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쿠슈완트 싱은 그의 다채로운 생애 동안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인도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어린 시절부터 교육, 법률, 외교, 언론, 정치 경력에 이르기까지 삶의 궤적은 인도의 근현대사와 궤를 같이한다.
1.1. 어린 시절과 배경
쿠슈완트 싱은 1915년 2월 2일(일부 기록에는 8월 15일로 되어 있기도 하다), 현재 파키스탄의 펀자브주 쿠샤브구에 위치한 하달리에서 시크교도 가정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뉴델리의 저명한 건축가였던 소바 싱(Sobha Singh) 경이며, 어머니는 비란 바이(Veeran Bai)이다. 삼촌인 사르다르 우잘 싱(Sardar Ujjal Singh, 1895-1983)은 훗날 펀자브주와 타밀나두주의 주지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쿠슈완트 싱의 원래 이름은 할머니가 지어준 '쿠샬 싱'(Khushal Singh영어)으로, '번영하는 사자'라는 뜻이다. 그는 어릴 적 '샬리'(Shalee영어)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나,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이 '샬리 슐리, 바그 디 물이'(Shalee Shoolee, Bagh dee Moolee펀자브어, '이 샬리나 슐리는 어떤 정원의 무에 불과하다')라고 놀려 그의 이름을 조롱했기 때문에 본인의 이름을 '쿠슈완트'로 바꾸게 되었다. 이는 그의 형인 바그완트(Bhagwant영어)와 운율을 맞추기 위한 선택이었다. 그는 자신의 새 이름이 "스스로 만들었으며 무의미하다"고 말했지만, 나중에 자신과 같은 이름을 가진 힌두교 의사를 발견했고, 이후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1.2. 교육
싱은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뉴델리의 모던 스쿨(Modern School영어)에서 수학했으며, 이곳에서 1년 후배였던 미래의 아내 칸왈 말리크(Kanwal Malik영어)를 만났다. 1930년부터 1932년까지는 델리의 세인트 스티븐스 칼리지(St. Stephen's College영어)에서 문학 중등 과정을 이수했다. 1932년에는 라호르의 정부 칼리지 대학교(Government College University영어)에서 고등 교육을 받았고, 1934년에 학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이는 '3등급 학위'였다. 이후 런던의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법률을 공부하여 1938년 런던 대학교에서 법학사(LL.B.영어)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런던의 이너 템플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3. 법률 경력
쿠슈완트 싱은 1939년부터 라호르에서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라호르 고등 법원에서 만주르 카디르(Manzur Qadir영어)와 이야즈 후세인 바탈비(Ijaz Husain Batalvi영어)의 사무실에서 일했으며, 이후 악타르 앨리 쿠레쉬(Akhtar Aly Kureshy영어), 라자 무함마드 아리프(Raja Muhammad Arif영어) 등 여러 친구 및 동료들과 함께 8년 동안 변호사로 활동했다. 그의 법률가로서의 경험은 훗날 그의 글쓰기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4. 외교 및 언론 경력

1947년 영국으로부터 인도 독립을 맞이한 후, 그는 신생 인도의 인도 외무부에 합류하여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인도 정부의 공보관으로 근무했으며, 이후 4년 동안 런던과 오타와의 인도 고등판무관 사무소에서 공보 담당관 및 홍보 책임자로 일했다.
1951년에는 올 인디아 라디오(All India Radio영어)의 언론인으로 합류했으며, 1954년부터 1956년까지는 파리의 유네스코 대중 커뮤니케이션 부서에서 근무했다. 이 두 경력은 그가 문학 활동을 추구하는 데 큰 영감을 주었다.
