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리 카롤린 피르스(Mary Caroline Pierce메리 캐럴라인 피어스영어)는 1975년 1월 15일에 태어난 프랑스의 전직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그녀는 WTA 순위에서 단식 최고 3위, 복식 최고 3위를 기록했다. 피르스는 WTA 투어에서 18개의 단식 타이틀과 10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 중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로는 1995년 호주 오픈과 2000년 프랑스 오픈이 포함된다. 또한 2000년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과 2005년 윔블던 혼합 복식에서도 우승하여 총 4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그녀는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에 4번 더 진출했고, 연말 WTA 투어 챔피언십 결승에도 두 번 진출했다.
피르스는 2019년에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녀는 프랑스 오픈 단식 타이틀을 획득한 가장 최근의 프랑스 여성 선수로 기록되어 있으며, 경기 중 보여준 강력하고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함께 사생활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종교적 신념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으로 주목받았다. 그녀의 삶과 경력은 단순한 스포츠 성과를 넘어, 역경을 극복하고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2. 개인 생활
마리 피르스는 그녀의 신념과 인생의 주요 사건들이 그녀의 경력과 플레이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어려운 관계는 그녀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스포츠계에 특정 규칙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1. 어린 시절과 배경
마리 피르스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프랑스인 어머니 야닉 아자즈와 미국인 아버지 짐 피르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어머니가 프랑스인, 아버지가 미국인이었기에 세 국가(캐나다, 프랑스, 미국)의 시민권을 모두 가질 자격이 있었다. 그녀는 미국에서 성장했지만, 국제 테니스 대회에서는 프랑스를 대표하여 출전했다. 피르스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피르스는 10세라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테니스를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2년 만에 12세 이하 여자 부문에서 전국 2위로 올라설 정도로 빠르게 재능을 보였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의 코치가 되어 수년간 엄격한 훈련을 시켰다. 그러나 그녀의 아버지 짐 피르스는 딸과 상대방에게 언어적 학대를 가하고 심지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며 스포츠계에서 악명을 떨쳤다. 이로 인해 피르스는 한동안 아버지와의 대화를 거부했고, 그를 막기 위해 두 명의 경호원을 고용하기도 했다. 결국 WTA는 부모나 코치를 대회에서 금지할 수 있는 "짐 피르스 규칙"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피르스는 프로 테니스 선수에서 은퇴한 후 어느 시점에 아버지와 화해했다고 알려져 있다.
2.2. 성인 생활과 신념
피르스는 1999년에 야구 선수 로베르토 알로마와 잠시 약혼했었고, 이후 에어 프랑스 조종사 데이비드 에마뉘엘 아데스와도 약혼했으나, 두 번 모두 파혼했다.
그녀는 거듭난 그리스도인이다. 2000년 초(그녀가 우승할 프랑스 오픈 직전) 한 경기에서 패배한 후, 피르스는 "공허하고 비참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 후 "나는 예수를 영접하고 다시 태어났다... 내 안의 모든 것이 즉시 변했다"고 고백했다. 피르스는 또한 이러한 영적 변화가 다른 테니스 프로 선수인 린다 와일드와의 기존 우정 덕분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2019년 5월 기준으로 피르스는 모리셔스에 거주하며 테니스를 가르치고 있다.
3. 프로 경력
마리 피르스는 강력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더불어 극적인 기복을 보인 선수 경력을 통해 테니스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녀는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하며 정점에 올랐지만, 부상과 개인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랭킹이 하락하는 등 많은 도전을 겪었다.
3.1. 초기 (1985-1993)
피르스는 1989년 4월, 14세 2개월의 나이로 힐튼 헤드에서 열린 WTA 토너먼트에 프로 데뷔하여 당시 제니퍼 카프리아티 이전까지 가장 어린 미국인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녀는 타고난 체격과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인해 카프리아티와 비교되었으며, 여성 서킷에서 가장 강력한 타자 중 한 명으로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1991년 7월, 피르스는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산드라 체치니를 꺾고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3년 7월, 피르스는 아버지 짐 피르스에 대한 접근 금지 명령을 성공적으로 신청했다. 짐 피르스는 딸과 상대방에게 언어적 학대를 가하고 WTA로부터 대회 참가가 금지될 정도로 문제가 많았다. 아버지와 결별한 후, 피르스는 1988년 십대 시절 잠시 다녔던 닉 볼리티에리 테니스 아카데미의 닉 볼리티에리에게 코치를 받았다. 그녀의 오빠 데이비드 또한 2006년까지 피르스의 정규 코치였다.
