지의 대부분은 보호되지만, 일부는 상업적 용도로 임대되며, 1% 미만이 군사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국의 환경 문제에는 비재생 자원 및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논쟁, 대기 및 수질 오염, 생물 다양성, 벌목 및 삼림 벌채, 기후 변화 등이 포함된다.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대부분의 환경 관련 문제를 다루는 연방 기관이다. 야생 지역이라는 개념은 1964년 야생법과 함께 공공 토지 관리를 형성해왔다. 1973년 멸종위기종법은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위협받는 종과 그 서식지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청은 이 법을 시행하고 집행한다. 2024년 미국은 환경 성과 지수에서 180개국 중 35위를 차지했다.
5. 정치
미국의 정치 체제는 연방 공화제로, 삼권분립을 기반으로 한다. 정부 구조는 연방 정부, 주 정부, 지방 정부로 나뉘며, 각기 고유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다. 주요 정치 과정은 정당 활동과 선거를 통해 이루어지며, 국내외 정책은 이러한 구조와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5.1. 정부 체제


미국은 50개의 주와 별도의 연방 수도 지구인 워싱턴 D.C.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이다. 또한 5개의 비법인 영토와 여러 무인도 영유권을 주장한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연방 국가이며, 대통령 중심제 국가 정부 체제는 탈식민지화 이후 전 세계 많은 신생 독립 국가들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채택했다. 미국은 "다수결 원칙이 소수의 권리에 의해 완화되는 법으로 보호되는" 자유 대의 민주주의 국가이다. 미국 헌법은 국가의 최고 법률 문서 역할을 한다.
5.1.1. 연방 정부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세 개의 부서로 구성된 연방 정부는 미국의 중앙 정부이다. 강력한 견제와 균형 시스템에 의해 규제된다.
- 미국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부로서, 연방법을 제정하고, 전쟁을 선포하며, 조약을 승인하고, 예산 편성권을 가지며, 탄핵권을 행사한다. 상원은 100명(각 주에서 2명)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6년이다. 하원은 435명으로 구성되며, 각 의원은 2년 임기로 선출되고, 모든 하원의원은 인구에 비례하는 하나의 의회 선거구를 대표한다. 의회 선거구는 각 주의 입법부에 의해 구획되며 주 내에서 연속적이다. 의회는 또한 특정 과제나 의무를 처리하는 여러 위원회를 조직한다. 의회의 가장 중요한 비입법 기능 중 하나는 행정부를 조사하고 감독하는 권한이다. 의회 감독은 일반적으로 위원회에 위임되며 의회의 소환권에 의해 촉진된다.
- 미국 대통령은 국가 원수, 군 최고 사령관, 연방 정부의 최고 행정관이며, 미국 의회의 입법안이 법으로 제정되기 전에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그러나 대통령 거부권은 의회 양원에서 3분의 2 초다수결로 무효화될 수 있다. 대통령은 상원의 승인을 받아 내각 구성원을 임명하고, 각 해당 기관을 통해 연방법을 관리하고 집행하는 다른 공무원을 지명한다. 대통령은 또한 연방 범죄에 대한 사면권과 사면 발행권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은 여러 정책 분야에서 사법 심사 대상이 되는 광범위한 "행정명령"을 발행할 권리가 있다. 대통령 후보는 부통령 러닝메이트와 함께 선거 운동을 한다. 두 후보는 대통령 선거에서 함께 당선되거나 낙선한다. 미국 정치의 다른 투표와 달리, 이는 기술적으로 미국 선거인단에 의해 승자가 결정되는 간접 선거이다. 그곳에서는 각 주의 입법부에서 선출된 개별 선거인단이 공식적으로 투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50개 주 각각이 주의 일반 투표 승자를 확인해야 하는 대통령 선거인단을 선택한다. 각 주에는 2명의 선거인단과 각 의회 선거구당 1명의 추가 선거인단이 할당되며, 이는 사실상 해당 주가 의회에 보내는 선출직 공무원의 수와 같다. 대표나 상원의원이 없는 컬럼비아 특별구에는 3명의 선거인단 투표가 할당된다. 대통령과 부통령 모두 4년 임기를 가지며, 대통령은 추가 4년 임기로 한 번만 재선될 수 있다.
- 미국 연방 사법부의 판사들은 모두 대통령이 상원의 승인을 받아 종신 임명하며, 주로 미국 대법원, 미국 항소법원, 미국 지방법원으로 구성된다. 미국 대법원은 법률을 해석하고 위헌으로 판결된 법률을 무효화한다. 대법원은 미국 연방 대법원장이 이끄는 9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공석이 생기면 현직 대통령이 구성원을 임명한다. 연방 법원의 첫 번째 단계는 연방 법규, 헌법 또는 조약과 같은 "1심 관할권" 하의 모든 사건에 대한 연방 지방법원이다. 미국을 연방 항소법원을 위한 여러 지역으로 나누는 12개의 연방 순회법원이 있다. 연방 지방법원이 사건을 결정한 후에는 미국 항소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다음이자 최고 법원은 미국 대법원이다.
이 세 부서 시스템은 입법부가 행정부의 일부인 의원내각제와 대조되는 대통령제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많은 국가, 특히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이 1789년 미국 헌법의 이러한 측면을 모방했다.
5.1.2. 주 및 지방 정부
각 주의 정부 구조(주지사, 주의회, 주 법원)와 권한, 지방 자치 제도의 운영 방식을 설명한다. 미국 연방 체제에서는 주권적 권력이 선출된 두 단계의 정부, 즉 국가와 주 사이에 공유된다. 주의 주민들은 또한 주정부의 행정 구역인 선출된 지방 정부에 의해 대표된다. 주는 군 또는 군에 상응하는 단위로 세분화되고, 다시 지방 자치체로 세분화된다. 컬럼비아 특별구는 미국 수도 워싱턴 D.C.를 포함하는 연방 지구이다. 연방 지구는 연방 정부의 행정 구역이다. 연방적으로 인정된 부족은 326개의 인디언 보호구역을 통치하며, 이들은 부족 주권을 가진 국내 종속 국가로 취급된다.
5.2. 정당과 선거
헌법은 정당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18세기에 연방당과 반연방당으로 독립적으로 발전했다. 그 이후로 미국은 사실상 양당제로 운영되어 왔지만, 그 시스템의 정당들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현재 두 주요 전국 정당은 민주당과 공화당이다. 전자는 정치 강령에서 비교적 자유주의적으로 인식되는 반면, 후자는 비교적 보수적으로 인식된다.
5.3. 대외 관계

