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모스토보이(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остовой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모스토보이러시아어, 1968년 8월 22일 ~ )는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그는 특히 프리메라리가의 셀타 비고에서 오랜 기간 뛰면서 '발라이도스의 차르'(O Zar de Balaídos오 사르 데 발라이도스스페인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천재 플레이메이커'로 자주 언급되곤 했다.
모스토보이는 소비에트 연방, CIS, 러시아 대표팀을 거치며 12년간의 국가대표 경력을 쌓았고, 두 차례의 FIFA 월드컵과 두 차례의 유럽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그는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SL 벤피카, SM 캉, RC 스트라스부르 등 여러 유럽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은퇴 이후에는 비치 사커 선수로 활동하거나 감독직을 희망하는 등 축구계와 관련된 행보를 이어갔다. 그러나 코칭 라이선스 취득 문제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2. 어린 시절과 배경
알렉산드르 모스토보이의 어린 시절은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SFSR 로모노소프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 축구 훈련과 교육, 그리고 프로 경력 형성 과정을 거쳤다.
2.1. 어린 시절과 교육
알렉산드르 모스토보이는 1968년 8월 22일 로모노소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축구 훈련을 시작하며 재능을 보였고, FC 프레스냐 모스크바의 유소년팀에서 축구 기본기를 다졌다. 그는 직업 학교를 졸업하고 전기 기술자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이후 모스크바의 한 스포츠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대학 교육을 병행하며 어린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칭 과정을 이수하기도 했다.
2.2. 초기 축구 경력 형성
모스토보이의 초기 축구 경력은 소비에트 2부 리그 소속의 FC 프레스냐 모스크바에서 시작되었다. 1987년, 그는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 입단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3. 클럽 경력
모스토보이는 소비에트 연방, 포르투갈, 프랑스, 스페인 등 다양한 국가의 클럽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플레이를 선보였다.
3.1. 소련 시절 초기 경력
모스토보이는 1986년 크라스나야 프레스냐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리그 19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 1987년 1월, 그는 소련의 거대 클럽인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빠르게 인상을 남겼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그는 1987년과 1989년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총 106경기에 출전하여 34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3.2. 첫 해외 진출 (포르투갈과 프랑스)
1992년 1월, 모스토보이는 바실리 쿨코프와 세르게이 유란 등 동료 러시아 선수들과 함께 포르투갈 프리메이라리가의 SL 벤피카에 합류했다. 그는 계약 몇 달 전 결혼을 통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으로 포르투갈 시민권을 획득했으나, 벤피카 1군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하고 9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1993-94 시즌 중반, 모스토보이는 리그 1 소속의 SM 캉으로 이적하여 15경기에 출전해 3골을 기록했다. 단 한 시즌 만에 그는 동료 프랑스 클럽인 RC 스트라스부르로 옮겨 다니엘 장뒤푀 감독과 재회했다. 스트라스부르에서 그는 자신의 잠재력을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61경기에 출전하여 15골을 넣었다. 그는 2006년 스트라스부르 구단이 실시한 투표에서 '세기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3.3. 셀타 비고: 발라이도스의 차르
모스토보이 경력의 전환점은 1996년 셀타 비고로 이적하면서 찾아왔다. 당시 이적료는 약 3.25 억 ESP에 달했다. 그는 레알 베티스와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하며 셀타 비고 데뷔전을 치렀다. 그의 창의적인 플레이와 중요한 득점 능력은 발라이도스의 팬들에게 '발라이도스의 차르'라는 애칭을 얻게 하며 컬트적인 인기를 누리게 했다.
모스토보이는 동료인 발레리 카르핀 등과 함께 인상적인 미드필드 라인을 구축했으며, 셀타 비고가 매년 라리가 상위권을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00년에는 자신의 고향 클럽인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총합 4-3으로 꺾고 UEFA 인터토토컵 우승을 차지하는 데 일조했다. 2002-03 시즌에는 팀을 라리가 4위로 이끌며 구단의 염원이었던 UEFA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2003-04 시즌에는 팀이 급격한 부진에 빠져 2부 리그로 강등되는 것을 막지 못했으며, 모스토보이 또한 셀타 비고 경력 중 가장 적은 24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셀타 비고에서 총 235경기에 출전하여 55골을 기록했으며, 이는 우고 마요가 2021년에 경신하기 전까지 구단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이었다. 베트남어 자료에서는 259경기 66골을 기록했다고도 언급한다.
