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기 및 배경
우메하라 다이고는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 2학년 때 도쿄로 이사하여 유년 시절을 아다치구에서 보냈다.
1.1. 유년기와 게이밍 입문
우메하라는 7살 많은 누나의 권유로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10세 무렵 초등학생 때부터 오락실에 다니며 대전 격투 게임을 시작했다. 당시 막 출시되었던 스트리트 파이터 II와 아랑전설이 그의 첫 격투 게임이었다. 스트리트 파이터 II 오락기에는 늘 나이 많은 플레이어들이 줄을 서 있었기 때문에, 그는 처음에는 아랑전설을 먼저 배우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수줍음을 무릅쓰고 스트리트 파이터 II 대시(챔피언 에디션)에서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도전하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메하라는 2022년 9월 밀덤 스트리밍 방송에서 "만약 당시의 언더그라운드 분위기 게임센터 환경이 아닌, 현재의 화려한 격투 게이머 존재와 가정용 게임기 온라인 대전이 주류인 시대에 격투 게임을 만났다면 열중했을까?"라는 질문에 "지금 환경에서 격투 게임을 만났다면 절대 하지 않았을 것이다", "누군가 깔아놓은 레일에는 흥미가 없다",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재미있었다"고 답하며 게임에 대한 그의 독특한 관점을 드러냈다.
1.2. 초기 게이머로서의 성장
13세 무렵 중학생이 된 우메하라는 자신이 스트리트 파이터 II보다 더 실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했던 뱀파이어 헌터로 주력 게임을 바꾸었다. 그는 뱀파이어 헌터에서 286연승 기록을 세우며 명성을 쌓았다. 이 기록은 패배로 중단된 것이 아니라, 아키하바라 세가(현 클럽 세가) 오락실의 폐점 시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플레이를 중단하며 끝났다. 또한 그는 버튼이 고장 난 오락실 기계로 50연승을 달성하는 기록도 가지고 있다. 이 연승 기록은 게임 내 카운터가 255에서 0으로 리셋되는 '산술 오버플로' 현상 때문에 실제 기록보다 낮게 표시되었다.
1995년, 우메하라는 게임스트컵 뱀파이어 헌터 전국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선수 선서를 맡았으나 블록 결승에서 패했다. 그의 첫 토너먼트 우승은 1997년 GAMEST 컵 뱀파이어 세이비어 전국 대회에서 이루어졌는데, 결승전에서 오랜 라이벌이자 맹우인 오누키 신야(통칭 누키)를 꺾고 우승하며 전국에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 17세의 우메하라는 캡콤 공식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전국 대회에 참가하여 10월 11일 도쿄 게임 쇼 1998 가을 행사장의 무대에서 열린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는 결승전에서 오누키를 3대1로 꺾고 우승했으며, 챔피언 자격으로 11월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전국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 대회 우승자 알렉스 발레와 국제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맞붙었다. 이는 우메하라의 첫 미국 방문이자 첫 해외 토너먼트 출전이었다. 3전 2선승제, 한 경기당 5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된 이 경기에서 우메하라는 2대1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 두 대회는 일본에서 50분짜리 TV 리포트로 방영되었다.
2000년 7월 B4 스트리트 파이터 챔피언십 4개월 후, 해당 이벤트의 상위 랭커들이 도쿄 시나가와에서 열린 특별 경기에 참가했다. 미국 선수들은 네 가지 게임(`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스트리트 파이터 알파 3`,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마블 대 캡콤 2: 새로운 영웅의 시대`)에서 일본 최고 선수들과 맞붙을 자격을 놓고 경쟁했다. 우메하라는 `3rd 스트라이크` 경기에만 참가하여 모든 상대를 꺾었고, 각 라운드를 켄의 강력한 승룡권으로 마무리했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다큐멘터리 `뱅 더 머신`으로 촬영되었다.
2001년 9월, 우메하라의 인기에 힘입어 미니 자서전 『VERSUS』가 출판되었다(팬들 사이에서는 "우메본"(ウメ本우메혼일본어) 또는 "우메 북"으로 알려짐). 이 책은 그가 경쟁했던 게임들을 여섯 장에 걸쳐 연대순으로 기록하며 배경 이야기, 대회 일화, 상대 선수 분석 등을 담고 있다.
2003년, 우메하라는 일본의 투극(`Super Battle Opera`)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토너먼트와 같은 해 처음 참가한 EVO에서도 같은 게임에서 우승하며, 한 해에 SBO와 EVO를 동일한 게임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우메하라는 또한 2004년 EVO와 4월 18일 영국에서 열린 앱솔루션 2004에 참가하여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우메하라는 1997년 선수 생활을 시작한 이래 매년 최소 한 번 이상 토너먼트에 꾸준히 참가했으며, 2008년에 잠시 공백기를 가졌다.
1.2.1. 에보 모먼트 #37 ("괴수의 역전극")
2004년 EVO의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부문에서 펼쳐진 우메하라의 전설적인 플레이를 일컫는다. 미국 격투 게이머 저스틴 웡과의 라이벌 관계는 두 선수의 게임 철학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들은 EVO 2004의 루저스 파이널에서 맞붙게 되었다.
우메하라가 조작하는 켄은 체력이 마지막 한 칸밖에 남지 않은 절체절명의 상황이었고, 웡의 춘리가 사용하는 어떤 특수 공격이라도 가드 시 체력 소모(削り, 깎기)로 인해 켄을 KO시킬 수 있는 상황이었다. 웡은 춘리의 슈퍼 아츠인 "봉익선"(鳳翼扇, 연속으로 발차기를 퍼붓는 기술)으로 마무리를 시도했고, 우메하라는 이 짧은 시간 동안 14번의 연속 발차기를 모두 블로킹해야 하는 극한의 상황에 직면했다.
하지만 우메하라는 이 모든 공격을 성공적으로 블로킹했으며, 심지어 마지막 발차기는 점프하여 공중 블로킹으로 막아냈다. 이어서 그는 즉시 반격으로 공중 발차기, 하단 공격, 중 승룡권에 이어 슈퍼 아츠 "질풍신뢰각"을 퍼부어 극적인 역전 KO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 순간 저스틴의 스코어를 500포인트 앞서며 승리했다. 기술적인 흐름은 '봉익선(총 17단 중 실제 14단 블로킹) → 마지막 발차기(1단) 점프 공중 블로킹 → 점프 강 발차기 → 서서 중 펀치 → 중 승룡권 → 질풍신뢰각'으로 이어진다.
블로킹은 타이밍이 매우 정교하고 어려운 기술이며, 특히 연속 공격인 봉익선을 모두 블로킹하는 것은 게임 내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봉익선 발동 이펙트를 보고 블로킹할 수 있는 유예 시간은 1프레임(1/60초)에 불과하다. 그러나 우메하라는 세계 대회에서 수많은 관중의 시선과 엄청난 압박 속에서 단 한 번의 실수도 허용되지 않는 이 난관을 극복해냈다.
이 경기는 비록 우메하라가 그랜드 파이널에서 오바타 겐지에게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웡의 다단히트 공격을 블로킹하는 이 영상은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여 베이브 루스의 예고 홈런이나 미라클 온 아이스와 같은 유명한 스포츠 순간들과 비견될 정도가 되었다. 한때는 가장 많이 시청된 경쟁 게임 영상이기도 했다. 우메하라는 훗날 DVD '엑스 매니아 7'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저스틴의 봉익선 공격을 "실수 같은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NHK 위성 2TV 프로그램 'MAG·넷'에서는 당시 상황에 대해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소리가 있었다면 당했을 것이다", "어떻게 성공했는지 모르겠다"고 회고했다.
