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사피는 1984년 1월 29일 말레이시아 셀랑고르주 카장에서 태어났다. 그는 페락주의 타파 지역에서 성장했으며, 이포에 위치한 세콜라 메넹아 케방산 구눙 라팟 학교를 다녔다.
2. 클럽 경력
사피는 선수 경력 동안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여러 주요 클럽에서 활약하며 인상적인 기록을 남겼다.
2.1. 쿠알라룸푸르 FA
사피는 이고르 노바크 감독의 추천으로 쿠알라룸푸르 FA에 입단했다. 그는 MPL 2 페락 TKN과의 경기에서 첫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팀의 6대2 승리에 기여했다. 첫 시즌에 총 11골을 기록하며 아즈만 아드난에 이어 현지인 득점 2위에 올랐다. 그러나 2004 시즌에는 리그에서 단 2골에 그쳤다. 쿠알라룸푸르에서의 마지막 시즌인 2005년에는 리그 7골, 말레이시아 FA컵 3골(팀은 준결승 진출), 말레이시아컵 1골을 기록하며 총 11골을 넣었다.
2.2. 텔레콤 멜라카
쿠알라룸푸르 FA가 2003년 말레이시아컵 출전 자격을 얻지 못하자, 사피는 텔레콤 멜라카로 임대되었다. 그는 이 대회에서 사라왁 FA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1골을 기록했다. 텔레콤 멜라카가 토너먼트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자 그는 쿠알라룸푸르 FA로 복귀했다.
2.3. 사라왁 FA
이후 사피는 사라왁 FA에 입단했다. 그는 10골을 기록하며 팀 내 현지인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2005/06 시즌 종료 시점에는 모든 대회를 통틀어 총 19골을 넣어 사라왁의 최다 득점자로 이름을 올렸다. 그의 활약은 축구 팬들과 국가대표팀 감독의 주목을 받았고, 이는 그가 어린 시절부터 뛰기를 꿈꿔왔던 셀랑고르 FA로 이적하는 계기가 되었다.
2.4. 셀랑고르 FA
2006/07 시즌, 사피는 셀랑고르 FA에 합류했다. 그는 셀랑고르 FA와 말레이시아 국가대표팀의 전설적인 선수였던 고(故) 모크타르 다하리가 입었던 상징적인 등번호 10번을 부여받았다. 그는 K. 데반 감독 아래 팀을 말레이시아 FA컵과 말레이시아컵 결승으로 이끌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러나 셀랑고르는 두 대회 모두 케다 FA에게 3대2의 동일한 스코어로 패배했다. 셀랑고르에서의 첫 시즌에 그는 총 11골을 기록했다.
셀랑고르에서의 두 번째 시즌에는 10경기에서 11골을 넣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나, 부상으로 인해 2007/08 시즌의 절반을 결장해야 했다. 그는 2010 시즌에 다시 득점 2위로 복귀했다. 또한 2010 말레이시아 채리티 실드에서 느그리 슴빌란 FA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2대1 승리에 기여했다. 2010 AFF 스즈키컵에서의 뛰어난 활약과 2011 시즌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초반의 맹활약 이후, 사피는 더 많은 경험을 쌓기 위해 인도네시아 슈퍼리그의 펠리타 자야 FC로 이적하기로 결정했다. 셀랑고르에서의 그의 마지막 경기는 쿠알라룸푸르 FA와의 1대1 무승부였다. 이 경기는 사피가 인도네시아 카라왕으로 떠나 펠리타 자야에 합류하기 전의 마지막 경기였다.
2.5. 펠리타 자야
2011년 2월 5일, 사피는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소속팀 펠리타 자야로 정식 이적했다. 이적료는 3.00 만 USD였으며, 연봉은 1.00 만 USD (약 3.04 만 MYR)에 달했다. 사피는 펠리타 자야와 1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그가 인도네시아 슈퍼리그에서 뛰는 최초의 말레이시아 선수가 되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원래 등번호 10번을 받았으나, 등록 문제로 인해 55번을 선택했다.