3.2. 비약과 그랜드 슬램 성공 (1994-2000)
피르스는 1994년 프랑스 오픈에서 첫 그랜드 슬램 단식 결승에 진출했다. 그녀는 준결승에서 세계 1위 슈테피 그라프를 6-2, 6-2로 꺾는 등 결승까지 단 10게임만 내주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듬해인 1995년, 피르스는 호주 오픈 결승에서 산체스 비카리오에게 설욕하며 스트레이트 세트로 승리,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단 30게임만 내주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우승한 최초의 캐나다 태생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 이 해 그녀는 세계 랭킹 3위에 오르며 개인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재팬 오픈에서도 산체스 비카리오를 꺾고 우승했다.
1996년, 피르스는 호주 오픈 타이틀 방어에 실패한 후 닉 볼리티에리와 결별하는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아멜리아 아일랜드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고 함부르크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일부 성과가 있었지만, 이 해의 가장 큰 수확은 윔블던 8강에 처음 진출한 것이었다.
1997년, 피르스는 호주 오픈 단식 결승에 다시 진출했지만, 당시 16세 3개월이던 마르티나 힝기스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배했다. 그해 WTA 투어 챔피언십 결승에서도 야나 노보트나에게 패했다. 하지만 피르스는 1997년 페드 컵에서 프랑스 팀의 우승에 기여했으며, 그 시즌 유일한 타이틀은 이탈리안 오픈에서 콘치타 마르티네스를 꺾고 획득한 것이었다. 그녀는 시즌을 세계 21위에서 7위로 마감하며 '올해의 컴백 선수'로 선정되었다.
1998년에는 파리 실내 대회, 아멜리아 아일랜드 챔피언십, 크렘린 컵, 룩셈부르크 오픈 등 네 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또한 샌디에이고 클래식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피르스는 2000년 프랑스 오픈에서 두 번째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이자 첫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단식 결승에서는 마르티네스를 꺾고 프랑수아즈 뒤르 이후 1967년 이래 처음으로 프랑스 여성으로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힝기스와 파트너를 이루어 여자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2001년 말 그녀의 랭킹은 130위로 하락했고, 2002년 4월에는 300위 가까이 떨어지는 등 부상과 침체를 겪었다.
3.3. 재기 및 마지막 해 (2001-2006)
2000년대 초반 침체기를 겪은 후, 피르스는 2003년 페드 컵 결승전에서 미국을 꺾고 프랑스의 두 번째 우승에 기여했다.
2004년에는 2000년 프랑스 오픈 이후 첫 타이틀인 로스말렌 오픈에서 잔디 코트 우승을 차지했다.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6번 시드인 비너스 윌리엄스를 3라운드에서 꺾었으나, 8강전에서 톱 시드이자 금메달리스트인 쥐스틴 에냉에게 패했다. 그 해 후반에 열린 US 오픈에서는 최근 윔블던 챔피언인 마리아 샤라포바를 꺾었지만, 4라운드에서 결국 우승을 차지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에게 패했다.
