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오재일은 1986년 10월 29일 경기도 구리시에서 태어났다.
1.1. 유년기 및 교육
오재일은 인창초등학교, 인창중학교, 야탑고등학교를 졸업하며 학창 시절을 보냈다. 그는 구리 리틀 야구단에서 야구를 시작했다.
2. 프로 야구 경력
오재일은 KBO 리그의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꾸준히 성장해 온 베테랑 내야수이다. 그의 프로 경력은 2005년 현대 유니콘스에서 시작하여, 넥센 히어로즈와 두산 베어스를 거쳐 삼성 라이온즈, 그리고 현재의 kt wiz에 이르렀다.
2.1. 현대 유니콘스 시절
오재일은 2005년 현대 유니콘스의 2차 3순위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했다. 같은 해 5월 15일 1군에 데뷔했으며, 그의 첫 타석 상대는 당시 삼성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오승환이었고, 결과는 삼진이었다. 그는 이 데뷔전을 치른 후 대부분의 시간을 2군에 머물렀다.
2.2. 상무 야구단 시절
2006년 시즌을 마친 후, 오재일은 군 복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 그가 군 복무를 하는 동안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는 해체되었고, 그는 제대 후 신생팀인 넥센 히어로즈에 인계되어 복귀하게 되었다.
2.3.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09년 상무 야구단에서 복귀한 오재일은 넥센 히어로즈(당시 우리 히어로즈 포함)에서 이숭용, 조중근, 장영석 등과 번갈아 가며 1루수를 맡았다. 그는 목동 야구장에서 장외 홈런을 기록할 만큼 뛰어난 파워와 클러치 능력을 가졌지만, 충분한 기량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11년 시즌 중 이숭용이 은퇴를 선언하면서 주전 1루수 자리를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같은 해 7월 31일 LG 트윈스에서 박병호가 트레이드되어 영입되면서 그의 입지는 다시 지명타자로 밀려났다. 2할 초반에서 1할 후반대를 오가는 타율로 부진을 겪으며 6월 말 1군에서 제외되었고, 당시 최준석의 병역 문제가 불거지자 두산 베어스 감독이었던 김진욱의 요청으로 외야수 이성열과 1대1 트레이드되어 두산 베어스로 이적했다.
2.4. 두산 베어스 시절
2012년 7월 9일, 트레이드 다음 날 오재일은 곧바로 1군에 등록되어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지명 타자로 선발 출장했다. 이 경기에서 안타를 기록하지는 못했지만, 이적 후 첫 타석에서 희생 플라이로 타점을 올렸다. 7월 한 달간 부진에 빠지자 김진욱 감독은 그에게 자신감과 타격 밸런스를 찾도록 권유하며 2군으로 내렸다. 보름 뒤 1군에 복귀한 그는 8월 2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브랜던 나이트를 상대로 이적 후 첫 홈런을 기록했다. 이후 그는 친정팀인 넥센 히어로즈에 특히 강한 면모를 보였다.
두산 베어스는 오재일을 팀의 미래 거포로 낙점했고, 2013년 초반 2군에 머물렀지만 1군 엔트리에 복귀하며 장타력은 다소 떨어졌으나 팀에 기여하는 타격을 선보였다. 이 시즌에 1군 55경기에 출전하여 2할대의 타율을 기록했다. 2012년 시즌 후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 출전했으며, 2013년에도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한국시리즈에 출전했다. 2013년 10월 20일 플레이오프 4차전에서 봉중근을 상대로 쐐기 3루타를 쳐냈고, 10월 25일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는 오승환을 상대로 결승 홈런을 쳐내며 이 경기 MVP에 선정되었다.