사피는 스리위자야 FC와의 리그 데뷔전에서 펠리타 자야의 1대0 승리를 이끄는 결승골을 넣으며 '맨 오브 더 매치'에 선정되었다. 첫 시즌에 그는 13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 2011년 10월 12일에는 다가오는 2011-12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시즌의 펠리타 자야 주장으로 발표되었고, 등번호는 다시 10번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3월 24일, 사피는 페르세그레스 그레식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4골을 터뜨리는 맹활약을 펼쳤다. 그는 이 시즌을 20리그 골로 마감했다.
2.5.1. 카디프 시티 입단 테스트
2011년, 사피는 풋볼 리그 챔피언십 클럽인 카디프 시티 FC로부터 2주간의 입단 테스트 제안을 받았다.
2.6. 아레마 크로누스
2013 시즌, 사피는 아레마 크로누스 FC로 이적했다. 그러나 그는 짧은 기간 동안 단 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 이후 조호르 다룰 탁짐 FC로 임대 이적하게 되었다.
2.7. 조호르 다룰 탁짐
2013년, 사피는 말레이시아로 돌아와 조호르 다룰 탁짐 FC에 합류했다. 그는 믈라카 유나이티드와의 프리시즌 경기에서 데뷔하며 두 골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파미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5 AFC컵 결승전에서 FC 이스티클롤을 상대로 1대0 승리를 거두며 선발 출전했다. 그는 조호르 다룰 탁짐에서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3회(2014, 2015, 2016), 말레이시아 채리티 실드 2회(2015, 2016), 말레이시아 FA컵 1회(2016) 우승을 달성했다.
2.8. PKNS FC
사피는 2017년 PKNS FC와 계약했다. 그는 이 클럽에서 두 시즌을 보내며 리그 33경기에 출전해 9골을 기록했다. K. 라자고팔 감독 아래에서 그는 라파엘 라마조티의 팀 동료로 활약했다. 2018년 2월 7일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파항과의 홈 개막전에서는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터뜨려 1대0 승리를 이끌었다.
2.9. 페를리스 및 PJ 시티
2019년, 사피는 페를리스 FA에서 잠시 3경기를 뛰었으나, 말레이시아 축구 리그(MFL)가 재정 문제로 페를리스의 리그 참여를 취소하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이후 2019년 2월 20일 PJ 시티 FC와 계약했다. PJ 시티에서 그는 20번의 리그 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10. 쿠알라룸푸르 시티
사피는 2020년 12월 24일 쿠알라룸푸르 시티 FC에 합류했다. 그는 2021년 3월 6일 페낭 FC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팀은 1대0으로 패배했다. 2021년 말레이시아컵 결승전에서 조호르 다룰 탁짐 FC를 2대0으로 꺾고 우승하며 20년 프로 경력 만에 첫 말레이시아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22년에는 AFC컵 결승전에 두 번 출전한 최초의 말레이시아 축구 선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알 시브와의 결승전에서 교체 선수로 출전했으나 팀은 3대0으로 패배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사피는 말레이시아를 대표하여 청소년 및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1. 청소년 국가대표팀
사피는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 말레이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모든 예선 경기에 출전했으나 대부분 교체 선수로 투입되었다. 이후 베르탈란 빅스케이 감독의 지휘 아래 2005년 태국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사전 대회에 참가하여 필리핀 U-23 대표팀을 상대로 1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그는 동메달을 획득한 2005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본선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이후, 노리잔 바카르 감독은 사피에게 2006년 아시안 게임 U-23 대표팀에 합류할 기회를 주었으나, 이번에도 그는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 U-23 대표팀이 부진한 성적을 거둔 후, 사피는 B. 사티아나탄 감독에 의해 주전 공격수로 발탁되었다. 그는 공격 파트너인 모드 자쿠안 아드하 압둘 라자크와 함께 2007년 메르데카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결승전에서 미얀마를 3대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사피는 4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그는 태국에서 열린 200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사피는 이 대회에서 2골을 기록했으나, U-23 대표팀은 싱가포르와의 무승부로 인해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08년에는 말레이시아 인터컨티넨탈 컵에 출전하여 말레이시아가 기록한 3골을 모두 혼자 득점했다. 그는 아일랜드 U-23과의 1대3 패배, 이라크 U-23과의 1대0 승리, 나이지리아 U-23과의 1대1 무승부 경기에서 각각 득점했다. 나이지리아와의 경기는 그의 말레이시아 U-23 대표팀에서의 마지막 경기였다. 2010년에는 아시안 게임 예비 명단에 소집되어 베트남에서 열린 엑심방크컵에 세 경기를 출전했으나, 최종 명단의 3명 시니어 선수 중 한 명으로 선발되지 못했다.