1.5. 편집 경력
1956년부터 쿠슈완트 싱은 본격적으로 편집 업무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그는 1951년부터 1953년까지 인도 정부 간행물인 『요자나』(Yojana영어)를 창간하고 편집했다. 또한 뉴스 주간지인 『더 일러스트레이티드 위클리 오브 인디아』(The Illustrated Weekly of India영어)와 『더 내셔널 헤럴드』(The National Herald영어)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특히 『더 일러스트레이티드 위클리 오브 인디아』의 편집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발행 부수를 65,000부에서 400,000부로 늘려, 이 잡지를 인도 최고의 뉴스 주간지로 만들었다. 그러나 9년간의 재직 끝에 은퇴를 일주일 앞둔 1978년 7월 25일, 그는 "즉시 떠나라"는 통보를 받았으며, 같은 날 새로운 편집자가 임명되었다. 그의 퇴임 이후 이 주간지의 독자 수는 크게 감소했다. 그는 또한 인디라 간디의 개인적인 추천으로 『힌두스탄 타임스』(Hindustan Times영어)의 편집장으로도 임명되었다. 2016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림카 기록서(Limca Book of Records영어)에 등재되기도 했다.
1.6. 정치 경력
1980년부터 1986년까지 쿠슈완트 싱은 인도 의회 상원인 라지야 사바의 의원을 역임했다. 그는 공인으로서 집권당인 인도 국민회의, 특히 인디라 간디의 통치 기간 동안 정당을 편애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인디라 간디가 전국적인 비상사태를 선포했을 때, 그는 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여 '기득권 자유주의자'(establishment liberal영어)라는 비판적인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인디라 간디 암살 이후 발생한 반시크교 폭동에 주요 국민회의 정치인들이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인도 정치 시스템에 대한 그의 믿음은 흔들렸다. 그러나 그는 인도 민주주의의 가능성에 대해 변함없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델리 고등 법원의 선임 변호사인 H. S. 풀카(H. S. Phoolka)가 설립한 시민 정의 위원회(Citizen's Justice Committee)를 통해 활동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는데, 이는 수천 명의 인도인들이 고용된 아랍 국가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고 싶지 않아 인도 정부가 외교 관계를 꺼리던 시기였다. 그는 1970년대에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그들의 발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2. 문학 활동
쿠슈완트 싱은 작가로서 인도 문학계에 독보적인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작품들은 통렬한 비판 의식과 날카로운 유머, 그리고 인도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담고 있다.
2.1. 주요 저서
싱의 문학적 업적은 소설, 단편 소설, 역사서, 논픽션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비슈누의 표식 외 단편들』(The Mark of Vishnu and Other Stories영어), 1950년 (단편 소설집)
- 『시크교의 역사』(The History of Sikhs영어), 1953년
- 『파키스탄으로 가는 기차』(Train to Pakistan영어), 1956년 (소설). 1947년 인도 분할의 비극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쓰여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1998년에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신의 목소리 외 단편들』(The Voice of God and Other Stories영어), 1957년 (단편 소설집)
- 『나는 나이팅게일의 노랫소리를 듣지 못하리』(I Shall Not Hear the Nightingale영어), 1959년 (소설)
- 『오늘날의 시크교도들』(The Sikhs Today영어), 1959년
- 『펀자브 왕국의 몰락』(The Fall of the Kingdom of the Punjab영어), 1962년
- 『시크교 역사』(A History of the Sikhs영어), 1963년 (1966년, 2004년, 2005년에 개정판 출간)
- 『란지트 싱: 펀자브의 마하라자』(Ranjit Singh: The Maharaja of the Punjab영어), 1963년
- 『가다르 1915: 인도의 첫 무장 혁명』(Ghadar 1915: India's first armed revolution영어), 1966년
- 『사히브의 신부 외 단편들』(A Bride of the Sahib and Other Stories영어), 1967년 (단편 소설집)
- 『블랙 재스민』(Black Jasmine영어), 1971년 (단편 소설집)
- 『펀자브의 비극』(Tragedy of Punjab영어), 1984년 (쿨딥 나야르 공저)
- 『시크교도들』(The Sikhs영어), 1984년
- 『쿠슈완트 싱 단편집』(The Collected Stories of Khushwant Singh영어), 1989년
- 『더 악의적인 가십』(More Malicious Gossip영어), 1989년 (에세이집)
- 『델리: 한 소설』(Delhi: A Novel영어), 1990년 (소설). 유키 마사히데(結城雅秀)가 번역하여 『수도 델리』라는 제목으로 일본에 출판되기도 했다.