피르스는 2005년에 다시 여자 테니스 최고 랭킹에 진입했다. 프랑스 오픈에서 세 번째로 단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에냉에게 1-6, 1-6으로 패했다. 이후 1996년 이후 처음으로 윔블던 8강에 진출했으며, 이 8강전에서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또한 피르스는 마헤시 부파티와 파트너를 이루어 윔블던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8월에는 샌디에이고에서 스가야 아이를 꺾고 그해 첫 단식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05년 US 오픈 4라운드에서 피르스는 에냉을 생애 처음으로 꺾었다. 8강전에서는 3번 시드 아멜리 모레스모를 제치고 첫 US 오픈 준결승에 진출했다. 승리 후 피르스는 "30세이고 17년 동안 투어에 있었는데도 여전히 처음 겪는 일들이 있다니 정말 놀랍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녀는 준결승에서 옐레나 데멘티예바를 3세트 접전 끝에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에서 피르스는 첫 세트 후 메디컬 타임아웃을 요청하여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 많은 이들이 이것이 데멘티예바의 리듬과 집중력을 방해했다고 보았다. 결승에서는 킴 클레이스터스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러나 피르스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크렘린 컵에서 그해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8강전에서 옐레나 리호프체바를 상대로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0-6으로 뒤지고 매치 포인트 6개를 내준 상황에서 8점을 연속으로 따내며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모스크바에서의 우승으로 피르스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연말 챔피언십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클레이스터스, 모레스모, 데멘티예바와의 라운드 로빈 경기 3번을 모두 승리했다. 준결승에서는 톱 랭커 린제이 대븐포트를 두 번의 타이브레이크 끝에 꺾었으나, 결승에서 모레스모에게 3시간이 넘는 접전 끝에 패했다. 피르스의 연말 랭킹은 세계 29위에서 5위로 수직 상승하여 1994, 1995, 1999년에 기록했던 개인 최고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 2005년의 이러한 놀라운 재기는 전 세계 1위 선수인 마르티나 힝기스가 코트로 복귀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06년, 피르스는 메이저 타이틀 획득을 목표로 비시즌 훈련에 매진했다. 그 해 첫 대회인 호주 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니콜 프랫을 꺾었으나, 2라운드에서 이베타 베네쇼바에게 패했다. 이 패배로 그녀는 3라운드에서 마르티나 힝기스와 맞붙을 기회를 놓쳤다. 다음 대회인 파리에서 결승에 진출했으나 동료 선수 아멜리 모레스모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발과 사타구니 부상으로 인해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을 불참하며 8월까지 경기를 뛰지 못했다.
6개월간 투어에서 휴식을 취한 후, 피르스는 2005년 챔피언이었던 아큐라 클래식에서 복귀전을 치렀으나 8강에서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패했다. 6개월 만의 두 번째 대회인 US 오픈에서는 3라운드에서 중국의 24번 시드 리나에게 패했다. 이후 그녀는 출전한 다음 세 대회(룩셈부르크 오픈, 슈투트가르트, 취리히 오픈)에서 모두 1라운드 탈락했다.
3.3.1. 무릎 부상
2006년 10월, 제네랄리 레이디스 린츠 대회에서 피르스는 1라운드에서 스가야 아이를 꺾었으나, 2라운드 베라 즈보나레바와의 경기에서 6-4, 6-5로 앞서던 중 왼쪽 무릎의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부상 전 세 개의 매치 포인트를 가지고 있었다. 피르스는 2006년 12월 성공적인 수술을 받았고 2007년 한 해를 통째로 쉬었다. 2008년에 투어 복귀가 예상되었지만, 그 해 말까지도 복귀 날짜가 정해지지 않은 채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은퇴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피르스는 2007년 프랑스 오픈에 모습을 드러냈다. 스타드 롤랑 가로스의 거리 중 하나가 그녀를 기리기 위해 '알레 마리 피르스'로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또한 프랑스 오픈의 사교 행사에 참여하여 여자 단식 결승 후 시상식에 참여하기도 했다. 피르스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프랑스 올림픽 대표팀 선수로 지명되었으나, 2008년 7월 21일 부상으로 인해 올림픽에서 기권했다.
피르스는 캐롤라인 보즈니아키, 아나 이바노비치와 함께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서 챔피언십과 '나무 숟가락'(가장 빠르게 탈락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비공식적인 상)을 모두 획득한 세 명의 여자 선수 중 한 명이다. 피르스의 나무 숟가락은 2002년 호주 오픈에서 질 크레이바스에게 1라운드 기권패하면서 얻었다. 그녀는 1995년 챔피언이었기에, 동일한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서 챔피언십과 나무 숟가락을 모두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옐레나 오스타펜코도 2017년 프랑스 오픈 우승 후 이듬해 2018년 대회에서 나무 숟가락을 획득하며 이 기록을 달성했다.
3.4. 은퇴 및 은퇴 후 경력
피르스는 2006년 무릎 부상 이후 공식적인 은퇴를 선언하지 않았지만, 더 이상 프로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2019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됨으로써 그녀의 뛰어난 선수 경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은퇴 후 그녀는 모리셔스 블랙 리버에 거주하며 테니스를 가르치는 등 테니스계와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4. 경기 스타일 및 장비
4.1. 경기 스타일
피르스는 WTA 투어에서 가장 강력한 타자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은 공격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어였다. 그녀는 첫 포인트부터 경기를 지배하는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의 가장 큰 강점은 강력하고 평평하게 타격되며 코트 어느 위치에서든 위너를 때려낼 수 있는 포핸드였다. 그녀의 양손 백핸드 또한 비슷하게 평평하게 타격되었으며, 약한 세컨드 서브를 공격하고 코트 주변에 날카로운 각도를 만들어내는 데 사용되었다.