3.2. 성인 국가대표팀
말레이시아 프리미어리그 사라왁에서의 인상적인 활약 이후, 사피는 성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006년 2월 19일 뉴질랜드를 상대로 첫 A매치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두 번째 뉴질랜드와의 경기에서 첫 국제골을 기록했다.
이후 그는 2007년 AFC 아시안컵을 준비하는 국가대표팀의 일원이 되었다. 2007년 아시안컵 대표팀에 선발된 그는 이란과의 세 번째 조별리그 경기에서 처음 출전했지만, 말레이시아는 0대3으로 패했다.
2008년 메르데카 토너먼트에서 사피는 네팔을 상대로 득점하는 등 총 5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으나, 말레이시아는 결승전에서 베트남에게 승부차기 끝에 6대5로 패했다.
2010년 11월, K. 라자고팔 감독은 사피를 2010 AFF 스즈키컵에 참가할 말레이시아 대표팀에 소집했다。사피는 준결승 1차전에서 베트남을 상대로 두 골을 터뜨려 2대0 승리를 이끌었다. 결승 1차전에서도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두 골을 추가하며 팀의 3대0 승리에 기여했다. 결승 2차전에서도 1골을 더 넣어 총 5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말레이시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2010 AFF 스즈키컵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11월 28일, 사피는 2012 AFF 챔피언십 조별리그 두 번째 경기에서 라오스를 상대로 득점하며 4대1 승리에 기여했고, 3회 연속 AFF 챔피언십 득점을 기록했다. 2014년 11월 29일에는 2014 AFF 챔피언십 조별리그 세 번째 경기에서 싱가포르를 상대로 득점하며 4회 연속 AFF 챔피언십 득점 기록을 세웠다.
3.3. 말레이시아 XI
사피는 말레이시아 리그 XI 팀의 일원으로도 활약했다. 2008년 7월 29일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첼시 FC와의 경기와 리버풀 FC와의 경기에 출전했다. 첼시전에서는 말레이시아 선수 중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으나 팀은 0대2로 패배했다. 당시 첼시 감독이었던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는 말레이시아 XI의 투지를 칭찬했다. 2011년 7월 16일 리버풀과의 경기에서는 교체 출전하여 두 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3대6으로 패배했다. 그는 또한 2012년 아스널 FC와 맨체스터 시티 FC와의 경기에도 출전했다.
4. 플레이 스타일과 특징
사피는 셀랑고르 FA 시절, 전설적인 모크타르 다하리가 입었던 등번호 10번을 착용했다. 그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뛰어난 속도, 그리고 171 cm라는 키에도 불구하고 강한 신체적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과 그의 뛰어난 슈팅 기술은 그를 국가대표팀의 주전 선수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말레이시아 최고의 재능 있는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사피는 국가대표팀과 셀랑고르 FA에서 장거리 슈팅과 오버헤드 킥 등 환상적인 골을 많이 기록했다.
5. 축구 외 활동
사피는 축구 외적인 영역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5.1. 광고 계약
사피는 한때 아디다스의 동남아시아 광고 모델이었으나, 이후 미국 스포츠 브랜드인 나이키의 후원을 받았다. 나이키는 그의 이름을 새긴 전용 머큐리얼 축구화를 특별 제작해 주었다.