이 사건은 이후에도 여러 미디어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졌으며, TV 아사히 '마츠코&아리요시의 분노 신당' 2015년 9월 30일 방송분에서는 "5초간의 기적"으로 불리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EVO Moment #37"로 불리며 관련 서적도 출판되었고, 해당 영상의 조회수가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2014년 11월 22일~23일에는 미국에서 이 사건 10주년 기념 이벤트 "MOMENT 37 RELOADED"가 개최되었고, 우메하라는 이 자리에서 저스틴과의 시범 경기에서 '배수진의 역전극'을 재현하여 보여주기도 했다.
1.2.2. 공백기와 복귀
우메하라는 2005년 투극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부문에서 누키와 팀 '우메누키'를 이뤄 우승하고,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X 대회 'X-매니아 외전'을 프로듀싱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지만, 참가 예정이던 EVO를 취소했다. EVO 참가 취소 소식 자체가 해외 게임 웹사이트에서 뉴스로 다뤄졌다. 그는 인터뷰에서 "연습 없이 4개 타이틀을 따는 것은 어렵다"고 취소 이유를 밝혔으며, 당시 누키가 출전하여 선전했다는 소식을 듣고 칭찬한 뒤 매니저에게 야키니쿠를 얻어먹었다고 털어놓았다.
이 시기를 전후로 그는 격투 게임의 최전선에서 서서히 물러나 여러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가, 장래 직업으로 경기 마작을 선택하여 마작 하우스에서 근무하며 프로 마작 기사를 지망했다.
2008년, 승부의 세계에 지쳐 약 1년간 주로 치매 노인을 돌보는 요양원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그 와중에 `스트리트 파이터 IV`를 플레이하기 시작했고, 게임 출시 직후부터 90% 이상의 승률을 유지하며 2008년 8월 8일자 휴대전화 공식 사이트의 누적 배틀 포인트 전국 랭킹 1위를 차지했다. 당시 주력 캐릭터는 류였다.
2. 프로 게이머 경력
우메하라 다이고가 프로 게이머로서 활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경력과 이정표는 다음과 같다.
2.1. 스폰서십 및 주요 전환점
2010년 4월, 우메하라는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홍보 행사인 '파이트 클럽'에 참가했다. 이 행사에서 과거의 강적이었던 알렉스 발레, 저스틴 웡과 다시 대결하게 되었다. 저스틴 웡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웡의 루퍼스 점프 공격에 우메하라의 가일이 울트라 콤보로 반격했으나 예상치 못한 "더블 KO"가 발생하여 관중과 MC로부터 큰 환호성을 이끌어냈다.
같은 달 27일, 미국 주변기기 제조사인 매드캣츠와의 스폰서십 계약 사실이 보도되었고, 위 대회에서의 홍보 활동 등을 통해 우메하라는 정식 "프로 격투 게이머"가 되었다. 이 계약을 통해 그는 일본 언론으로부터 "2D 격투 게임의 신"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16년 5월 14일, 음료 회사 레드불과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하며 일본인으로는 두 번째로 레드불 아틀레타가 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 스폰서였던 매드캣츠와의 관계는 제휴 파트너십 형태로 전환되었음이 밝혀졌다.
2016년 9월, 우메하라는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에서의 최고 랭킹과 "가장 많이 시청된 대전 격투 게임 경기"(앞서 언급된 '배수진의 역전극' 영상, 2016년 3월 8일 기준 누적 5,385,142회 재생)라는 두 가지 새로운 분야에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2016년 11월, 킹스턴 테크놀로지의 게이밍 브랜드 "하이퍼엑스"(HyperX영어)와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
2017년 3월 2일, 스네이크 아이즈(Darryl "Snake Eyez" Lewis), PR 발로그(Eduardo "PR Balrog" Perez)와 함께 일본 게임 개발사 사이게임즈와 스폰서십 계약을 맺고 '사이게임즈 비스트'(Cygames Beast영어) 팀을 결성했다. 세 선수는 새로운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를 착용하며 활동했다. 2020년 2월 말, 사이게임즈와의 스폰서십 계약은 종료되었다.
2019년, 우메하라는 뉴스위크 일본판(4/30·5/7 합병호)에서 "세계가 존경하는 일본인 100인"에 선정되었다.
2020년 4월 1일, DouYuJapan이 운영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밀덤과 스폰서십 계약을 맺고 팀명을 '팀 밀덤 비스트'(Team Mildom Beast영어)로 변경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2021년 5월 8일, 그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5일 고열과 권태감 등 감기 증상이 나타나 병원 검사를 받은 결과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후 그는 자택에서 요양을 이어갔으며, 5월 22일 퇴원하며 회복되었다고 보고했다.
2024년에는 사이슌칸 솔 구마모토에 소속되어 'SFL'에 참가할 것을 발표했다.
2.2. 스트리트 파이터 IV 시대 (2008-2015)
2008년 7월, 우메하라는 스트리트 파이터 IV 출시와 함께 다시 경쟁적인 활동을 시작하며 은퇴 상태에서 복귀했다. 그의 복귀를 기념하여 일본 아케이드 게임 잡지 '아르카디아'는 2009년 1월호(2008년 11월 29일 발행)에 "우메하라 컨셉 매치" DVD를 부록으로 포함했으며, 우메하라 선수 소개란에는 "신이 돌아왔다"고 명시했다. 이 DVD에는 그와 이노우에, 이타바시 장기에프, 후도, 네모, 마고 등 일본의 6명의 최상위 플레이어 간의 시범 경기가 담겨 있다.
2009년 3월 5일, 우메하라는 TV 프로그램 "게이머즈 고시엔"에 "격투 게임의 신"으로 출연했다. 그와 일본의 다른 4명의 최상위 플레이어(소시한 KSK, 이타바시 장기에프, 마고, 도키도)가 서로 경쟁하고 유명인들과 스트리트 파이터 IV 풀리그전을 벌였다.
2009년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게임스톱 스트리트 파이터 IV 전국 토너먼트 2009에서 캡콤의 초청으로 참가한 우메하라는 메인 대회에 이어 세 국가에서 온 네 명의 플레이어와 시범 경기를 치렀다. 그는 이요, 풍꼬, 저스틴 웡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우승 상으로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EVO 2009 무료 참가권을 획득했다.
우메하라는 8월호부터 '아르카디아'에 '우메하라 칼럼: 미치'(ウメハラコラム・道우메하라 코라무: 미치일본어)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게임스톱 토너먼트 우승 덕분에 우메하라는 7월 18일 EVO 2009 스트리트 파이터 IV 대회 준결승에 시드 선수로 진출했다. 대회 셋째 날, 그는 저스틴 웡을 꺾고 루저스 브래킷으로 내려보낸 후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여 다시 웡과 맞붙었다. 두 선수는 마지막 경기까지 접전을 벌였고, 결국 우메하라가 대회에서 최종 우승했다. 우메하라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4월에 대결했을 때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번에는 저스틴이 상당히 강해졌다"고 웡을 칭찬했다.