그녀의 첫 서브는 강력했으며, 일반적으로 시속 104 km/h로 서비스되었고 최고 시속 116 km/h를 기록하기도 하여 에이스를 자주 기록했다. 피르스는 또한 효과적인 킥 서브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주로 세컨드 서브로 사용되었으며 평균 시속 86 km/h를 기록했다. 그녀는 리턴 게임에서 가장 공격적인 선수 중 한 명이었으며 마음대로 리턴 위너를 때려낼 수 있었다. 그녀는 투어에서 가장 수비적이지 않은 선수 중 한 명으로, 순수한 파워와 공격성에 기반을 둔 경기를 펼쳤다.
피르스의 주요 약점은 일관성 부족이었다. 좋은 컨디션일 때는 적은 수의 실책으로 많은 위너를 쌓아 투어에서 가장 위험한 선수 중 한 명이었지만,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공격적인 플레이가 많은 실책으로 이어졌다. 그녀의 경기는 또한 긴장감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긴장하면 포인트 사이에 점점 더 오랜 시간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피르스가 선호하는 코트 표면은 클레이 코트와 하드 코트였다.
4.2. 장비
2000년대 초반, 피르스는 나이키 의류를 착용하고 요넥스 라켓을 사용했다.
5. 수상 및 영예
마리 피르스는 선수 생활 동안과 은퇴 후에도 여러 중요한 상과 영예를 얻으며 그녀의 뛰어난 경력을 인정받았다.
-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 헌액**: 2019년, 피르스는 테니스 역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WTA 올해의 컴백 선수상**: 1997년, 그녀는 시즌을 세계 21위에서 7위로 마감하며 인상적인 재기를 선보여 '올해의 컴백 선수'로 선정되었다.
- 페드 컵 우승**: 그녀는 1997년과 2003년 페드 컵에서 프랑스 팀의 우승에 기여하며 국가대표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했다.
- 롤랑 가로스 거리 명명**: 2007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스타드 롤랑 가로스 내의 한 거리가 '알레 마리 피르스'로 명명되었다.
- 프랑스 오픈 단식 우승**: 2000년 프랑스 오픈 단식 우승은 1967년 프랑수아즈 뒤르 이후 프랑스 여성 선수로서 33년 만의 쾌거였다.
6. 유산과 평가
6.1. 업적과 영향
마리 피르스는 그녀의 선수 경력 동안 일궈낸 그랜드 슬램 타이틀과 세계 랭킹 3위 달성을 통해 프랑스 테니스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특히 1995년 호주 오픈과 2000년 프랑스 오픈 단식 우승은 그녀의 강력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프랑스 여성으로서 프랑스 오픈 단식 타이틀을 획득한 가장 최근의 선수로, 이는 프랑스 테니스 팬들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주었다. 또한 2000년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과 2005년 윔블던 혼합 복식 우승을 통해 다재다능함을 입증했다.
2005년, 그녀가 부상과 침체기를 극복하고 US 오픈 결승에 진출하며 세계 랭킹 5위로 재도약한 '컴백 스토리'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심지어 당시 은퇴했던 마르티나 힝기스가 코트로 복귀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는 피르스가 단순히 개인적인 성공을 넘어 동료 선수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그녀의 경기 스타일은 강력한 서브, 포핸드, 백핸드를 바탕으로 한 공격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로 평가되며, 이는 여성 테니스에서 파워 게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6.2. 논란과 도전
피르스의 선수 경력과 삶에는 뛰어난 업적과 더불어 여러 논란과 도전도 존재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그녀의 아버지 짐 피르스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문제들이었다. 짐 피르스는 딸에 대한 언어적 학대와 대회에서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이로 인해 피르스가 경호원을 고용하고 WTA가 '짐 피르스 규칙'을 도입하여 코치나 부모의 대회 참가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스포츠계에서 선수 인권과 복지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은 스포츠계에서 권위 있는 인물들의 부적절한 행동이 선수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피르스의 경력을 평가할 때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한다.
