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박혜정(Park Hye-jeong영어, 2003년 3월 12일~)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이다. 그녀는 '장미란 키즈' 중 한 명으로 불리며, 최중량급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박혜정은 202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최중량급 금메달을 획득했고, 2024 파리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81kg급에서 한국 신기록을 세우며 은메달을 기록하였다. 또한, 2022년 아시안 게임과 2024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2. 생애 및 초기 경력
박혜정 선수는 역도에 입문한 어린 시절부터 유소년 및 주니어 국가대표로서 활약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2.1. 역도 입문과 성장
박혜정은 경기도 안산시 출신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유튜브를 통해 장미란 선수의 경기 영상을 보며 역도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이후 삼촌의 권유로 역도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으며, 선부중학교 1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역도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재능과 열정을 보이며 역도 유망주로 성장했다.

2.2. 유소년 및 주니어 활동
2019년, 박혜정은 대한민국 유스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같은 해 10월 북한 평양에서 열린 2019년 아시아 유스 역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인상 110 kg, 용상 145 kg, 그리고 합계 255 kg의 기록으로 세계 유스 신기록을 세웠다. 이 성적으로 카자흐스탄의 아이사말 산시즈바예바(Aysamal Sansizbayeva아이사말 산시즈바예바영어)와 중화 타이베이의 탕자지(Tang Zhiji탕자지영어)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에는 주니어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으며, 같은 해 5월 그리스 이라클리오에서 개최된 2022년 세계 주니어 역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박혜정은 이 대회에서 인상 120 kg, 용상 161 kg, 합계 281 kg의 기록으로 대표팀 동료인 김효언 선수와 아이사말 산시즈바예바 선수를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해 7월에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22년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15 kg, 용상 155 kg, 합계 270 kg의 기록으로 다시 한번 아이사말 산시즈바예바 선수와 베트남의 쩐티히엔(Tran Thi Hien쩐티히엔영어) 선수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무대에서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3. 주요 선수 경력
박혜정 선수는 시니어 무대 데뷔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그리고 올림픽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한국 역도 최중량급의 중심으로 성장했다.
3.1. 시니어 무대 데뷔
2022년, 박혜정은 성인 국가대표로 발탁되며 시니어 무대에 첫 발을 내디뎠다. 같은 해 12월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2022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시니어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인상 119 kg, 용상 155 kg, 합계 274 kg의 기록으로 최종 8위를 기록하며 성인 무대에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3.2. 세계 선수권 대회 및 아시안 게임 활약
2023년 5월, 박혜정은 대한민국 진주에서 열린 2023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27 kg, 용상 168 kg, 합계 295 kg의 기록으로 중국의 리원원(Li Wenwen리원원영어) 선수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같은 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202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박혜정은 인상 123 kg, 용상 165 kg, 합계 289 kg의 기록으로 인상과 용상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총합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미국의 메리 티슨래픈(Mary Theisen-Lappen메리 티슨래픈영어) 선수와 에콰도르의 리세트 아요비(Lisseth Ayoví리세트 아요비영어) 선수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하며 2024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
2023년 10월에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열린 2022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했다. 당시 최강자인 리원원 선수가 불참한 가운데, 박혜정은 인상 125 kg, 용상 169 kg, 합계 294 kg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손영희 선수와 태국의 두앙악손 차이디(Duangaksorn Chaidee두앙악손 차이디영어) 선수를 제쳤으며, 특히 용상 기록은 손영희 선수와 동률이었다. 박혜정의 이 금메달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장미란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13년 만에 한국 역도가 아시안 게임에서 다시 최중량급 금메달을 따낸 것이었다. 두앙악손 차이디 선수는 2024년 하계 올림픽에도 함께 출전했다.
2024년 2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2024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박혜정은 인상 128 kg, 용상 165 kg, 합계 293 kg의 기록으로 +87kg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3.3. 올림픽 출전 및 메달 획득
박혜정은 202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여자 역도 최중량급(+81kg) 경기에 나섰다. 대회 전부터 동급 최강자인 리원원 선수와 함께 강력한 메달 후보로 점쳐졌던 그녀는 2024년 8월 11일(현지 시각) 열린 본선 경기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박혜정은 인상에서 131 kg을 들어 올려 자신의 최고 기록이자 대한민국 신기록을 경신했으며, 용상에서는 168 kg을 성공시켰다. 인상과 용상을 합한 총합 299 kg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 역시 한국 역도 신기록을 세웠다. 그녀는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의 리원원 선수와 동메달을 획득한 영국의 에밀리 캠벨(Emily Campbell에밀리 캠벨영어) 선수와 함께 시상대에 섰다. 리원원 선수와의 합계 기록 차이는 단 10 kg에 불과했다.
