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배경
벤 헨더슨의 어린 시절은 그의 격투기 경력과 개인적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1.1. 유년기, 가족 관계 및 교육
헨더슨은 1983년 11월 16일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주한미군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고, 어머니는 한국인 김성화이다. 그는 2남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한국에서 태어난 줄리어스라는 형이 있다. 아버지가 약물 중독으로 인해 부모님이 이혼하게 되면서, 헨더슨은 워싱턴주 페더럴웨이로 이주하여 홀어머니 아래에서 자랐다. 그의 어머니는 헨더슨과 형이 한국 문화를 접하기를 원했고, 이로 인해 두 아들은 태권도를 수련하기 시작했다.
그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디케이터 고등학교(Decatur High School)에 재학하며 고등학교 레슬링 팀의 일원이 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네브래스카주 블레어에 위치한 다나 칼리지(Dana College)에 진학하여 2006년에 형사 사법과 사회학을 복수 전공하며 졸업했다. 다나 칼리지 재학 시절에는 레슬링 팀에서 활동했으며, NAIA 올아메리칸에 두 차례 선정되었다. 한때는 경찰관이 될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
1.2. 초기 무술 수련
헨더슨은 약 9세부터 어머니의 권유로 형과 함께 태권도 수업을 시작했다. 그는 이 경험이 한국 문화를 접하는 중요한 기회였다고 회상한다. 헨더슨 형제는 모두 태권도 검은띠를 획득했다. 고등학교에서 레슬링을 시작한 이후, 대학에서도 레슬링 선수로 활약하며 아마추어 레슬링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대학 졸업 후, 그는 호이스 그레이시의 제자인 존 크라우치 밑에서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2011년 브라운 벨트 세계선수권 동메달을 획득하고 2013년에는 검은띠로 승급하는 등 주짓수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무술 경험은 그의 종합격투기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종합격투기 경력
벤 헨더슨의 종합격투기 경력은 WEC, UFC, 벨라토르 MMA 등 여러 주요 단체를 거치며 수많은 명승부를 만들어냈다.
2.1. 프로 데뷔 및 초기 경기
벤 헨더슨은 2006년 종합격투기 프로 무대에 데뷔하여 댄 그레고리(Dan Gregary)를 상대로 첫 승을 거두었다. 세 번째 경기에서는 로키 존슨(Rocky Johnson)에게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지만, 이는 잠시의 좌절에 불과했다. 그는 이 패배를 딛고 4연승을 거두며 UFC 베테랑 디에고 사라이바(Diego Saraiva)를 상대로 가장 힘든 경기를 치렀다. 헨더슨은 사라아바를 상대로 3라운드 내내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고, 프로 통산 7번째 승리를 기록했다.
2.2.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 (WEC)
프로 데뷔 후 승승장구하던 벤 헨더슨은 2009년 WEC에 입성하며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세 달 후인 2009년 1월 25일, 헨더슨은 WEC 38에서 앤서니 은조쿠아니(Anthony Njokuani)를 상대로 WEC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2라운드 초반 길로틴 초크로 승리하며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다. 이어서 2009년 4월 5일 WEC 40에서 셰인 롤러(Shane Roller)를 1라운드 TKO로 꺾으며 기세를 이어갔다.
챔피언 제이미 바너(Jamie Varner)의 부상으로 잠정 챔피언 타이틀전이 성사되자, 헨더슨은 2009년 10월 10일 WEC 43에서 도널드 세로니(Donald Cerrone)와 WEC 라이트급 잠정 챔피언십을 놓고 격돌했다. 이 경기는 흥미진진한 공방전 끝에 헨더슨의 만장일치 판정승으로 마무리되었고, 두 선수 모두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이 경기는 셔독닷컴으로부터 2009년 '올해의 경기'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0년 1월 10일 WEC 46에서 헨더슨은 제이미 바너와 통합 챔피언십을 치렀다. 처음 두 라운드에서는 열세였지만, 헨더슨은 3라운드 2분 41초에 스탠딩 길로틴 초크로 바너를 꺾고 WEC 라이트급 통합 챔피언에 올랐다.