또한 피르스는 경기력의 기복이 심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강력한 플레이를 선보일 때는 최고의 기량을 발휘했지만, 긴장하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실책이 늘어나며 경기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005년 US 오픈 준결승에서 메디컬 타임아웃을 요청한 사건은 상대 선수의 리듬을 방해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도전들은 피르스가 단순한 기량뿐 아니라 정신적인 강인함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해야 했던 선수였음을 보여준다.
7. 경력 통계
7.1.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연혁
대회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SR | W-L |
---|---|---|---|---|---|---|---|---|---|---|---|---|---|---|---|---|---|---|---|
호주 오픈 | A | A | A | QF | 4R | W | 2R | F | QF | QF | 4R | 3R | 1R | 2R | A | 1R | 2R | 1 / 13 | 36-12 |
프랑스 오픈 | 2R | 3R | 4R | 4R | F | 4R | 3R | 4R | 2R | 2R | W | A | QF | 1R | 3R | F | A | 1 / 15 | 44-14 |
윔블던 | A | A | A | A | A | 2R | QF | 4R | 1R | 4R | 2R | A | 3R | 4R | 1R | QF | A | 0 / 10 | 21-10 |
US 오픈 | Q3 | 3R | 4R | 4R | QF | 3R | A | 4R | 4R | QF | 4R | A | 1R | 4R | 4R | F | 3R | 0 / 14 | 41-14 |
승-패 | 1-1 | 4-2 | 6-2 | 10-3 | 13-3 | 13-3 | 7-3 | 15-4 | 8-4 | 12-4 | 14-3 | 2-1 | 6-4 | 7-4 | 5-3 | 16-4 | 3-2 | 2 / 52 | 142-50 |
7.2. 그랜드 슬램 결승
7.2.1. 단식: 6회 (우승 2회, 준우승 4회)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1994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Arantxa Sánchez Vicario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스페인어 | 4-6, 4-6 |
우승 | 1995 | 호주 오픈 | 하드 | Arantxa Sánchez Vicario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스페인어 | 6-3, 6-2 |
준우승 | 1997 | 호주 오픈 | 하드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2-6, 2-6 |
우승 | 2000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Conchita Martínez콘치타 마르티네스스페인어 | 6-2, 7-5 |
준우승 | 2005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Justine Henin쥐스틴 에냉프랑스어 | 1-6, 1-6 |
준우승 | 2005 | US 오픈 | 하드 | Kim Clijsters킴 클레이스터스네덜란드어 | 3-6, 1-6 |
7.2.2. 복식: 2회 (우승 1회, 준우승 1회)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2000 | 호주 오픈 | 하드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Lisa Raymond리사 레이먼드영어 | |
우승 | 2000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Virginia Ruano Pascual비르히니아 루아노 파스쿠알스페인어 Paola Suárez파올라 수아레스스페인어 | 6-2, 6-4 |
7.2.3. 혼합 복식: 1회 (우승 1회)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2005 | 윔블던 | 잔디 | Mahesh Bhupati마헤시 부파티영어 | Tatiana Perebiynis타티아나 페레비니스우크라이나어 |
7.3. 기타 WTA 투어 결승
7.3.1. 단식: 41회 (우승 18회, 준우승 23회)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 | 1991년 7월 14일 | 팔레르모 | 클레이 | Sandra Cecchini산드라 체치니이탈리아어 | 6-0, 6-3 |
