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진윤성은 개인적 배경과 역도 입문 과정을 거쳐 주니어 선수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1.1. 출생 및 가족 배경
진윤성은 1995년 10월 11일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대만계 한국 화교 출신이며, 어머니는 한국인이다.
1.2. 역도 입문 및 주니어 경력
진윤성은 2015년에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로 발탁되며 역도 선수로서 본격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같은 해 6월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 열린 2015년 세계 주니어 역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러시아의 헤타크 후가예프와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호자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2. 주요 대회 경력
진윤성은 여러 국제 역도 대회에 참가하여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역도계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세계 선수권 대회
진윤성은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은메달을 포함한 인상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기량을 입증했다.
- 201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미국 애너하임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105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그는 인상 180 kg (5위), 용상 207 kg (12위)을 기록하며 합계 387 kg으로 종합 9위에 올랐다.
- 2019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태국 파타야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102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인상에서 181 kg을 들어 올려 인상 부문 1위를 차지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용상에서는 216 kg을 기록하며 4위에 올랐고, 합계 397 kg을 기록하며 벨라루스의 야우헤니 치한초우Яўгені ЦіханцоўYauheni Tsikhanstou벨라루스어의 뒤를 이어 합계 2위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21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102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인상 180 kg을 기록하며 인상 부문 1위를 차지했고, 용상 216 kg을 기록하여 합계 396 kg으로 이란의 라술 모타메디رسول معتمدیRasoul Motamedi페르시아어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2. 올림픽
진윤성은 올림픽 무대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역량을 발휘했다.
- 2020년 도쿄 올림픽: 2021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 -109NaN 경 kg급으로 체급을 올려 참가했다. 그는 인상 180 kg, 용상 220 kg을 기록하여 총 400 kg의 기록으로 최종 6위에 올랐다.
2.3.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정상급 선수임을 증명했다.
- 2016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94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인상 168 kg, 용상 200 kg을 기록하며 합계 368 kg으로 당초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1위를 차지했던 카자흐스탄의 블라디미르 세도프Владимир Се도프Vladimir Sedov러시아어의 도핑이 적발되어 메달이 박탈됨에 따라, 이란의 알리 하셰미علی هاش미Ali Hashemi페르시아어와 대한민국의 박한웅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1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109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그는 인상 180 kg, 용상 220 kg을 기록하며 총 400 kg의 기록으로 최종 4위에 올랐다.
- 2023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진주에서 개최된 이 대회에 -102NaN 경 kg급으로 출전했다. 인상 180 kg, 용상 218 kg을 기록하며 총 398 kg의 기록으로 카자흐스탄의 누르기사 아딜레툴리Нұрғиса ӘділетұлыNurgisa Adiletuly카자흐어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4. 기타 국제 대회
-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3년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된 남자 -109NaN 경 kg급 경기에 참가했으나, 경기 중 실격 처리되었다.
3. 주요 성적
진윤성이 참가한 주요 국제 대회의 세부적인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장소 | 체급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 순위 | ||||||
---|---|---|---|---|---|---|---|---|---|---|---|---|
1차 시도 | 2차 시도 | 3차 시도 | 순위 | 1차 시도 | 2차 시도 | 3차 시도 | 순위 | |||||
올림픽 역도 | ||||||||||||
2021 | 일본 도쿄 | 109NaN 경 kg | 180 kg | 5 | 220 kg | 5 | 400 kg | 6 | ||||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
2017 | 미국 애너하임 | 105NaN 경 kg | 180 kg | 5 | 207 kg | 12 | 387 kg | 9 | ||||
2019 | 태국 파타야 | 102NaN 경 kg | 176 kg | 181 kg | - | 211 kg | 216 kg | 4 | 397 kg | - | ||
2021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102NaN 경 kg | 176 kg | 180 kg | - | 216 kg | 4 | 396 kg | - | |||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
2016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94NaN 경 kg | 165 kg | 168 kg | - | 195 kg | 200 kg | - | 368 kg | - | ||
2021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109NaN 경 kg | 180 kg | 4 | 220 kg | 4 | 400 kg | 4 | ||||
2023 | 대한민국 진주 | 102NaN 경 kg | 175 kg | 180 kg | 5 | 213 kg | 218 kg | - | 398 kg | - |
4. 평가
진윤성은 국제 역도 무대에서 꾸준히 정상급 기량을 선보이며 대한민국의 역도 위상을 높인 선수로 평가받는다.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의 은메달(2019년, 2021년)과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의 은메달(2023년) 및 동메달(2016년)은 그의 탁월한 실력과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특히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여 6위라는 높은 순위를 기록한 것은 올림픽이라는 큰 무대에서도 흔들림 없는 그의 경기력을 보여준다. 94NaN 경 kg급부터 109NaN 경 kg급까지 다양한 체급에서 경쟁하며 뛰어난 성적을 유지한 점은 그의 뛰어난 적응력과 역도 기술을 증명한다.
5. 같이 보기
- 역도
-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올림픽 역도
6. 외부 링크
- [https://www.instagram.com/jin_yun.s/ 진윤성 인스타그램]
- [https://www.iwf.net/new_bw/athletes_newbw/?athlete=jin-yunseong-1995-10-11&id=7565 국제 역도 연맹 진윤성]
- [http://www.iwrp.net/component/cwyniki/?view=contestant&id_zawodnik=34567 IWRP - Weightlifting Database 진윤성]
- [https://www.olympedia.org/athletes/145051 Olympedia 진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