9월호 '아르카디아' 잡지에는 '우메하라의 컨셉 매치' DVD 세트가 포함되었는데, 이는 2008년 말에 출시된 이전 DVD의 후속작이었다.
8월 7일, 우메하라는 "GODSGARDEN"이라는 밤샘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10월 10일에는 타이완에서 열린 스트리트 파이터 IV 시범 경기에 참가했으며, 이 경기는 패미통 웹 채널에서 생중계되었다.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오하이오주 컬럼버스에서 열린 '시즌스 비팅스' 토너먼트에 다시 참가하여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와 `스트리트 파이터 IV` 싱글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11월, 사이먼 파킨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28세였던 우메하라는 자신이 게이머로서 전성기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반응 속도는 젊었을 때와 비슷하지만, 궁지에 몰렸을 때 더 이상 초조해하지 않는다. 이제 어떤 것도 나를 정신적으로 무너뜨릴 수 없다. 나는 긴장감을 극복했다. 상대방을 즉시 구별하고 그들의 성격과 약점에 따라 그룹과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직 신체 능력이 약화되는 것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격투 게이머로서 내 경력의 정점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11월 26일, 우메하라와 다른 5명의 일본 스트리트 파이터 IV 최상위 플레이어는 니코니코 라이브 인터넷 쇼에 출연하여 두 번째 GODSGARDEN 토너먼트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쇼에서는 우메하라와 마고의 시범 경기도 진행되었다.
2010년 3월 3일부터 7일까지 프랑스에서 열린 '월드 게임 컵' 스트리트 파이터 IV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싱글 부문 2위, 2대2 부문 1위를 차지했다.
4월 4일, 우메하라와 두 명의 팀원은 캡콤의 공식 스트리트 파이터 IV 전국 대회에 참가하여 상위 14위에 들었으나, 그의 팀은 8강에서 탈락했다.
4월 23일, 우메하라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캡콤의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파이트 클럽' 출시 파티에 참가했다. 우메하라는 하칸, 가이, 디제이 등 다양한 캐릭터를 사용하여 10여 명의 도전자들과 시범 경기를 펼쳤다. 이 행사는 우메하라와 저스틴 웡의 5전 3선승제 경기로 마무리되었는데, 더블 KO 무승부로 끝나며 우메하라는 밤새 무패를 기록했다. 이 행사에서 우메하라가 매드캣츠와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하고 향후 대회에서 매드캣츠 소속으로 활동할 것이라는 사실도 공개되었다.
e-CAPCOM 스토어에서 한정판으로 판매된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에는 우메하라, 도키도, 이요, 시로, 킨 데부, 모모치, 도키도키 누킹스, 이타바시 장기에프 등 일본의 8명의 최상위 플레이어가 참가한 두 개의 특별 토너먼트 영상이 담긴 DVD가 포함되었다. 4월 28일 엔터브레인에서 출판된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테크니컬 가이드에는 우메하라, 도키도, 킨 데부, 이요, 모모치, 이타바시 장기에프, 시로 등 일본의 7명의 최상위 플레이어가 새로운 캐릭터로 시범 경기를 펼치는 영상이 담긴 DVD가 포함되었다.
5월 9일, 우메하라는 NHK 일요일 밤 프로그램 "MAG-NET" 스트리트 파이터 특집에 출연했다. 5월 15일에는 니코니코 라이브에서 열린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온라인 대회에 출연하여 Xbox Live에서 참여한 온라인 플레이어들과 일본의 3명의 최상위 플레이어(우메하라, 마고, 도키도)가 대결할 기회를 가졌다. 그들은 오프라인 매치와 짧은 토크 세션도 진행했다.
5월 29일~30일, 우메하라는 처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에볼루션 아시아 태평양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그는 단 한 게임만 패배하며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그랜드 프라이즈로 그는 EVO 2010 라스베이거스 참가 비용을 지원받아 시드 선수로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6월 4일, 우메하라는 마이크로소프트 일본과 패미통 편집부가 주최한 제106회 Xbox Live 파크 온라인 행사에 참여했다. 두 시간 동안 진행된 이 행사에서 Xbox Live 골드 회원들은 우메하라와 채팅하고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온라인 대결을 펼칠 기회를 가졌다.
7월 4일 나고야 스트리트 배틀 15에서 2위를 차지한 후, 우메하라는 7월 9일~11일 EVO 2010에 참가하여 전 세계 1,7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토너먼트에 참여하는 등 이전보다 더 힘든 도전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메하라는 루저스 브래킷으로 한 번도 떨어지지 않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행사의 라이브 스트리밍은 두 채널(스티캠, 유스트림)에서 최고 48,000명의 시청자를 기록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5월 22일 예선에서 우승한 후, 우메하라의 팀은 9월 19일 `슈퍼 배틀 오페라 2010` 스트리트 파이터 IV 결승전에 참가하여 2위를 차지했다. 이 행사는 도쿄 게임 쇼 2010의 일부로 마쿠하리 멧세 국제 컨벤션 단지에서 열렸다.
우메하라는 10월 15일~17일 오하이오에서 두 번째 '시즌스 비팅스' 토너먼트, 11월 6일~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남부 캘리포니아 리저널스' 토너먼트, 11월 13일~14일 캐나다에서 '캐나다 컵', 11월 20일~21일 '북부 캘리포니아 리저널스'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그는 또한 11월 26일 쿠웨이트에서 열린 시범 행사에도 참석했다.
2012년 4월 2일, 우메하라는 자신의 첫 저서 『계속 이기는 의지력』(勝ち続ける意志力가치츠즈케루 이시료쿠일본어)을 출판했다. 이 책은 아마존 재팬 킨들 스토어에서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2013년 4월 13일, 우메하라는 뉴욕 대학교 게임 센터의 제4회 연례 스프링 파이터 행사에 세스 킬리안과 함께 특별 게스트로 참석했다. 이 행사에서 우메하라와 킬리안은 토크를 진행했으며, 우메하라는 스트리트 파이터 씬 안팎에서의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했다.
2013년 6월 6일, 우메하라는 토마쓰 이노베이션(Tohmatsu Innovation Co., Ltd.)이 주최한 비즈니스 임원 대상 세미나 시리즈의 첫 강연자로 나섰다.
2013년 8월 30일, 우메하라는 2013년 EVO 챔피언인 시엔(Xian)과 10선승 경기를 펼쳤다. 우메하라는 세계 챔피언 시엔을 10대0으로 완승했다. 몇 달 후, 비슷한 경기에서 우메하라는 인필트레이션(Infiltration)을 10대2로 꺾었다.
2013년 11월 24일, 우메하라는 DODA 취업 박람회에서 프로 게이머로서의 경험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2015년 '스턴페스트 2015' 결승전에서 우메하라는 모모치가 조작하는 켄을 상대로 자신의 이블 류를 사용하여 인상적인 25히트 콤보를 성공시켰다. 모모치는 당시 캡콤 프로 투어 2015 랭킹에 따르면 그 시즌 최고의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선수였다. 이 콤보는 관중을 열광시켰고, 프랑스어와 영어 해설자들에게도 극찬을 받았다. 캡콤은 이 콤보를 2015년 회고 영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순간' 중 하나로 선정했다. 캡콤은 한 기사에서 "관중들이 열광하고 스트림 채팅이 난리가 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고 썼으며, 당시 현장에 있던 한 프랑스 관객은 "우메하라의 이블 류 25히트 콤보는 관중과 상대를 놀라게 했다"고 말했다. 우메하라는 결국 모모치를 3대1로 꺾고 대회에서 우승했다.
