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다니엘 사라고사(Daniel Zaragoza)는 1957년 12월 11일 멕시코에서 태어난 전직 프로 복서이다. 1980년부터 1997년까지 선수로 활동하며 두 체급에서 WBC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는 1985년에 WBC 밴텀급 타이틀을, 1988년부터 1997년까지는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을 보유하며 명성을 떨쳤다. 특히 슈퍼밴텀급에서는 세 차례에 걸쳐 챔피언에 올랐으며, 이 과정에서 역사상 최고령 슈퍼밴텀급 챔피언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의 프로 전적은 총 66전 55승 (28KO) 8패 3무이다. 사우스포 자세를 취했으며, '더 마우스'(The Mouse더 마우스영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2.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다니엘 사라고사의 초기 생애와 복서로서의 경력 시작은 아마추어 무대에서부터 시작되었다.
2.1. 초기 생애 및 배경
다니엘 사라고사는 1957년 12월 11일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났다. 그의 키는 170 cm, 리치는 173 cm이며, 사우스포 자세를 취하는 복서였다. 그는 복싱 선수로 전향하기 전에는 변호사를 지망하며 법률을 공부하고 있었다. 하지만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 멕시코 대표로 참가했을 당시, 멕시코 복싱 대표팀의 감독이었던 나초 베리스타인의 권유로 진로를 변경하여 프로 복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2.2. 아마추어 경력
사라고사는 프로 데뷔 전 멕시코를 대표하는 아마추어 복서로 활약했다.
3. 프로 경력
다니엘 사라고사는 1980년 프로 데뷔 이후 두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에 오르며 멕시코 복싱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의 프로 경력은 1997년 은퇴까지 장기간 이어졌다.
3.1. 프로 데뷔 및 초기 활동
다니엘 사라고사는 1980년 10월 에르네스토 구티에레스와의 경기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하여 승리했다. 이후 그는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하고 10차례 방어하는 등 국내 무대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또한 1986년 12월 6일에는 마이크 아얄라를 KO로 꺾고 NABF 슈퍼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 타이틀을 두 차례 방어한 뒤 1988년에 반납했다. 초기 경력 중에는 1982년과 1983년에 해롤드 페티에게 논타이틀전에서 판정패를 당하기도 했다.
3.2. WBC 밴텀급 챔피언십
1985년, 사라고사는 아루바에서 프레디 잭슨과 공석인 WBC 밴텀급 타이틀 결정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잭슨은 고의적인 박치기 반칙으로 인해 7라운드 실격패를 당했고, 사라고사는 생애 첫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는 1985년 8월 9일, 첫 방어전에서 미겔 로라에게 0-3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이듬해인 1986년 4월 11일에는 IBF 밴텀급 챔피언이자 훗날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제프 페넥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논타이틀전을 가졌으나, 0-3 판정패를 당했다.
3.3. WBC 슈퍼밴텀급 챔피언십 (1, 2차 집권)
밴텀급 타이틀을 잃은 후 사라고사는 체급을 올려 슈퍼밴텀급으로 전향했고, 연이어 7연승을 기록했다.
- 첫 번째 집권:** 1988년 2월 29일, 그는 카를로스 사라테와의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결정전에서 10라운드 TKO승을 거두며 두 번째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이 타이틀은 5차례 성공적으로 방어했는데, 여기에는 대한민국의 이승훈과의 치열한 무승부, 이탈리아에서 발레리오 나티를 상대로 한 KO승, 폴 뱅크와의 첫 대결에서의 판정승, 프랭키 두아르테를 상대로 한 KO승, 그리고 대한민국의 박찬영과의 판정승이 포함된다. 그러나 1990년 4월 23일, 세 경기 전 꺾었던 폴 뱅크와의 재대결에서 9라운드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내주었다. 이후 뱅크는 페드로 루벤 데시마에게 KO패했고, 데시마는 다시 하타나카 키요시에게 KO패하며 타이틀이 여러 차례 주인을 바꿨다.
- 두 번째 집권:** 1991년 6월 14일, 사라고사는 일본 나고야시 종합체육관에서 하타나카 키요시에게 도전하여 2-1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을 되찾았다. 그는 이 타이틀을 두 차례 방어했는데, 대한민국의 허준에게 판정승을 거두고, 과거 자신을 꺾었던 폴 뱅크와의 세 번째 대결에서도 판정승을 거두며 설욕했다. 그러나 1992년 3월 20일 프랑스에서 티에리 자코브에게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다시 잃었다. 이후 그는 자코브를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된 트레이시 해리스 패터슨과 두 차례 대결했다. 첫 대결에서는 스플릿 판정 무승부를 기록했고, 두 번째 대결에서는 사라고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처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며 7라운드 TKO패를 당했다.
