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교육
오재원은 1985년 2월 9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울학동초등학교, 경원중학교, 야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에 2003학번으로 입학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야탑고등학교 재학 시절인 2003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의 지명을 받았으나, 곧바로 프로에 입단하지 않고 경희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 졸업 후인 2007년에 두산 베어스에 합류하며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2. 프로 야구 경력
오재원은 2007년부터 2022년까지 총 16시즌 동안 KBO 리그 두산 베어스에서 활약하며 팀의 핵심 내야수이자 주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경력은 초기 대주자 및 교체 선수 시절부터 시작해 팀의 주전 2루수로 성장하고, 이후 베테랑 선수로서 팀을 이끌다가 은퇴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2.1. 두산 베어스 (2007-2022)
오재원은 두산 베어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뛰었다. 그는 주로 2루수로 활약했지만, 1루수와 3루수를 오가는 등 유틸리티 내야수로서의 능력도 보여주었다.
2.1.1. 초기 경력 및 성장 (2007-2009)

오재원은 2007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에는 49경기에 출전하며 주로 대주자나 교체 선수로 기용되었다. 2008년에는 117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에는 아직 주전 자리를 확고히 잡지는 못했지만, 경기에 꾸준히 출전하며 경험을 쌓았다. 2009년에도 106경기에 출전하며 점차 팀 내에서의 존재감을 높여갔다.
2.1.2. 핵심 선수 및 도루왕 등극 (2010-2014)
2010년 시즌, 오재원은 최준석과 함께 1루수로 자주 기용되었고, 부진했던 고영민을 밀어내고 2루수 주전 자리를 꿰찼다. 시즌 초 2루 수비가 불안한 면모를 보였으나 점차 안정적인 수비를 선보였다. 특히 포스트시즌에서는 어려운 타구를 잡아내 아웃시키는 등 뛰어난 수비력을 여러 차례 과시했다. 당시 3루수였던 이원석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김동주가 지명타자로 출전하면서, 오재원은 3루 수비까지 소화하며 유틸리티 내야수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 이 해 123경기에 출전하여 2할대 타율과 35개의 도루를 기록하며 2번 타자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2011년 4월 2일 개막전에 1루수로 선발 출전하며 데뷔 이래 처음으로 개막전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같은 해 4월 5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김성태를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이 시즌에는 총 6개의 홈런을 쳐냈으며, 46개의 도루를 성공시켜 도루왕 타이틀을 차지하며 리그 정상급 리드오프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2012년에도 2년 연속으로 1루수 개막전 선발 출전했으나, 4월 13일까지 무안타로 침묵하며 부진을 겪었다. 다음 날인 4월 14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수비 도중 강민호와 다리가 부딪히는 부상으로 윤석민과 교체되었고, 다음 날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5월 말에 엔트리에 복귀했지만 또다시 부상이 겹치며 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는 등 부상으로 인해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 시즌에는 77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2013년에는 3년 연속으로 개막전 선발 출전하여, 삼성 라이온즈의 배영수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쳐내며 시즌 첫 홈런과 첫 타점을 기록했다. 이 만루 홈런은 오재원에게 동기 부여가 되었고, 이후 만루 상황에서 강한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준플레이오프 5차전에서는 이정훈을 상대로 3점 홈런을 기록하며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2014년 시즌 초부터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홈런을 기록하는 등 맹타를 휘둘렀다. 5월 23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는 한국 프로 야구 역사상 16번째로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같은 해 9월에 개최된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한국 대표팀에 선발되어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를 통해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이 시즌 오재원은 110경기에 출전하여 0.318의 타율, 세 자릿수 안타, 5홈런, 40타점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2.1.3. 주장 활동 및 말년 경력 (2015-2022)
2015년 시즌을 앞두고 오재원은 두산 베어스의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7월 26일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재크 스튜어트를 상대로 홈런을 쳐내며 데뷔 이래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11개)을 기록했다. 시즌 후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어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는 일본 투수에게 막혀있던 타선에 허경민의 대타로 출전하여 노리모토 다카히로로부터 반격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좌전 안타를 쳐냈다. 이 시즌을 마치고 FA 자격을 얻었으며, 두산 베어스와 총액 38.00 억 KRW에 4년 계약을 체결하며 팀에 잔류했다.