첫 타이틀 방어전은 2010년 4월 24일 WEC 48에서 도널드 세로니와의 재대결로 치러졌다. 헨더슨은 1라운드 길로틴 초크로 승리하며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고,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2010년 12월 16일 WEC 53에서 헨더슨은 앤서니 페티스와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헨더슨은 페티스의 유명한 '쇼타임 킥'에 다운되는 등 고전하며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해 타이틀을 잃었다. 이 경기는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로 선정되었으며, 헨더슨에게는 약 3년 반 만의 패배였다.
2.3.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UFC)
2010년 10월, WEC가 UFC에 합병되면서 모든 WEC 선수들은 UFC로 이적하게 되었다. 벤 헨더슨 역시 UFC 무대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3.1. UFC 라이트급 챔피언
헨더슨은 2011년 4월 30일 UFC 129에서 마크 보첵(Mark Bocek)을 상대로 UFC 데뷔전을 치렀고,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어서 2011년 8월 14일 UFC 온 Versus 5에서 짐 밀러(Jim Miller)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를 펼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는 당시 UFC에서 세 번째로 긴 7연승을 달리던 밀러의 연승 행진을 끊은 결과였다. 헨더슨은 여러 차례의 서브미션 시도에서 벗어나며 포지션을 유리하게 이끌고 강력한 펀치와 엘보우를 퍼부었다.
2011년 11월 12일 UFC 온 폭스 1에서 클레이 구이다(Clay Guida)와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권이 걸린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치열한 접전 끝에 헨더슨이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고, 두 선수 모두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이 승리로 헨더슨은 UFC 라이트급 타이틀의 #1 컨텐더가 되었다.
2012년 2월 26일 일본에서 열린 UFC 144에서 헨더슨은 UFC 라이트급 챔피언 프랭키 에드가에게 도전했다. 이 경기에서 헨더슨은 에드가를 만장일치 판정으로 꺾고 새로운 UFC 라이트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두 선수 모두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이며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2012년 8월 11일 UFC 150에서 에드가와의 재대결이 펼쳐졌다. 매우 접전이었던 이 경기에서 헨더슨은 다시 한번 에드가를 꺾었고, 이번에는 2대1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방어했다.
2012년 12월 8일 UFC 온 폭스 5에서 헨더슨은 네이트 디아즈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다. 헨더슨은 강력한 킥, 우월한 레슬링, 그리고 그라운드 앤 파운드를 활용하여 디아즈를 두 차례 다운시키고 여러 번 백 포지션을 점유하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헨더슨은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2013년 4월 20일 UFC 온 폭스 7에서 헨더슨은 전 스트라이크포스 라이트급 챔피언이자 라이트급 랭킹 1위였던 길버트 멜렌데즈를 상대로 UFC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다. 헨더슨은 치열한 접전 끝에 2대1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세 번째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이 승리로 헨더슨은 B.J. 펜과 함께 라이트급 최다 타이틀 방어 기록(3회)을 세웠다. 경기 후 승자 인터뷰에서 야유를 받으면서도 그는 여자친구에게 공개적으로 프러포즈를 하여 화제가 되었다.
2.3.2. 챔피언십 이후 및 체급 변경
헨더슨은 2013년 8월 31일 UFC 164에서 T.J. 그랜트(T. J. Grant)와 타이틀 방어전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그랜트의 부상으로 인해 WEC 53에서 자신에게 패배를 안겼던 앤서니 페티스와 재대결하게 되었다. 헨더슨은 1라운드 서브미션(암바)으로 패배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페티스에게 타이틀을 내준 것은 이번이 두 번째였다.
타이틀 상실 후 첫 경기였던 2014년 1월 25일 UFC 온 폭스 10 메인 이벤트에서 헨더슨은 조쉬 톰슨(Josh Thomson)을 상대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는 톰슨을 스탠딩 암트라이앵글 초크로 거의 서브미션 직전까지 몰아넣기도 했다. 이 경기는 많은 언론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승패가 갈릴 정도로 논란이 많았다. 톰슨은 더 많은 테이크다운(5대4)을 성공시키고 헨더슨의 백 포지션을 여러 번 잡았지만, 헨더슨은 유효타에서 톰슨을 크게 앞섰고(114대33) 유일한 서브미션 시도를 기록했다.