우메하라는 2015년 9월호 일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잘하는 것보다 좋아하는 것을 추구한다"(得意なことより好きなことを追求する도쿠이나 코토 요리 스키나 코토 오 츠이큐스루일본어)는 제목의 서문을 기고했다.
2015년 12월, 우메하라는 캡콤 프로 투어 2015 파이널에서 얻은 상금 총 6.00 만 USD 전액을 뉴욕 대학교 티쉬 예술 대학 게임 센터의 게임 디자인 학과 학생들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EVO 장학금에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뉴욕 대학교 게임 센터는 2016년 1월 6일 6.00 만 USD의 기부를 확인했다.
2.3. 스트리트 파이터 V 시대 (2016-2019)
2016년 1월호 일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는 "감정을 제어하는 자가 게임을 제어한다"(感情を制するものはゲームを制す간조 오 세이스루 모노와 게임 오 세이스일본어)라는 제목의 우메하라와의 12페이지 인터뷰가 실렸다.
2016년 2월, 우메하라는 루페 피아스코 대 우메하라 다이고|미국 래퍼이자 음악 프로듀서인 루페 피아스코와의 `스트리트 파이터 V` 시범 경기에서 아깝게 패했다. 전 매드캣츠 임원 마크 훌리오가 주최한 이 행사는 75,000명 이상의 시청자에게 생중계되었다. 여러 평론가들은 우메하라의 타이밍이 좋지 않았고, 경기 중 중요한 전략적 기회를 활용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2016년 4월 26일, 우메하라는 오사카에서 미즈호 은행과 의학 교수 요시키 이시카와와 공동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2016년 5월, 우메하라는 WOWOW에서 방영된 스트리트 파이터 다큐멘터리 '격투 게임에 살다'(格闘ゲームに生きる가쿠토 게임 니 이키루일본어, 영어 제목: 리빙 더 게임)에 출연했다. 같은 달 말, 이 다큐멘터리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핫 독스 영화제'에서 "리빙 더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상영되었다.
2016년 6월 1일, 일본 출판사 쇼가쿠칸은 우메하라와 인기 일본 블로거 치키린의 대담집인 『고민할 곳과 도망갈 곳』(悩みどころと逃げどころ나야미도코로토 니게도코로일본어)을 출판했다. 2016년 7월, 우메하라의 첫 저서 『계속 이기는 의지력』의 공식 영어 번역판이 EVO 참가자들에게 한정 판매되었다。 이 책은 2016년 남은 기간 동안 전 세계 격투 게임 행사에서만 독점 판매되었다.
2016년 9월 14일, 우메하라는 기네스 세계 기록으로부터 두 가지 새로운 세계 기록을 인정받았다고 발표했다: "경쟁 격투 게임 경기 최다 시청 기록"(EVO 2004 저스틴 웡과의 유명한 경기)과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역대 최고 랭킹"이었다. 우메하라는 도쿄 게임 쇼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공식적으로 이 기록들을 인정받았다. 2016년 11월 30일, 우메하라는 게이밍 헤드셋 제조사 하이퍼엑스와의 새로운 스폰서십 계약을 발표했다. 2016년 12월 1일, 레드불과 감독 닉 맥도널드는 우메하라 다이고에 대한 11분짜리 다큐멘터리 "비스트의 정신"(Mind of a Beast영어)을 공개했다. 이 작품에서 우메하라는 프로 게이머로서의 삶의 압박감을 다루며, 신화적인 대중적 인물 "우메하라"와 결함 있는 인간 "우메하라 다이고" 사이의 구분을 강조했다.
2017년 1월 19일, 우메하라는 게이오 대학 마루노우치 캠퍼스에서 "매일 하나씩, 강해진다"(1日ひとつだけ、強くなる이치니치 히토츠 다케, 츠요쿠 나루일본어)는 제목으로 두 시간짜리 강연을 진행했다. 이 강연에서 우메하라는 프로 게이머로서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의 우여곡절을 이야기했다. 강연은 매진된 관중 앞에서 진행되었다.
2017년 3월 1일, 우메하라는 일본 게임 개발사 사이게임즈와 새로운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동료 프로 격투 게이머 대릴 "스네이크 아이즈" 루이스와 에두아르도 "PR 발로그" 페레즈도 포함되었다. 이 세 선수는 함께 "사이게임즈 비스트"(Cygames Beast영어)라는 별칭을 사용하며 새로운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를 착용하며 활동했다.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우메하라는 ELEAGUE 스트리트 파이터 인비테이셔널에 참가하여 가일만을 플레이했다. 스네이크 아이즈와 PR 발로그와 함께 B조에서 시작한 우메하라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최종 8위를 차지했다.
5월 27일~28일, 우메하라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레드불 쿠미테'(Red Bull Kumite영어)에 참가하여 최종 4위를 차지했다. 6월 27일, 우메하라는 레드불 프랑스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스트리트 파이팅의 예술"(The Art of Street Fighting영어)에 동료 프로 게이머 샤오 하이, 게이머비, 도키도, 루피와 함께 출연했다.
7월 14일~16일, 우메하라는 EVO 2017에 참가했다. 1라운드에서 무패로 통과했으나, 2라운드에서 하이타니에게 패배하여 루저스 브래킷으로 내려갔고, 준결승에서 오랜 라이벌 저스틴 웡에게 최종 탈락했다.
7월 14일, 우메하라는 의류 제조사 Nsurgo와 협력하여 "비스트"(Beast영어) 의류 브랜드를 런칭했다. 이 브랜드는 우메하라뿐만 아니라 사이게임즈의 스폰서를 받는 동료 게이머 스네이크 아이즈와 PR 발로그도 대표한다.
2018년 초, 우메하라는 오랜 라이벌 도키도와 '케모노미치 II'(獣道弐케모노미치 니일본어) 시범 경기에서 10선승 경기를 펼쳤다. 당시 EVO 챔피언이자 가장 압도적인 선수 중 한 명이었던 도키도는 긴 세트 경기에서 우메하라를 능가할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우메하라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덜하고 이벤트 주최에 더 집중했지만, 자신의 승리 가능성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다. 3월 10일, 두 선수는 매우 기대되었던 대결을 펼쳤고, 우메하라가 10대5로 승리하며 도키도는 패배에 눈에 띄게 실망했다.
7월 22일, 그는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VSFighting 프리미어 이벤트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11월, 우메하라는 다시 레드불 쿠미테 초청 토너먼트에 참석하여 프라블럼 X와 챔피언 후지무라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그 해 캡콤 컵 토너먼트에서 우메하라는 2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19년, 우메하라는 '파이널 라운드' 대회에서 33위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같은 달 말, '노스캐롤라이나 리저널스'에서 상위 8위에 들며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 주요 대회인 '더 믹스업'에서 우메하라는 결승전까지 진출하여 당시 캡콤 프로 투어를 지배하고 있던 빅터 우들리 일명 펑크와 대결했다. 마지막 라운드까지 가는 접전 끝에 펑크가 아깝게 승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메하라의 그해 성적은 CPT 랭킹에서 전체 4위에 오르기에 충분했다.