미국은 확립된 외교 관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외교단을 보유하고 있다(2024년 기준). 미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이며, 유엔 본부가 위치한 곳이다. 미국은 G7, G20, OECD 정부 간 기구의 회원국이다. 거의 모든 국가가 미국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많은 국가가 영사관(공식 대표)을 두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란, 북한, 부탄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가 미국과 공식적인 외교 공관을 두고 있다. 대만은 미국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지만, 긴밀한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잠재적인 중국의 침략을 억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대만에 군사 장비를 공급한다. 미국의 지정학적 관심은 호주, 인도, 일본과 함께 쿼드 안보 대화에 참여하면서 인도-태평양으로 향했다.
미국은 영국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일본, 대한민국, 이스라엘, 그리고 여러 유럽 연합 국가(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폴란드)와 강력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미국은 군사 및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해 NATO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미주 기구 및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과 협력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콜롬비아가 전통적으로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으로 간주된다. 미국은 자유연합협정을 통해 미크로네시아, 마셜 제도, 팔라우에 대한 완전한 국제 방위 권한과 책임을 행사한다. 미국은 인도와 전략적 협력을 점점 더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관계는 꾸준히 악화되고 있다. 2014년 이후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주요 동맹국이 되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침공에 대응하여 우크라이나에 상당한 군사 장비와 기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5.3.1. 주요 국가와의 관계
미국과 주요 동맹국(예: 한국, 일본, NATO 회원국 등) 및 주요 경쟁국(예: 중국, 러시아 등)과의 양자 관계 현황, 주요 현안, 역사적 관계 변화를 설명한다. 미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이는 세계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동맹국과는 군사, 경제, 문화적으로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며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고, 경쟁국과는 긴장과 협력이 교차하는 양상을 보인다.
5.3.2.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국제 평화 유지, 경제 협력, 인권 증진 등 국제 사회에서 미국이 수행하는 역할과 영향력을 다룬다. 국제 조약 및 협정 참여 현황을 포함한다.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유엔,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 기구의 창설과 운영에 깊이 관여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국제적 역할은 종종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일방주의적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5.4. 군사

대통령은 미국군 총사령관이며, 그 지도자인 국방부 장관과 합동참모본부를 임명한다. 워싱턴 D.C. 인근 펜타곤에 본부를 둔 국방부는 미 육군, 해병대, 해군, 공군, 우주군으로 구성된 6개 군종 중 5개를 관리한다. 해안경비대는 평시에는 국토안보부에서 관리하며, 전시에는 해군부로 이관될 수 있다.
미국은 2023년 군사비로 9160.00 억 USD를 지출했는데, 이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훨씬 많은 액수로, 전 세계 군사비 지출의 37%를 차지하며 국가 GDP의 3.4%에 해당한다. 미국은 세계 핵무기의 4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이다.
미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연합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과 인도군 다음이다. 미군은 해외에 약 800개의 기지와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25개 외국에 100명 이상의 현역 파병을 유지하고 있다.
주 방위군(SDF)은 주 정부의 단독 권한 하에 운영되는 군부대이다. SDF는 주 및 연방법에 의해 승인되지만, 해당 주의 주지사의 지휘를 받는다. 이들은 연방화될 수 없다는 점에서 주의 주 방위군 부대와 구별된다. 그러나 주의 주 방위군 인원은 1933년 국방법 수정안에 따라 연방화될 수 있으며, 이는 주 방위군을 창설하고 육군 주 방위군 부대와 인원을 미 육군에, (1947년부터) 미 공군에 통합하는 것을 규정한다.
5.5. 법치와 사법

미국에는 지방에서 국가 수준에 이르기까지 약 18,000개의 경찰 기관이 있다. 미국의 법은 주로 지방 경찰서와 보안관 부서가 각 시 또는 군 관할 구역에서 집행한다. 주 경찰서는 각 주에서 권한을 가지며, 연방수사국(FBI) 및 미국 연방보안관과 같은 연방 기관은 국가 관할권과 시민권 보호, 국가 안보, 미국 연방법원 판결 및 연방법 집행과 같은 전문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주 법원은 대부분의 민사 및 형사 재판을 수행하며, 연방법원은 지정된 범죄와 주 법원 결정에 대한 항소를 처리한다.
미국에는 통일된 "형사 사법 시스템"이 없다. 미국 교정 시스템은 연방, 주, 지방, 부족 수준에서 운영되는 수천 개의 비교적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매우 이질적이다. 2024년 기준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1,566개의 주 교도소, 98개의 연방 교도소, 3,116개의 지방 구치소, 1,323개의 소년 교정 시설, 142개의 이민 구금 시설, 80개의 인디언 국가 교도소뿐만 아니라 군 교도소, 민사 수용 센터, 주 정신병원, 미국 영토 내 교도소에 190만 명 이상을 수용하고 있다." 이질적인 수감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연방 교도소, 주 교도소, 지방 구치소, 소년 교정 시설이라는 네 가지 주요 기관이 지배적이다. 연방 교도소는 연방 교도국에서 운영하며, 연방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미결 구금자 포함)을 수용한다. 각 주의 공식 교정부에서 운영하는 주 교도소는 중범죄로 1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람들을 수용한다. 지방 구치소는 재판 전에 피고인을 수감하는 군 또는 시 시설이며, 짧은 형기(보통 1년 미만)를 복역하는 사람들도 수용한다. 소년 교정 시설은 지방 또는 주 정부에서 운영하며, 비행으로 판결받고 판사에 의해 구금 명령을 받은 모든 미성년자를 위한 장기 수용 시설 역할을 한다.
2023년 1월 기준으로, 미국은 1인당 수감률이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국가로, 주민 10만 명당 531명이며, 190만 명 이상이 수감되어 세계에서 가장 큰 교도소 및 구치소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2010년 세계보건기구 사망률 데이터베이스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살인율은 "다른 고소득 국가보다 7배 높았으며, 이는 총기 살인율이 25배 높은 데서 비롯되었다."
6. 경제
미국의 경제는 규모, 구조, 주요 산업, 그리고 세계 경제에서의 위치와 영향력 면에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하며, 기술 혁신과 기업가 정신이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다.
6.1. 경제 개관



