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형택(李亨澤, Lee Hyung-taik이형택영어)은 1976년 1월 3일 강원도 횡성군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테니스 선수이자 현 지도자 및 방송인이다. 그는 대한민국 남자 테니스 선수 최초로 ATP 투어 단식 및 복식에서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07년 8월에는 개인 최고 세계 랭킹 36위를 달성하여 한국 테니스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2009년 현역에서 은퇴했으나 2013년에 복귀하여 2015년까지 활동했으며, 이후에는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KBS N 스포츠와 MBC 스포츠플러스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였다.
2. 개인사
2.1. 출생 및 성장 과정
이형택은 1976년 1월 3일 강원도 횡성군의 감자 농사를 짓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9세 때 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테니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현재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신장은 180cm, 체중은 81kg이다.
2.2. 학력
이형택은 다음과 같은 교육 과정을 거쳤다.
- 우천초등학교 (1988년 졸업)
- 원주중학교 (1991년 졸업)
- 봉의고등학교 (1994년 졸업)
- 건국대학교 (1998년 졸업)
3. 테니스 경력
이형택은 1995년 19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했으며, 곧바로 남자 테니스 국가대표팀인 데이비스 컵 대표 선수로 발탁되었다.
3.1. 단식 경력 하이라이트
이형택은 단식 경기에서 여러 중요한 업적을 달성했다.

- 2000년
- US 오픈에서 그랜드 슬램 본선에 데뷔하여 예선 3경기를 통과한 뒤 본선 4회전(16강)까지 진출했다. 이는 이덕희가 1981년 프랑스 오픈에서 16강에 진출한 이후 대한민국 선수로는 두 번째, 남자 선수로는 최초의 메이저 대회 16강 진출 기록이었다. 16강에서는 당시 세계적인 선수였던 피트 샘프라스에게 패했다. 4회전 진출 과정에서 제프 타랑고, 13번 시드 프랑코 스퀼라리, 그리고 미래의 호주 오픈 준우승자 라이너 슈틀러를 꺾었다.
-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두 번째로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단식에 처음으로 나섰으나, 1회전에서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에게 패했다.
- 2003년
- 1월 시드니 국제 대회 결승에서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를 4-6, 7-6(8-6), 7-6(7-4)으로 꺾고 대한민국 남자 테니스 선수 최초로 ATP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남녀를 통틀어 1982년 이덕희의 포트 마이어 대회 우승 이후 최초의 투어 대회 우승이었다.
- 윔블던에서는 1회전에서 대회 우승자인 로저 페더러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 2004년
- 2004년 프랑스 오픈과 2005년 프랑스 오픈에서 2년 연속으로 3회전에 진출했다.
-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세 번째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단식 첫 승을 기록하고 칠레의 페르난도 곤살레스와의 2회전에 진출했다.
- 2004년 US 오픈에서도 4년 만에 3회전에 진출했으나 안드레이 파벨에게 패했다.
- 2006년
- 2006년 윔블던 2회전에서 전 대회 우승자이자 두 차례 4강에 진출했던 오스트레일리아의 레이튼 휴이트를 만나 세 차례의 타이브레이크를 포함한 5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이 경기에서 이형택은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세트 포인트를 얻을 기회가 있었으나, 선심의 잘못된 라인 콜로 인해 포인트를 잃고 결국 세트를 내주었다. 이형택은 4세트를 따내며 경기를 2-2로 만들었지만, 최종 세트에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휴이트는 8강까지 진출했다.
- 2006년 한 해 동안 3개의 챌린저 타이틀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 중 가장 많은 타이틀을 기록했다.
- 2007년
2007년 US 오픈에 출전한 이형택 - 한국 테니스 선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세계 랭킹 50위권 안에 진입했으며, 8월 6일에는 개인 최고 세계 랭킹 36위를 달성했다.
- 2007년 윔블던에서 처음으로 3회전에 진출했다.
- 2007년 US 오픈에서 4회전(16강)에 진출하며 그의 그랜드 슬램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회전에서 도미니크 에르바티를 5세트 접전 끝에 꺾었으며, 2회전에서는 14번 시드의 기예르모 카냐스를 3-0으로 완파했다. 3회전에서는 19번 시드의 앤디 머리를 만나 첫 두 세트를 손쉽게 따내며 3-1로 승리하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4회전에서는 4번 시드의 니콜라이 다비덴코에게 0-3으로 패했다.