2016년 시즌에는 12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72, 5홈런, 58타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시즌 개막 전 3월에 개최된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야구 한국 대표팀에 선발되어 출전했다. 이 시즌에는 12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37을 기록했다. 2018년까지 2루수 주전으로 꾸준히 출장했으나, 팀 내 젊은 선수들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시기였다. 이 시즌에는 13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13, 15홈런, 81타점으로 또 한 번의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2019년 시즌에는 다시 주장 역할을 맡았으나, 타율이 0.164로 크게 떨어지며 데뷔 이래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98경기에 출전하여 29안타(3홈런), 18타점에 그쳤고, 7년 만에 규정 타석에 도달하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 두 번째 FA 자격을 얻었으며, 두산 베어스와 총액 19.00 억 KRW에 3년 계약을 재체결하며 팀에 남았다. 2020년에도 두산의 주장을 맡았다.
2020년 7월 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한현희를 상대로 2회 초 3점 적시타 2루타를 쳐냈다. 이로써 KBO 리그 역사상 96번째로 통산 500타점을 달성했다. 그러나 이후 극심한 타격 부진에 빠졌고, 8월에는 그 책임을 지고 주장직을 내려놓았다. 오재일이 임시 주장 역할을 이어받았다. 이 시즌에는 8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32, 5홈런, 27타점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4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167, 2022년에는 1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172를 기록하는 등 선수 생활 마지막 2년 동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2022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10월 8일 잠실 야구장에서 은퇴 경기를 갖고 팬들의 환송 속에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특징
오재원은 매우 강한 승부욕과 풍부한 감정 표현으로 유명한 선수였다. 그라운드 위에서 때로는 거친 플레이나 과도한 제스처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오재원의 플레이 스타일은 상대 팀의 사기를 꺾기 위한 의도가 엿보이는 과감한 행동이 특징이었다. 예를 들어, 타석에서 파울이나 단타를 쳤음에도 마치 홈런을 친 것처럼 과장되게 배트 플립을 하는 경우가 잦았고, 이는 때때로 상대 팀을 자극하기도 했다.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준결승전에서는 9회 초 2사 만루 상황에서 센터 플라이를 친 뒤에도 배트 플립을 선보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오재원은 '페어 플레이 정신'이나 '스포츠맨십'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는 위험한 플레이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 2013년 5월 23일 경기에서는 1사 1, 3루 상황에서 2루 도루를 시도한 후 2루수가 공을 놓치자 공을 멀리 굴려 3루 주자 이종욱의 득점을 유도하려 했다.
- 2014년 8월 7일 경기에서는 느린 땅볼 타구를 처리할 때, 충분히 아웃시킬 수 있는 타이밍임에도 불구하고 주자 문우람에게 일부러 달려들어 수비 방해를 유도하려 했다.
- 그 다음 날인 8월 8일에는 병살타를 피하기 위해 2루수의 발목을 노리는 고의적인 슬라이딩을 감행하여 비판을 받았다.
- 2015년 6월 7일에는 부러진 방망이의 끝이 뾰족한 상태로 1루로 전력 질주하며 상대 수비진을 위협하는 행동으로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이 모든 논란이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플레이들은 오재원의 강렬한 승부욕을 보여주는 동시에, 팬들과 타 팀으로부터 비신사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만들었다.
4. 논란 및 사건
오재원은 프로 선수 생활 중 및 은퇴 후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러한 논란들은 그의 플레이 스타일과 개인적인 행동 모두에서 비롯되었다.
4.1. 경기 중 논란
오재원은 경기 중 과도한 감정 표현이나 행동으로 인해 수차례 벤치 클리어링을 유발하거나 비판을 받았다.
