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배경
1.1. 출생 및 성장 환경
조아니 로셰트는 1986년 1월 13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퀘벡주의 라 비지타시옹-드-릴-뒤파에서 성장했다. 그녀의 키는 160 cm이며, CPA 베르티에르빌에서 훈련했다.
1.2. 피겨 스케이팅 입문
로셰트는 두 살 때 어머니가 그녀를 스케이트장에 데려가면서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그녀는 2000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으며, 이듬해인 2001년에는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 선수 경력
조아니 로셰트의 선수 경력은 주니어 무대에서의 성공적인 시작부터 시니어 무대에서의 꾸준한 발전, 그리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거치며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1. 주니어 경력
로셰트는 2000-01 시즌에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프랑스 대회에서 5위, 멕시코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그녀는 두 차례의 예선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며 2001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 진출했고,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두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2001년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8위를 기록했다. 2001-02 시즌에는 ISU 주니어 그랑프리 이탈리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0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2.2. 시니어 경력 발전
2001-02 시즌, 로셰트는 시니어 무대에 데뷔하여 2002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02-03 시즌에는 2003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2003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 8위,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 17위를 기록했다.
2003-04 시즌부터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2003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10위, 2003년 컵 오브 러시아에서 4위를 기록했다. 또한 2003년 보프로스트 컵 온 아이스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는 2년 연속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04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 4위,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 8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2004-05 시즌에는 2004년 컵 오브 차이나에서 동메달, 2004년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그녀는 2004-05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1995-96 시즌 조제 슈이날 이후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였다. 또한 2005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첫 시니어 국내 타이틀을 획득하며,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는 최초로 노비스, 주니어, 시니어 세 단계의 국내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1위를 기록하며 캐나다에 2006년 동계 올림픽 출전권 2장을 안겨주었다.
2005-06 올림픽 시즌에는 2005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은메달, 2005년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4위를 기록했다. 2006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9위로 다소 부진했으나, 프리 스케이팅에서 5위를 기록하며 최종 5위를 차지했다. 캐나다에서 개최된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라운드에서 선두를 달렸으나, 쇼트 프로그램 7위, 프리 스케이팅 8위를 기록하며 최종 7위에 머물렀다.
2006-07 시즌에는 2006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금메달, 2006년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4위를 기록했으나, 타이브레이크로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2007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세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07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007-08 시즌에는 2007년 스케이트 캐나다와 2007년 컵 오브 러시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네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2008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200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8-09 시즌은 로셰트에게 매우 성공적인 시즌이었다. 2008년 스케이트 캐나다와 2008년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우승하며 2연승을 거두었는데, 특히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당시 세계 챔피언이었던 아사다 마오를 꺾었다. 그녀는 심리학자와의 협업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2008-09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09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다섯 번째 연속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09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아사다 마오를 제쳤다.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1988년 대회 은메달리스트인 엘리자베스 맨리 이후 21년 만에 세계 선수권 대회 시상대에 오른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가 되었다.
2009-10 시즌에는 2009년 컵 오브 차이나에서 쇼트 프로그램 7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최종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70.00점이라는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1위를 차지했고, 프리 스케이팅에서도 1위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9-10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4위, 프리 스케이팅 5위를 기록하며 최종 5위를 차지했다.