- US 오픈 16강 진출은 그의 US 오픈 시리즈 참가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장식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컨츄리와이드 클래식에서 4강에, 인디애나폴리스 테니스 챔피언십과 랙 메이슨 테니스 클래식에서 8강에 진출했다.
- 2007년은 대회 성적과 상금 등 여러 면에서 그의 선수 경력 중 최고의 해였다. 그는 시즌 최다인 25승을 거두었으며, 38.62 만 USD의 상금을 벌어들였다. 하드 코트에서 16승 15패, 클레이 코트에서 5승 5패, 잔디 코트에서 3승 3패, 그리고 카펫 코트에서 1승을 기록했다.
- 2008년
- 2008년 시즌에는 부진한 연패를 기록하며 세계 랭킹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인디언 웰스 대회에서 미카엘 로드라, 야르코 니에미넨, 5번 시드 다비드 페레르를 꺾고 4회전에 진출하며 그의 마스터스 시리즈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3.2. 복식 경력 하이라이트
이형택은 단식뿐만 아니라 복식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 2003년
- 2월 10일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린 SAP 오픈 복식에서 벨라루스의 블라디미르 볼치코프와 짝을 이루어 우승하며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ATP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 2005년
- 한국계 미국인 선수인 케빈 김과 종종 복식 경기에 출전했으며, 두 사람은 2005년 프랑스 오픈 복식에서 3회전에 진출하기도 했다.
3.3. ATP 투어 및 그랜드 슬램 성적
이형택은 선수 경력 동안 총 235.57 만 USD의 상금을 획득했으며, 단식 161승 164패, 복식 40승 72패의 통산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의 최고 복식 세계 랭킹은 2006년 1월 16일 기록한 95위이다.
결과 | W-L | 날짜 | 대회 | 티어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0-1 | 2001년 5월 | 휴스턴, 미국 | 월드 시리즈 | 클레이 | 앤디 로딕 | 5-7, 3-6 |
우승 | 1-1 | 2003년 1월 | 시드니, 호주 | 월드 시리즈 | 하드 |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 4-6, 7-6(8-6), 7-6(7-4) |
결과 | W-L | 날짜 | 대회 | 티어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0 | 2003년 2월 | 산호세, 미국 | 월드 시리즈 | 하드 | 블라디미르 볼치코프 | 폴 골드스타인 로버트 켄드릭 | 7-5, 4-6, 6-3 |
대회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그랜드 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Q1 | A | A | Q1 | Q1 | 1R | A | 2R | 1R | 1R | 1R | 1R | 2R | Q1 |
프랑스 오픈 | A | A | A | A | A | A | 1R | 1R | 3R | 3R | Q1 | 1R | 2R | A |
윔블던 | A | A | A | A | Q2 | 1R | 2R | 1R | Q2 | 2R | 2R | 3R | 1R | A |
US 오픈 | A | A | Q1 | Q1 | 4R | 1R | 1R | 2R | 3R | 1R | 2R | 4R | 1R | A |
승-패 | 0-0 | 0-0 | 0-0 | 0-0 | 3-1 | 0-3 | 1-3 | 2-4 | 4-3 | 3-4 | 2-3 | 5-4 | 2-4 | 0-0 |
대회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그랜드 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1R | 1R | 2R | A | 1R | 2R |
프랑스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2R | A | 3R | A | 2R | 2R |
윔블던 | A | A | A | A | A | A | A | 1R | A | 1R | A | 1R | A |
US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2R | A | A | A | 2R | A |
승-패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2-4 | 0-1 | 3-3 | 0-0 | 2-4 | 2-2 |
3.4. 올림픽 및 데이비스 컵
이형택은 올림픽과 데이비스 컵에서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 올림픽
- 데이비스 컵
- 1995년 프로 데뷔와 동시에 데이비스 컵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 2009년 7월 10일부터 14일까지 열린 한국과 중국의 데이비스 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1그룹 플레이오프 2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 활동을 중단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은 3-2로 승리했다.