이후에도 우메하라는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9'에서 CPT 프리미어 토너먼트 5위/6위를 기록하며 성공을 이어갔고, 후지무라에게 탈락했다. 10월 27일, 우메하라는 '퍼스트 어택 2019' CPT 프리미어 토너먼트에서 7위/8위를 기록했으며, 조너선 "JB" 바티스타에게 탈락했다.
주요 토너먼트 우승은 없었지만, 그해 국제 CPT 이벤트에 꾸준히 출전한 우메하라는 2019년 캡콤 컵 결승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캡콤 컵에서는 토너먼트 2라운드에서 도키도에게 2대3으로 패배하며 17위-24위로 2019년 경쟁 스트리트 파이터 V 시즌을 마감했다.
12월, 우메하라는 나고야에서 열린 또 다른 '레드불 쿠미테'에 참가했다. 도키도, 프라블럼 X, 펑크 등 강호들이 즐비한 어려운 토너먼트 풀에서 우메하라는 본짱, 가치쿤, 하쿠와 함께 공동 13위에 그쳤다.
2.4. 최근 활동 (2020-현재)
2020년 4월 1일, DouYuJapan이 운영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밀덤과 스폰서십 계약을 맺고 팀명을 '팀 밀덤 비스트'(Team Mildom Beast영어)로 변경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2021년 5월 8일,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고, 이후 자택에서 요양 후 5월 22일 퇴원하며 회복되었다. 2024년에는 사이슌칸 솔 구마모토에 소속되어 'SFL'에 참가할 것을 발표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기술
우메하라 다이고의 독특한 게임 플레이 방식과 그를 상징하는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그의 주력 캐릭터는 주로 류, 켄, 가일 등 성능이 표준적이고 무적 대공기를 가진 캐릭터들이다.
3.1. 우메하라 그립 (Umehara Grip)

"우메하라 그립"(ウメハラ持ち우메하라 모치일본어)은 우메하라 특유의 조이스틱 레버 잡는 방식이다. 그는 레버의 축을 약지와 소지로 끼워 잡고, 레버의 볼을 왼쪽에서 덮듯이 잡고 플레이한다. 이 독특한 그립 방식은 격투 게임에서 커맨드 입력 시간과 입력 손실을 극단적으로 단축시킨다. 이 그립에 대해 질문받았을 때, 그는 "의식한 적이 없다. 어느새 보니 지금의 그립이었다", "하지만 그립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따라 바꿔 쓰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고 답했다.
3.2. 우메-파동 및 우메-승룡
우메하라는 파동권과 승룡권을 독특하게 사용하여 각각 "우메-파동"(ウメ波動우메하도일본어)과 "우메-승룡"(ウメ昇龍우메쇼류일본어)으로 불린다. 파동권은 보통 견제용으로 사용하지만, 상대가 점프로 피할 때만 쏘지 않는다. 승룡권은 근접전에서 상대방의 지상 기술을 예측하여 승룡권 발동 시의 짧은 무적 시간을 이용하여 상대 기술에 걸리도록 사용한다. 그의 정교함은 "소발동작 보고 바로 승룡 가능"이라는 소문이 퍼질 정도였다. 참고로 '소발동작'은 게임 내에서 가장 빠른 종류의 기술 중 하나로, 눈으로 보고 승룡권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메하라는 우메-파동에 대해 의식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오랜 경험에서 오는 감각이라고 언급했다.
3.3. 캐릭터 사용
그는 주로 류, 켄, 가일 등 성능이 표준적이고 무적 대공기를 가진 캐릭터를 선호하지만, 이외의 다른 캐릭터들도 능숙하게 사용한다. 특히 `뱀파이어 세이비어`에서는 모든 캐릭터로 100연승을 기록했다.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X`: 류, 가일, 장기에프, 바이슨, 사갓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류 (V-ISM), 고우키 (V-ISM)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켄 (슈퍼 아츠: 질풍신뢰각)
- `스트리트 파이터 IV 시리즈`: 류, 가일, 윤,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스트리트 파이터 V 시리즈`: 가일
- `뱀파이어 헌터`: 파이론
- `뱀파이어 세이비어`: 비샤몬
- `캡콤 대 SNK 밀레니엄 파이트 2000`: 캡콤 그루브 - 류, 가일
- `캡콤 대 SNK 2`: N 그루브 - 류 (쿄), 켄, 고우키 (이오리) (초기 전국대회); C 그루브 - 가일, 켄 (춘리), 사갓 (투극 출전 시); A 그루브 - 블랑카, 발록, 베가 (현재)
- `캡콤 파이팅 잼`: 율리안, 가일
- `길티 기어 X2`: 솔 배드가이
4. 주요 대회 성적
우메하라 다이고가 참가하여 기록한 연도별, 대회별, 게임별, 캐릭터별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게임 | 캐릭터 | 순위 | 탈락 상대 | 비고 |
---|---|---|---|---|---|---|
2022 | FAV CUP 2022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루크 | 1위 | 우승 vs 푸게라 | |
2022 | Evo 2022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5위 | 아이돔 (로라) : 2-3 | |
2021 | CPT 2021 Online Event: Japan 3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위 | 우승 vs 가와노 | |
2021 | CPT 21 Online Event: Japan 1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7-8위 | 이타바시 (장기에프) : 2-3 | |
2020 | CPT 2020 Online Asia East #1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위 | 우승 vs 후도 | |
2020 | Blink All Stars Japan Edition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위 | 우승 vs 류세이 (율리안) : 3-1 | |
2020 | Topanga Championship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4위 | 3/2 풀리그 | |
2018년 캡콤 프로 투어 시즌 우메하라의 공식 랭킹 : 10위 (12월 16일 기준) (1위 도키도 일본, 2위 후지무라 일본, 3위 프라블럼 X 영국) | ||||||
2018 | 캡콤 컵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25위 | NL (캐미) : 0-3 | |
레드불 쿠미테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3위 | 프라블럼 X (바이슨) : 1-3 | ||
캐나다 컵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3위 | 펑크 (카린) : 1-2 | ||
SEA Major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4위 | 도키도 (고우키) : 2-3 | ||
도쿄 게임 쇼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25위 | 베를로렌 (캐미) : 0-2 | ||
SoCal Regionals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25위 | 세르펜타우루스 (제쿠) : 0-2 | ||
홍콩 e스포츠 페스티벌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7위 | 안만 (율리안) : 1-2 | ||
TWFighter Major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3위 | 시엔 (이부키) : 0-2 | ||
Evo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13위 | CABA (가일) : 1-2 | ||
VSFighting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우승 vs 후지무라 (이부키) : 3-2 | |||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9위 | 베를로렌 (캐미) : 0-2 | ||
ELEAGUE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3위 | 스머그 (발록) : 2-3 | ||
Combo Breaker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33위 | 페놈 (네칼리) | ||
Stunfest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4위 | 후지무라 (이부키) : 0-3 | ||
NorCal Regionals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2위 | 도키도 (고우키) : 1-3 | ||
파이널 라운드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33위 | 후지무라 (이부키) | ||
에보 재팬 2018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3위 | 인필트레이션 (메낫) : 0-3 | ||
2017년 캡콤 프로 투어 시즌 우메하라의 공식 랭킹 : 17위 (1위 펑크 미국, 2위 도키도 일본, 3위 너클두 미국) | ||||||
2017 | 캡콤 컵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7위 | 모케 (라시드) : 1-3 | |
Topanga Charity Cup 7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5대5) | 가일 | 3위 | 마고 (카린) 등 : 3-5 | ||
캐나다 컵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25위 | LPN (바이슨) : 1-2 | ||
TWFighter Major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아케이드 에디션 | 가일 | 9위 | 키치파-무 (장기에프) : 0-2 | ||
홍콩 e스포츠 페스티벌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우승 vs 가치쿤 (라시드) : 3-0 | |||