3.4. WBC 슈퍼밴텀급 챔피언십 (3차 집권)
1995년, 사라고사는 트레이시 해리스 패터슨을 꺾고 WBC 슈퍼밴텀급 챔피언이 된 엑토르 아세로 산체스에게 다시 한번 타이틀 도전 기회를 얻었다. 1995년 6월 2일 첫 대결은 무승부로 판정되어 논란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관찰자들은 사라고사가 승리했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같은 해 11월 6일 산체스와의 재대결에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때 사라고사의 나이는 36세 11개월이었고, 그는 역사상 최고령 슈퍼밴텀급 챔피언이 되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사라고사는 선수 생활의 막바지에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이하며 타이틀을 4차례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여기에는 일본에서 다쓰요시 조이치로를 상대로 두 차례 승리(1996년 3월 3일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11라운드 TKO승, 1997년 4월 14일 3-0 판정승), 쓰요시 하라다에게 7라운드 TKO승(1996년 7월 20일 오사카 부립체육회관), 그리고 체급을 올린 무패의 밴텀급 챔피언 웨인 맥컬로프를 상대로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둔 경기가 포함된다.
3.5. 프로 복싱 은퇴
1997년 9월 6일, 사라고사는 당시 무패의 21세 신예 에리크 모랄레스를 상대로 5차 방어전을 치렀다. 경기 중반까지 팽팽한 접전을 벌였으나, 11라운드에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다니엘 사라고사는 39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의 최종 프로 복싱 전적은 55승 8패 3무였다.
4. 타이틀 및 영예
다니엘 사라고사는 선수 생활 동안 다양한 복싱 타이틀을 획득하고 은퇴 후에는 복싱계에서 중요한 인정을 받았다.
4.1. 프로 타이틀
다니엘 사라고사는 프로 복싱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타이틀을 획득하고 방어했다.
- 멕시코 밴텀급 챔피언 (10차 방어)
- NABF 북미 슈퍼밴텀급 챔피언 (2차 방어)
- WBC 세계 밴텀급 챔피언 (0차 방어)
- WBC 세계 슈퍼밴텀급 챔피언
- 1차 집권 (5차 방어)
- 2차 집권 (2차 방어)
- 3차 집권 (4차 방어)
4.2. 명예의 전당 헌액
다니엘 사라고사는 그의 뛰어난 업적과 복싱계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2004년에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5. 은퇴 후 활동
프로 복싱 은퇴 후, 다니엘 사라고사는 복싱계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아 자신의 경험을 후배 양성에 쏟고 있다.
5.1. 복싱 트레이너 활동
은퇴 후 다니엘 사라고사는 복싱 트레이너로 변신했다. 2008년부터는 동향의 뛰어난 복서인 라파엘 마르케스의 트레이너를 맡았다. 사라고사는 마르케스의 장점인 공격력과 스피드를 유지시키면서도, 특히 디펜스 기술을 지도하며 그의 기량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6. 프로 복싱 전적
다니엘 사라고사의 프로 복싱 전적은 다음과 같다.
No. | 결과 | 전적 | 상대 | 유형 | 라운드 | 날짜 | 장소 | 비고 |
---|---|---|---|---|---|---|---|---|
66 | 패 | 55-8-3 | 에리크 모랄레스 | KO | 11 (12), 2:59 | 1997년 9월 6일 | 미국 텍사스주 엘패소 카운티 콜리세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상실 |
65 | 승 | 55-7-3 | 다쓰요시 조이치로 | UD | 12 | 1997년 4월 14일 | 일본 오사카 부립체육회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64 | 승 | 54-7-3 | 웨인 맥컬로프 | SD | 12 | 1997년 1월 11일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하인즈 컨벤션 센터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63 | 승 | 53-7-3 | 쓰요시 하라다 | TKO | 7 (12), 2:17 | 1996년 7월 20일 | 일본 오사카 부립체육회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62 | 승 | 52-7-3 | 다쓰요시 조이치로 | TKO | 11 (12), 2:47 | 1996년 3월 3일 |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아레나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61 | 승 | 51-7-3 | 엑토르 아세로 산체스 | SD | 12 | 1995년 11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
60 | 무 | 50-7-3 | 엑토르 아세로 산체스 | MD | 12 | 1995년 6월 2일 | 미국 코네티컷주 매샨터켓 폭스우즈 리조트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도전 |
59 | 승 | 50-7-2 | 호세 사나브리아 | UD | 10 | 1995년 2월 11일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하이 알라이 프론톤 | |
58 | 승 | 49-7-2 | 윌프레도 바르가스 | KO | 7 (?) | 1994년 10월 22일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하이 알라이 프론톤 | |