3.4. 이후 경력 및 클럽 축구 은퇴
8개월 이상 경기를 뛰지 않고 있던 모스토보이는 36세의 나이로 2005년 3월 초 드미트리 피터르만이 이끄는 데포르티보 알라베스와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은 초기에는 2부 리그 캠페인이 끝날 때까지 유효했다. 그는 카디스 CF와의 리그 경기에서 후반 78분 교체 출전하며 알라베스에서의 유일한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 그는 팀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1-3으로 패배했다.
알라베스에 합류한 지 불과 30일 만에 모스토보이는 등 부상으로 인해 은퇴할 의사를 구단 이사진에게 밝혔다. 이로써 그는 단 한 경기를 뛴 후 현역에서 물러났다.
4. 국제 경력
모스토보이는 소비에트 연방, CIS, 러시아 대표팀에서 국제 경기를 뛰었다.
그는 1994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1996에 참가했으며, 2002 FIFA 월드컵에도 발탁되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UEFA 유로 1996에서는 체코를 상대로 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1990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모스토보이는 UEFA 유로 2004에 참가하여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조지 야르체프 감독의 전술을 비판한 후, 대회 중 팀에서 제외되어 집으로 송환되었다. 이 사건은 스페인과의 0-1 그룹 스테이지 패배 이후 발생했으며, 당시 언론은 모스토보이가 야르체프 감독을 '무능하고 아무것도 모른다'고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모스토보이는 나중에 다른 인터뷰를 통해 "야르체프 감독이 훈련을 너무 많이 시켜 선수들이 경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갖지 못했다"고 말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 사건 이후 팀의 사기가 저하되었고, 러시아는 개최국 포르투갈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도 패배했다.
2009년, 모스토보이는 레전드 컵에서 우승을 차지한 러시아 선수단에 일원으로 참여했다.
5. 플레이 스타일
모스토보이는 뛰어난 재능을 지닌 공격형 미드필더이자, 동시에 다혈질적인 성격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그는 빠르고, 민첩하며,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플레이메이커였다. 또한 전술적으로 다재다능하여 여러 미드필더 및 공격 포지션에서 뛸 수 있었다. 그가 가장 선호하는 포지션은 전통적인 10번 선수로서의 자유로운 역할이었지만, 때로는 중앙 미드필더나 윙어로도 기용되었다.
모스토보이는 특히 첫 터치와 공을 다루는 속도, 타이밍, 공간 해석, 그리고 수비수를 제칠 수 있는 드리블 능력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의 시야와 정확한 패스 또한 높이 평가받았다. 득점과 어시스트 모두에 능했으며, 특히 장거리 슈팅으로 골을 넣는 데 재주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그는 '천재 플레이메이커' 또는 '진정한 플레이메이커'로 불렸다.
6. 은퇴 후 경력
선수 은퇴 후, 모스토보이는 2005년 당시 러시아 테니스 연맹 회장인 샤밀 타르피셰프의 설득으로 러시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에서 뛰기도 했다.
모스토보이는 감독으로서 축구 클럽을 이끌고 싶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지만, 필요한 UEFA 코칭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하고 있으며, 스스로도 이를 취득하려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2011년부터 이 결정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표명했는데, 코칭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얻는 것에 대한 회의론부터 다른 전문가들이 라이선스를 얻는 부패한 방식에 대한 비판까지 제기했다.
7. 개인 생활

모스토보이는 전기 기술자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모스크바의 한 스포츠 아카데미에 진학하여 대학 교육을 병행하며 젊은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칭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스트라스부르에서 만난 스테파니와 연인 관계였으며, 두 명의 자녀 알렉산드르(1996년생)와 엠마를 두었다.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는 '사샤'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2016년 SL 벤피카 B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기도 했다. 베트남어 자료에 따르면 그는 포르투갈 여성과 첫 결혼을 했으며, 프랑스 여성과 두 번째 결혼을 했다.