3.5. 챌린저 및 퓨처스 대회
이형택은 ATP 챌린저 및 ITF 퓨처스 대회에서 총 22개의 단식 타이틀과 14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결과 | W-L | 날짜 | 대회 | 티어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0 | 1998년 5월 | 코리아 F1, 서귀포 | 퓨처스 | 하드 | 파라돈 시차판 | 6-3, 6-3 |
우승 | 2-0 | 1998년 6월 | 코리아 F2, 서귀포 | 퓨처스 | 하드 | 니르 웰그린 | 6-0, 6-3 |
우승 | 3-0 | 1998년 6월 | 캐나다 F2, 몬트리올 | 퓨처스 | 하드 | 마이클 러셀 | 6-0, 7-5 |
우승 | 4-0 | 1998년 7월 | 캐나다 F3, 부셰르빌 | 퓨처스 | 하드 | 제임스 세쿨로프 | 4-6, 6-4, 6-1 |
준우승 | 4-1 | 1998년 8월 | 렉싱턴, 미국 | 챌린저 | 하드 | 폴 골드스타인 | 1-6, 4-6 |
우승 | 5-1 | 1998년 10월 | 일본 F4, 마이시마 | 퓨처스 | 카펫 | 윤용일 | 7-6, 2-6, 6-4 |
우승 | 6-1 | 1999년 3월 | 일본 F1, 이사화 | 퓨처스 | 클레이 | 고이치 모토무라 | 7-6, 1-6, 5-2 ret. |
우승 | 7-1 | 1999년 5월 | 중국 F1, 베이징 | 퓨처스 | 하드 | 드미트리 토마셰비치 | 6-3, 6-2 |
우승 | 8-1 | 1999년 5월 | 중국 F2, 선양 | 퓨처스 | 하드 | 다나이 우돔촉 | 6-0, 6-0 |
준우승 | 8-2 | 1999년 5월 | 코리아 F2, 서울 | 퓨처스 | 클레이 | 백승복 | 6-3, 2-6, 2-6 |
우승 | 9-2 | 1999년 10월 | 일본 F5, 고베 | 퓨처스 | 카펫 | 권오희 | 6-1, 7-5 |
우승 | 10-2 | 1999년 11월 | 요코하마, 일본 | 챌린저 | 카펫 | 파라돈 시차판 | 6-3, 6-0 |
우승 | 11-2 | 2000년 8월 | 브롱크스, 미국 | 챌린저 | 하드 | 레지날 빌럼스 | 6-4, 6-1 |
우승 | 12-2 | 2000년 11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라데크 슈테파네크 | 6-4, 6-4 |
준우승 | 12-3 | 2000년 11월 | 오사카, 일본 | 챌린저 | 하드 | 미셸 크라토츠빌 | 6-2, 2-6, 2-6 |
우승 | 13-3 | 2001년 10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고이치 모토무라 | 6-3, 6-4 |
우승 | 14-3 | 2002년 12월 | 요코하마, 일본 | 챌린저 | 카펫 | 욘 판 로튐 | 2-6, 7-6(2-7), 7-6(8-6) |
우승 | 15-3 | 2003년 9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데니스 판 스헤핑언 | 6-3, 6-3 |
우승 | 16-3 | 2004년 9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장르네 리즈나르 | 3-6, 7-5, 6-2 |
준우승 | 16-4 | 2004년 12월 | 포트루이스, 모리셔스 | 챌린저 | 하드 | 안드레이 파벨 | 3-6, 1-6 |
우승 | 17-4 | 2005년 10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니콜라 토만 | 4-6, 6-1, 7-6(8-6) |
우승 | 18-4 | 2006년 6월 | 부산,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다나이 우돔촉 | 6-3, 6-2 |
우승 | 19-4 | 2006년 7월 | 렉싱턴, 미국 | 챌린저 | 하드 | 에이머 델릭 | 5-7, 6-2, 6-3 |
우승 | 20-4 | 2006년 11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비외른 파우 | 6-2, 6-2 |
우승 | 21-4 | 2008년 10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이보 미나르 | 6-4, 6-0 |
우승 | 22-4 | 2008년 11월 | 요코하마, 일본 | 챌린저 | 카펫 | 고 소에다 | 7-5, 6-3 |
준우승 | 22-5 | 2008년 11월 | 도요타, 일본 | 챌린저 | 카펫 | 고 소에다 | 2-6, 6-7(7-9) |