- 『성, 스카치, 그리고 학문』(Sex, Scotch & Scholarship영어), 1992년 (에세이집)
- 『알고 싶지 않은 남자: 쿠슈완트 싱 베스트』(Not a Nice Man to Know: The Best of Khushwant Singh영어), 1993년
- 『우리 인도인들』(We Indians영어), 1993년
- 『내 삶의 여인들과 남자들』(Women and Men in My Life영어), 1995년
- 『네 가지 언어로 사랑을 선언하다』(Declaring Love in Four Languages영어), 1997년 (샤르다 카우시크(Sharda Kaushik영어) 공저)
- 『여인들의 모임』(The Company of Women영어), 1999년 (소설)
- 『악의 대백과』(Big Book of Malice영어), 2000년 (에세이집)
- 『인도: 서론』(India: An Introduction영어), 2003년
- 『진실, 사랑, 그리고 약간의 악의』(Truth, Love and a Little Malice영어), 2002년 (자서전)
- 『모든 이에게 악의를 품고』(With Malice towards One and All영어)
- 『인도의 종말』(The End of India영어), 2003년
- 『바다에서의 매장』(Burial at the Sea영어), 2004년
- 『내 문 앞의 죽음』(Death at My Doorstep영어), 2004년
- 『낙원 외 단편들』(Paradise and Other Stories영어), 2004년
- 『시크교의 삽화 역사』(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Sikhs영어), 2006년
- 『다섯 강들의 땅』(Land of Five Rivers영어), 2006년
- 『내가 비상사태를 지지한 이유: 에세이 및 인물평』(Why I Supported the Emergency: Essays and Profiles영어), 2009년
- 『선셋 클럽』(The Sunset Club영어), 2010년 (소설)
- 『인도의 신들과 신성한 사람들』(Gods and Godmen of India영어), 2012년
- 『불가지론자 쿠슈완트: 신은 없다』(Agnostic Khushwant: There is no God영어), 2012년
- 『자유사상가의 기도서와 살아가기 위한 몇 마디』(The Freethinker's Prayer Book and Some Words to Live By영어), 2012년
- 『선, 악, 그리고 우스꽝스러운 것들』(The Good, the Bad and the Ridiculous영어), 2013년 (훔라 쿠레시(Humra Qureshi) 공저)
- 『쿠슈완트나마, 내 삶의 교훈』(Khushwantnama, The Lessons of My Life영어), 2013년
- 『펀자브, 펀자브인들 & 펀자브인다움: 한 땅과 그 사람들에 대한 성찰』(Punjab, Punjabis & Punjabiyat: Reflections on a Land and its People영어), 2018년 (사후 딸 말라 다얄(Mala Dayal영어)이 편집)
그의 단편 소설 중에는 『숙녀의 초상화』(The Portrait of a Lady영어), 『긴장』(The Strain영어), 『성공 만트라』(Success Mantra영어), 『런던에서의 사랑 이야기』(A Love Affair in London영어), 『워그』(The Wog영어) 등이 있다. 또한 1983년 영국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제3세계-자유 언론』(Third World-Free Press영어, 『써드 아이』 시리즈)의 진행자이기도 했다.