2.3. 주요 국제 대회 성과
국제 대회 | ||||||||||
---|---|---|---|---|---|---|---|---|---|---|
대회 | 00-01 | 01-02 | 02-03 | 03-04 | 04-05 | 05-06 | 06-07 | 07-08 | 08-09 | 09-10 |
동계 올림픽 | 5위 | 3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17위 | 8위 | 11위 | 7위 | 10위 | 5위 | 2위 | |||
사대륙 선수권 대회 | 9위 | 8위 | 4위 | 3위 | 2위 | 2위 | ||||
그랑프리 파이널 | 3위 | 4위 | 5위 | |||||||
트로피 에릭 봉파르 | 1위 | 4위 | 4위 | 1위 | ||||||
컵 오브 차이나 | 3위 | 3위 | ||||||||
컵 오브 러시아 | 4위 | 3위 | ||||||||
스케이트 캐나다 | 10위 | 2위 | 1위 | 3위 | 1위 | 1위 | ||||
보프로스트 컵 | 1위 | |||||||||
국제 주니어 대회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8위 | 5위 | ||||||||
주니어 그랑프리 프랑스 | 5위 | |||||||||
주니어 그랑프리 이탈리아 | 3위 | |||||||||
주니어 그랑프리 멕시코 | 4위 | |||||||||
주니어 그랑프리 폴란드 | 5위 | |||||||||
국내 대회 | ||||||||||
캐나다 선수권 | 1위 J. | 3위 | 2위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J. = 주니어 |
팀 이벤트 | |||||||
---|---|---|---|---|---|---|---|
대회 | 05-06 | 06-07 | 08-09 | 09-10 | 10-11 | 11-12 | 13-14 |
ISU 세계 팀 트로피 | 2위 T 2위 P | ||||||
재팬 오픈 | 2위 T 2위 P | 3위 T 3위 P | 2위 T 1위 P | 2위 T 1위 P | 1위 T 2위 P | 2위 T 2위 P | |
T: 팀 결과; P: 개인 결과. 메달은 팀 결과에 대해서만 수여됨. |
프로암 이벤트 | |||
---|---|---|---|
대회 | 12-13 | 14-15 | 15-16 |
메달 위너스 오픈 | 2위 | 1위 | 1위 |

2.4. 캐나다 내셔널 챔피언십
조아니 로셰트는 2000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으며, 2001년에는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시니어 무대에 진출하여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 연속으로 캐나다 내셔널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는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다. 이로써 그녀는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는 최초로 노비스, 주니어, 시니어 세 단계의 국내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선수가 되었다.
3. 2010 밴쿠버 동계 올림픽과 개인적 시련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은 조아니 로셰트의 선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자 개인적인 시련의 순간이었다. 그녀는 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죽음이라는 비극 속에서도 올림픽 무대에 올라 전 세계에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3.1. 어머니의 죽음과 올림픽에서의 연기

2010년 2월 21일, 밴쿠버 동계 올림픽 여자 피겨 스케이팅 경기가 시작되기 이틀 전, 로셰트의 어머니인 테레즈 로셰트가 딸의 경기를 응원하기 위해 밴쿠버에 도착한 직후 밴쿠버 종합 병원에서 55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이 비극적인 소식에 로셰트는 큰 충격을 받았고, 쇼트 프로그램 순번 추첨식에도 불참했다.
그러나 로셰트는 어머니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경기에 계속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동료 캐나다 올림픽 선수이자 스피드 스케이팅 해설가인 댄 얀센은 로셰트에게 이메일을 보내,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기간 중 누이의 죽음을 겪었던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위로와 격려를 전했다.
로셰트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개인 최고 기록인 71.36점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이틀 뒤, 그녀는 롱 프로그램에서도 3위 자리를 지켜내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그녀는 올림픽 여자 피겨 스케이팅에서 메달을 획득한 다섯 번째 캐나다 선수가 되었다. 로셰트는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잠시 자신의 올림픽 동메달을 관 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그녀는 프리 스케이팅 후반부에 힘이 다했지만, 마지막 트리플 살코 점프를 뛸 수 있었던 것은 어머니가 자신을 들어 올려주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녀는 당시 경쟁자였던 김연아와 아사다 마오에게 "두 선수가 과감히 3회전-3회전이나 3회전 악셀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고, 저는 슬픈 일은 잊고 솔직히 불타올랐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2010년 2월 27일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갈라쇼에서 로셰트는 어머니에게 바치는 헌정 공연으로 셀린 디온의 노래 «Vole» (원곡 프랑스어 버전)를 사용했으며, 얼굴을 하늘로 향하며 연기를 마쳤다.
3.2. 올림픽 이후의 인정과 감사
로셰트가 보여준 역경 속에서의 감동적인 투혼과 결단력은 전 세계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로 인해 그녀는 페트라 마이디치와 함께 2010년 동계 올림픽의 초대 테리 폭스상을 수상했다. 동료 캐나다 올림픽 선수인 존 몽고메리는 로셰트가 "2010년 대회에서 엄청난 투혼과 결단력을 보여주었다... 그녀가 보여준 것은 진정 올림픽의 정신 그 자체였다"고 평하며 찬사를 보냈다. 로셰트는 2010년 동계 올림픽 폐회식의 기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또한 2010년 12월, 그녀는 캐나다 통신사로부터 올해의 여성 스포츠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4. 선수 은퇴 후 활동
선수 생활을 마친 조아니 로셰트는 새로운 삶의 장을 열어 의학 공부와 의료 활동에 전념하며, 동시에 미디어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4.1. 은퇴 및 의학 공부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이후, 조아니 로셰트는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불참했으며, 이후 2010-11 시즌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사실상 선수 생활의 마무리를 알렸다. 2012년 10월 인터뷰에서는 복귀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으나, 2013년 9월에는 2014년 올림픽 출전 경쟁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대신 소치 동계 올림픽에 CBC와 함께 해설위원으로 참여했다.