결과 | W-L | 날짜 | 대회 | 티어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0 | 1996년 10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클레이 | 윤용일 | 프레드릭 베리 파트릭 프레드릭손 | 6-4, 6-4 |
우승 | 2-0 | 1998년 3월 | 필리핀 F2, 마닐라 | 퓨처스 | 하드 | 천즈룽 | 데이비드 칼드웰 크리스 톤츠 | 6-1, 6-4 |
우승 | 3-0 | 1998년 5월 | 중국 F2, 톈진 | 퓨처스 | 하드 | 윤용일 | 천즈룽 안드리안 라투랑당 | 6-1, 5-7, 6-3 |
준우승 | 3-1 | 1998년 7월 | 캐나다 F3, 부셰르빌 | 퓨처스 | 하드 | 윤용일 | 태드 버코위츠 하비에르 구티에레즈-리마 | 3-6, 6-1, 3-6 |
우승 | 4-1 | 1998년 10월 | 일본 F4, 마이시마 | 퓨처스 | 카펫 | 윤용일 | 천즈룽 린빙차오 | 6-4, 1-4 ret. |
준우승 | 4-2 | 1999년 3월 | 교토, 일본 | 챌린저 | 카펫 | 조르지오 갈림베르티 | 줄리안 놀 로렌초 만타 | 1-6, 7-6, 2-6 |
우승 | 5-2 | 1999년 3월 | 일본 F1, 이사화 | 퓨처스 | 클레이 | 케빈 김 | 미티 아놀드 토드 메링오프 | 6-4, 6-4 |
준우승 | 5-3 | 1999년 5월 | 코리아 F1, 서울 | 퓨처스 | 클레이 | 한민규 | 정희석 정희성 | 4-6, 4-6 |
우승 | 6-3 | 1999년 5월 | 코리아 F2, 서울 | 퓨처스 | 클레이 | 김동현 | 한민규 이상훈 | 6-3, 6-4 |
준우승 | 6-4 | 1999년 8월 | 빙엄턴, 미국 | 챌린저 | 하드 | 케빈 김 | 미치 스프렌겔마이어 제이슨 위어-스미스 | 7-5, 4-6, 2-6 |
준우승 | 6-5 | 1999년 10월 | 일본 F5, 고베 | 퓨처스 | 카펫 | 다나이 우돔촉 | 이와미 다스쿠 쓰지노 류소 | 5-7, 6-4, 4-6 |
우승 | 7-5 | 2000년 5월 | 일본 F4, 후쿠오카 | 퓨처스 | 하드 | 윤용일 | 더그 보하보이 알렉스 윗 | 6-7(4-7), 7-5, 6-2 |
우승 | 8-5 | 2000년 7월 | 그랜비, 캐나다 | 챌린저 | 하드 | 윤용일 | 프레데릭 니마이어 제리 투렉 | 7-6(7-3), 6-3 |
우승 | 9-5 | 2000년 7월 | 위네트카, 미국 | 챌린저 | 하드 | 윤용일 | 매튜 브린 루크 스미스 | 2-6, 7-5, 6-3 |
준우승 | 9-6 | 2000년 8월 | 브롱크스, 미국 | 챌린저 | 하드 | 윤용일 | 페트르 룩사 웨슬리 화이트하우스 | 6-3, 3-6, 2-6 |
우승 | 10-6 | 2003년 9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알렉스 김 | 알렉스 보고모로프 주니어 제프 살젠스타인 | 1-6, 6-1, 6-4 |
우승 | 11-6 | 2004년 5월 | 코리아 F1, 서귀포 | 퓨처스 | 하드 | 임규태 | 정희석 정희성 | 7-5, 6-4 |
우승 | 12-6 | 2006년 3월 | 호찌민 시, 베트남 | 챌린저 | 하드 | 세실 마미트 | 야코브 아닥투손 두디 셀라 | 6-4, 6-2 |
준우승 | 12-7 | 2006년 4월 | 코리아 F3, 서귀포 | 퓨처스 | 하드 | 정희석 | 준웅선 김선용 | 2-6, 0-6 |
우승 | 13-7 | 2014년 4월 | 코리아 F1, 서울 | 퓨처스 | 하드 | 임용규 | 엔리케 쿠냐 다니엘 응우옌 | 6-2, 4-6, [10-4] |
준우승 | 13-8 | 2015년 5월 | 서울, 대한민국 | 챌린저 | 하드 | 다나이 우돔촉 | 공마오신 펑셴인 | 4-6, 5-7 |
우승 | 14-8 | 2015년 5월 | 코리아 F1, 대구 | 퓨처스 | 하드 | 홍성찬 | 남지성 송민규 | 6-3, 6-3 |
3.6. 플레이 스타일
이형택은 오른손잡이이며 한손 백핸드를 구사한다. 그는 자신의 백핸드를 최고의 주무기로 여겼으며, 공격적인 백핸드 다운더라인 샷을 자주 구사했다. 빠른 발로 코트 전체를 넓게 사용하면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주무기로 삼는 올라운드형 플레이어였다. 그가 가장 선호하는 코트 서피스는 하드 코트였다. 2006년 3월부터 은퇴할 때까지 전 국가대표 테니스 선수였던 윤용일이 그의 코치 역할을 담당했다.