2014년 6월 7일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하빌로프의 메인 이벤트에서 루스탐 하빌로프(Rustam Khabilov)를 4라운드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꺾었다. 이 승리로 헨더슨은 첫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2014년 8월 23일 UFC 파이트 나이트 49에서 헨더슨은 하파엘 도스 안요스와 메인 이벤트를 장식했다. 그는 1라운드 KO패를 당했다.
2015년 1월 18일 UFC 파이트 나이트 59에서 에디 알바레즈와 경기가 예정되었으나, 알바레즈가 질병으로 인해 경기를 취소하면서 도널드 세로니와 재대결을 펼쳤다. 헨더슨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14개 언론사 중 12곳이 헨더슨의 승리를 점수 매겼을 정도로 결과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
세로니와의 경기 후, 헨더슨은 웰터급으로 체급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2015년 2월 14일 UFC 파이트 나이트 60 메인 이벤트에서 부상당한 스티븐 톰슨을 대신하여 브랜든 새치(Brandon Thatch)와 맞붙었다. 헨더슨은 4라운드 서브미션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 경기는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이후 헨더슨은 웰터급에 정착할 의사를 밝혔고, 2015년 11월 28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UFC 파이트 나이트 79의 메인 이벤트에 나섰다. 원래 치아구 아우베스와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아우베스가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호르헤 마스비달로 상대가 변경되었다. 헨더슨은 치열한 접전 끝에 2대1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2.4. 벨라토르 MMA
2016년 2월 1일, 벤 헨더슨은 벨라토르 MMA와 계약했음을 발표하며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그의 벨라토르 데뷔전은 2016년 4월 22일 벨라토르 153에서 안드레이 코레쉬코프(Andrey Koreshkov)를 상대로 한 벨라토르 웰터급 챔피언십이었다. 헨더슨은 이 경기에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4.1. 챔피언십 도전 및 타이틀전
벨라토르에서의 두 번째 경기에서 헨더슨은 라이트급으로 복귀하여 2016년 8월 26일 벨라토르 160 메인 이벤트에서 파트리시우 피트불(Patrício Pitbull)과 맞붙었다. 이 경기는 2라운드 초반 피트불이 다리 부상을 선언하며 경기가 중단되는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끝났다. 헨더슨은 부상에 의한 TKO 승리를 거두었고, 이로써 마이클 챈들러(Michael Chandler)를 상대로 한 타이틀 도전권을 획득했다. 경기 후 피트불은 헨더슨이 로우킥을 무릎으로 체크하는 과정에서 정강이뼈가 부러졌음이 밝혀졌다.
2016년 11월 19일 벨라토르 165에서 헨더슨은 마이클 챈들러를 상대로 벨라토르 라이트급 챔피언십에 도전했다. 헨더슨은 치열한 접전 끝에 1대2 스플릿 판정패를 당하며 다시 한번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4.2. 이후 경기 활동
2017년 9월 23일 벨라토르 183에서 헨더슨은 파트리키 피트불(Patricky Pitbull)을 상대로 스플릿 판정패를 당했다. 이후 2018년 4월 6일 벨라토르 196 메인 이벤트에서 벨라토르 베테랑 로저 우엘타(Roger Huerta)를 상대로 2라운드 서브미션(길로틴 초크) 승리를 거두며 재기했다. 2018년 10월 13일 벨라토르 208에서는 사드 아와드(Saad Awad)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2018년 11월, 벨라토르 관계자들은 헨더슨이 벨라토르와 새로운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4월 27일 벨라토르 220에서 헨더슨은 아담 피콜로티(Adam Piccolotti)를 상대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 판정은 9개 언론사 중 8곳이 피콜로티의 승리를 점수 매길 정도로 논란이 많았다. 2019년 9월 27일 벨라토르 227 메인 이벤트에서 헨더슨은 벨라토르에 새롭게 합류한 마일즈 주리(Myles Jury)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2019년 10월 25일, 헨더슨은 2019년 12월 29일 벨라토르 & 라이진: 일본에서 마이클 챈들러와 재대결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헨더슨은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서 철회되었고, 시드니 아웃로우(Sidney Outlaw)로 교체되었다. 재대결은 2020년 6월 6일 벨라토르 244에서 다시 예정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결국 재대결은 2020년 8월 7일 벨라토르 243에서 성사되었고, 헨더슨은 1라운드 KO패를 당했다.