미국은 1890년경부터 명목상 세계 최대 경제였다. 2024년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29.00 조 USD 이상으로 세계 최고였으며, 명목 세계 경제 생산량의 25% 이상, 즉 구매력 평가(PPP) 기준으로는 15%를 차지했다. 1983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의 실질 연평균 GDP 성장률은 3.3%로, 나머지 G7 국가의 가중 평균 2.3%와 비교된다. 미국은 명목 GDP 기준 세계 1위, 구매력 평가 기준(PPP)으로 조정하면 2위, 1인당 PPP 기준 GDP로는 9위이다. OECD 국가 중 1인당 가처분 가계 소득이 가장 높다. 2024년 2월, 미국 연방 정부 총 부채는 34.40 조 USD였다.
세계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3년 136개 기업이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수이다. 미국 달러는 국제 거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화이자 세계 최고의 기축 통화이며, 이는 국가의 지배적인 경제, 군대, 페트로달러 시스템, 그리고 이와 연결된 유로달러 및 대규모 미국 재무부 채권 시장에 의해 뒷받침된다. 여러 국가에서 공식 통화로 사용하며, 다른 국가에서는 사실상 통화이다. 미국은 여러 국가와 USMCA를 포함한 자유무역협정을 셔결하고 있다. 2019년 세계 경쟁력 보고서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탈산업화 발전 수준에 도달했고 종종 서비스 경제를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지만, 여전히 주요 산업 강국이다. 2021년, 미국 제조업 부문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였다.
뉴욕은 세계 주요 금융 센터이자 세계 최대 대도시 경제의 중심지이다. 뉴욕시에 위치한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은 시가총액 및 거래량 기준 세계 2대 증권거래소이다. 미국은 기술 발전 및 혁신 분야에서 세계 선두 또는 그에 준하는 위치에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 전자공학 및 컴퓨터, 제약, 의료, 항공우주 및 군사 장비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국가 경제는 풍부한 천연자원, 잘 발달된 기반 시설, 높은 생산성에 의해 뒷받침된다. 미국의 최대 교역 상대국은 유럽 연합, 멕시코, 캐나다, 중국, 일본, 대한민국, 영국, 베트남, 인도, 대만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 수입국이자 두 번째로 큰 수출국이다. 서비스 수출에서는 단연 세계 최대 수출국이다.
미국인들은 OECD 회원국 중 가계 및 근로자 소득 평균이 가장 높으며, 2023년 가계 중위 소득은 네 번째로 높았는데, 이는 2013년 여섯 번째로 높았던 것에서 상승한 것이다. 2023년 개인 소비 지출이 18.50 조 USD 이상인 미국은 소비자 중심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이다. 2023년 미국은 달러 기준 억만장자 수와 백만장자 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억만장자 735명과 거의 2,200만 명의 백만장자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의 부는 고도로 집중되어 있다. 2011년, 성인 인구 중 가장 부유한 10%가 국가 가계 자산의 72%를 소유한 반면, 하위 50%는 단 2%만을 소유했다. 미국의 부의 불평등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상당히 증가했으며, 미국의 소득 불평등은 2019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970년대 이후 미국 임금 상승은 노동자 생산성과 괴리가 발생했다. 2016년, 상위 5분의 1 소득자가 전체 소득의 절반 이상을 가져가면서, 미국은 OECD 국가 중 가장 넓은 소득 분포를 가진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2024년 미국에는 약 771,480명의 노숙자가 있었다. 2022년에는 640만 명의 어린이가 식량 불안정을 경험했다. 피딩 아메리카는 미국 어린이 약 5명 중 1명, 즉 약 1,300만 명이 굶주림을 경험하며 다음 식사를 언제 어디서 얻을지 모른다고 추정한다. 또한 2022년에는 약 3,790만 명, 즉 미국 인구의 11.5%가 빈곤 속에 살고 있었다.
미국은 다른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보다 복지 국가 규모가 작고 정부 조치를 통해 소득을 덜 재분배한다. 미국은 국가적으로 유급 휴가를 보장하지 않는 유일한 선진 경제이며, 연방 차원에서 유급 가족 휴가를 법적 권리로 보장하지 않는 세계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미국은 약한 단체 교섭 제도와 위험에 처한 노동자에 대한 정부 지원 부족으로 인해 다른 대부분의 선진국보다 저소득 노동자 비율이 높다.
6.2. 과학 기술

미국은 19세기 말부터 기술 혁신의 선두 주자였으며, 20세기 중반부터 과학 연구 분야를 이끌어왔다. 호환 부품 생산 방법과 공작 기계 산업의 확립은 19세기 말 미국 소비재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20세기 초 공장 전기화, 조립 라인 도입, 기타 노동 절약 기술은 대량 생산 시스템을 창출했다.
21세기에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고의 과학 강국 중 하나이지만,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주요 경쟁자로 부상했다. 미국은 어떤 나라보다도 총 연구 개발 지출액이 가장 높으며, GDP 대비 비율로는 9위를 차지한다. 2022년 미국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과학 논문 발표국이었다. 2021년 미국은 특허 출원 건수에서 중국에 이어 2위, 상표 및 산업 디자인 출원 건수에서는 중국과 독일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023년과 2024년 미국은 세계 혁신 지수에서 스위스와 스웨덴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인공지능 기술 개발 분야에서 선도 국가로 간주된다. 2023년 미국은 글로벌 파이낸스 잡지에 의해 대한민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국가로 선정되었다.
6.2.1. 우주 비행
미국은 1950년대 후반부터 우주 프로그램을 유지해 왔으며, 1958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설립으로 시작되었다. NASA의 아폴로 프로그램(1961년~1972년)은 1969년 아폴로 11호 임무로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을 달성했으며, 이는 NASA의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남아 있다. NASA의 다른 주요 사업으로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1981년~2011년), 보이저 프로그램(1972년~현재), 허블 및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각각 1990년과 2021년 발사), 다중 임무 화성 탐사 프로그램(스피릿 및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퍼서비어런스) 등이 있다. NASA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협력하는 5개 기관 중 하나이며, 미국의 ISS 기여에는 데스티니(2001년), 하모니(2007년), 트랜퀼리티(2010년) 등 여러 모듈과 지속적인 물류 및 운영 지원이 포함된다.
미국 민간 부문은 세계 상업용 우주 비행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저명한 미국 우주 비행 계약업체로는 블루 오리진, 보잉,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루먼, 스페이스X 등이 있다. NASA의 상업용 유인 우주선 프로그램, 상업용 보급 서비스, 상업용 달 탑재체 서비스, 차세대 우주 기술 탐사 파트너십(NextSTEP)과 같은 프로그램은 미국 우주 비행에서 민간 부문의 참여 확대를 촉진했다.
6.2.2. 에너지
2023년 미국은 에너지의 약 84%를 화석 연료에서 얻었으며, 국가 에너지의 가장 큰 공급원은 석유(38%)였고, 그 다음으로 천연가스(36%), 재생 가능 에너지원(9%), 석탄(9%), 원자력(9%) 순이었다. 미국은 세계 인구의 4% 미만을 차지하지만, 세계 에너지의 약 16%를 소비한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 원자력 발전 생산국으로, 세계 원자력 전기의 약 30%를 생산한다. 또한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원자력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부터 미국은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세 배로 늘릴 계획이다.
6.3. 사회 기반 시설
미국의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사회 기반 시설은 교통망, 에너지 공급 시스템, 통신 인프라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는 이러한 기반 시설의 개발과 유지보수에 참여하며, 민간 부문의 투자도 활발하다.
6.3.1. 교통 및 운송