3.7. 복귀 및 최종 은퇴
이형택은 2009년 7월 데이비스 컵 국가대표 활동을 중단했으며, 같은 해 10월 26일부터 시작된 삼성증권배 국제남자챌린저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 선수에서 은퇴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이 대회 첫 경기에서 허벅지 통증으로 기권하며 1회전에서 탈락했고, 이후 11월 1일 은퇴식을 갖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그러나 2013년 5월, 이형택은 부산 오픈 챌린저 대회 복식에 임규태와 함께 와일드카드로 출전하며 현역 선수로 복귀를 선언했다. 이 복귀전에서 1회전 탈락했지만, 같은 해 10월 삼성증권배 챌린저 대회 복식에도 임규태와 함께 출전했다. 11월에 출전한 영월 챌린저 대회에서는 다나이 우돔촉과 짝을 이뤄 복귀 후 첫 승을 따내며 4강까지 진출했으나,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는 2015년까지 챌린저 대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최종적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4. 은퇴 후 활동
4.1. 지도자 및 테니스 아카데미
이형택은 2009년 9월 12일 춘천 송암스포츠타운 국제테니스장에서 '이형택 테니스 아카데미'를 개원하며 테니스 지도자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강원도에서 자신의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4.2. 방송 및 미디어 활동
이형택은 은퇴 후 다양한 방송 및 미디어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 테니스 해설
- 2010년 5월부터 KBS N 스포츠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2016년에 다시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으로 복귀했다.
- 2014년 11월부터는 MBC 스포츠플러스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5년과 2016년에는 MBC 스포츠플러스에서 중계된 국제 프리미어 테니스리그 대회 해설을 맡았다.
- 방송 출연
- 2019년 JTBC 《뭉쳐야 찬다》 고정 출연 (2019년 6월 13일 ~ 2021년 1월 31일)
- 2020년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게스트 (923회)
- 2020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꾀꼬리'로 출연 (273회)
- 2021년 JTBC 《뭉쳐야 쏜다》 고정 출연 (2021년 2월 7일 ~ 2021년 7월 18일)
- 2021년 JTBC 《뭉쳐야 찬다2》 고정 출연 (2021년 8월 9일 ~ 현재)
- 2022년 JTBC 《전설체전》 고정 출연 (2022년 1월 11일 ~ 현재)
- 2022년 채널A 《피는 못 속여》 출연
- 2022년 ~ 2023년 《코리아 배드민턴》 출연
- 2023년 SBS 《집사부일체 시즌2》 게스트 (2023년 1월 1일)
- 2023년 《내일은 위닝샷》 감독
5. 수상 경력
이형택은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 1998 방콕
- 남자 단체전 금메달
- 남자 복식 은메달
- 2002 부산
- 남자 단식 은메달
- 남자 복식 은메달
- 남자 단체전 은메달
- 2006 도하
- 남자 단체전 금메달
- 남자 단식 은메달
- 1998 방콕
- 하계 유니버시아드
- 1995 후쿠오카
- 남자 단식 은메달
- 1997 카타니아
- 남자 복식 금메달
- 1999 팔마
- 남자 단식 금메달
- 1995 후쿠오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