이후 헨더슨은 다시 웰터급으로 체급을 올려 2020년 11월 28일 벨라토르 253에서 제이슨 잭슨(Jason Jackson)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다. 잭슨은 경기의 대부분을 지배했고, 헨더슨은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이는 이변으로 평가받는 승리였다.
2021년 10월 16일 벨라토르 268에서 헨더슨은 브렌트 프리머스(Brent Primus)와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2022년 1월 29일 벨라토르 273에서 헨더슨은 이슬람 마메도프(Islam Mamedov)를 상대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3연패를 끊었다. 이 경기는 당시 그의 계약상 마지막 경기였다. 2022년 3월 23일, 헨더슨은 벨라토르와 새로운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9월 23일 벨라토르 285에서 헨더슨은 피터 퀘일리(Peter Queally)와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2라운드에서 헨더슨은 사타구니 가격으로 1점 감점을 받았음에도 승리했다.
2.5. 종합격투기 은퇴
2023년 1월 11일, 벤 헨더슨은 총상금 100.00 만 USD에 달하는 벨라토르 라이트급 월드 그랑프리 토너먼트의 참가자로 발표되었다. 2023년 3월 10일 벨라토르 292에서 열린 8강전에서 헨더슨은 현 챔피언 우스만 누르마고메도프를 상대로 벨라토르 라이트급 챔피언십을 놓고 겨루었다. 그는 1라운드 리어네이키드 초크 서브미션으로 패배하며 그랑프리에서 탈락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헨더슨은 종합격투기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2.6. 은퇴 후 활동
종합격투기 은퇴 후 2024년 12월 11일, 벤 헨더슨은 새롭게 출범하는 글로벌 파이트 리그(Global Fight League)와 계약했음이 발표되었다. 이는 그가 격투기 경력을 완전히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플랫폼에서 활동을 이어갈 것임을 시사한다.
3. 기타 격투 스포츠 활동
벤 헨더슨은 종합격투기 외에도 다양한 격투 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했다.
3.1. 프로 그래플링
벤 헨더슨은 종합격투기 경력과 병행하여 다수의 프로 그래플링 대회에도 출전하며 뛰어난 주짓수 실력을 선보였다。2021년 12월 16일 UFC 파이트 패스 인비테이셔널 1에서 동료 MMA 베테랑 벤 사운더스(Ben Saunders)를 상대로 슈퍼 파이트를 치러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2022년 6월 25일 폴라리스 20의 메인 이벤트에서 데미안 마이아와 맞붙었으나,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2023년 8월 5일 ADCC 애리조나 오픈 83kg급 디비전에 참가하여 3승 1패를 기록했다. 2023년 10월 20일 ADXC 1의 웰터급 노기 경기 메인 이벤트에서 네이만 그레이시(Neiman Gracie)와 맞붙었으나,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3.2. 프로 복싱
2024년 8월 20일, 벤 헨더슨이 스테이크 프로 토너먼트(Stake Pro Tournament)를 통해 프로 복싱 데뷔를 할 것이 발표되었다. 이 토너먼트는 9월 14일 뉴캐슬어폰타인의 버투 모터스 아레나(Vertu Motors Arena)에서 열리는 'MF & DAZN: X 시리즈 18' 카드에 포함되었다. 그는 준결승에서 미국 종합격투기 선수 크리스 아빌라(Chris Avila)를 만장일치 판정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이드리스 비르고(Idris Virgo)와 맞붙었으나,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3.3. 가라테 컴뱃
2023년 12월 15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라테 컴뱃 43에서 벤 헨더슨은 과거 라이벌이었던 앤서니 페티스와 다시 맞붙었다. 이 경기에서 헨더슨은 페티스에게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4. 개인 생활 및 특징
벤 헨더슨은 그의 격투기 실력만큼이나 독특하고 긍정적인 개인적 면모로도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다.