57 | 승 | 48-7-2 | 니노 루이즈 | TKO | 4 (?) | 1994년 8월 11일 | 멕시코 멕시코시티 | |
56 | 승 | 47-7-2 | 윌프레도 우르비나 | TKO | 5 (?) | 1994년 7월 1일 | 멕시코 소노라주 나보호아 | |
55 | 승 | 46-7-2 | 후안 프란시스코 소토 | UD | 10 | 1994년 6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
54 | 승 | 45-7-2 | 알레한드로 바티스타 | RTD | 2 (10), 3:00 | 1993년 12월 4일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하이 알라이 프론톤 | |
53 | 패 | 44-7-2 | 트레이시 해리스 패터슨 | TKO | 7 (12), 2:07 | 1993년 9월 25일 | 미국 뉴욕주 포킵시 미드-허드슨 시민 센터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도전 |
52 | 무 | 44-6-2 | 트레이시 해리스 패터슨 | SD | 12 | 1992년 12월 5일 | 프랑스 파드칼레주 베르크 쉬르 메르 팔레 데 스포르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도전 |
51 | 패 | 44-6-1 | 티에리 자코브 | UD | 12 | 1992년 3월 20일 | 프랑스 파드칼레주 칼레 샤피토-비유 포르 니쿨라이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상실 |
50 | 승 | 44-5-1 | 폴 뱅크 | UD | 12 | 1991년 12월 9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9 | 승 | 43-5-1 | 허준 | UD | 12 | 1991년 8월 24일 | 대한민국 서울 대한생명 빌딩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8 | 승 | 42-5-1 | 하타나카 키요시 | SD | 12 | 1991년 6월 14일 |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레인보우 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
47 | 승 | 41-5-1 | 모이 에르난데스 | PTS | 10 | 1991년 4월 5일 | 멕시코 코아우일라주 피에드라스 네그라스 | |
46 | 패 | 40-5-1 | 폴 뱅크 | TKO | 9 (12), 2:51 | 1990년 4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상실 |
45 | 승 | 40-4-1 | 박찬영 | SD | 12 | 1989년 12월 3일 | 대한민국 인천 선인체육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4 | 승 | 39-4-1 | 프랭키 두아르테 | TKO | 10 (12), 1:54 | 1989년 8월 31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3 | 승 | 38-4-1 | 폴 뱅크 | SD | 12 | 1989년 6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2 | 승 | 37-4-1 | 발레리오 나티 | KO | 5 (12), 1:06 | 1988년 11월 26일 | 이탈리아 에밀리아 로마냐주 포를리 팔라초 델로 스포르트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1 | 무 | 36-4-1 | 이승훈 | SD | 12 | 1988년 5월 29일 | 대한민국 여수 홍국체육관 |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40 | 승 | 36-4 | 카를로스 사라테 | TKO | 10 (12), 2:54 | 1988년 2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공석인 WBC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
39 | 승 | 35-4 | 노에 곤살레스 | KO | 7 (?) | 1987년 12월 17일 | 멕시코 멕시코주 나우칼판 데 후아레스 아레나 나우칼판 | |
38 | 승 | 34-4 | 대릴 시그펜 | PTS | 12 | 1987년 7월 31일 | 미국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 메모리얼 콜리세움 | |
37 | 승 | 33-4 | 라미로 아다메스 | TKO | 5 (10) | 1987년 6월 28일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라스 아메리카스 아레나 | |
36 | 승 | 32-4 | 아론 로페스 | UD | 12 | 1987년 4월 3일 |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프리먼 콜리세움 | NABF 슈퍼밴텀급 타이틀 방어 |
35 | 승 | 31-4 | 마이크 아얄라 | KO | 7 (12), 0:38 | 1986년 12월 6일 |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프리먼 콜리세움 | NABF 슈퍼밴텀급 타이틀 획득 |
34 | 승 | 30-4 | 라울 네그레테 | TKO | 7 (?) | 1986년 8월 29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 | |
33 | 승 | 29-4 | 안토니오 곤살레스 | PTS | 10 | 1986년 7월 4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 | |
32 | 패 | 28-4 | 제프 페넥 | UD | 10 | 1986년 4월 11일 | 오스트레일리아 서호주 퍼스 엔터테인먼트 센터 | |
31 | 패 | 28-3 | 미겔 로라 | UD | 12 | 1985년 8월 9일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타미아미 박람회장 강당 | WBC 밴텀급 타이틀 상실 |