Japan Cup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33위 | 네모 (율리안) : 1-2 | ||
Fight Club NRW 8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우승 vs 지에와 (고우키) : 3-2 | |||
Abuget Cup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우승 vs GO1 (춘리, 이부키) : 3-2 | |||
Evo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17위 | 저스틴 웡 (카린) : 1-2 | ||
Thaiger Uppercut (TGU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5위 | 도구라 (율리안) : 1-3 | ||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33위 | 모-조 (미카) : 1-2 | ||
레드불 쿠미테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4위 | 인펙시어스 (네칼리) : 1-3 | ||
ELEAGUE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7위 | 모모치 (켄) : 1-3 | ||
Battle Arena Melbourne 9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17위 | 마른 (이부키) : 1-2 | ||
드림핵 오스틴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13위 | 펑크 (카린) : 0-2 | ||
NorCal Regionals 2017 | 스트리트 파이터 V | 가일 | 17위 | 유카돈 (이부키) : 0-2 | ||
파이널 라운드 20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33위 | 펑크 (카린) : 0-2 | ||
Topanga League 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7위 (0승 6패, 게임 스코어 -14) | |||
2016년 캡콤 프로 투어 시즌 우메하라의 공식 랭킹 : 9위 (1위 인필트레이션 대한민국, 2위 도키도 일본, 3위 저스틴 웡 미국) | ||||||
2016 | 캡콤 컵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13위 | 후도 (미카) : 0-3 | |
Red Bull Battle Grounds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7위 | 바가본드 (네칼리) : 2-3 | ||
캐나다 컵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7위 | 페놈 (네칼리) : 0-3 | ||
캡콤 프로 투어 유럽 지역 파이널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우승 vs 페놈 (네칼리) : 3-1 | |||
EGX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4위 | 오누키 (춘리) : 2-3 | ||
Lockdown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우승 vs 라이언 하트 (켄) : 3-2 | |||
East Coast Throwdown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9위 | 레이레이 (춘리) : 1-2 | ||
OzHadou Nationals 14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우승 vs 게이머비 (네칼리) : 3-2 | |||
홍콩 e스포츠 페스티벌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우승 vs 에이타 (켄) : 3-1 | |||
Well Played Cup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2위 | 마고 (카린) : 2-3 | ||
Topanga Charity Cup 6 | 스트리트 파이터 V (5대5) | 류 | 9위 | GO1 (춘리) 등 : 0-5 | ||
Evo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33위 | 저스틴 웡 (카린) : 1-2 | ||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5위 | 도키도 (류) : 2-3 | ||
드림핵 서머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5위 | 하이타니 (네칼리) : 0-3 | ||
TWFighter Major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13위 | 도키도 (류) : 0-2 | ||
Tokyo Button Mashers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3위 | 네모 (베가) : 2-3 | ||
Stunfest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7위 | 하이타니 (네칼리) : 0-3 | ||
레드불 쿠미테 2016 | 스트리트 파이터 V | 류 | 9위 | 게이머비 (네칼리) : 0-2 | ||
2015년 캡콤 프로 투어 시즌 우메하라의 공식 랭킹 : 10위 (1위 모모치 일본, 2위 인필트레이션 대한민국, 3위 본짱 일본) | ||||||
2015 | 캡콤 컵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2위 | 카즈노코 (윤) : 2-3 | |
Topanga League 5A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3승 2패, 게임 스코어 +6) | |||
도쿄 게임 쇼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33위 | 후도 (페이 롱) : 0-2 | ||
Evo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9위 | 게이머비 (엘레나) : 1-2 | ||
Topanga Charity Cup 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5대5) | 이블 류 | 2위 | 조빈 (이블 류) 등 : 2-5 | ||
Ouka Ranbu Cup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 |||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17위 | 샤오 하이 (이블 류) : 1-2 | ||
SEA Major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5위 | 도키도 (고우키) : 0-3 | ||
Stunfest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류 | 우승 vs 모모치 (켄) : 3-1 | |||
Topanga World League 2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6승 2패, 게임 스코어 +13) | |||
NorCal Regionals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vs 게이머비 (아돈) : 3-0 | |||
레드불 쿠미테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5위 | 인필트레이션 (데카프레) : 0-2 | ||
Final Round 18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13위 | 카즈노코 (윤) : 0-2 | ||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파이터스 인비테이셔널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5위 | 도키도 (고우키) : 1-2 | ||
캐나다 컵 마스터즈 시리즈 2015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6승 1패, 게임 스코어 +14) | |||
2014년 캡콤 프로 투어 시즌 우메하라의 공식 랭킹 : 11위 (1위 루피 프랑스, 2위 본짱 일본, 3위 시엔 싱가포르) | ||||||
2014 | 캡콤 컵 201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9위 | PR 발로그 (발록) : 1-2 | |
Topanga League 4A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5승 0패, 게임 스코어 +22) | |||
캡콤 프로 투어 아시아 파이널 201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vs 시엔 (겐) : 7-2 | |||
Taito Arcade Nationals 201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9위 | 후리쿠리 2 (루퍼스) : 1-2 |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이블 류 | 2위 | 타레-조 (아돈) 등 : 0-3 | |||
캡콤 프로 투어 예선 타이완 201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우승 vs 게이머비 (아돈) : 3-0 | |||
Evo 201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 이블 류 | 49위 | 존 최 (류) : 0-2 | ||
Topanga Charity Cup 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5대5) | 이블 류 | 4위 | Gen@CT (아돈) 등 : 4-5 | ||
Topanga World League 2014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우승 (6승 1패, 게임 스코어 +21)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CR Edition 기념 이벤트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2위 | 도키도 (고우키) : 2-5 | ||
2013 | 드림핵 윈터 2013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우승 vs 게이머비 (아돈) : 3-1 | ||