미국 교통부와 그 산하 부서들은 관세, 이민, 보안을 제외한 모든 교통 측면의 규제, 감독,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 (후자는 미국 국토안보부의 책임으로 남아 있다.) 각 미국 주는 자체 교통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서는 주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유지 관리한다. 주에 따라 이 부서는 다른 교통 수단을 직접 운영하거나 감독할 수도 있다.
항공법은 거의 전적으로 연방 정부의 관할이며, 연방항공청은 민간 항공, 항공 교통 관리, 인증 및 규정 준수, 항공 안전의 모든 측면을 규제한다. 그러나 자동차 교통법은 국립공원이나 군사 기지와 같은 연방 재산에 위치한 도로 또는 조직되지 않은 미국 영토의 도로를 제외하고 주 및 지방 당국에 의해 제정되고 시행된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연안뿐만 아니라 내륙 수로에서도 법과 보안의 주요 집행자이지만, 연안 갯벌에 대한 경제적 관할권은 주 정부와 연방 정부가 공유한다. 미국의 내륙 수로는 총 4.10 만 km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길다.
여객 및 화물 철도 시스템, 버스 시스템, 수상 페리, 댐은 공공 또는 민간 소유 및 운영 하에 있을 수 있다. 미국 민간 항공사는 모두 민간 소유이다. 대부분의 미국 공항은 지방 정부 당국이 소유하고 운영하며, 일부 민간 공항도 있다. 교통안전청은 2001년부터 대부분의 주요 공항에서 보안을 제공하고 있다.
상업용 철도와 열차는 20세기 중반까지 미국의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제트 비행기와 같은 주요 노선을 운행하는 공항의 도입은 1960년대까지 주간 및 도시 간 철도 여객 서비스 수요 감소를 가속화했다. 주간고속도로망의 완공 또한 철도의 여객 서비스 급감을 앞당겼다. 이러한 중요한 발전은 1971년 미국 연방 정부에 의해 국립 철도 여객 공사인 암트랙을 창설하게 만들었다. 암트랙은 미국 대부분 지역에서 제한적인 도시 간 철도 여객 서비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암트랙은 대부분의 주요 미국 도시를 운행하지만, 북동부, 캘리포니아, 일리노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몇 편의 열차만 운행한다. 특정 주요 도시 간의 지역 통로, 특히 워싱턴 D.C., 필라델피아, 뉴욕, 보스턴 간의 북동부 회랑, 뉴욕시와 올버니 간, 시카고 대도시권, 캘리포니아 일부 지역 및 태평양 북서부에서는 암트랙 서비스가 더 자주 제공된다. 암트랙은 라스베이거스와 피닉스를 포함한 여러 주요 미국 목적지를 운행하지 않는다.
미국 민간 항공 산업은 전적으로 기업 소유이며, 1978년 규제 완화 이후 대체로 규제가 완화되었지만, 대부분의 주요 공항은 공공 소유이다. 승객 수송량 기준 세계 3대 항공사는 미국 기반이며, 아메리칸 항공은 2013년 US 에어웨이스 인수 후 1위이다. 세계에서 가장 바쁜 50개 공항 중 16개가 미국에 있으며, 그중 상위 5개와 가장 바쁜 공항인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이 포함된다. 2022년 미국에는 19,969개의 공항이 있었으며, 그중 5,193개가 일반 항공 및 기타 활동을 포함한 "공공 사용"으로 지정되었다.
미국의 압도적인 다수의 도로는 주 및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유지 관리한다. 미국 연방 정부만이 유지 관리하는 도로는 일반적으로 국립공원과 같은 연방 토지나 군사 기지와 같은 연방 시설에만 있다. 주를 연결하는 크고 개방된 고속도로인 주간고속도로망은 부분적으로 연방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지만, 해당 주간고속도로 구간을 보유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은 주 정부이다. 일부 주는 자체적으로 대규모 고속도로(종종 "파크웨이" 또는 "턴파이크"라고 함)를 자금 지원하고 건설하며, 일반적으로 통행료를 사용하여 건설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지불한다. 마찬가지로 일부 민간 소유 도로도 이러한 목적으로 통행료를 사용할 수 있다.
미국의 대중교통에는 버스, 통근 철도, 페리, 때로는 항공 서비스가 포함된다. 대중교통 시스템은 수요가 가장 많은 고밀도 인구 지역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많은 미국 도시, 마을, 교외 지역은 자동차에 의존하며, 교외 대중교통은 덜 일반적이고 서비스 빈도가 훨씬 낮다. 대부분의 미국 도시 지역에는 도시 버스를 비롯한 어떤 형태의 대중교통이 있으며, 가장 큰 도시(예: 뉴욕, 시카고, 애틀랜타, 필라델피아,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포틀랜드 (오리건주)|포틀랜드)는 지하철이나 경전철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스템을 운영한다. 미국 대부분의 대중교통 서비스는 지방 정부에서 운영하지만, 국가 및 지역 통근 노선은 주요 미국 도시 통로를 서비스한다.
미국의 개인 교통은 자동차가 주도하며, 이는 643736 만 m (400.00 만 mile)의 공공 도로망에서 운영되어 세계에서 가장 긴 도로망을 이룬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교통망인 미국 철도 교통망은 29.36 만 km으로, 주로 화물을 취급한다. 세계에서 가장 바쁜 50개 컨테이너 항구 중 4개가 미국에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바쁜 항구는 로스앤젤레스항이다.
올즈모빌 커브드 대시와 포드 모델 T는 모두 미국 자동차로, 각각 최초의 대량 생산 자동차와 대중에게 저렴한 자동차로 간주된다. 미국 자동차 회사 제너럴 모터스는 1931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판매량 1위 자동차 제조업체라는 타이틀을 보유했다. 미국은 2023년 세계 2위 자동차 제조업체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자동차 회사인 테슬라의 본거지이다. 미국은 2010년 중국에 추월당한 후 판매량 기준 세계 2위 자동차 시장이며, 1인당 차량 보유 대수가 세계에서 가장 높아 1,000명당 91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가치 기준으로 미국은 2022년 세계 최대 자동차 수입국이자 세 번째로 큰 수출국이었다.
6.4. 소득, 빈곤, 불평등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세전 가구 평균 소득은 연간 4.94 만 USD이다. 아시아계 미국인 가구의 평균 소득은 6.55 만 USD인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구의 평균 소득은 3.26 만 USD이다. 구매력 평가 환율을 사용하면, 미국 가구의 전체 평균 소득은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편이다. 2007년 미국 가구의 평균 소득은 룩셈부르크 다음으로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았다. 같은 해 미국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20세기 중반 급격히 감소한 후, 미국의 빈곤율은 1970년대 초에 안정화되었다. 매년 미국인의 11~15%만이 빈곤선 이하로 생활하며, 미국인의 약 58.5%가 25세에서 75세 사이에 최소 1년 동안 빈곤을 경험했다. 2010년에는 4,320만 명의 미국인이 빈곤선 이하로 생활했다.
미국의 생활 복지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가장 높은 편으로, 상대적 빈곤과 절대 빈곤을 모두 줄이는 데 있어 부유한 국가 평균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미국의 정부 및 민간 1인당 지출은 가장 높다. 빈곤은 노년층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감소했다. 2007년 유니세프가 21개 선진국의 아동 복지에 대해 실시한 연구에서는 미국이 최하위권에 속했다.
1947년에서 1979년 사이, 미국의 평균 실질 소득은 모든 계층에서 80% 이상 증가했으며, 빈곤층의 소득은 부유층보다 더 빠르게 증가했다. 그러나 주로 경제 침체로 인해 급여 소득은 감소했다. 1980년 이후 모든 계층의 평균 가구 소득도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한 가구에 두 명 이상의 소득자가 있고, 성별 임금 격차가 해소되고, 노동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2005년 기준으로, 미국인의 1%~21.8%만이 1980년 이후 소득이 두 배로 증가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은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소득 격차가 가장 큰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은 국민에게 누진세 제도를 부과하며, 고소득자는 과세 대상 소득에서 더 높은 비율의 세금을 납부한다.
소득 및 세금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부는 매우 다양하다. 가장 부유한 미국인 10%가 국가 가계 자산의 69.8%를 장악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그중 1%는 순자산 총액의 33.4%를 소유하고 있다. 2011년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인간 개발 불평등 지수에서 미국을 139개국 중 23위로 평가했으며, 이는 HDI 표준보다 19단계 낮은 순위이다.
7. 인구와 사회
미국의 인구 구성은 매우 다양하며, 인종, 민족, 연령, 지역별 분포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사회 구조는 다양한 사회 제도와 가치관을 반영하며, 이민, 도시화, 교육, 보건 및 복지 시스템 등이 주요 사회 현상과 과제를 형성한다.
7.1. 인구 통계
구분 | 비율 |
---|---|
인종별 | |
백인 | 72.4% |
흑인 | 12.6% |
아시아계 | 4.8% |
아메리칸 인디언 및 알래스카 원주민 | 0.9% |
하와이 원주민 및 태평양 제도민 | 0.2% |
기타 | 6.2% |
다인종 (2개 이상) | 2.9% |
민족별 | |
히스패닉/라틴계 (인종 무관) | 16.3% |
비히스패닉/라틴계 (인종 무관) | 83.7% |
미국 인구조사국은 2020년 4월 1일 기준으로 331,449,281명의 주민을 보고했으며, 이로써 미국은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가 되었다. 인구조사국의 공식 2024년 인구 추정치는 340,110,988명으로, 2020년 인구조사 이후 2.6% 증가한 수치이다. 인구조사국의 미국 인구 시계에 따르면, 2024년 7월 1일 미국 인구는 16초마다 1명씩 순증가하여 하루에 약 5,400명씩 증가했다. 2023년, 15세 이상 미국인 중 51%가 결혼했고, 6%는 사별, 10%는 이혼했으며, 34%는 미혼이었다. 2023년 미국의 합계출산율은 여성 1인당 1.6명이었으며, 2019년에는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는 아동 비율이 23%로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미국은 다양한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37개의 혈통 그룹이 각각 100만 명 이상의 구성원을 가지고 있다. 유럽, 중동 또는 북아프리카 혈통의 백인 미국인이 미국 인구의 57.8%로 가장 큰 인종 및 민족 그룹을 형성한다. 히스패닉 및 라틴아메리카계 미국인이 두 번째로 큰 그룹으로 미국 인구의 18.7%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국가의 세 번째로 큰 혈통 그룹으로 전체 미국 인구의 12.1%를 차지한다. 아시아계 미국인은 국가의 네 번째로 큰 그룹으로 미국 인구의 5.9%를 구성한다. 국가의 370만 명의 아메리카 원주민은 약 1%를 차지하며, 약 574개의 원주민 부족이 연방 정부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 2022년 미국 인구의 중앙 연령은 38.9세였다.
7.2. 언어
언어 | 사용자 수 |
---|---|
영어 | 2억 2,970만 명 |
스페인어 (크리올 제외) | 3,700만 명 |
관화 | 280만 명 |
프랑스어 (크리올 제외) | 210만 명 |
타갈로그어 | 160만 명 |
베트남어 | 140만 명 |
한국어 | 110만 명 |
독일어 | 110만 명 |
미국에서는 많은 언어가 사용되지만, 영어가 단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쓰이는 언어이다. 연방 차원에서 공용어는 없지만, 미국 귀화 요건과 같은 일부 법률은 영어를 표준화하며, 대부분의 주는 영어를 공용어로 선언했다. 세 개의 주와 네 개의 미국 영토는 영어 외에 지역 또는 원주민 언어를 인정했으며, 여기에는 하와이(하와이어), 알래스카(20개 원주민 언어), 사우스다코타(수어), 아메리칸사모아(사모아어), 푸에르토리코(스페인어), 괌(차모로어), 북마리아나 제도(캐롤라인어 및 차모로어)가 포함된다. 총 169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가 미국에서 사용된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스페인어가 영어보다 더 널리 사용된다.
미국 지역사회 조사(2020년)에 따르면, 5세 이상 미국인 중 약 2억 4,540만 명이 집에서 영어만 사용했다. 약 4,120만 명이 집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하여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집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다른 언어로는 중국어(340만 명), 타갈로그어(171만 명), 베트남어(152만 명), 아랍어(139만 명), 프랑스어(118만 명), 한국어(107만 명), 러시아어(104만 명)가 있다. 독일어는 2010년에 집에서 100만 명이 사용했지만, 2020년에는 총 사용자 수가 857,000명으로 감소했다.
7.3. 종교
2023년 갤럽 조사에 따른 미국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종교 | 비율 |
---|---|
개신교 | 33% |
가톨릭 | 22% |
비특정 기독교 | 11% |
유대교 | 2% |
몰몬교 | 1% |
기타 종교 | 6% |
무종교 | 22% |
무응답 | 3% |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는 국가 내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보장하고 의회가 국교를 수립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는 것을 금지한다. 종교적 실천은 널리 퍼져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국가 중 하나이며 매우 활기차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기독교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신앙으로는 유대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많은 뉴에이지 운동,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등이 있다. 종교적 실천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의례적 신정주의"는 미국 문화에서 흔하다.
압도적인 다수의 미국인들은 초월적 존재나 영적인 힘을 믿고, 기도와 같은 영적 실천에 참여하며, 자신을 종교적이거나 영적이라고 생각한다. 남부 미국에 위치한 "바이블 벨트"에서는 복음주의 개신교가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뉴잉글랜드와 미국 서부 무교회 지대는 더 세속적인 경향이 있다. 조셉 스미스 암살 후 1847년 브리검 영의 지도 하에 미주리와 일리노이에서 서쪽으로 이주한 회복주의 운동인 몰몬교는 오늘날까지 유타에서 지배적인 종교로 남아 있다.
7.4. 이민