4.1. 가족 및 생활 방식
벤 헨더슨은 자신의 팀에서 주짓수를 수련하던 여자친구 마리아와 4년간 교제한 후 2014년에 결혼했다. 그는 2013년 4월 UFC 온 폭스 7에서 길버트 멜렌데즈를 상대로 승리한 후 옥타곤 안에서 마리아에게 공개적으로 청혼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부부에게는 3명의 아들(경, 컵, 코아)과 1명의 딸이 있다. 첫 아들의 이름은 한국식으로 '경 아벨 헨더슨'이라고 지었다.
헨더슨은 매우 절제된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술이나 담배, 마약을 입에 대본 적이 없는 절대 금주주의자이다. 또한, 운동 중에는 보충제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일주일에 3~4일은 하루에 4번의 훈련을 소화하며, 이 날에는 8끼의 식사를 한다고 한다. 이러한 엄격한 자기 관리는 그의 뛰어난 신체 능력과 정신력을 유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4.2. 종교적 신념 및 사회적 활동
벤 헨더슨은 독실한 기독교인이며, 경기 후 인터뷰에서 종종 자신의 신앙에 대해 언급한다. 그의 등에는 천사의 날개를 형상화한 문신이 새겨져 있다. 그는 스테로이드를 비롯한 금지 약물 사용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며, 스포츠 정신과 윤리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그의 신념에 따른 절제되고 모범적인 생활 방식은 많은 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4.3. 한국계 혈통 및 문화적 영향
벤 헨더슨은 한국인 어머니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로, 자신의 한국계 혈통에 대해 깊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그는 한국인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한국 문화에 대한 애정을 여러 차례 드러냈다. 어머니는 그를 한국식 애칭인 '빈이'라고 부른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약간의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경기가 끝난 후 "한국 팬들 많이 많이 사랑해요. 어머니 사랑해요"라고 한국말로 인터뷰를 하여 한국 팬들에게 큰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그의 옆구리에는 '전사', '힘', '명예'라는 한글 문신이 새겨져 있다. 또한, 헨더슨은 김치, 불고기 등 한국 음식을 매우 좋아하며, 종종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한국 음식을 먹는 사진을 게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그의 모습 때문에 한국에서는 그에게 '효자 파이터'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그는 최초로 한국에서 열린 UFC 대회인 UFC 파이트 나이트 79의 메인 이벤트에 출전하여 한국 팬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5. 챔피언십 및 수상
벤 헨더슨은 그의 종합격투기 경력 동안 수많은 챔피언십 타이틀과 개인 수상 경력을 쌓았다.
5.1. 종합격투기
- UFC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1회; 전)
- 3회 성공적인 타이틀 방어
- UFC 역사상 라이트급 최다 연속 타이틀 방어 횟수 공동 2위 (3회) (B.J. 펜, 프랭키 에드가,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와 동률)
- UFC 라이트급 및 스트라이크포스 라이트급 챔피언십 통합 챔피언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3회): vs. 클레이 구이다, 프랭키 에드가 (1차전), 브랜든 새치
-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1회): vs. 루스탐 하빌로프
- UFC.com 어워즈
- 2011년: 올해의 수입 2위, 올해의 파이터 5위, 올해의 경기 3위 (vs. 클레이 구이다)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올해의 경기 4위 (vs. 프랭키 에드가 1차전)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1회; 전)
- WEC
- WEC 라이트급 챔피언십 (1회; 전)
- 1회 성공적인 타이틀 방어
- WEC 라이트급 잠정 챔피언십 (1회; 전)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2회): vs. 도널드 세로니 (1차전), 앤서니 페티스 (1차전)
-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1회): vs. 도널드 세로니 (2차전)
- WEC 라이트급 챔피언십 (1회; 전)
- ESPN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 2012년 올해의 경기 (vs. 프랭키 에드가, UFC 144)
- 2015년 올해의 상반기 최고의 경기 (vs. 브랜든 새치)
- 인사이드 MMA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바지 어워드