Topanga League 3A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5위 (2승 3패, 게임 스코어 0) | |||
Evo 2013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7위 | 인필트레이션 (고우키) : 1-3 | ||
Topanga Charity Cup 3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5대5) | 류 | 2위 | 코이치 (사쿠라) 등 : 3-5 | ||
Topanga Asia League 2013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2위 (5승 2패, 게임 스코어 +5) | |||
2012 | Street Fighter 25th Anniversary Global Tournament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2위 | 인필트레이션 (고우키) : 0-3 | |
Street Fighter 25th Anniversary Official National Tournament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우승 vs 후도 (페이 롱) : 3-0 | |||
Topanga League 2A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2위 (3승 2패, 게임 스코어 +2) | |||
Evo 201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5위 | 샤오 하이 (캐미) : 0-2 | ||
커뮤니티 에포트 올랜도 201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 7위 | 리키 오티즈 (루퍼스) : 1-2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3대3) | 류 | 3위 | 콤보피엔드 (오니) 등 : 2-3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류 | 우승 vs 제임스 첸 (캐미) | ||||
SEA Major 201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 류, 가일, 윤 | 2위 | 시엔 (겐) : 5-7 | ||
Topanga Charity Cup 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v2012 (5대5) | 류 | 4위 | 톤피 (바이퍼) 등 : 4-5 | ||
LG Cup 2012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 류 | 2위 | 풍꼬 (세스) : 0-3 | ||
2011 | Nagoya Street Battle X MadCatz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3대3) | 우메하라 | 우승 | ||
Nagoya Street Battle 30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3대3) | 윤 | 우승 vs 피요피아 (사갓) 등 : 3-0 | |||
투극 2011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2대2) | 윤 | 3위 | 네모 (양) 등 : 0-2 | ||
GodsGarden #4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 윤 | 9위 | |||
Evo 2011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 윤 | 4위 | 라티프 (바이퍼) : 1-2 | ||
NorCal Regionals 9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 윤 | 우승 vs 인필트레이션 (고우키) : 3-1 | |||
ReveLAtions 2011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 윤 | 우승 vs 마고 (페이 롱) : 3-1 | |||
Topanga Charity Cup 1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 (5대5) | 윤 | 우승 vs 요시오 (가일) 등 : 5-4 | |||
2010 | NorCal Regionals 8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4위 | 리키 오티즈 (루퍼스) : 0-2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류 | 우승 vs 알렉스 발레 (류) 등 : 3-2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 | 가일, 류 | 우승 vs 알렉스 발레 (사갓, 류) : 3-0 | ||||
캐나다 컵 2010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가일, 류 | 우승 vs 마고 (발록, 페이 롱) : 3-0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가일 | 3위 | 킬라캠 (캐미) 등 : 2-3 | |||
SoCal Regionals 2010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2위 | 필리피노 챔프 (달심) : 2-3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 | 가일, 사갓 | 우승 vs 알렉스 발레 (류) : 3-0 | ||||
Season's Beatings V Redemption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25위 | 마른 (더들리) : 1-2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류, 발록, 바이슨 | 우승 vs 로이 비셀 (O.사갓) : 5-1 | ||||
Nagoya Street Battle 17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류 / 가일 | 우승 vs 우리요 (바이퍼) 등 : 3-0 | |||
투극 2010 |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류 | 2위 | 킨데부 (루퍼스) 등 | ||
Super VS Battle 20-X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캐미 | 3위 | 라이언 하트 (류) : 0-2 | ||
Evo 2010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우승 vs 리키 오티즈 (루퍼스) : 3-1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 | 류, 발록 | 3위 | 스네이크 아이즈 (장기에프) : 1-2 | |||
나고야 Street Battle 15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류 | 2위 | 조조 (바이슨) 등 : 2-3 | ||
Evo Asia-Pacific 2010 (APAC)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우승 vs 휴먼밤 (춘리, 류) : 2-0 | |||
World Game Cup 2010 |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2위 | 후도 (고우키) : 2-3 | ||
스트리트 파이터 IV (2대2) | 류 | 우승 vs 야마자키93 (류) 등 | ||||
2009 | Season's Beatings IV |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우승 vs 저스틴 웡 (페이 롱) : 4-1 | ||
스트리트 파이터 IV (3대3) | 류 | 3위 | 산스랙스 (캐미) 등 |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켄 | 4위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HD 리믹스 | 류 | 우승 vs DGV (류) | ||||
GODSGARDEN #1 |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3위 | 마고 (사갓) : 0-2 | ||
Evo 2009 | 스트리트 파이터 IV | 류 | 우승 vs 저스틴 웡 (발록) : 3-2 | |||
2007 | 2nd Darkstalker Combination Cup | 뱀파이어 헌터 | 파이론 | 우승 | ||
X-Mania 7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3대3) | 류 | 2위 | |||
2006 | Evo 2006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켄 | <7위 | 알렉스 발레 (켄) : 1-2 | |
하이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 ST-류 | 5위 | 알렉스 발레 (CE-사갓) : 0-2 | |||
캡콤 대 SNK 2 | A-블랑카 / 베가 / 바이슨 | 5위 | ||||
길티 기어 XX 슬래시 (3대3) | 솔 배드가이 | 2위 | 루 (브리짓) 등 | |||
2005 | 투극 2005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2대2) | 켄 | 우승 vs KO (윤) 등 | ||
캡콤 파이팅 잼 (2대2) | 율리안 / 가일 | 2위 | ||||
4th Cooperation Cup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5대5) | 켄 | 우승 vs 히토츠메 (켄) 등 | |||
2004 | Absolution 2004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켄 | 우승 vs 이즈 (마코토)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류, 발록, O.사갓, 장기에프 | 우승 vs 조셉 자자 (O.사갓) |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X/A/V-류 | 3위 | 키요 (A-가이) : 1-2 | |||
캡콤 대 SNK 2 | C-켄 / 사갓 / 가일 | 5위 | ||||
길티 기어 XX 리로드 | 솔 배드가이 | 우승 vs RF (파우스트) | ||||
Evo 2004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켄 | 2위 | vs KO (윤) : 2-3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O.사갓, 류, 발록 | 우승 vs 존 최 (O.사갓, 가일) | ||||