우승 | 2. | 1992년 2월 23일 | 체제나 | 카펫 (실내) | Catherine Tanvier카트린 탄비에프랑스어 | 6-1, 6-1 |
우승 | 3. | 1992년 7월 12일 | 팔레르모 | 클레이 | Brenda Schultz-McCarthy브렌다 슐츠네덜란드어 | 6-1, 6-7(3-7), 6-1 |
우승 | 4. | 1992년 11월 1일 | 푸에르토리코 | 하드 | Gigi Fernández지지 페르난데스영어 | 6-1, 7-5 |
준우승 | 1. | 1993년 7월 11일 | 팔레르모 | 클레이 | Radka Bobková라트카 바브코바체코어 | 3-6, 2-6 |
우승 | 5. | 1993년 10월 17일 | 필더슈타트 | 하드 (실내) | Natasha Zvereva나타샤 즈베레바벨라루스어 | 6-3, 6-3 |
준우승 | 2. | 1994년 3월 27일 | 휴스턴 | 클레이 | Sabine Hack자비네 학독일어 | 5-7, 4-6 |
준우승 | 3. | 1994년 10월 2일 | 라이프치히 | 카펫 (실내) | Jana Novotná야나 노보트나체코어 | 5-7, 1-6 |
준우승 | 4. | 1994년 10월 16일 | 필더슈타트 | 하드 (실내) | Anke Huber안케 후버독일어 | 4-6, 2-6 |
준우승 | 5. | 1994년 11월 13일 | 필라델피아 | 카펫 (실내) | Anke Huber안케 후버독일어 | 0-6, 7-6(7-4), 5-7 |
준우승 | 6. | 1995년 2월 19일 | 파리 | 카펫 (실내) | Steffi Graf슈테피 그라프독일어 | 2-6, 2-6 |
우승 | 7. | 1995년 9월 14일 | 도쿄 | 하드 | Arantxa Sánchez Vicario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스페인어 | 6-3, 6-3 |
준우승 | 7. | 1995년 10월 8일 | 취리히 | 카펫 (실내) | Iva Majoli이바 마욜리크로아티아어 | 4-6, 4-6 |
준우승 | 8. | 1996년 4월 14일 |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Irina Spîrlea이리나 스피를리아루마니아어 | 7-6(9-7), 4-6, 3-6 |
준우승 | 9. | 1997년 4월 13일 |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Lindsay Davenport린제이 대븐포트영어 | 2-6, 3-6 |
우승 | 8. | 1997년 5월 11일 | 로마 | 클레이 | Conchita Martínez콘치타 마르티네스스페인어 | 6-4, 6-0 |
준우승 | 10. | 1997년 5월 18일 | 베를린 | 클레이 | Mary Joe Fernández메리 조 페르난데스영어 | 4-6, 2-6 |
준우승 | 11. | 1997년 11월 23일 | 뉴욕 | 카펫 (실내) | Jana Novotná야나 노보트나체코어 | 6-7(4), 2-6, 3-6 |
우승 | 9. | 1998년 2월 15일 | 파리 | 카펫 (실내) | Dominique Monami도미니크 판 루스트네덜란드어 | 6-3, 7-5 |
우승 | 10. | 1998년 4월 12일 |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Conchita Martínez콘치타 마르티네스스페인어 | 6-7(8-10), 6-0, 6-2 |
준우승 | 12. | 1998년 8월 9일 | 샌디에이고 | 하드 | Lindsay Davenport린제이 대븐포트영어 | 3-6, 1-6 |
우승 | 11. | 1998년 10월 25일 |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Monica Seles모니카 셀레스영어 | 7-6(7-2), 6-3 |
우승 | 12. | 1998년 10월 13일 | 룩셈부르크 | 카펫 (실내) | Silvia Farina Elia실비아 파리나 엘리아이탈리아어 | 6-0, 2-0 기권 |
준우승 | 13. | 1999년 1월 10일 | 골드코스트 | 하드 | Patty Schnyder파티 슈나이더독일어 | 6-4, 6-7(5-7), 2-6 |
준우승 | 14. | 1999년 5월 2일 | 함부르크 | 클레이 | Venus Williams비너스 윌리엄스영어 | 0-6, 3-6 |
준우승 | 15. | 1999년 5월 9일 | 로마 | 클레이 | Venus Williams비너스 윌리엄스영어 | 4-6, 2-6 |
준우승 | 16. | 1999년 10월 10일 | 필더슈타트 | 하드 (실내)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4-6, 1-6 |
우승 | 13. | 1999년 10월 31일 | 린츠 | 카펫 (실내) | Sandrine Testud산드린 테스튀프랑스어 | 7-6(7-2), 6-1 |
우승 | 14. | 2000년 4월 23일 | 힐튼 헤드 | 클레이 | Arantxa Sánchez Vicario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스페인어 | 6-1, 6-0 |