- 2011년 시즌, LG 트윈스의 유원상이 던진 공이 자신의 머리 근처를 지나 방망이에 맞자 욕설을 하며 유원상에게 달려들었고, 당시 LG의 1루수였던 이택근이 그를 밀치며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 2013년에는 SK 와이번스의 윤희상과도 말싸움으로 벤치 클리어링이 벌어졌다.
- 2015년 LG 트윈스의 우규민이 위협구를 던지자, 오재원은 1루 베이스로 걸어가는 듯하다가 우규민이 "안 맞았잖아"라고 말하자마자 달려들어 벤치 클리어링을 일으켰다.
- 2015년 NC 다이노스의 투수였던 에릭 해커가 베이스 커버로 오재원을 아웃시키고 "Get in the box"(타석으로 들어가라는 의미)라고 말하자, 오재원은 이를 욕설로 오해하여 말싸움으로 번졌고 또다시 벤치 클리어링이 발생했다.
- 2015년 준플레이오프에서도 넥센 히어로즈의 서건창과 말싸움을 벌여 벤치 클리어링을 일으키는 등 팬들의 많은 비난을 받았다.
4.2. 은퇴 후 논란
오재원은 은퇴 후에도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2023년에는 박찬호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그는 박찬호를 "너무 싫어한다"고 언급했으며, 이 발언으로 인해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던 SPOTV에서 약 한 달간 중계에서 배제되었다.
- 2024년 3월 19일, 오재원은 마약류관리법 위반 등 혐의로 서울강남경찰서에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언론을 통해 크게 보도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후 마약 투여 혐의를 인정했으며, 5월 1일 검찰에 송치되었다.
5. 수상 및 업적
오재원은 선수 생활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개인 타이틀과 국제 대회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개인 타이틀**
- 최다 도루: 1회 (2011년)
- 사이클링 히트: 1회 (2014년 5월 23일, 한화 이글스전)
- 국가대표팀 경력**
-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한국 대표팀 (금메달 획득 및 병역 특례)
-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야구 한국 대표팀 (금메달 획득)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야구 한국 대표팀
6. 별명
오재원은 그의 특징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경기 중 행동으로 인해 팬들 사이에서 다양한 별명으로 불렸다.
- 오식빵, 식빵맨: 타석에서 욕설을 하거나 거친 표현을 하는 장면이 카메라에 자주 잡히면서 '식빵'이라는 비속어가 연상된다 하여 붙여진 별명이다.
- 우리혐: '우리 편일 때는 혐오스럽지 않다'의 줄임말이다. 평소 강한 승부욕과 과격한 행동으로 다른 팀 팬들에게는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지만, 국제 경기에서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같은 편이 되었을 때는 든든하고 좋은 선수로 느껴진다 하여 붙여졌다. 축구 선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별명인 '우리형'과 유사하게 불리기도 했다.
- 오열사: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결승전에서 중요한 순간에 과감한 배트 플립을 보여준 후, 그의 열정적인 플레이를 높이 평가하며 붙여진 별명이다. '열사'는 '의로운 일에 자기 몸을 바친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의 투지를 상징한다.
- 오재1: 같은 팀에 동명이인이자 친한 선배인 오재일과 함께 불렸던 별명이다. 오재원 본인은 '오재1', 오재일은 '오재2'로 불리며 구분되었다.
7. 사생활 및 기타 활동
오재원은 선수 생활 중인 2010년대에 서울의 유명한 번화가인 압구정에서 'TRYST트리스트영어'라는 이름의 카페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 카페에는 여러 연예인들이 방문하기도 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그의 결혼 여부나 다른 가족 관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오재원은 2022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 야구 선수에서 은퇴한 후, 2023년부터 SPOTV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야구계와 인연을 이어갔다.