길티 기어 XX | 솔 배드가이 | 우승 vs 킨데부 (에디) | ||||
Kakutou Ishin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2위 |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2위 | |||||
2003 | Evo 2003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스트라이크 | 켄 | 2위 | KO (윤) |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 류 | 우승 vs 누키 (춘리) | ||||
캡콤 대 SNK 2 | C-가일 / 캐미 / 사갓 | 2위 | 이노 (K-블랑카 / 캐미 / 사갓) | |||
길티 기어 XX | 솔 배드가이 | 우승 vs 미우 (솔 배드가이) | ||||
투극 2003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3대3) | 류 | 우승 vs KKY (달심) 등 | |||
길티 기어 XX (3대3) | 솔 배드가이 | 3위 | ||||
캡콤 대 SNK 2 | C-가일 / 춘리 / 사갓 | 2위 | 도키도 (A-사쿠라 / 바이슨 / 블랑카) | |||
2000 | 3rd Official National Tournament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우승 | |||
캡콤 대 SNK | 우승 | |||||
X-Mania 2000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I 터보 (3대3) | 우메하라 | 3위 | |||
1999 | 2nd Official National Tournament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3대3) | V-류 | 2위 | ||
1998 | 1st Official National Tournament |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 V-고우키 | 우승 국제 챔피언 | ||
1997 | GAMEST Cup 1997 | 뱀파이어 세이비어 | 비샤몬 | 우승 | ||
1995 | GAMEST Cup 1995 | 뱀파이어 헌터 | 파이론 | 9위 |
5. 저서 및 미디어 출연
우메하라 다이고는 자신의 경험과 철학을 담은 저술 활동과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활약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5.1. 저서 및 글
그는 격투 게임에 대한 통찰과 삶의 철학을 담은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
- 『계속 이기는 의지력: 세계 제일 프로 게이머의 '일하는 방식' 』(勝ち続ける意志力: 世界一プロ・ゲーマーの「仕事術」가치츠즈케루 이시료쿠: 세카이이치 프로 게마 노 시고토쥬츠일본어) (쇼가쿠칸101신서, 2012년 4월 2일 / 영어판: 2016년 7월 16일)
- 『우메하라 칼럼 주먹의 권: 투신이 그대에게 전수하는 대전 격투 게임 기술』(ウメハラコラム 拳の巻 -闘神がキミに授ける対戦格闘ゲーム術우메하라 코라무 코부시 노 칸 - 토신 가 키미 니 사즈케루 타이센 카쿠토 게임쥬츠일본어) (엔터브레인, 2013년 2월 25일)
- 『우메하라 To live is to game』 (감수/작화: 니시데 켄고로, 원작: 오리카사 사이타루, PHP 연구소, 2013년 9월 12일)
- 『승부론 우메하라의 방식』(勝負論 ウメハラの流儀쇼부론 우메하라 노 류기일본어) (쇼가쿠칸 신서, 2013년 10월 1일)
- 『매일 하나씩, 강해진다. 세계 제일 프로 게이머의 계속 이기는 64가지 방식』(1日ひとつだけ、強くなる。 世界一プロ・ゲーマーの勝ち続ける64の流儀이치니치 히토츠 다케, 츠요쿠 나루. 세카이이치 프로 게마 노 카치츠즈케루 로쿠쥬욘 노 류기일본어) (KADOKAWA, 2015년 7월 10일)
- 『우메하라 FIGHTING GAMERS!』 (총 9권, 감수, 슈칸 조지아, KADOKAWA)
- (치키린과 공저) 『고민할 곳과 도망갈 곳』(悩みどころと逃げどころ나야미도코로토 니게도코로일본어) (쇼가쿠칸 신서, 2016년 6월 1일)
- (기고) 『어른이 되는 노비타들에게: 인생을 바꾸는 '도라에몽' 셀렉션』(おとなになるのび太たちへ: 人生を変える「ドラえもん」セレクション오토나 니 나루 노비타타치 에: 진세이 오 카에루 도라에몽 세레쿠숀일본어) (쇼가쿠칸, 2020년 9월 3일)
5.2. 만화
"우메하라 FIGHTING GAMERS!"는 우메하라의 젊은 시절 스트리트 파이터 아케이드 씬에서의 삶을 극화한 만화 시리즈로, 일본 격투 게임 커뮤니티의 여러 유명 플레이어들을 등장시킨다. 이 시리즈는 출판사인 카도카와 쇼텐의 대표작으로 여겨지며,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청년 만화 잡지 '영 에이스 UP'(Young Ace UP영어)에 연재될 계획이 확정되었다. 시리즈는 니시데 켄고로가 그림을 맡고, 오리카사 사이타루와 토모이 마키가 글을 썼으며, 우메하라가 편집 감독으로 참여했다.
권수 | 일본어판 출시일 | ISBN |
---|---|---|
1 | 2014년 12월 26일 | 978-4041020296 |
2 | 2015년 6월 26일 | 978-4041031285 |
3 | 2015년 11월 26일 | 978-4041031292 |
4 | 2016년 4월 26일 | 978-4041042847 |
5 | 2016년 9월 26일 | 978-4041042854 |
6 | 2017년 1월 25일 | 978-4041050491 |
2017년 7월 14일, 우메하라의 만화 시리즈 『다이고 더 비스트: 우메하라 파이팅 게이머즈』(Daigo the Beast: Umehara Fighting Gamers영어)의 영어 번역판 1권이 출시되었다. 이 권은 일본어 시리즈의 1권과 2권을 묶은 것으로, 우동 엔터테인먼트(Udon Entertainment영어)에서 출판 및 번역을 맡았으며 EVO 참가자들을 위한 선행 독점 발매 후 2017년 12월에 더 폭넓게 출시될 예정이다.
5.3. 다큐멘터리 및 미디어 특집
우메하라는 TV, 라디오, 웹 등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 출연하여 자신의 삶과 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전파했다.
- 텔레비전 및 라디오
- `게이머즈 고시엔` (몬도 TV)
- `MAG・넷` 『스트리트 파이터』 (NHK 위성 제2텔레비전, 2010년 5월 9일)
- `메자마시 도요비` "OH! 재팬다풀" (후지 TV, 2014년 2월 1일)
- `슷핀!` (NHK 라디오 제1방송, 2014년 4월 28일)
- `오타케 마코토 골든 라디오!` "오타케 메인디쉬" (분카 방송, 2014년 8월 12일)
- `미래 시어터` (니혼 TV, 2014년 8월 29일)
- `야마다 고로와 나카가와 쇼코의 '리믹스 Z'` (도쿄 에프엠, 2016년 2월 3일)
- `깨달음의 문` (TV 아사히, 2017년 11월 17일)
- `사무라이 게이머 ~상금 5억 엔 세계에 도전하는 젊은이들~` (NHK BS1, 2017년 12월 9일)
- `프로페셔널 직업의 본질` (NHK, 2018년 3월 19일)
- `YUBIWAZA` (마이니치 방송, 2020년 4월 2일, 4월 9일)
- 영화
- 『리빙 더 게임』(Living the Game영어) (도쿄 비디오 센터, 2018년 3월 3일, 일본-타이완 합작 2016년 제작, 중국어 명: 『我在快打求旋風』) - 우메하라 다이고, 모모치 유스케, 타이완의 샹 유린, 프랑스의 루피, 미국의 저스틴 웡 등 프로 게이머들을 밀착 취재한 다큐멘터리 작품으로, 우메하라 다이고에 대한 인터뷰에 많은 시간이 할애되었다.
- 웹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온라인 대전회 (니코니코 동화, 2010년 5월 15일)
- 컵누들 "우메하라가아!"(ウメハラがぁっ우메하라가아!일본어) / 우메하라 다이고 (웹 CM, 2025년 2월 17일)
5.4. 강연 및 대중 연설
우메하라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중 강연 및 연설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 하루에 하나씩 강해진다 (게이오 마루노우치 시티 캠퍼스 강연) (유튜브·트위치, 2017년 1월 19일)
- 나의 인생을 살다 - "그저 게임일 뿐"이라고 해도 - (NHK 문화센터 강연) (비스트 TV·트위치, 2018년 2월 4일)
6. 유산 및 영향
우메하라 다이고는 격투 게임 및 e스포츠 커뮤니티에 지대한 유산을 남겼으며, 그의 활동은 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6.1. 기록 및 수상
그는 여러 공인된 업적과 인정을 받은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다.
- 기네스 세계 기록
- "스트리트 파이터 주요 대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 (2010년 8월)
- "경쟁 격투 게임 경기 최다 시청 기록" (2016년 9월, EVO 2004 저스틴 웡과의 경기로 5,385,142회 재생 기록)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역대 최고 랭킹" (2016년 9월)
- e스포츠 공로상 (2025년 1월 15일, 일본 e스포츠 어워드 2024에서 수상)
6.2. e스포츠에 대한 기여
우메하라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격투 게임의 대중화를 주장하며, 게임이 일반적인 취미나 스포츠로 인식될 때까지 프로게이머 활동을 지속하고 싶다고 말해왔다. 그는 뉴욕 대학교에 상금 약 700.00 만 KRW을 기부하고, 자신의 방송 수익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등 활발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다음 세대 육성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 비스트 컵 (Beast Cup)
우메하라가 직접 주최하는 스트리트 파이터 대회로, 참가자 1만 명 규모의 대회 개최를 목표로 시작되었다.
대회명 | 개최일 |
---|---|
Beast Cup-Beginner- | 2020년 11월 22일 |
Beast Cup-Gekokujo- | 2021년 2월 14일 |
Beast Cup-18U- | 2021년 3월 20일 |
Beast Cup -Gekokujo2- | 2021년 9월 1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