- MMAWeekly.com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 FightMatrix.com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 MMAFighting.com
- 2010년 올해의 경기 (vs. 앤서니 페티스)
- 2009년 올해의 경기 (vs. 도널드 세로니)
- USA 투데이
- 2010년 올해의 경기 (vs. 앤서니 페티스)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 2009년 올해의 경기 (vs. 도널드 세로니)
- 셔독
- 2012년 올해의 파이터
- 2009년 올해의 경기 (vs. 도널드 세로니)
5.2. 서브미션 그래플링
- IBJJF
- 2011년 세계 주짓수 챔피언십 브라운 벨트 동메달
- 2014년 세계 노기 주짓수 챔피언십 블랙 벨트 동메달
- 애리조나 주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
- AZSBJJF 올해의 MVP (2010년)
- 애리조나 주 챔피언십 브라운 벨트 미들급 금메달 (2회)
- 애리조나 주 챔피언십 퍼플 벨트 미들급 금메달 (2회)
- 애리조나 주 챔피언십 오픈급 금메달 (3회)
5.3. 아마추어 레슬링
- NAIA
- NAIA 올아메리칸 (2005년, 2006년)
- 워싱턴 주 학교 체육 협회
- WIAA 4A 고등학교 주 챔피언십 준우승 (2001년)
- WIAA 4A 올스테이트 (2001년)
6. 경기 기록
벤 헨더슨의 모든 격투기 경기 기록은 아래와 같다.
6.1. 프로 종합격투기 전적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30-12 | 우스만 누르마고메도프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벨라토르 292 | 2023년 3월 10일 | 1 | 2:37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 벨라토르 라이트급 월드 그랑프리 8강전. 벨라토르 라이트급 챔피언십 경기. |
승 | 30-11 | 피터 퀘일리(Peter Queally)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285 | 2022년 9월 23일 | 5 | 5:00 | 아일랜드 더블린 | 2라운드 사타구니 가격으로 헨더슨 1점 감점. |
승 | 29-11 | 이슬람 마메도프 | 판정 (스플릿) | 벨라토르 273 | 2022년 1월 29일 | 3 | 5:00 |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 |
패 | 28-11 | 브렌트 프리머스(Brent Primus)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268 | 2021년 10월 16일 | 3 | 5:00 |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 |
패 | 28-10 | 제이슨 잭슨(Jason Jackson)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253 | 2020년 11월 19일 | 3 | 5:00 | 미국 코네티컷주 언캐스빌 | 웰터급 경기. |
패 | 28-9 | 마이클 챈들러 | KO (펀치) | 벨라토르 243 | 2020년 8월 7일 | 1 | 2:09 | 미국 코네티컷주 언캐스빌 | |
승 | 28-8 | 마일즈 주리(Myles Jury)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227 | 2019년 9월 27일 | 3 | 5:00 | 아일랜드 더블린 | |
승 | 27-8 | 아담 피콜로티 | 판정 (스플릿) | 벨라토르 220 | 2019년 4월 27일 | 3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 |
승 | 26-8 | 사드 아와드(Saad Awad)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208 | 2018년 10월 13일 | 3 | 5:00 | 미국 뉴욕주 유니언데일 | |
승 | 25-8 | 로저 우엘타(Roger Huerta)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벨라토르 196 | 2018년 4월 6일 | 2 | 0:49 | 헝가리 부다페스트 | |
패 | 24-8 | 파트리키 피트불(Patricky Pitbull) | 판정 (스플릿) | 벨라토르 183 | 2017년 9월 23일 | 3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 |
패 | 24-7 | 마이클 챈들러 | 판정 (스플릿) | 벨라토르 165 | 2016년 11월 19일 | 5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 벨라토르 라이트급 챔피언십 경기. |
승 | 24-6 | 파트리시우 피트불(Patrício Pitbull) | TKO (다리 부상) | 벨라토르 160 | 2016년 8월 26일 | 2 | 2:26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라이트급 복귀. |
패 | 23-6 | 안드레이 코레쉬코프(Andrey Koreshkov) | 판정 (만장일치) | 벨라토르 153 | 2016년 4월 22일 | 5 | 5:00 | 미국 코네티컷주 언캐스빌 | 벨라토르 웰터급 챔피언십 경기. |
승 | 23-5 | 호르헤 마스비달 | 판정 (스플릿) |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마스비달 | 2015년 11월 28일 | 5 | 5:00 | 대한민국 서울 | |