30 | 승 | 28-2 | 프레디 잭슨 | DQ | 7 (12), 1:30 | 1985년 5월 4일 | 아루바 오라녜스타트 콩코드 복싱 아레나 | 공석인 WBC 밴텀급 타이틀 획득; 잭슨의 고의적인 박치기로 인한 실격패 |
29 | 승 | 27-2 | 호르헤 라미레스 | PTS | 12 | 1984년 11월 30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수르주 라파스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8 | 승 | 26-2 | 호르헤 라미레스 | DQ | 11 (12) | 1984년 9월 21일 | 멕시코 치와와주 시우다드 후아레스 플라사 데 토로스 알베르토 발데라스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라미레스의 박치기로 인한 실격패 |
27 | 승 | 25-2 | 마리오 고메스 | TKO | 3 (12) | 1984년 5월 21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6 | 승 | 24-2 | 패트릭 영 | TKO | 4 (?) | 1984년 3월 16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메히칼리 아우디토리오 델 에스타도 | |
25 | 승 | 23-2 | 하비에르 마르케스 | TKO | 5 (12) | 1984년 2월 18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메히칼리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4 | 승 | 22-2 | 리고베르토 에스트라다 | PTS | 12 | 1983년 12월 16일 | 멕시코 치와와주 시우다드 후아레스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3 | 승 | 21-2 | 로돌포 마르티네스 | TKO | 11 (12) | 1983년 10월 29일 | 멕시코 할리스코주 과달라하라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2 | 승 | 20-2 | 마르틴 토레스 | TKO | 5 (12) | 1983년 9월 26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21 | 패 | 19-2 | 해롤드 페티 | UD | 12 | 1983년 8월 8일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아스트로 아레나 | NABF 밴텀급 타이틀 도전 |
20 | 승 | 19-1 | 헤수스 로페스 | PTS | 12 | 1983년 5월 27일 | 멕시코 치와와주 시우다드 후아레스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19 | 승 | 18-1 | 리고베르토 에스트라다 | PTS | 12 | 1983년 3월 18일 | 멕시코 치와와주 시우다드 후아레스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18 | 승 | 17-1 | 로렌소 라미레스 | PTS | 10 | 1983년 1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스포츠 아레나 | |
17 | 승 | 16-1 | 헤수스 로페스 | PTS | 12 | 1982년 11월 29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방어 |
16 | 승 | 15-1 | 호르헤 라미레스 | PTS | 12 | 1982년 9월 4일 | 멕시코 멕시코시티 | 멕시코 밴텀급 타이틀 획득 |
15 | 패 | 14-1 | 해롤드 페티 | UD | 10 | 1982년 7월 29일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쇼보트 호텔 & 카지노 | |
14 | 승 | 14-0 | 라몬 콘차 | TKO | 2 (?) | 1982년 4월 23일 | 멕시코 게레로주 아카풀코 | |
13 | 승 | 13-0 | 프란시스코 파코 마요 | TKO | 5 (?) | 1982년 3월 5일 | 멕시코 게레로주 아카풀코 | |
12 | 승 | 12-0 | 미겔 후아레스 | PTS | 10 | 1982년 2월 12일 | 멕시코 게레로주 아카풀코 | |
11 | 승 | 11-0 | 마리오 차베스 | PTS | 10 | 1981년 11월 21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메히칼리 | |
10 | 승 | 10-0 | 훌리오 아벤다뇨 | KO | 4 (?) | 1981년 10월 30일 | 멕시코 게레로주 아카풀코 | |
9 | 승 | 9-0 | 하비에르 마르케스 | TKO | 8 (?) | 1981년 9월 16일 |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메히칼리 | |
8 | 승 | 8-0 | 라이토 곤살레스 | TKO | 4 (10) | 1981년 8월 28일 | 멕시코 캄페체주 캄페체 | |
7 | 승 | 7-0 | 알론소 곤살레스 | PTS | 10 | 1981년 7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
6 | 승 | 6-0 | 로케 기옌 | TKO | 3 (?) | 1981년 6월 27일 | 멕시코 치아파스주 투스틀라 구티에레스 | |
5 | 승 | 5-0 | 호세 사파타 | PTS | 10 | 1981년 5월 15일 | 멕시코 타바스코주 비야에르모사 | |
4 | 승 | 4-0 | 헤수스 마라비야 | KO | 2 (?) | 1981년 3월 29일 | 멕시코 타바스코주 비야에르모사 | |
3 | 승 | 3-0 | 호엘 세구라 | KO | 10 (10) | 1981년 2월 21일 |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 | |
2 | 승 | 2-0 | 포르피리오 우루티아 | TKO | 3 (?) | 1980년 12월 19일 | 멕시코 타마울리파스주 탐피코 | |
1 | 승 | 1-0 | 마리오 에르네스토 구티에레스 | KO | 4 (?) | 1980년 10월 17일 | 멕시코 베라크루스주 포사 리카 |