미국의 이민자 인구는 절대적인 수치로 볼 때 단연 세계에서 가장 많다. 2022년, 미국에는 8,770만 명의 이민자와 미국 태생 이민자 자녀가 있었으며, 이는 전체 미국 인구의 거의 27%를 차지했다. 2017년, 미국 외국 태생 인구 중 약 45%(2,070만 명)가 귀화 시민이었고, 27%(1,230만 명)는 합법적 영주권자, 6%(220만 명)는 임시 합법 거주자, 23%(1,050만 명)는 미등록 이민자였다. 2019년, 이민자의 주요 출신 국가는 멕시코(이민자의 24%), 인도(6%), 중국(5%), 필리핀(4.5%), 엘살바도르(3%)였다. 2022 회계연도에는 100만 명 이상의 이민자(대부분 가족 재결합을 통해 입국)가 합법적 거주 자격을 부여받았다. 2024 회계연도에만 이민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미국은 100,034명의 난민을 재정착시켰으며, 이는 "미국을 유럽과 캐나다의 다른 주요 재정착 국가를 훨씬 능가하는 세계 최고의 재정착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재확립"한 것이다.
7.5. 도시와 주거
다음은 미국 인구조사국의 2023년 MSA 인구 추정치에 따른 미국 주요 대도시권 목록이다.
순위 | 대도시권 | 지역 | 인구 |
---|---|---|---|
1 | 뉴욕 | 북동부 | 19,498,249 |
2 | 로스앤젤레스 | 서부 | 12,799,100 |
3 | 시카고 | 중서부 | 9,262,825 |
4 | 댈러스-포트워스 | 남부 | 8,100,037 |
5 | 휴스턴 | 남부 | 7,510,253 |
6 | 애틀랜타 | 남부 | 6,307,261 |
7 | 워싱턴 D.C. | 남부 | 6,304,975 |
8 | 필라델피아 | 북동부 | 6,246,160 |
9 | 마이애미 | 남부 | 6,183,199 |
10 | 피닉스 | 서부 | 5,070,110 |
11 | 보스턴 | 북동부 | 4,919,179 |
12 | 리버사이드-샌버너디노 | 서부 | 4,688,053 |
13 | 샌프란시스코 | 서부 | 4,566,961 |
14 | 디트로이트 | 중서부 | 4,342,304 |
15 | 시애틀 | 서부 | 4,044,837 |
16 |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 중서부 | 3,712,020 |
17 | 탬파-세인트피터스버그 | 남부 | 3,342,963 |
18 | 샌디에이고 | 서부 | 3,269,973 |
19 | 덴버 | 서부 | 3,005,131 |
20 | 볼티모어 | 남부 | 2,834,316 |