승 | 22-5 | 브랜든 새치(Brandon Thatch)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새치 | 2015년 2월 14일 | 4 | 3:58 | 미국 콜로라도주 브룸필드 | 웰터급 데뷔.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패 | 21-5 | 도널드 세로니 | 판정 (만장일치) | UFC 파이트 나이트: 맥그리거 vs. 시버 | 2015년 1월 18일 | 3 | 5:00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
패 | 21-4 | 하파엘 도스 안요스 | KO (펀치) |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도스 안요스 | 2014년 8월 23일 | 1 | 2:31 |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 | |
승 | 21-3 | 루스탐 하빌로프(Rustam Khabilov)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하빌로프 | 2014년 6월 7일 | 4 | 1:16 | 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 |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
승 | 20-3 | 조쉬 톰슨(Josh Thomson) | 판정 (스플릿) | UFC 온 폭스: 헨더슨 vs. 톰슨 | 2014년 1월 25일 | 5 | 5:00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
패 | 19-3 | 앤서니 페티스 | 서브미션 (암바) | UFC 164 | 2013년 8월 31일 | 1 | 4:31 |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상실. |
승 | 19-2 | 길버트 멜렌데즈 | 판정 (스플릿) | UFC 온 폭스: 헨더슨 vs. 멜렌데즈 | 2013년 4월 20일 | 5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
승 | 18-2 | 네이트 디아즈 | 판정 (만장일치) | UFC 온 폭스: 헨더슨 vs. 디아즈 | 2012년 12월 8일 | 5 | 5:00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
승 | 17-2 | 프랭키 에드가 | 판정 (스플릿) | UFC 150 | 2012년 8월 11일 | 5 | 5:00 |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
승 | 16-2 | 프랭키 에드가 | 판정 (만장일치) | UFC 144 | 2012년 2월 26일 | 5 | 5:00 | 일본 사이타마시 | UF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획득.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15-2 | 클레이 구이다(Clay Guida) | 판정 (만장일치) | UFC 온 폭스: 벨라스케즈 vs. 도스 산토스 | 2011년 11월 12일 | 3 | 5:00 |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UFC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자 결정전.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14-2 | 짐 밀러(Jim Miller) | 판정 (만장일치) | UFC 라이브: 하디 vs. 라이틀 | 2011년 8월 14일 | 3 | 5:00 |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 |
승 | 13-2 | 마크 보첵(Mark Bocek) | 판정 (만장일치) | UFC 129 | 2011년 4월 30일 | 3 | 5:00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 |
패 | 12-2 | 앤서니 페티스 | 판정 (만장일치) | WEC 53 | 2010년 12월 16일 | 5 | 5:00 | 미국 애리조나주 글렌데일 | WE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상실.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12-1 | 도널드 세로니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WEC 48 | 2010년 4월 24일 | 1 | 1:57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WE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
승 | 11-1 | 제이미 바너(Jamie Varner)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WEC 46 | 2010년 1월 10일 | 3 | 2:41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WEC 라이트급 챔피언십 타이틀 획득 및 통합. |
승 | 10-1 | 도널드 세로니 | 판정 (만장일치) | WEC 43 | 2009년 10월 10일 | 5 | 5:00 |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WEC 라이트급 잠정 챔피언십 타이틀 획득.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9-1 | 셰인 롤러 | TKO (펀치) | WEC 40 | 2009년 4월 5일 | 1 | 1:41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