그녀는 2011년 11월 콜레주 앙드레-그라세에서 자연과학 분야 대학 학위 (DEC)를 취득했다. 이 학위는 일반적으로 2~3년이 소요되지만, 로셰트는 선수 생활을 병행하며 7년 만에 과정을 마쳤다. 2015년 가을, 그녀는 맥길 대학교 의학 예비 과정에 등록했으며, 2016년부터는 의과대학생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2017년 9월에는 의과대학 2학년 시작과 함께 화이트 코트 세리머니에 참여했다. 로셰트는 2010년 어머니의 죽음 이후, 할아버지와 숙부도 심장 발작 증세를 겪는 것을 보며 의사가 되겠다는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4.2. 의사로서의 활동
로셰트는 2020년 4월 의학 학위를 취득하며 정식 의사가 되었다. 그녀는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퀘벡주의 요양원에서 근무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의료 현장에서의 첫 발을 내디뎟다. 그녀는 오타와 대학교 심장 연구소의 "iheartmom" 캠페인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여성 심장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월드 비전과도 협력하여 인도주의적 활동을 펼쳤다.
4.3. 미디어 및 해설 활동
조아니 로셰트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CBC의 피겨 스케이팅 해설위원으로 데뷔하며 미디어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5. 프로그램 구성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갈라/엑시비션 | ||
---|---|---|---|---|---|
2015-16 |
by Sara Bareilles |
by 셀레나 고메즈
by Sara Bareilles
>- | 2014-15 |
covered by Ute Lemper |
covered by Ute Lemper |
2013-14 |
by Luc Plamondon |
by Luc Plamondon | |||
2012-13 |
by France d'Amour |
by 샤데이
by Caro Emerald
performed by Measha Brueggergosman
by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
2011-12 |
by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by 로빈 | |||
2010-11 |
by 카미유 생상스 |
performed by 신디 로퍼
by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by 아돌프 아당 | |||
2009-10 |
by 헤라르도 마토스 로드리게스 |
by 카미유 생상스 |
by 샤키라
by 셀린 디온
by 조지 거슈윈 | ||
2008-09 |
by 조지 거슈윈 |
by 호아킨 로드리고 |
by 마돈나
by Suzie McNeil
by 샤키라 | ||
2007-08 |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by 로베르트 슈만 |
(from Don Juan) |
by 마돈나
by 퍼기
by 조지 거슈윈 | ||
2006-07 |
by 지미 헨드릭스 |
by 조지 거슈윈 | |||
2005-06 |
(instrumental version) |
by 조제프 코스마
by 에디트 피아프 |
by 마돈나
by 셀린 디온 | ||
2004-05 |
by 안토닌 드보르자크 |
by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by Frente! | ||
2003-04 |
by Willy Schwartz |
by 엔니오 모리코네 |
by 바네사 칼튼 | ||
2002-03 |
by Rolf Lovland |
by 엔니오 모리코네 | |||
2001-02 |
performed by Sir Simon Rattle Orchestra |
by Riccardo Drigo | |||
2000-01 |
by Joe Carr
by Irving Berlin |
6. 영향력 및 평가
조아니 로셰트는 강력한 점프와 우아한 스케이팅을 겸비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악셀 점프를 제외한 5가지 종류의 트리플 점프를 깔끔하게 구사할 수 있었다. 그녀의 코치는 마논 페론과 나탈리 마틴이었으며, 과거에는 조제 노르망, 세바스티앙 브리튼, 나탈리 리퀴에르의 지도를 받았다. 안무는 주로 셰이린 본과 로리 니콜이 담당했으며, 데이비드 윌슨과 세바스티앙 브리튼도 안무 작업에 참여했다. 로셰트는 영화 감상, 독서, 롤러스케이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셰트는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 만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와 교제했으며, 2008년 7월부터 몬트리올 시내에서 동거하기도 했다. 또한 안도 미키와 카롤리나 코스트너와는 주니어 시절부터 같은 대회에 출전하며 친분을 쌓은 동갑내기 스케이터였다. 2017년 8월, 스케이트 캐나다는 로셰트를 2017년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발표하며 그녀의 업적을 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