경기 후 박혜정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파리 올림픽을 준비하는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역도 연맹 스태프, 코치님,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들 덕분에 힘든 일들을 극복하고 이 자리에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올림픽 덕분에 많은 분들의 응원과 조언, 경기장에 오신 분들의 뜨거운 함성 덕분에 없던 힘도 얻은 것 같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4. 역도 기술 및 스타일
박혜정 선수의 역도 기술은 특히 여성 선수들 사이에서 독특하고 강력한 특징을 보인다. 2024년 태국에서 열린 IWF 월드컵(올림픽 최종 예선 대회)에서 그녀의 용상 기술은 "그녀만이 아는 다른 기술"이라 불릴 정도로 차별화되며, "견고하고", "에너지가 넘치며",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그녀가 단순히 힘으로만 역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인 완벽성과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미디어 활동
박혜정 선수는 경기장 밖에서도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통해 대중들에게 얼굴을 알렸다. 2024년에는 MBC의 인기 장수 예능 프로그램인 "나 혼자 산다" 519회에 출연하여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 방송에서 그녀는 선수촌 숙소에서의 일상적인 모습, 남자 역도 선수들과 함께 훈련하는 모습, 그리고 코치의 지도에 따르는 모습 등을 가감 없이 보여주며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또한, KBS 2TV의 또 다른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263회와 264회에도 출연하며 자신의 삶과 운동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공개했다.
6. 평가 및 향후 전망
박혜정은 '장미란 키즈'라는 별명처럼 대한민국 역도 최중량급의 미래를 이끌어갈 대표적인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잠재력을 보이며 각종 유소년 및 주니어 대회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고, 시니어 무대 데뷔 이후에도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아시안 게임 금메달, 그리고 올림픽 은메달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두며 한국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특히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보여준 인상 한국 신기록과 은메달 획득은 그녀의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다.
박혜정은 2024 파리 올림픽 직후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앞으로 한국 역도에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LA 올림픽 금메달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는 그녀가 다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할 것임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활약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7. 주요 기록
연도 | 장소 | 체급 | 인상 (kg) | 인상 순위 | 용상 (kg) | 용상 순위 | 합계 (kg) | 총합 순위 | ||||
---|---|---|---|---|---|---|---|---|---|---|---|---|
1차 | 2차 | 3차 | 1차 | 2차 | 3차 | |||||||
하계 올림픽 | ||||||||||||
2024 | 프랑스 파리 | +81 kg | 123 kg | 127 kg | 131 kg | - | 163 kg | 168 kg | 173 kg | - | 299 kg | 2위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22 | 콜롬비아 보고타 | +87 kg | 115 kg | 115 kg | 119 kg | 8 | 155 kg | 159 kg | 161 kg | 5 | 274 kg | 8위 |
2023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87 kg | 120 kg | 124 kg | 131 kg | 1 | 158 kg | 158 kg | 165 kg | 1 | 289 kg | 1위 (금메달) |
IWF 월드컵 | ||||||||||||
2024 | 태국 푸껫 | +87 kg | 123 kg | 128 kg | 130 kg | 1 | 166 kg | 169 kg | 171 kg | 1 | 296 kg | 1위 |
아시안 게임 | ||||||||||||
2023 | 중국 항저우 | +87 kg | 118 kg | 123 kg | 125 kg | - | 157 kg | 160 kg | 169 kg | - | 294 kg | 1위 (금메달)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2023 | 대한민국 진주 | +87 kg | 118 kg | 125 kg | 127 kg | - | 158 kg | 165 kg | 168 kg | - | 295 kg | 2위 (은메달) |
2024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87 kg | 118 kg | 123 kg | 128 kg | - | 160 kg | 165 kg | 171 kg | - | 293 kg | 1위 (금메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