미국인의 약 82%가 교외를 포함한 도시 지역에 거주하며, 그중 약 절반은 인구 5만 명 이상의 도시에 거주한다. 2022년, 333개의 법인 도시가 인구 10만 명 이상이었고, 9개 도시가 100만 명 이상의 주민을 보유했으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휴스턴 등 4개 도시는 인구가 200만 명을 넘었다. 많은 미국 대도시 인구가 남부와 서부를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7.6. 교육

미국의 초등 및 중등 교육(K-12,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은 분산되어 있다. 학교 시스템은 주, 준주, 때로는 시 정부에 의해 운영되며 미국 교육부에 의해 규제된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5세 또는 6세(유치원 또는 1학년)부터 18세까지 학교 또는 승인된 홈스쿨에 다녀야 한다. 이는 종종 학생들을 미국 고등학교의 마지막 학년인 12학년까지 이끌지만, 일부 주와 준주에서는 16세 또는 17세에 더 일찍 학교를 그만둘 수 있도록 허용한다.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학생 1인당 교육비 지출이 많으며, 2020-2021년 공립 초등 및 중등 학교 학생 1인당 연간 평균 1.86 만 USD를 지출했다. 25세 이상 미국인 중 92.2%가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62.7%가 대학에 진학했으며, 37.7%가 학사 학위를, 14.2%가 대학원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의 문해율은 거의 보편적이다.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411명(413개 상 수상)이 있다.
미국의 고등 교육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여러 순위 기관에서 선정한 세계 최고 대학 중 다수가 미국에 있으며, 상위 25개 대학 중 19개가 포함된다. 미국 고등 교육은 주립 대학 시스템이 주도하지만, 미국의 많은 사립 대학에는 전체 미국 학생의 약 20%가 등록되어 있다. 지역 커뮤니티 칼리지는 일반적으로 대학 학습의 첫 2년에 해당하는 교과 과정과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들은 종종 더 개방적인 입학 정책, 짧은 학업 프로그램, 낮은 등록금을 가지고 있다.
고등 교육에 대한 공공 지출의 경우, 미국은 OECD 평균보다 학생 1인당 더 많이 지출하며, 미국인들은 공공 및 민간 지출을 합친 금액에서 모든 국가보다 더 많이 지출한다. 연방 정부가 직접 자금을 지원하는 대학은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으며 군인 및 정부 공무원으로 제한된다. 여기에는 미국 사관학교, 해군 대학원, 군 참모 대학이 포함된다. 일부 학생 학자금 대출 탕감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자금 대출 부채는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102%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1.70 조 USD를 넘어섰다.
7.7. 보건과 복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인의 평균 기대 수명은 78.4세(남성 75.8세, 여성 81.1세)였다. 이는 2022년 77.5세에서 0.9년 증가한 것이며, CDC는 이 새로운 평균이 주로 "코로나19, 심장병, 의도하지 않은 부상, 암,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언급했다. 1998년부터 미국의 기대 수명은 다른 부유한 산업 국가보다 뒤처졌으며, 미국인의 "건강 불이익" 격차는 그 이후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커먼웰스 펀드는 2020년 미국이 고소득 국가 중 자살률이 가장 높다고 보고했다. 미국 성인 인구의 약 3분의 1이 비만이고 다른 3분의 1은 과체중이다. 미국 의료 시스템은 1인당 지출과 GDP 대비 비율 모두에서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훨씬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유로 동료 국가와 비교할 때 의료 결과가 더 나쁘다. 미국은 보편적 의료 시스템이 없는 유일한 선진국이며, 상당수 인구가 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빈곤층(메디케이드)과 65세 이상(메디케어)을 위한 정부 지원 의료 보험은 프로그램의 소득 또는 연령 자격을 충족하는 미국인에게 제공된다. 2010년 오바마 전 대통령은 환자 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을 통과시켰다. 미국의 낙태는 연방적으로 보호되지 않으며, 17개 주에서 불법이거나 제한된다.
7.8. 사회 문제와 인권
미국 사회는 인종 차별, 총기 문제, 약물 남용, 빈부 격차 등 여러 가지 심각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종종 격렬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민 운동과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인권 상황은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주제이며, 특히 소수 집단의 권리, 사법 정의, 이민자 처우 등과 관련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시민 사회 단체들은 인권 증진과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8. 문화
미국의 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이민자들의 문화가 융합되어 형성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문학, 철학, 예술, 음악, 대중문화, 음식,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8.1. 문학, 철학, 사상