8. 경력 통계
오재원의 KBO 리그 정규 시즌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7 | 두산 | 0.259 | 49 | 58 | 10 | 15 | 4 | 0 | 0 | 19 | 5 | 3 | 2 | 4 | 1 | 17 | 1 | 1 |
2008 | 0.248 | 117 | 282 | 45 | 70 | 10 | 3 | 0 | 86 | 28 | 28 | 7 | 17 | 7 | 62 | 3 | 9 | |
2009 | 0.230 | 106 | 209 | 36 | 48 | 3 | 0 | 0 | 51 | 12 | 12 | 3 | 20 | 6 | 44 | 5 | 2 | |
2010 | 0.276 | 123 | 384 | 59 | 106 | 17 | 3 | 0 | 129 | 37 | 35 | 10 | 29 | 4 | 76 | 5 | 14 | |
2011 | 0.277 | 129 | 466 | 73 | 129 | 18 | 4 | 6 | 173 | 46 | 46 | 7 | 39 | 9 | 62 | 6 | 11 | |
2012 | 0.282 | 77 | 188 | 29 | 53 | 7 | 3 | 0 | 66 | 17 | 14 | 2 | 17 | 0 | 43 | 4 | 2 | |
2013 | 0.260 | 113 | 308 | 54 | 80 | 14 | 7 | 7 | 129 | 44 | 33 | 11 | 49 | 6 | 62 | 6 | 7 | |
2014 | 0.318 | 110 | 359 | 60 | 114 | 21 | 6 | 5 | 162 | 40 | 33 | 7 | 50 | 2 | 61 | 7 | 7 | |
2015 | 0.280 | 120 | 411 | 60 | 115 | 20 | 2 | 11 | 172 | 59 | 31 | 8 | 47 | 4 | 94 | 9 | 8 | |
2016 | 0.272 | 122 | 416 | 68 | 113 | 18 | 1 | 5 | 148 | 58 | 13 | 10 | 54 | 5 | 82 | 10 | 16 | |
2017 | 0.237 | 127 | 334 | 43 | 79 | 16 | 1 | 7 | 118 | 40 | 7 | 7 | 47 | 2 | 85 | 5 | 6 | |
2018 | 0.313 | 132 | 473 | 78 | 148 | 24 | 1 | 15 | 219 | 81 | 15 | 6 | 41 | 2 | 119 | 13 | 17 | |
2019 | 0.164 | 98 | 177 | 30 | 29 | 8 | 1 | 3 | 48 | 18 | 6 | 2 | 25 | 0 | 50 | 3 | 7 | |
2020 | 0.232 | 85 | 155 | 25 | 36 | 7 | 1 | 5 | 60 | 27 | 10 | 5 | 16 | 0 | 49 | 3 | 5 | |
2021 | 0.167 | 45 | 72 | 6 | 12 | 3 | 0 | 0 | 15 | 5 | 2 | 0 | 6 | 0 | 18 | 3 | 2 | |
2022 | 0.172 | 18 | 31 | 2 | 5 | 2 | 0 | 0 | 7 | 4 | 1 | 2 | 1 | 0 | 9 | 1 | 0 | |
통산 | 16시즌 | 0.267 | 1571 | 4321 | 678 | 1152 | 192 | 33 | 64 | 1602 | 521 | 289 | 89 | 462 | 48 | 933 | 84 | 114 |
9. 등번호
오재원은 프로 선수 생활 동안 다음과 같은 등번호를 사용했다.
- 48 (2007년)
- 7 (2008년 ~ 2009년)
- 53 (2010년 ~ 2012년)
- 97 (2013년)
- 17 (2014년 ~ 2015년)
- 24 (2016년 ~ 2022년)
10. 외부 링크
- [http://eng.koreabaseball.com/Teams/PlayerInfoHitter/Summary.aspx?pcode=77248 KBO 리그 기록 및 정보]
- [http://www.statiz.co.kr/player.php?name=%EC%98%A4%EC%9E%AC%EC%9B%90&selitem=-1 스탯티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