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교육
발레리 브류소프의 생애는 그의 문학적 발전과 러시아 상징주의 운동의 부상에 깊이 연결되어 있다.
1.1. 어린 시절과 배경
발레리 브류소프는 1873년 12월 13일 모스크바의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계급에 비해 교육을 받았고 문학적 인연도 있었지만, 아들 양육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아 브류소프는 대부분 혼자서 자랐다. 그는 어린 시절 "손에 잡히는 모든 것"을 탐독하며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여기에는 찰스 다윈과 쥘 베른의 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물론적, 과학적 에세이들도 포함되었다.
1.2. 교육
브류소프는 1885년부터 1893년까지 모스크바의 두 사립 김나지움에서 우수한 교육을 받았다. 이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 진학하여 역사와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1899년에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도 그의 문학적 관심은 심화되었다.
2. 문학 경력 및 러시아 상징주의
브류소프는 프랑스 상징주의와 데카당스 운동의 영향을 받아 문학 경력을 시작했으며, 러시아 상징주의 운동의 확립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2.1. 초기 문학 활동
브류소프는 1890년대 초반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시절부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폴 베를렌, 모리스 메테를링크, 스테판 말라르메와 같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들의 시와 에드거 앨런 포의 시를 러시아어로 번역했다. 동시에 그는 동시대 유럽의 데카당스 및 상징주의 운동의 영향을 깊이 받은 자신의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브류소프는 니콜라이 표도로프와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의 철학적 영향을 받기도 했다.
2.2. 러시아 상징주의 운동에서의 역할
당시 러시아의 상징주의 운동은 주로 이론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주목할 만한 선도적인 문인들이 부족했다. 이에 브류소프는 상징주의를 강력한 지지를 받는 운동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수많은 필명을 사용하며 자신의 시 세 권을 러시아 상징주의자들. 시선집 (1894~1895)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이러한 브류소프의 "신비화" 전략은 성공적이었고, 결과적으로 여러 젊은 시인들이 러시아 문단의 최신 유행으로서 상징주의에 매료되었다.

1900년 테르티야 비길리아(Третья стража트레티야 스트라자rus)가 출판되면서, 그는 다른 상징주의자들 사이에서 예술 문제에 대한 권위자로 존경받게 되었다. 1904년에는 영향력 있는 문학 잡지 베시(Весы베시rus, '저울')의 편집장이 되어 러시아 문학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브류소프의 원숙기 작품들은 관능적 쾌락의 찬미와 더불어 아크로스틱에서 시각시에 이르는 광범위한 시 형식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뛰어난 기교로 주목받았다.
3. 주요 문학 작품
발레리 브류소프는 시, 산문,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작품 활동을 펼쳤다.
3.1. 산문 작품
브류소프의 가장 유명한 산문 작품으로는 고대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 승리의 제단과 16세기 독일의 심리적 분위기를 묘사한 불타는 천사가 있다. 후자의 소설은 어린 시절 본 대천사의 모습을 찾아 비술 수행과 불결한 영혼과의 교류를 거듭하며 순수한 정신이 훼손된 악마 들린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작품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오페라 불타는 천사의 원작이 되었다.

브류소프는 또한 에드거 앨런 포, H. G. 웰스, 카미유 플라마리옹의 영향을 받아 여러 과학 소설을 쓰기도 했다. 이 중 일부는 그의 단편집 남십자성 공화국에 수록되었다.
3.2. 시
발레리 브류소프는 러시아 시의 형식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자유시 형태를 창안하고 러시아 시에서 인상주의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또한 다양한 시적 실험을 통해 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했다. 그의 시는 초기에는 감각적 쾌락과 형식적 완숙미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3.3. 번역
브류소프는 번역가로서 벨기에 시인 에밀 베르하렌의 작품을 러시아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했으며, 아르메니아의 아슈그(음유시인) 사야트노바의 서정시를 러시아어로 옮겼다. 그는 또한 폴 베를렌의 시를 번역한 주요 번역가 중 한 명이다. 그가 번역한 유명한 작가들로는 에드거 앨런 포, 로맹 롤랑, 모리스 메테를링크, 빅토르 위고, 장 라신, 아우소니우스, 몰리에르, 바이런, 오스카 와일드 등이 있다. 브류소프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도 번역했다. 1910년대에는 특히 아르메니아어 시 번역에 관심을 기울였다.