미국 식민지 시대 작가들은 존 로크와 다양한 계몽주의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미국 독립 혁명기(1765년~1783년)는 벤저민 프랭클린, 알렉산더 해밀턴, 토머스 페인, 토머스 제퍼슨의 정치 저술로 유명하다. 독립 전쟁 직전과 직후, 신문은 반영국적 민족 문학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며 두각을 나타냈다. 초기 소설로는 1791년에 출판된 윌리엄 힐 브라운의 공감의 힘이 있다. 작가이자 비평가인 존 닐은 19세기 초중반에 워싱턴 어빙과 같은 선배들이 영국 작가들을 모방했다고 비판하고 에드거 앨런 포와 같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국이 독특한 문학과 문화를 향해 나아가는 데 기여했다. 포는 미국 시와 단편 소설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 랠프 월도 에머슨과 마거릿 풀러는 영향력 있는 초월주의 운동을 개척했으며, 월든의 저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노예제 폐지 운동을 둘러싼 갈등은 해리엇 비처 스토와 같은 작가들과 프레더릭 더글러스와 같은 노예 서사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 글씨(1850년)는 허먼 멜빌의 모비딕(1851년)과 마찬가지로 미국 역사의 어두운 면을 탐구했다. 미국 르네상스 시대의 19세기 주요 미국 시인으로는 월트 휘트먼, 멜빌, 에밀리 디킨슨이 있다. 마크 트웨인은 서부에서 태어난 최초의 주요 미국 작가였다. 헨리 제임스는 귀부인의 초상(1881년)과 같은 소설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문해율이 높아짐에 따라 정기간행물은 산업 노동자, 여성, 시골 빈민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더 많이 출판했다. 자연주의, 지역주의, 사실주의는 이 시기의 주요 문학 운동이었다.
모더니즘은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성격을 띠었지만, 미국 내에서 활동하는 모더니즘 작가들은 종종 특정 지역, 민족, 문화에 작품의 뿌리를 두었다. 북부 도시로의 대이주 이후, 할렘 르네상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및 서인도 제도 흑인 작가들은 불평등의 역사를 꾸짖고 흑인 문화를 찬양하는 독립적인 문학 전통을 발전시켰다. 재즈 시대 동안 중요한 문화 수출품이었던 이 글들은 1930년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프랑스어권 작가들 사이에서 등장한 철학인 네그리튀드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에는 동질성이라는 이상이 많은 작가들로 하여금 위대한 미국 소설을 쓰도록 이끌었으며, 반면 비트 세대는 약물 사용, 성, 사회의 실패를 묘사하기 위해 기교보다 구어의 영향을 높이는 스타일을 사용하여 이러한 순응을 거부했다. 현대 문학은 이전 시대보다 더 다원적이며, 가장 통일적인 특징은 언어에 대한 자의식적인 실험 경향이다. 12명의 미국 수상자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8.2. 시각 예술과 건축

식민지 미국의 민속 예술은 공동체 내 장인 정신에서 비롯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훈련받은 사람들이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유럽의 고급 예술 전통과는 구별되었는데, 고급 예술은 초기 미국 정착민들에게 덜 접근하기 쉽고 일반적으로 덜 관련성이 있었다. 식민지 미국의 예술 및 공예 문화 운동은 일반적으로 서유럽보다 뒤처졌다. 예를 들어, 목공과 원시적인 조각의 지배적인 중세 스타일은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 영국에서 르네상스 스타일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미국 민속 예술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새로운 영국 스타일은 미국 민속 예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히 일찍 도입되었을 수 있지만, 미국 스타일과 형태는 이미 확고하게 채택되었다. 초기 미국에서는 스타일이 느리게 변했을 뿐만 아니라, 시골 장인들은 도시 장인들보다, 그리고 서유럽 장인들보다 훨씬 오랫동안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허드슨강 화파는 유럽 자연주의의 시각 예술 전통에 속하는 19세기 중반 운동이었다. 1913년 뉴욕시의 아모리 쇼는 유럽 모더니즘 미술 전시회로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고 미국 미술계를 변화시켰다.
조지아 오키프, 마스든 하틀리 등은 새롭고 개인주의적인 스타일을 실험했는데, 이는 미국 모더니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잭슨 폴록과 빌럼 데 쿠닝의 추상표현주의, 앤디 워홀과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팝 아트와 같은 주요 예술 운동은 주로 미국에서 발전했다. 주요 사진작가로는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컨, 도로시아 랭, 에드워드 웨스턴, 제임스 밴더지, 앤설 애덤스, 고든 파크스 등이 있다.
모더니즘과 그 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필립 존슨, 프랭크 게리를 포함한 미국 건축가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맨해튼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미국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크다.
8.3. 음악과 공연 예술

미국 민속 음악은 전통 음악, 전통 민속 음악, 현대 민속 음악 또는 뿌리 음악으로 다양하게 알려진 수많은 음악 장르를 포함한다. 많은 전통 노래가 여러 세대에 걸쳐 같은 가족이나 민속 집단 내에서 불려졌으며, 때로는 브리튼 제도, 유럽 대륙 본토, 또는 아프리카와 같은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의 리듬과 서정적인 스타일은 미국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밴조는 노예 무역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왔다. 악기를 공연에 통합한 민스트럴 쇼는 19세기에 그 인기를 높이고 광범위한 생산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에 처음 발명되어 1940년대에 대량 생산된 전기 기타는 특히 로큰롤의 발전으로 인해 대중 음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신시사이저, 턴테이블리즘, 전자 음악 또한 대부분 미국에서 발전했다.
블루스와 올드타임 음악과 같은 민속 관용어의 요소들은 전 세계 관객을 가진 대중 장르로 채택되고 변형되었다. 재즈는 20세기 초 블루스와 래그타임에서 성장했으며, W. C. 핸디와 젤리 롤 모턴과 같은 작곡가들의 혁신과 녹음에서 발전했다. 루이 암스트롱과 듀크 엘링턴은 20세기 초에 그 인기를 높였다. 컨트리 음악은 1920년대에 발전했고, 로큰롤은 1930년대에, 블루그래스와 리듬 앤 블루스는 1940년대에 발전했다. 1960년대에 밥 딜런은 민속 부흥에서 등장하여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작곡가 중 한 명이 되었다. 펑크와 힙합 음악 형식은 모두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미국은 2022년 총 소매 가치가 159.00 억 USD로 세계에서 가장 큰 음악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주요 음반 회사 대부분이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가 이들을 대표한다. 프랭크 시나트라와 엘비스 프레슬리와 같은 20세기 중반 미국 팝 스타들은 세계적인 유명인사이자 가장 많이 팔린 음악가가 되었으며, 마이클 잭슨, 마돈나,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와 같은 20세기 후반 아티스트들과 에미넴, 브리트니 스피어스, 레이디 가가,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비욘세와 같은 21세기 초 아티스트들도 마찬가지이다.
8.4. 대중문화와 미디어

미디어는 대체로 검열되지 않으며,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는 뉴욕 타임스 대 미국 사건에서 재확인된 바와 같이 상당한 보호를 제공한다. 미국의 4대 방송사는 내셔널 브로드캐스팅 컴퍼니(NBC), 컬럼비아 브로드캐스팅 시스템(CBS),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 폭스 방송(FOX)이다. 4대 방송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모두 상업 기업이다. 케이블 텔레비전은 다양한 틈새 시장을 위한 수백 개의 채널을 제공한다. 2021년, 12세 이상 미국인의 약 83%가 방송 라디오를 청취했으며, 약 40%는 팟캐스트를 청취했다. 전년도 미국에는 연방 통신 위원회(FCC)에 따라 15,460개의 허가된 풀파워 라디오 방송국이 있었다. 공공 라디오 방송의 대부분은 1967년 공영 방송법에 따라 1970년 2월에 설립된 NPR에서 제공한다.
세계적인 영향력과 명성을 가진 미국 신문으로는 월스트리트 저널,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USA 투데이 등이 있다. 약 800개의 출판물이 스페인어로 제작된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신문은 개닛이나 맥클래치와 같이 수십 또는 수백 개의 신문을 소유한 대형 체인, 소수의 신문을 소유한 소규모 체인, 또는 점점 더 드물게 개인이나 가족이 민간 소유하고 있다. 주요 도시에는 종종 주류 일간지를 보완하는 대안 신문이 있으며, 예를 들어 뉴욕시의 빌리지 보이스와 로스앤젤레스의 LA 위클리가 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5개 웹사이트는 구글, 유튜브, 아마존, 야후!, 페이스북으로, 모두 미국 소유이다.
2022년, 미국의 비디오 게임 시장은 수익 기준 세계 최대였다. 캘리포니아에만 444개의 퍼블리셔, 개발자, 하드웨어 회사가 있다.
8.4.1. 연극