준우승 | 17. | 2004년 2월 15일 | 파리 | 카펫 (실내) | Kim Clijsters킴 클레이스터스네덜란드어 | 2-6, 1-6 |
우승 | 16. | 2004년 6월 19일 | 스헤르토헨보스 | 잔디 | Klára Koukalová클라라 쿠칼로바체코어 | 7-6(8-6), 6-2 |
준우승 | 18. | 2005년 6월 4일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Justine Henin쥐스틴 에냉프랑스어 | 1-6, 1-6 |
우승 | 17. | 2005년 8월 7일 | 샌디에이고 | 하드 | 杉山愛스가야 아이일본어 | 6-0, 6-3 |
준우승 | 19. | 2005년 9월 10일 | US 오픈 | 하드 | Kim Clijsters킴 클레이스터스네덜란드어 | 3-6, 1-6 |
우승 | 18. | 2005년 10월 16일 |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Francesca Schiavone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이탈리아어 | 6-4, 6-3 |
준우승 | 20. | 2005년 11월 13일 | 로스앤젤레스 | 하드 (실내) | Amélie Mauresmo아멜리 모레스모프랑스어 | 7-5, 6-7(3), 4-6 |
준우승 | 21. | 2006년 2월 12일 | 파리 | 카펫 (실내) | Amélie Mauresmo아멜리 모레스모프랑스어 | 1-6, 6-7(2) |
7.3.2. 복식: 16회 (우승 10회, 준우승 6회)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1. | 1990년 12월 2일 | 상파울루 | 클레이 | Luanne Spadea루안 스파데아영어 | Bettina Fulco베티나 풀코스페인어 | 5-7, 4-6 |
우승 | 1. | 1991년 7월 14일 | 팔레르모 | 클레이 | Petra Langrová페트라 랑그로바체코어 | Laura Garrone로라 가로네이탈리아어 | 6-3, 6-7(5), 6-3 |
준우승 | 2. | 1992년 11월 15일 | 필라델피아 | 카펫 (실내) | Conchita Martínez콘치타 마르티네스스페인어 | Gigi Fernández지지 페르난데스영어 | 1-6, 3-6 |
준우승 | 3. | 1994년 2월 20일 | 파리 | 카펫 (실내) | Andrea Temesvári안드레아 테메슈바리헝가리어 | Sabine Appelmans사비네 아펠만스네덜란드어 | 4-6, 4-6 |
우승 | 2. | 1996년 9월 22일 | 도쿄 | 하드 | Amanda Coetzer아만다 쿠트저아프리칸스어 | 박성희박성희한국어 | 6-1, 7-6(7-5) |
우승 | 3. | 1997년 5월 4일 | 함부르크 | 클레이 | Anke Huber안케 후버독일어 | Ruxandra Dragomir룩산드라 드라고미르루마니아어 | 2-6, 7-6(7-1), 6-2 |
우승 | 4. | 1998년 4월 12일 | 아멜리아 아일랜드 | 클레이 | Sandra Cacic산드라 카식영어 | Barbara Schett바르바라 셰트독일어 | 7-6(7-5), 4-6, 7-6(7-5) |
우승 | 5. | 1998년 10월 25일 |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Natasha Zvereva나타샤 즈베레바벨라루스어 | Lisa Raymond리사 레이먼드영어 | 6-3, 6-4 |
우승 | 6. | 1999년 8월 22일 | 토론토 | 하드 | Jana Novotná야나 노보트나체코어 | Larisa Neiland라리사 네일란드라트비아어 | 6-3, 2-6, 6-3 |
우승 | 7. | 1999년 11월 7일 | 라이프치히 | 카펫 (실내) | Larisa Neiland라리사 네일란드라트비아어 | Elena Likhovtseva옐레나 리호프체바러시아어 | 6-4, 6-3 |
준우승 | 4. | 2000년 1월 15일 | 시드니 | 하드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Julie Halard-Decugis쥘리 알라르-데퀴지프랑스어 | 0-6, 3-6 |
우승 | 8. | 2000년 2월 6일 | 도쿄 | 카펫 (실내) | Martina Hingis마르티나 힝기스독일어 | Alexandra Fusai알렉상드라 퓨제프랑스어 | 6-4, 6-1 |
준우승 | 5. | 2003년 6월 21일 | 스헤르토헨보스 | 잔디 | Nadia Petrova나디아 페트로바러시아어 | Elena Dementieva옐레나 데멘티예바러시아어 | 6-2, 3-6, 4-6 |
우승 | 10. | 2003년 8월 10일 | 로스앤젤레스 | 하드 | Rennae Stubbs레네 스텁스영어 | Elena Bovina옐레나 보비나러시아어 | 6-3, 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