3.4. 주요 작품 목록
발레리 브류소프의 주요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유베닐리아 (Juvenilia) | 1894 | 초기 시집 |
셰프 되브르 (Chefs d'œuvre) | 1895 | |
메 에움 에세 (Me eum esse) | 1897 | |
테르티야 비길리아 (Tertia Vigilia, Третья стража트레티야 스트라자rus) | 1900 | |
거울 속에서 (In the Mirror) | 1902 | |
도시에, 그리고 세계에 (Urbi et Orbi) | 1903 | |
스테파노스 (Stephanos) | 1906 | |
지구의 축 (Земная ось) | 1907 | |
불타는 천사 (Огненный ангел) | 1908 | 역사 소설 |
모든 선율 (All Melodies) | 1909 | |
F. I. 튜트체프. 그의 창작의 의미 (Ф. И. Тютчев. Смысл его творчества) | 1911 | 문학 비평 |
그림자의 거울 (Зеркало теней) | 1912 | |
무지개 일곱 색깔 (Семь цветов радуги) | 1912 | |
승리의 제단 (The Altar of Victory) | 1913 | 역사 소설 |
타도된 주피터 (Юпитер поверженный) | 1916 | |
레아 실비아 (Rea Silvia) | 1916 | |
운율과 리듬, 유포니와 화음에 대한 실험, 스트로픽과 형식에 대한 연구 (Опыты по метрике и ритмике, по евфонии и созвучиям, по строфике и формам) | 1918 | 문학 이론 |
최후의 꿈 (Последние мечты) | 1920 | |
이런 날에 (В такие дни) | 1921 | |
원거리 (Дали) | 1922 | |
지평선 (Кругозор) | 1922 | |
순간 (Миг) | 1922 | |
서둘러라! (Mea) | 1924 |
그의 저작은 여러 선집과 전집으로 출판되었는데, 1913-191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무사게트' 출판사가 발행한 전집 및 번역본은 처음 의도했던 방대한 분량에 미치지 못했으며, 1973-1975년에 모스크바에서 발행된 7권짜리 전집이 현재까지 가장 완벽한 형태이다.
4. 후기 활동 및 소련 시기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브류소프의 시는 많은 동시대인들에게 차갑고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그의 명성과 러시아 문학계에서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다. 그는 게오르기 출코프와 뱌체슬라프 이바노프가 상징주의를 신비적 무정부주의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시도에 강경하게 반대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많은 상징주의 동료 시인들이 러시아를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브류소프는 1924년 사망할 때까지 러시아에 남았다. 그는 볼셰비키 정부를 지지했으며, 새로 수립된 소련 국가의 문화 부문에서 직책을 맡았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신문 루스키예 베도모스티의 전선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전쟁에 대한 많은 기사와 보고서를 작성했다. 1920년부터는 여러 대학에서 시 창작을 가르쳤고, 그의 시 창작 교수법에 대한 교재들도 책으로 출판되었다. 사망 직전에는 오토 슈미트와 함께 대소비에트 백과사전 편찬을 위한 제안을 작성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다.
5. 평가 및 영향
발레리 브류소프는 러시아 문학, 특히 상징주의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과 활동은 후대에 걸쳐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다.
5.1. 긍정적 평가
브류소프는 아르메니아 민속 서사시 "사순의 다비드"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공로로 1923년 아르메니아의 인민 시인으로 지정되었다.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에 있는 예레반 브류소프 국립 언어사회과학대학교는 1962년부터 발레리 브류소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그가 특정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한 긍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5.2. 비판 및 논란
브류소프는 러시아 혁명 이후 많은 동료 상징주의자들이 러시아를 떠난 것과 달리 볼셰비키 정부를 지지하고 새로운 소련의 문화 부문에서 직책을 맡았다. 이러한 그의 선택은 일부 문인들 사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었으나, 이는 그가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활동을 지속하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의 시가 1910년대에 "차갑고 부자연스럽게" 느껴진다는 평가는 그의 후기 작품 스타일 변화에 대한 당대 비평가들의 관점을 보여준다.
5.3. 후대에 미친 영향
브류소프는 러시아 시의 현대적 형태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모노스티크의 현대적 형태는 1894년 그에 의해 시작되었다. 우크라이나 작곡가 이나 아브라모브나 즈바네츠카야는 자신의 성악곡 모음집 '로맨스'에 브류소프의 텍스트를 사용했다. 또한 19세기와 20세기 말레이시아 문학에도 아델리나 아달리스, 니콜라이 구밀료프와 함께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그의 번역 활동은 에밀 베르하렌과 같은 외국 시인들의 작품을 러시아 독자들에게 소개함으로써 러시아 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6. 사망
발레리 브류소프는 1924년 10월 9일 모스크바에서 51세가 되기 전에 사망했다.
7. 기념 및 추모
1924년 사망 직전에 젊은 조각가 니나 니스-골드만이 브류소프의 초상 조각을 제작했다. 이 초상화는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시아 박물관에 있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작품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1962년부터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에 위치한 예레반 브류소프 국립 언어사회과학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러한 기념물과 기관들은 그가 아르메니아 문학 번역에 기여한 공로와 후대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