5.2. 슈퍼 사피 코믹
2012년, 코믹-M과 협력하여 '슈퍼 사피'와 'SS10(SuperSafee10)'이라는 제목의 만화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이 만화는 사피의 어린 시절부터 프로 축구 선수로 성장하기까지의 여정을 다루고 있다.
6. 논란
사피는 프로 경력 중 일부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6.1. 소셜 미디어 논란
2014년 AFF 스즈키컵 당시, 사피는 태국과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3대2로 패배한 후 그의 부진한 경기력에 대해 팬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이에 그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말레이어로 다음과 같은 강한 어조의 메시지를 남겨 논란을 일으켰다. "여기서 부정적인 댓글을 달고 있는 사람들, 당신들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뛰어본 적이 있는가? 아니라면, 닥치는 게 좋을 것이다. 조국의 명예를 위해 싸우는 사람들의 노력을 폄하하지 마라... 만약 하리마우 말라야를 응원하는 것이 부끄럽다면 차라리 다른 깃발이나 응원하라."
논란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는 베트남과의 준결승 1차전에서 2대1로 패배했으나, 2차전에서 5대3 승리(합계 5대3)로 역전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사피는 부상으로 인해 2차전에는 휴식을 취했다. 베트남과의 승리 이후, 그는 인스타그램에 자신이 축하하는 사진을 게시하며 다음과 같은 문구를 덧붙였다. "지난번에 잔소리를 듣고 깃발을 바꾼 팬들에게, 베개 뒤에 얼굴을 숨기지 마라.. 그냥 휴지로 닦아주겠다." 이 게시물에는 "#amikkau"(말레이어로 "이거나 먹어라!"라는 뜻)라는 해시태그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발언은 말레이시아 팬들의 분노를 더욱 키웠고, 사피는 태국과의 결승전에서 홈 팬들의 야유를 받았다.
7. 경력 통계
사피 살리의 클럽 및 국제 경기 통산 출전 기록과 득점 통계는 다음과 같다.
7.1. 클럽 통계
2022년 10월 22일 기준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리그컵 | 대륙 대회 | 기타 | 총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쿠알라룸푸르 FA | 2003 | 프리미어리그 2 | 11 | 0 | - | - | - | 11 | ||||||
2004 | 프리미어리그 | 2 | 0 | 0 | - | - | 2 | |||||||
2005-06 | 말레이시아 프리미어리그 | 7 | 3 | 1 | - | - | 11 | |||||||
총계 | - | 20 | 3 | 1 | - | - | 24 | |||||||
텔레콤 멜라카 (임대) | 2003 | 프리미어리그 1 | - | - | 1 | - | - | 1 | ||||||
총계 | - | - | - | 1 | - | - | 1 | |||||||
사라왁 FA | 2005-06 | 말레이시아 프리미어리그 | 10 | 6 | 3 | - | - | 19 | ||||||
총계 | - | 10 | 6 | 3 | - | - | 19 | |||||||
셀랑고르 FA | 2006-07 | 슈퍼리그 | 0 | 2 | 1 | - | - | 3 | ||||||
2007-08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 11 | 9 | 6 | - | - | 26 | |||||||
2009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 12 | 1 | 5 | - | - | 18 | |||||||
2010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 12 | 2 | 3 | 5 | 3 | - | 20 | ||||||
2011 | 3 | 1 | - | - | - | - | 3 | 1 | ||||||
총계 | - | 36 | 14 | 15 | 5 | 3 | - | 68 | ||||||
펠리타 자야 FC | 2010-11 | 13 | 7 | - | - | - | - | 13 | 7 | |||||
2011-12 | 29 | 20 | - | - | - | - | 29 | 20 | ||||||