2.2. 문학 스타일과 주제
쿠슈완트 싱의 작품은 통렬한 세속주의와 날카로운 유머, 풍자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조직화된 종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자주 드러냈으며, 그의 글에서는 시에 대한 깊은 애정이 묻어난다. 특히 서양인과 인도인의 사회적, 행동적 특성을 비교하는 대목에서는 신랄한 재치가 돋보인다. 그는 사회 현상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도 따뜻한 인간적 시선을 잃지 않았으며, 이러한 그의 독특한 문학적 목소리는 인도 국내외 독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3. 사상과 신념
쿠슈완트 싱은 독특한 철학적 관점, 특히 종교에 대한 태도로 주목받았다. 그는 자신을 불가지론자라 칭하며 조직화된 종교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3.1. 종교관

쿠슈완트 싱은 스스로를 불가지론자라고 공언했으며, 2011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불가지론자 쿠슈완트: 신은 없다』(Agnostic Khushwant: There is no God영어)의 제목에서 그의 입장이 명확히 드러난다. 그는 특히 조직화된 종교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그는 무신론에 경도된 듯한 발언을 여러 차례 했는데, "신을 믿지 않고도 성자 같은 사람이 될 수 있고, 신을 믿으면서도 혐오스러운 악당이 될 수 있다. 나만의 개인적인 종교에서는 신은 없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또한 "나는 환생이나 윤회를 믿지 않으며, 심판의 날이나 천국, 지옥도 믿지 않는다. 나는 죽음의 종말을 받아들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013년에 출간된 그의 마지막 저서인 『선, 악, 그리고 우스꽝스러운 것들』은 종교, 특히 인도에서의 종교 관습과 성직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인도에서 많은 호평을 받았다. 쿠슈완트 싱은 한때 시크교가 "힌두교의 전사적 지파"라고 논쟁적인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4. 개인 생활
쿠슈완트 싱은 칸왈 말리크와 결혼했다. 칸왈은 그의 어린 시절 친구였으며, 먼저 런던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싱이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법률을 공부할 때 다시 만나 곧 결혼했다. 그들의 결혼식은 델리에서 열렸으며, 체탄 아난드(Chetan Anand)와 이크발 싱(Iqbal Singh)만이 초대객으로 참석했다. 무함마드 알리 진나 또한 공식적인 예식에 참석했다. 그들은 아들 라훌 싱(Rahul Singh영어)과 딸 말라(Mala영어)를 두었다. 그의 아내는 2001년에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배우 암리타 싱(Amrita Singh)은 그의 형 달짓 싱(Daljit Singh영어)의 아들인 샤빈더 싱(Shavinder Singh영어)과 룩사나 술타나(Rukhsana Sultana영어)의 딸로, 그의 조카이다. 그는 뉴델리 칸 마켓 근처에 위치한 '수잔 싱 공원'(Sujan Singh Park영어)에서 거주했는데, 이곳은 그의 아버지가 1945년에 건설하고 그의 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델리 최초의 아파트 단지였다.
5. 사망
쿠슈완트 싱은 9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마지막 순간에는 가족과 지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그가 직접 준비했던 특별한 유언과 묘비명이 남겨졌다.
5.1. 사망 및 장례
쿠슈완트 싱은 2014년 3월 20일, 99세의 나이로 델리 자택에서 자연사했다. 그의 죽음에 대해 인도 대통령, 인도 부통령, 인도 총리 모두 애도의 메시지를 발표하며 그를 기렸다. 그는 같은 날 오후 4시에 델리 로디 화장터(Lodhi Crematorium)에서 화장되었다.
생전에 쿠슈완트 싱은 매장을 선호했다. 그는 매장을 통해 우리가 지구에서 가져온 것을 다시 돌려준다고 믿었다. 그는 바하이 신앙 공동체에 자신의 묘지에 묻힐 수 있는지 요청했으나, 초기 합의 후 제안된 일부 조건들이 그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결국 매장 계획은 포기되었다. 그의 유해 중 일부는 그가 1915년에 태어난 현재 파키스탄 펀자브 지방의 하달리로 옮겨져 뿌려졌다.
5.2. 유언 및 묘비명
싱은 1943년에 이미 자신의 단편 소설집 『사후』(Posthumous영어)에 포함될 자신의 부고를 미리 작성해 두었다. "사르다르 쿠슈완트 싱 사망"이라는 제목 아래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쓰여 있다.