미국은 연극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미국의 주류 연극은 오래된 유럽 연극 전통에서 파생되었으며 영국 연극의 큰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중반까지 미국은 톰 쇼, 쇼보트 연극, 민스트럴 쇼에서 새로운 독특한 극 형식을 창조했다. 미국 연극계의 중심지는 맨해튼 극장가이며, 브로드웨이, 오프브로드웨이, 오프오프브로드웨이로 나뉜다.
많은 영화 및 텔레비전 유명인들이 뉴욕 프로덕션에서 일하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뉴욕시 밖에서는 많은 도시들이 자체 시즌을 제작하는 전문 지역 또는 상주 극단을 보유하고 있다. 예산이 가장 큰 연극 프로덕션은 뮤지컬이다. 미국 연극에는 활발한 커뮤니티 시어터 문화가 있다.
토니상은 브로드웨이 실황 연극의 우수성을 인정하며 맨해튼에서 매년 열리는 시상식에서 수여된다. 상은 브로드웨이 프로덕션과 공연에 수여된다. 또한 지역 극장에도 상이 수여된다. 특별 토니상, 연극 우수 토니 명예상, 이자벨 스티븐슨상을 포함한 여러 재량적 비경쟁상도 수여된다.
8.5. 음식 문화

초기 정착민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으로부터 칠면조, 고구마, 옥수수, 호박, 메이플 시럽과 같은 음식을 소개받았다. 가장 오래 지속되고 널리 퍼진 예 중 하나는 서코태시라고 불리는 원주민 요리의 변형이다. 초기 정착민과 후기 이민자들은 이러한 음식들을 밀가루, 소고기, 우유와 같이 익숙한 음식과 결합하여 독특한 미국 요리를 만들었다. 신세계 작물, 특히 호박, 옥수수, 감자, 그리고 주요리로 칠면조는 많은 미국인들이 전통 요리를 준비하거나 구매하여 행사를 축하하는 추수감사절의 공유된 국가 메뉴의 일부이다.
애플파이, 프라이드 치킨, 도넛, 프렌치 프라이, 마카로니 앤 치즈, 아이스크림, 햄버거, 핫도그, 미국식 피자와 같은 특징적인 미국 요리는 다양한 이민자 그룹의 조리법에서 유래했다. 부리토와 타코와 같은 멕시코 요리는 나중에 멕시코로부터 병합된 지역에서 미국보다 먼저 존재했으며, 중국 요리의 각색과 이탈리아 출처에서 자유롭게 각색된 파스타 요리는 모두 널리 소비된다. 미국 요리사들은 국내외적으로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946년, 미국 요리학교는 캐서린 앤젤과 프랜시스 로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는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요리 학교가 되었으며, 많은 재능 있는 미국 요리사들이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전에 이곳에서 공부했다.
미국 레스토랑 산업은 2020년 매출 8990.00 억 USD로 예상되었으며, 1,500만 명 이상을 고용하여 국가 노동력의 10%를 직접적으로 차지했다. 이는 국가의 두 번째로 큰 민간 고용주이자 전체적으로 세 번째로 큰 고용주이다. 미국에는 220개 이상의 미슐랭 스타 등급 레스토랑이 있으며, 그중 70개는 뉴욕시에만 있다. 와인은 현재 미국에서 1500년대부터 생산되었으며, 최초의 광범위한 생산은 현재 뉴멕시코에서 1628년에 시작되었다. 현대 미국에서는 50개 주 전체에서 와인 생산이 이루어지며, 캘리포니아가 전체 미국 와인의 84%를 생산한다. 110.00 만 acre 이상의 포도밭을 보유한 미국은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와인 생산국이다.
미국 패스트푸드 산업은 국가의 자동차 문화와 함께 발전했다. 미국 레스토랑은 1920년대에 드라이브인 형식을 개발했으며, 1940년대에는 이를 드라이브스루 형식으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맥도날드, KFC, 던킨 도너츠 및 기타 여러 미국 패스트푸드점 체인은 전 세계에 수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8.6. 스포츠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중 스포츠는 미식축구, 농구, 야구, 축구, 아이스하키이다. 야구나 미식축구와 같은 대부분의 주요 미국 스포츠는 유럽 관행에서 발전했지만, 농구, 배구, 스케이트보드, 스노보드는 미국 발명품이며, 그중 다수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라크로스와 서핑은 유럽 접촉 이전의 아메리카 원주민 및 하와이 원주민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미국 프로 스포츠 시장은 2013년 7월 약 690.00 억 USD로,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합친 것보다 약 50% 더 컸다.
미식축구는 여러 척도에서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중 스포츠이다. 내셔널 풋볼 리그는 세계 어떤 스포츠 리그보다 평균 관중 수가 가장 많으며, 슈퍼볼은 전 세계 수천만 명이 시청한다. 그러나 야구는 19세기 후반부터 미국의 "국민 스포츠"로 여겨져 왔다. 미식축구 다음으로 인기 있는 프로 팀 스포츠는 농구, 야구, 축구, 아이스하키이다. 이들의 최고 리그는 각각 전미 농구 협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 사커, 내셔널 하키 리그이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개인 스포츠는 골프와 자동차 경주, 특히 나스카와 인디카이다.
대학 수준에서 회원 기관의 수입은 연간 10.00 억 USD를 초과하며, 대학 미식축구와 농구는 NCAA 3월의 광란 토너먼트와 대학 미식축구 플레이오프가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시청되는 스포츠 행사 중 일부이기 때문에 많은 관중을 끌어들인다. 미국에서 대학 간 스포츠 수준은 프로 스포츠의 공급 시스템 역할을 한다. 이는 거의 모든 다른 국가의 관행과 크게 다르며, 공공 및 민간 자금 지원 스포츠 조직이 이 기능을 수행한다.
미국에서는 8번의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 하계 올림픽은 유럽 이외 지역에서 개최된 최초의 올림픽이었다. 올림픽은 로스앤젤레스가 202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할 때 미국에서 아홉 번째로 개최될 예정이다. 미국 선수들은 올림픽에서 총 2,968개의 메달(금메달 1,179개)을 획득했으며, 이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수이다.
국제 프로 대회에서 미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1번의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여자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에서 각각 4번 우승했다. 미국은 1994년 FIFA 월드컵을 개최했으며, 캐나다, 멕시코와 함께 2026년 FIFA 월드컵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또한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결승전은 90,185명이 관람하여 당시 여자 스포츠 행사 최다 관중 세계 기록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