총계 | - | 42 | 27 | - | - | - | - | 42 | 27 | |||||
조호르 다룰 탁짐 FC (임대) | 2013 | 16 | 2 | 5 | 1 | 6 | 3 | - | - | 27 | 6 | |||
총계 | - | 16 | 2 | 5 | 1 | 6 | 3 | - | - | 27 | 6 | |||
조호르 다룰 탁짐 FC | 2014 | 9 | 2 | 3 | 1 | 1 | 0 | - | - | 13 | 3 | |||
2015 | 15 | 1 | 1 | 0 | 8 | 3 | 10 | 4 | - | 34 | 8 | |||
2016 | 8 | 1 | 3 | 0 | 5 | 2 | 7 | 3 | - | 23 | 6 | |||
총계 | - | 32 | 4 | 7 | 1 | 14 | 5 | 17 | 7 | - | 70 | 17 | ||
PKNS FC | 2017 | 14 | 4 | 1 | 0 | 1 | 0 | - | - | 16 | 4 | |||
2018 | 19 | 5 | 4 | 2 | 4 | 1 | - | - | 27 | 8 | ||||
총계 | - | 33 | 9 | 5 | 2 | 5 | 1 | - | - | 43 | 12 | |||
페를리스 FA | 2019 | 3 | 0 | - | - | - | - | 3 | 0 | |||||
총계 | - | 3 | 0 | - | - | - | - | 3 | 0 | |||||
PJ 시티 FC | 2019 | 14 | 3 | 2 | 1 | 6 | 0 | - | - | 22 | 4 | |||
2020 | 6 | 1 | - | 1 | 0 | - | - | 7 | 1 | |||||
총계 | - | 20 | 4 | 2 | 1 | 1 | 0 | - | - | 29 | 5 | |||
쿠알라룸푸르 시티 FC | 2021 | 11 | 1 | - | 3 | 0 | - | - | 14 | 1 | ||||
2022 | 2 | 0 | 1 | 0 | 0 | 0 | 2 | 0 | 0 | 0 | 5 | 0 | ||
총계 | - | 13 | 1 | 1 | 0 | 3 | 0 | 2 | 0 | 0 | 0 | 19 | 1 |
7.2. 국제 통계
2017년 3월 22일 기준
말레이시아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전 | 득점 | |||||||||
2006 | 4 | 1 | |||||||||
2007 | 4 | 0 | |||||||||
2008 | 11 | 7 | |||||||||
2009 | 1 | 0 | |||||||||
2010 | 6 | 5 | |||||||||
2011 | 8 | 5 | |||||||||
2012 | 16 | 3 | |||||||||
2013 | 3 | 0 | |||||||||
2014 | 13 | 1 | |||||||||
2015 | 6 | 1 | |||||||||
2016 | 3 | 0 | |||||||||
2017 | 1 | 0 | |||||||||
총계 | 76 | 23 |
국제 경기 득점 기록:
# | 날짜 | 장소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2006년 2월 23일 | 노스 하버 스타디움, 오클랜드, 뉴질랜드 | 뉴질랜드 | 1-1 | 1-2 | 친선 경기 |
2. | 2008년 10월 10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파키스탄 | 1-0 | 4-1 | 친선 경기 |
3. | 2008년 10월 15일 | 페탈링자야 스타디움, 페탈링자야, 말레이시아 | 네팔 | 2-0 | 4-0 | 2008년 메르데카 토너먼트 |
4. | 3-0 | |||||
5. | 2008년 10월 20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아프가니스탄 | 5-0 | 6-0 | 2008년 메르데카 토너먼트 |
6. | 2008년 10월 23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미얀마 | 2-0 | 4-0 | 2008년 메르데카 토너먼트 |
7. | 2008년 12월 6일 | 수라쿨 스타디움, 푸껫, 태국 | 라오스 | 1-0 | 3-0 | 2008 AFF 스즈키컵 |
8. | 3-0 | |||||
9. | 2010년 12월 15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베트남 | 1-0 | 2-0 | 2010 AFF 스즈키컵 |
10. | 2-0 | |||||
11. | 2010년 12월 26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1-0 | 3-0 | |
12. | 3-0 | |||||
13. | 2010년 12월 29일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 1-0 | 1-2 | 2010 AFF 스즈키컵 |