2001년 코파 델 레이 결승전에서 셀타 비고가 패배한 후, 일부 셀타 서포터들은 모스토보이의 동상을 제작하기 위해 400.00 만 ESP를 모금했다. 선수 본인도 이 프로젝트를 승인했고 조각가 막신 피카요가 선정되었으나, 이 프로젝트는 끝내 완성되지 못했다. 모스토보이는 2003년 자신의 경기력 하락이 동상 제작에 대한 열정을 식게 만들었다고 생각했다.
8. 유산과 평가
8.1. 별명과 대중문화
모스토보이는 셀타 비고에서 활약하며 팬들로부터 '발라이도스의 차르'(O Zar de Balaídos오 사르 데 발라이도스스페인어)라는 별명을 얻었다. '차르'는 러시아 황제를 의미하며, 이는 그가 셀타 비고에서 보여준 독보적인 리더십과 뛰어난 플레이를 상징한다. 그는 또한 '천재 플레이메이커' 또는 '진정한 플레이메이커'로 불리며 팬들에게 컬트적인 인기를 누렸다.
8.2. 비판과 논란
모스토보이는 선수 시절 다혈질적인 성격과 일부 논란이 되는 행동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UEFA 유로 2004에서는 당시 러시아 대표팀 감독인 조지 야르체프의 훈련 방식과 전술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여 대회 도중 팀에서 제외되는 사건을 겪었다. 당시 언론에서는 그가 야르체프 감독을 '무능하다'고 비난했다고 보도했으나, 모스토보이는 이후 인터뷰에서 "야르체프 감독이 너무 많은 훈련을 시켜 선수들이 경기에 최적의 상태로 임할 수 없었다"는 의미였다고 해명했다. 이 사건은 러시아 대표팀의 사기에 영향을 미쳤고, 팀은 결국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8.3. 헌사와 기타 인정
모스토보이는 RC 스트라스부르에서 '세기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는 등 구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셀타 비고 팬들은 2001년 코파 델 레이 결승전 패배 이후 그를 기리기 위한 동상 건립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프로젝트는 최종적으로 완성되지 못했다.
9. 경력 통계
9.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대륙 대회 | 총합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크라스나야 프레스냐 | 1986 | 소비에트 2부 리그 | 19 | 7 | 1 | 0 | - | 20 | 7 |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987 | 소비에트 톱 리그 | 18 | 6 | 4 | 0 | 4 | 3 | 26 | 9 |
1988 | 27 | 3 | 4 | 2 | 4 | 0 | 35 | 5 | ||
1989 | 11 | 3 | 2 | 0 | 2 | 0 | 15 | 3 | ||
1990 | 23 | 9 | 3 | 5 | 4 | 0 | 30 | 14 | ||
1991 | 27 | 13 | 2 | 1 | 7 | 3 | 36 | 17 | ||
총합 | 106 | 34 | 15 | 8 | 21 | 6 | 142 | 48 | ||
벤피카 | 1992-93 | 프리메이라리가 | 9 | 0 | 3 | 2 | 3 | 0 | 15 | 2 |
1993-94 | 0 | 0 | 1 | 0 | 0 | 0 | 0 | 0 | ||
총합 | 9 | 0 | 4 | 2 | 3 | 0 | 16 | 2 | ||
캉 (임대) | 1993-94 | 디비전 1 | 15 | 3 | 0 | 0 | - | 15 | 3 | |
스트라스부르 | 1994-95 | 디비전 1 | 29 | 6 | 4 | 1 | - | 33 | 7 | |
1995-96 | 32 | 9 | 3 | 1 | 6 | 2 | 41 | 12 | ||
총합 | 61 | 15 | 7 | 2 | 6 | 2 | 74 | 19 | ||
셀타 | 1996-97 | 라리가 | 31 | 5 | 6 | 1 | - | 37 | 6 | |
1997-98 | 34 | 8 | 3 | 1 | - | 37 | 9 | |||
1998-99 | 33 | 6 | 1 | 0 | 7 | 3 | 41 | 9 | ||
1999-2000 | 26 | 6 | 1 | 0 | 7 | 2 | 34 | 8 | ||
2000-01 | 30 | 9 | 6 | 2 | 9 | 2 | 45 | 13 | ||
2001-02 | 30 | 10 | 0 | 0 | 11 | 3 | 31 | 13 | ||
2002-03 | 27 | 5 | 0 | 0 | 4 | 1 | 31 | 6 | ||