승 | 8-1 | 앤서니 은조쿠아니(Anthony Njokuani)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WEC 38 | 2009년 1월 25일 | 2 | 0:42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
승 | 7-1 | 디에고 사라이바 | 판정 (만장일치) | Evolution MMA 1 | 2008년 10월 4일 | 3 | 5:00 |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 |
승 | 6-1 | 리카르도 티를로니(Ricardo Tirloni) | 서브미션 (길로틴 초크) | MFC 17 | 2008년 7월 25일 | 2 | 3:49 |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 | |
승 | 5-1 | 마이크 마에스타스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MFC 16 | 2008년 5월 9일 | 3 | 4:11 |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 | |
승 | 4-1 | 브라이언 코리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Victory FC 21 | 2007년 12월 7일 | 1 | 2:36 | 미국 아이오와주 카운슬 블러프스 | |
승 | 3-1 | 데이비드 다글로리아 | TKO (펀치에 의한 기권) | Ultimate Combat Experience: Round 26: Episode 12 | 2007년 6월 23일 | 1 | 1:45 | 미국 유타주 오그던 | |
패 | 2-1 | 로키 존슨 | 테크니컬 서브미션 (아나콘다 초크) | Battlequest 5 | 2007년 3월 31일 | 1 | 0:46 | 미국 콜로라도주 베일 | 캐치웨이트(160 lbs) 경기. |
승 | 2-0 | 앨런 윌리엄스 | TKO (펀치) | Victory FC 18 | 2007년 2월 16일 | 1 | 1:37 | 미국 아이오와주 카운슬 블러프스 | |
승 | 1-0 | 댄 그레고리 | TKO (펀치에 의한 기권) | Midwest CF: Genesis | 2006년 11월 18일 | 1 | 4:21 | 미국 네브래스카주 노스플랫 |
6.2. 아마추어 종합격투기 전적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0-1 | 채드 클링엔스미스 | TKO (펀치) | Ring of Fire 27: Collision Course | 2006년 12월 9일 | 2 | 1:47 |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
6.3. 프로 그래플링 전적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3-2 | 네이만 그레이시(Neiman Gracie) | 서브미션 | ADXC 1 | 2023년 10월 20일 | N/A | N/A | N/A | 웰터급 노기 경기. |
패 | 3-1 | 데미안 마이아 | 판정 (만장일치) | Polaris 20 | 2022년 6월 25일 | N/A | N/A | N/A | |
승 | 3-0 | 벤 사운더스(Ben Saunders) | 판정 (만장일치) | UFC Fight Pass Invitational 1 | 2021년 12월 16일 | N/A | N/A | N/A | 슈퍼 파이트. |
패 | 2-0 | 마르셀로 마푸라 | 포인트 (2-4) | 세계 노기 주짓수 챔피언십 | 2014년 10월 4일 | N/A | N/A | N/A | 미들급 준결승. |
승 | 2-0 | 호물로 카바우칸테 | 포인트 | 세계 노기 주짓수 챔피언십 | 2014년 10월 4일 | N/A | N/A | N/A | 미들급 2회전. |
승 | 1-0 | 리오 이투라데 | 포인트 | 세계 노기 주짓수 챔피언십 | 2014년 10월 4일 | N/A | N/A | N/A | 미들급 1회전. |
패 | 0-1 | 오타비오 소우자 | 암바 | ADCC Worlds 2013 | 2013년 10월 19일 | N/A | N/A | N/A | 77kg급 2회전. |
승 | 0-0 | 레오나르도 노게이라 | 포인트 | ADCC Worlds 2013 | 2013년 10월 19일 | N/A | N/A | N/A | 77kg급 1회전. |
6.4. 프로 복싱 전적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2 | 패 | 1-1 | 이드리스 비르고 | 판정 (만장일치) | 5 | 2024년 9월 14일 | 잉글랜드 뉴캐슬어폰타인 버투 모터스 아레나 | MF-프로 경기; 스테이크 프로 토너먼트 결승. |
1 | 승 | 1-0 | 크리스 아빌라(Chris Avila) | 판정 (만장일치) | 5 | 2024년 9월 14일 | 잉글랜드 뉴캐슬어폰타인 버투 모터스 아레나 | MF-프로 경기; 스테이크 프로 토너먼트 준결승. |
6.5. 가라테 컴뱃 전적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0-1 | 앤서니 페티스 | 판정 (만장일치) | 가라테 컴뱃 43 | 2023년 12월 15일 | 3 | 3:00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7. 페이퍼뷰 판매량
벤 헨더슨이 메인 이벤트로 참여했던 주요 페이퍼뷰(PPV) 이벤트의 판매량은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