14. | 2011년 7월 23일 | 잘란 베사르 스타디움, 싱가포르 | 싱가포르 | 1-0 | 3-5 | 2014 FIFA 월드컵 예선 |
15. | 3-4 | |||||
16. | 2011년 7월 28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1-0 | 1-1 | 2014 FIFA 월드컵 예선 |
17. | 2011년 11월 16일 | 솔트레이크 스타디움, 콜카타, 인도 | 인도 | 1-1 | 2-3 | 친선 경기 |
18. | 2-3 | |||||
19. | 2012년 10월 16일 | 몽콕 스타디움, 몽콕, 홍콩 | 홍콩 | 1-0 | 3-0 | 친선 경기 |
20. | 2012년 11월 14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홍콩 | 1-0 | 1-1 | 친선 경기 |
21. | 2012년 11월 28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라오스 | 2-1 | 4-1 | 2012 AFF 스즈키컵 |
22. | 2014년 11월 29일 | 국립경기장, 칼랑, 싱가포르 | 싱가포르 | 1-0 | 3-1 | 2014 AFF 스즈키컵 |
23. | 2015년 6월 11일 |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동티모르 | 1-0 | 1-1 | 2018 FIFA 월드컵 예선 |
8. 수상 및 업적
사피는 클럽 및 국가대표팀에서 여러 우승 타이틀과 개인상을 획득했다.
8.1. 클럽 업적
;셀랑고르
- 말레이시아 채리티 실드: 2009, 2010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09, 2010
- 말레이시아 FA컵: 2009
;조호르 다룰 탁짐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14, 2015, 2016
- 말레이시아 채리티 실드: 2015, 2016
- 말레이시아 FA컵: 2016
- AFC컵: 2015
;쿠알라룸푸르 시티
- 말레이시아컵: 2021
- AFC컵: 2022 준우승
8.2. 국가대표 업적
;말레이시아
- 메르데카 토너먼트: 2008 준우승
- AFF 챔피언십: 2010 우승, 2014 준우승
;말레이시아 U-23
- 메르데카 토너먼트: 2007 우승
8.3. 개인 업적
- 메르데카 토너먼트 득점왕: 2007, 2008
- AFF 챔피언십 득점왕: 2010
- 골닷컴 독자 선정 아시아 베스트 XI: 2011
- AFF 챔피언십 올타임 XI: 2021
- 아스트로 아레나 가장 사랑받는 남자 운동선수: 2010
9. 유산과 은퇴
모드 사피 빈 모드 살리는 2023년 2월 21일 39세의 나이로 프로 축구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20년이 넘는 선수 생활 동안 말레이시아 축구계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국가대표팀에서 76경기에 출전하여 23골을 기록했으며, U-23 대표팀에서는 26경기에서 14골을 넣었다. 클럽 경력에서는 총 180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과시했다.
사피는 전성기 시절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종종 말레이시아 축구의 전설인 모크타르 다하리와 비교되곤 했다. 말레이시아 축구의 전설 압둘 가니 민핫은 그를 해외에서 프로로 뛴 최고의 말레이시아 공격수로 인정했다. 그는 2011년 말레이시아 선수 최초로 인도네시아 슈퍼리그에서 뛰는 기록을 세웠으며, 2010 AFF 챔피언십에서 득점왕에 오르며 말레이시아의 역사적인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2021년 말레이시아컵 우승은 그의 20년 프로 경력 중 첫 우승이었으며, 2022년에는 AFC컵 결승전에 두 번 출전한 최초의 말레이시아 선수가 되는 등 은퇴 직전까지도 여러 기록을 세웠다. 그의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 빠른 발, 강한 피지컬, 그리고 결정적인 슈팅 능력은 그를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만들었다. 사피는 뛰어난 재능으로 장거리 슈팅과 오버헤드 킥 등 멋진 골을 많이 만들어냈으며, 그의 선수 경력은 말레이시아 축구 역사에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