:지난 저녁 6시 사르다르 쿠슈완트 싱의 갑작스러운 사망을 알리게 되어 유감입니다. 그는 어린 미망인, 두 어린 자녀, 그리고 수많은 친구와 숭배자들을 남기고 떠났습니다. 고 사르다르의 자택을 방문한 이들 중에는 대법원장의 비서관, 여러 장관, 그리고 고등 법원 판사들이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자신을 위한 묘비명을 직접 준비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 인간도 신도 아끼지 않은 자가 누워 있네;
:그를 위해 눈물을 낭비하지 마라, 그는 한량이었으니;
:불쾌한 것을 쓰는 것을 큰 즐거움으로 여겼으니;
:주여 그가 죽었음을 감사하라, 이 망나니는.
그가 화장된 후, 그의 유골 중 일부는 하달리 학교에 묻혔으며, 그곳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진 명판이 세워져 있다.
:기억하며
:사르다르 쿠슈완트 싱
:(1915-2014)
:시크교도이자 학자이며 하달리(펀자브)의 아들
:'이곳은 나의 뿌리가 있는 곳. 나는 향수의 눈물로 그들을 길러왔으니...'
6. 평가 및 유산
쿠슈완트 싱은 인도 문학, 언론,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력을 남겼다. 그의 삶과 업적은 다양한 평가와 논란을 동시에 받았으며, 그가 남긴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인도 사회에 깊이 새겨져 있다.
6.1. 수상 및 영예
쿠슈완트 싱은 그의 공헌을 인정받아 인도 정부 및 여러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수상과 영예를 얻었다.
- 록펠러 재단으로부터 록펠러 그랜트 수상 (1966년)
- 인도 정부로부터 파드마 부샨 훈장 수여 (1974년). 그러나 그는 1984년 인도 육군의 황금 사원 포위 작전인 블루스타 작전에 항의하는 의미로 이 훈장을 반납했다.
- 술랍 인터내셔널(Sulabh International영어)로부터 '올해의 정직한 남자' 선정 (2000년)
- 펀자브주 정부로부터 펀자브 라탄상(Punjab Rattan Award영어) 수상 (2006년)
- 인도 정부로부터 파드마 비부샨 훈장 수여 (2007년). 이는 인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민간인 훈장이다.
- 사히티아 아카데미(Sahitya Akademi)로부터 사히티아 아카데미 펠로십 선정 (2010년)
- 우타르프라데시주 총리 아킬레시 야다브(Akhilesh Yadav)로부터 '전인도 소수민족 포럼 연례 펠로십 상' 수상 (2012년)
- 타타 문학 라이브! 뭄바이 문학 축제(Tata Literature Live! The Mumbai Litfest)로부터 평생 공로상 수상 (2013년)
- 킹스 칼리지 런던 펠로우 선정 (2014년 1월)
- 최고의 소설 부문에서 '그로브 프레스 상'(The Grove Press Award영어) 수상
6.2. 비판과 논란
쿠슈완트 싱은 인도 비상사태에 대한 지지 표명으로 '기득권 자유주의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당시 인디라 간디 정부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언론의 자유가 억압되는 상황에서도 정부의 입장을 옹호했다. 또한 황금 사원 사건에 항의하며 파드마 부샨 훈장을 반납한 일은 그의 정치적 소신을 보여주는 행동이었으나, 동시에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의 종교관, 특히 시크교에 대한 그의 발언들 역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6.3. 영향력
싱은 그의 통렬한 글쓰기와 거침없는 의견 표명으로 인도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일러스트레이티드 위클리 오브 인디아』의 편집장으로서 잡지의 발행 부수를 크게 늘린 것은 그의 언론인으로서의 뛰어난 역량을 보여준다. 그는 문학과 언론을 통해 인도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논평하고, 세속주의와 합리주의를 강조하며 대중의 인식을 고양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작품은 인도 분할의 아픔과 현대 인도의 복잡한 현실을 날카롭게 그려내며 인도 영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 있다. 그의 솔직하고 때로는 도발적인 태도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가 사망한 뒤에도 그의 유산은 인도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