2014년에는 호르헤 칸투와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으며, 저조한 2할대 타율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김재환이 주전 1루수로 낙점되면서 다시 경쟁에서 밀렸다. 전반기에는 단 1개의 홈런만 기록하는 등 부진했으나, 김재환의 부진을 틈타 후반기에 1군에 올라와 13개의 홈런을 몰아치며 2015년 시즌 14홈런을 기록,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 특히 9월 12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는 박세웅을 상대로 데뷔 첫 만루 홈런을 쳐냈다. 이 활약으로 2015년 초반 외야수로 전향했던 김재환은 다시 외야수로 뛰게 되었고, 오재일은 2016년 시즌 주전 1루수로 자리매김했다.
2016년 시즌에는 타율 3할대, 120안타, 27홈런, 92타점으로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시즌 후 1루수 골든글러브 후보에 올랐으나 에릭 테임즈에게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2017년 NC 다이노스와의 플레이오프에서는 4홈런, 9타점의 맹활약을 펼치며 플레이오프 MVP를 수상했다. 포스트시즌 단일 경기 4홈런은 그가 최초이며, 타점 최고 기록까지 경신했다.
2019년 7월 7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는 12회말 하재훈을 상대로 끝내기 홈런을 쳐내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승리로 김태형 두산 감독은 통산 400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는 9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서 오주원을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쳐냈다. 이는 한국시리즈 통산 9번째 끝내기 승리였다. 또한 팀의 우승을 확정한 4차전 연장 10회초에도 결승타를 쳐내며 2019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2020년 2월 25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연습 경기에 3번 타자로 출전하여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실투를 받아 홈런을 기록했다. 당시 오재일은 "홈런은 운이 좋았다", "(마쓰자카는) 마운드 위에서 아우라가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5월 14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는 7회 고효준을 상대로 2점 홈런을 쳐내며 통산 500타점 기록을 달성했다. 8월에는 주장이었던 오재원이 성적 부진으로 주장직에서 해임되자 남은 시즌 동안 임시 주장으로 선임되기도 했다.
2.5.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20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은 오재일은 2020년 12월 14일 삼성 라이온즈와 4년 최대 50.00 억 KRW에 계약하며 이적했다. 2021년 시즌에는 2할대 타율, 119안타, 25홈런, 97타점을 기록했다. 같은 해, 1년 연기된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의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국제 무대에서도 활약했다.
2.6. kt wiz 시절
2024년 5월 28일, 오재일은 박병호와 1대1 트레이드를 통해 kt wiz로 이적했다. 이로써 그의 프로 경력은 새로운 팀에서 이어지게 되었다.
3. 주요 기록 및 수상
- 2013년 한국시리즈 2차전 MVP (결승 홈런)
- 2017년 플레이오프 MVP (4홈런, 9타점 - 포스트시즌 단일 경기 최초 4홈런 및 최다 타점 기록)
- 2019년 한국시리즈 MVP
- 2020년 통산 500타점 달성
- 2022년 시즌 2루타 42개 (역대 단일 시즌 1루수 최다 2루타 기록)
4. 국가대표 경력
오재일은 2021년에 개최된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다.