2003-04 | 24 | 6 | 2 | 0 | 8 | 2 | 34 | 8 | ||
총합 | 235 | 55 | 19 | 4 | 36 | 13 | 290 | 72 | ||
알라베스 | 2004-05 | 세군다 디비시온 | 1 | 1 | 0 | 0 | - | 1 | 1 | |
경력 총합 | 427 | 110 | 46 | 16 | 66 | 21 | 539 | 147 |
9.2. 국가대표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소비에트 연방 | 1990 | 4 | 1 |
1991 | 9 | 2 | |
총합 | 13 | 3 | |
CIS | 1992 | 2 | 0 |
총합 | 2 | 0 | |
러시아 | 1992 | 1 | 0 |
1993 | 3 | 2 | |
1994 | 2 | 0 | |
1995 | 6 | 1 | |
1996 | 9 | 3 | |
1997 | 1 | 0 | |
1998 | 5 | 1 | |
1999 | 2 | 1 | |
2000 | 3 | 0 | |
2001 | 8 | 1 | |
2002 | 4 | 0 | |
2003 | 4 | 1 | |
2004 | 2 | 0 | |
총합 | 50 | 10 | |
경력 총합 | 65 | 13 |
9.3. 국제 경기 득점
등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소비에트 연방 득점 | ||||||
1 | 1990년 11월 30일 | 마테오 플로레스 경기장, 과테말라시티, 과테말라 | 과테말라 | 0-1 | 0-3 | 친선 경기 |
2 | 1991년 5월 30일 | 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키프로스 | 1-0 | 4-0 | UEFA 유로 1992 예선 |
3 | 1991년 8월 28일 | 울레발 스타디온, 오슬로, 노르웨이 | 노르웨이 | 0-1 | 0-1 | UEFA 유로 1992 예선 |
러시아 득점 | ||||||
1 | 1993년 10월 6일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 0-1 | 4-2 | 친선 경기 |
2 | 1993년 10월 6일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 3-2 | 4-2 | 친선 경기 |
3 | 1995년 9월 6일 | 스방가스카르, 토프티르, 페로 제도 | 페로 제도 | 0-1 | 2-5 | UEFA 유로 1996 예선 |
4 | 1996년 2월 9일 | 랜즈다운 로드, 더블린, 아일랜드 | 아일랜드 | 0-1 | 0-2 | 친선 경기 |
5 | 1996년 5월 25일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 | 카타르 | 2-1 | 2-5 | 친선 경기 |
6 | 1996년 6월 19일 | 안필드, 리버풀, 잉글랜드 | 체코 | 2-1 | 3-3 | UEFA 유로 1996 |
7 | 1998년 10월 10일 | 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 | 프랑스 | 2-2 | 2-3 | UEFA 유로 2000 예선 |
8 | 1999년 5월 19일 | 아스널 스타디움 (툴라), 툴라, 러시아 | 벨라루스 | 0-1 | 1-1 | 친선 경기 |
9 | 2001년 3월 28일 | 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 | 페로 제도 | 1-0 | 1-0 | 2002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10 | 2003년 9월 10일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모스크바), 모스크바, 러시아 | 스위스 | 4-1 | 4-1 | UEFA 유로 2004 예선 |
10. 수상
10.1. 클럽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소비에트 톱 리그: 1987, 1989
- 벤피카
- 타사 드 포르투갈: 1992-93
- 프리메이라리가: 1993-94
- 스트라스부르
- UEFA 인터토토컵: 1995
- 셀타
- UEFA 인터토토컵: 2000
- 코파 델 레이 준우승: 2000-01
10.2. 국가대표
- 소비에트 연방 U-21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1990
- 러시아
- 레전드 컵: 2009
10.3. 개인
- ADN 동유럽 올해의 축구 선수: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