5.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5 | 현대 | 0.000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2009 | 히어로즈 | 0.197 | 43 | 66 | 4 | 13 | 5 | 0 | 0 | 18 | 4 | 0 | 0 | 6 | 0 | 15 | 1 | 1 |
2010 | 넥센 | 0.133 | 39 | 60 | 1 | 8 | 4 | 0 | 1 | 15 | 9 | 0 | 0 | 4 | 1 | 16 | 6 | 1 |
2011 | 넥센 | 0.230 | 46 | 100 | 13 | 23 | 5 | 0 | 1 | 31 | 11 | 2 | 0 | 15 | 1 | 24 | 2 | 3 |
2012 | 두산 | 0.203 | 87 | 212 | 16 | 43 | 8 | 0 | 8 | 75 | 25 | 0 | 0 | 10 | 0 | 58 | 3 | 0 |
2013 | 두산 | 0.299 | 55 | 117 | 16 | 35 | 12 | 0 | 3 | 56 | 28 | 0 | 1 | 20 | 3 | 28 | 0 | 1 |
2014 | 두산 | 0.242 | 75 | 132 | 10 | 32 | 7 | 0 | 3 | 48 | 18 | 1 | 1 | 20 | 1 | 39 | 1 | 4 |
2015 | 두산 | 0.289 | 66 | 180 | 33 | 52 | 11 | 1 | 14 | 107 | 36 | 0 | 0 | 28 | 2 | 49 | 5 | 3 |
2016 | 두산 | 0.316 | 105 | 380 | 69 | 120 | 20 | 2 | 27 | 225 | 92 | 1 | 0 | 64 | 2 | 73 | 5 | 7 |
2017 | 두산 | 0.306 | 128 | 412 | 62 | 126 | 27 | 0 | 26 | 231 | 89 | 1 | 1 | 45 | 5 | 80 | 5 | 5 |
2018 | 두산 | 0.279 | 123 | 401 | 69 | 112 | 19 | 2 | 27 | 216 | 80 | 1 | 1 | 60 | 6 | 121 | 3 | 4 |
2019 | 두산 | 0.293 | 130 | 467 | 76 | 137 | 29 | 1 | 21 | 231 | 102 | 2 | 1 | 55 | 3 | 99 | 5 | 4 |
2020 | 두산 | 0.312 | 127 | 471 | 62 | 147 | 32 | 0 | 16 | 227 | 89 | 2 | 1 | 61 | 0 | 92 | 12 | 3 |
2021 | 삼성 | 0.285 | 120 | 418 | 64 | 119 | 20 | 0 | 25 | 214 | 97 | 1 | 0 | 58 | 0 | 106 | 5 | 2 |
2022 | 삼성 | 0.268 | 135 | 470 | 57 | 126 | 42 | 0 | 21 | 231 | 94 | 2 | 1 | 57 | 2 | 133 | 7 | 5 |
2023 | 삼성 | 0.203 | 106 | 315 | 31 | 64 | 15 | 0 | 11 | 112 | 54 | 1 | 0 | 43 | 3 | 110 | 1 | 8 |
2024 | kt | 0.243 | 105 | 296 | 33 | 72 | 18 | 1 | 11 | 126 | 45 | 0 | 0 | 36 | 2 | 88 | 7 | 3 |
통산 | 17시즌 | 0.273 | 1491 | 4498 | 616 | 1229 | 274 | 7 | 215 | 2162 | 873 | 14 | 7 | 582 | 31 | 1132 | 68 | 54 |
6. 등번호
오재일은 프로 야구 경력 동안 다양한 팀에서 여러 등번호를 사용했다.
- 34번 (2005년 ~ 2006년, 현대 유니콘스)
- 35번 (2009년 ~ 2011년, 히어로즈)
- 10번 (2012년 (시즌 중), 넥센 히어로즈)
- 36번 (2012년 (시즌 중) ~ 2020년, 두산 베어스; 2024년 (시즌 중) ~ 현재, kt wiz)
- 44번 (2021년 ~ 2024년 (시즌 중), 삼성 라이온즈)
- 40번 (2024년 (시즌 중), kt wiz)
7. 응원가
오재일은 소속팀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각 팀에서 그를 위한 응원가가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 넥센 히어로즈 시절
오재일~ 워어~
오재일~ 워어어어~
날려라 안타 오재일~
날려라 안타 오재일~×2
- 두산 베어스 시절
오재일~ 워어~
오재일~ 워어어어~
날려라 안타 오재일~
날려라 안타 오재일~×2
오~~재일
오! 오!재!일!
오 워어어어어
두산의 오재일 (오!재!일!) x2
- 삼성 라이온즈 시절
오~재일 삼성의 오재일
오~재일 삼성의 오재일
삼성의 오재일 안타
오오오 오재일 홈런
삼성의 오재일 파이팅
오오오 오 재일×2
- kt wiz 시절
오오오오 오오오 오오 케이티 오재일 안타 오오오 오오 오오오 케이티 오재일 홈런×2 오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